KR20240057290A -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290A
KR20240057290A KR1020220148028A KR20220148028A KR20240057290A KR 20240057290 A KR20240057290 A KR 20240057290A KR 1020220148028 A KR1020220148028 A KR 1020220148028A KR 20220148028 A KR20220148028 A KR 20220148028A KR 20240057290 A KR20240057290 A KR 20240057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post plate
measuring device
plat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ublication of KR2024005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6Dumb bells, i.e. with a central bar to be held by a single hand, and with weights at the e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양쪽 발이 위치하는 발판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포스트 플레이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운동기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범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복수개의 램프; 및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운동 횟수 및 운동량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아령 운동 시 특정 각도를 이루었을 때, 정확히 카운팅하여 운동효과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운동자세를 올바르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a weight mot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지센서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동 횟수와 범위를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팔과 어깨, 가슴근육을 발달시키도록 행하는 운동기구이다.
또한, 아령의 형태로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손잡이가 배치되고, 그 손잡이의 양측에 동일 중량의 중량체가 1쌍으로 배치된 게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아령은 인체의 상체 중 팔, 어깨 등의 근력향상 내지는 유산소운동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운동기구로서, 이러한 아령은 그 운동 횟수가 보통 웨이트의 무게에 따라 틀리기는 하나 수십회 이상을 몇 셋트 단위로 행하는 것이 운동프로그램으로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아령운동을 할 시에 운동 횟수를 스스로 카운팅하는데 치중할 경우 신경을 집중하여야 하며, 횟수가 커질수록 카운팅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특히 운동횟수 카운팅에 신경을 쓰다 보면 운동 시 자세가 흐트러져 정상적인 근력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자칫 근육에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며, 일부 운동자는 운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카운팅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정확한 운동 횟수와 운동량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5403호(2002.02.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감지센서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동 횟수와 범위를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양쪽 발이 위치하는 발판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포스트 플레이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운동기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범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복수개의 램프; 및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운동 횟수 및 운동량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는 포스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수신센서와, 상기 운동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신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발판부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 및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링크 거치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 거치대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세워지는 포스트 플레이트 및 운동기구에 감지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아령 운동 시 특정 각도를 이루었을 때, 정확히 카운팅하여 운동효과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운동자세를 올바르게 만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심에 설치함으로써, 2인이 동시에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양쪽 발이 위치하는 발판부(110)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포스트 플레이트(200),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운동기구(10)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300),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300)의 감지범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복수개의 램프(400) 및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운동 횟수 및 운동량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지면 위에 설치되는 직사각형상의 평판형 부재로써,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발을 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양쪽 발이 위치하는 발판부(110)를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판부(110)는 후술할 감지센서(300)가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은 접촉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돌기 또는 마찰패드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것으로, 운동기구(10)의 움직임을 체크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에 설치한다.
이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를 2명의 사용자가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발판부(110)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의 상단에는 후술할 디스플레이(500)를 회전 및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링크 거치대(2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 거치대(210)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부(211)와, 상기 수직지지부(211)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500)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212)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링크 거치대(21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상기 디스플레이(50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지센서(300)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측 또는 양측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운동기구(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센서(300)는 포스트 플레이트(200)에 설치되는 수신센서(310)와, 상기 운동기구(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신센서(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신센서(310)가 상기 발신센서(320)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아령 운동 시 특정 각도를 이루었을 때, 정확히 카운팅하여 운동효과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운동자세를 올바르게 만들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신센서(320)는 착탈이 가능한 착탈형 부재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1개의 발신센서(320)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웨이트 기구(아령, 역기 등)를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램프(400)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구성으로, 상기 감지센서(310)의 감지범위(운동범위)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운동 시 운동기구(10)의 높낮이 위치 정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근력운동을 지루하지 않고 재미 있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램프(400)는 상기 수신센서(310)로부터 이격되는 동일선상 일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500)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운동 횟수 및 운동량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50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초보자, 중급, 고급, 전문가와 같은 등급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등급에 맞추어 운동량을 제시하며 사용자의 운동횟수 등을 실시간으로 그래픽을 통해 쉽게 보여주어 운동 집중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500)는 사용자 신상정보에 따른 과거 운동기록을 저장하고 여러 데이터를 확인하고 다시 세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운동기구(10)에 상기 발신센서(320)를 부착한다.
이후, 상기 디스플레이(500)에 운동기구(10)의 무게와 희망하는 등급, 운동횟수 및 운동량 등을 입력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운동기구(10)를 든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발판부(110)에 양 발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200)에 설치된 수신센서(310)가 운동기구(10)에 부착된 발신센서(320)의 움직임을 수신하고, 이 신호를 상기 램프(400)에 전달하여 발광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범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에 상기 디스플레이(500)에 입력한 운동횟수 또는 운동량이 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그래픽 또는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발판부
200 : 포스트 플레이트
210 : 링크 거치대
300 : 감지센서
310 : 수신센서
320 : 발신센서
400 : 램프
500 : 디스플레이

Claims (5)

  1. 사용자의 양쪽 발이 위치하는 발판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직립되게 세워지는 포스트 플레이트;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운동기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감지센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범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복수개의 램프; 및,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운동 횟수 및 운동량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포스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수신센서와, 상기 운동기구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신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심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발판부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 및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링크 거치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거치대는 상기 포스트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KR1020220148028A 2022-10-24 2022-11-08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KR202400572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37572 2022-10-24
KR1020220137572 2022-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290A true KR20240057290A (ko) 2024-05-02

Family

ID=9107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028A KR20240057290A (ko) 2022-10-24 2022-11-08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2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403B1 (ko) 1997-12-24 2000-10-02 윤종용 전자렌지의해동제어장치및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403B1 (ko) 1997-12-24 2000-10-02 윤종용 전자렌지의해동제어장치및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4997B2 (en) Abdominal and core exerciser device
US20030109365A1 (en) Balance therapy platform
US4927138A (en) Exercise apparatus
ES2320373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valuar las capacidades musculares de los atletas mediante pruebas breves.
US201003174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ining of athletes
US20070129227A1 (en) Bench platform with multiple functions
US10507359B1 (en) Core muscle exercise system
US9132313B2 (en) Bench halo
KR100994815B1 (ko) 웨이트 운동기구
US6010439A (en) Chest exercise apparatus
KR20190059869A (ko) 근력측정장치
KR20170006379A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US20200009442A1 (en) Device for improving position and posture during weight-lifting exercise in sports
US20150243185A1 (en) Exercise Alignment Device
US70083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balance
KR20240057290A (ko) 웨이트 운동 측정장치
US7137930B1 (en) Forearm/wrist curl exercise device
KR20200088624A (ko)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US20240100393A1 (en) Athletic or Rehabilitative Force Registering Device
KR102163247B1 (ko) 구름사다리 운동기구
KR20210157779A (ko)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KR101152152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보조용구
CA2590880C (en) Exercise bench platform with multiple functions
KR102610302B1 (ko) 스쿼트 운동 장치
KR101693413B1 (ko) 짐볼을 이용한 운동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