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624A -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624A
KR20200088624A KR1020190005138A KR20190005138A KR20200088624A KR 20200088624 A KR20200088624 A KR 20200088624A KR 1020190005138 A KR1020190005138 A KR 1020190005138A KR 20190005138 A KR20190005138 A KR 20190005138A KR 20200088624 A KR20200088624 A KR 20200088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nit
frame
user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693B1 (ko
Inventor
오병춘
Original Assignee
오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춘 filed Critical 오병춘
Priority to KR102019000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6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3Force of an impact, e.g. blow or pun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바닥플레이트부; 상기 바닥플레이트부의 일측에서 연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대향 배치되는 좌우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펀치패드모듈; 및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운동 모드를 변경시키는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SYSTEM FOR EXERCISE APPARATUS USING BEAT CONTENTS}
본 발명은 단일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 등을 할 수 있으며, 운동 동작에 따른 음악을 제공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계 자료인 2017년 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 등에 힘입어 생활 체육에 대한 참여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활 스포츠의 변화에 힘입어, 크로스 핏, 커브스, 스피닝 등의 다양한 기초 체력 운동과 1:1 개인 맞춤형 운동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기존 운동 방식에 대한 문제점 역시 제기되었다. 기존 운동은 단순하고 반복 위주의 운동 방식으로 참여자의 흥미를 저하시키며, 고가의 장비 도입에 따라 해당 시설을 이용함에 따른 비용을 증가시켰다. 또한, 종래 정보 기술(IT)을 이용한 운동 기구 역시 런닝(running)이나 워킹 등에 대한 운동량을 측정하고 이를 확인하며,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여 운동량을 기록하고 저장하는 정도에 머무는 장치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최근 고령화 현상에 따라 노인 건강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다양한 시장 참여자의 니즈에 대한 목소리도 높지만, 이를 반영함에 있어 모든 연령층에게 흥미적 요소를 제공할 수 있는 운동 관련 컨텐츠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4926호 (2007.12.05.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32040호 (2013.04.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06129호 (2014.01.16.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8889호 (2018.08.09.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타격 운동을 포함하는 각 운동 모드에 맞는 차별화된 비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 및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운동 기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3방향 상체 및 하체의 트위스트 운동을 통해 허리 복근을 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철되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타격 운동 등을 할 때,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별도 전원 장치가 없더라도 측정되는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고, 다른 구성 요소 상호 간 무선 통신을 하며, 사용자에 대한 오락적 요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10대부터 60대 이상의 각 연령대와 성별 및 운동 종류 등에 따라 최적화된 비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모든 연령대의 니즈에 부합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격 운동이 아닌 비트 컨텐츠가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박자 운동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의 컨설팅을 제공받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탄성밴드를 다양한 운동 모드에 적용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단련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바닥플레이트부; 상기 바닥플레이트부의 일측에서 연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대향 배치되는 좌우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펀치패드모듈; 및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운동 모드를 변경시키는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펀치패드모듈은 타격에 의한 힘을 완충하는 패드부; 일단이 상기 패드부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유닛 중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성스트링; 상기 패드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패드부에 발생하는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압전소자부; 및 미리 설정된 유효 조건을 만족하는 타격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펀치패드모듈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통계 데이터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연산부로부터 전송받은 전기적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은 양 측에 배치되며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한 쌍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펀치패드모듈이 고정되며, 상기 지주프레임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자전거페달유닛이 설치되는 수직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좌우측면프레임은 상기 후면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보관 모드에서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보관 모드에서 상기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좌우측면프레임은 락킹되어 회동 불가능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1)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2) 운동의 종류(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중 어느 하나), 3) 운동 동작의 종류, 난이도 및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닥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서거나 누운 상태에서 타격 운동이 아닌 일정 규칙의 박자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거나 착용되며, 박자 운동에 대한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여, 운동 데이터를 관리자서버로 전송하는 박자운동측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유닛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의 상하 2지점에 각각 형성되는 도르래부; 및 일단이 상기 도르래부의 상측 도르래에 거치되고, 타단이 상기 도르래부의 하측 도르래에 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도르래부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양 단부에 고리가 형성되는 탄성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은 타격 운동을 포함하는 각 종 운동 모드에 맞는 차별화된 비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 및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3방향 상체 및 하체에 대한 트위스트 운동을 통해 허리 복근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타격 운동 등을 할 때,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별도 전원 장치가 없더라도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고, 다른 구성 요소 상호 간 무선 통신을 하며, 사용자에 대한 오락적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10대부터 60대 이상의 각 연령대와 성별 및 운동 종류 등에 따라 최적화된 비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모든 연령대의 니즈에 부합될 수 있다. 또한, 타격 운동이 아닌 비트 컨텐츠가 적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박자 운동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의 컨설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를 다양한 운동 모드에 적용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운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프레임에 설치된 펀치패드모듈을 사용자가 타격하는 모습에 대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운동 기구가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펀치패드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동 기구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의 좌측면프레임에 설치된 펀치패드모듈을 사용자가 타격하는 모습에 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운동 기구가 접히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펀치패드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은 바닥플레이트부(100), 프레임유닛(200), 펀치패드모듈(300), 컨텐츠제공부(600), 박자운동측정유닛(미도시), 탄성밴드부(400) 등을 포함한다. 운동 기구 시스템은 실내 좁은 공간에서 사용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타격 운동을 포함하는 각 종 운동 모드에 따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먼저, 바닥플레이트부(100)는 사각 형태의 바닥프레임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바닥프레임의 하면 일측에는 바퀴 등이 부착되어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 올라 선 상태에서 예를 들어, 타격 운동, 준비 운동, 스트레칭 운동 등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다양한 박자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 누운 상태에서 자전거 페달을 밟는 운동(Lie down cycling)이나, 윗몸 일으키기 운동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서 엎드린 자세로 푸쉬 업(push up)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는 안정된 자세 유지, 통증의 유발 방지, 미끄러짐 방지 등을 위해 고무 재질의 매트 등이 얇게 도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닥플레이트부(100)는 사각형 모양이고, 그 상면이 평평하며,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푸쉬업바(110)(bar)는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 단일 장봉 또는 한 쌍의 단봉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구조가 적용되어 바닥플레이트부(100)를 기준으로 노출되거나 은닉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푸쉬업바(110)는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으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프레임유닛(200)은 펀치패드모듈(300)을 이용한 사용자의 타격 운동, 탄성밴드부(400)를 이용한 사용자의 스트레칭 운동, 신체 균형 운동 등을 함에 있어 변형이나 파손의 염려가 없도록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유닛(200)은 연직(수직) 방향, 수평 방향, 대각 방향 등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체결 요소, 용접 등)되는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프레임(220)은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일측에서 연직 상방으로 배치된다. 이 때, 후면프레임(220)과 바닥플레이트부(100) 사이는 힌지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프레임(220)은 양 측에 배치되며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한 쌍의 지주프레임(221)과, 펀치패드모듈(300)이 고정되며 지주프레임(221)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프레임(222)과 수평지지프레임(22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자전거페달유닛(520)이 설치되는 수직보조프레임(223)을 포함한다. 이 때, 지주프레임(221)은 예를 들어, 프레임에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미도시)과 이에 삽입되는 고정레버(미도시)를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자전거페달유닛(520)은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페달을 밟는 운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수직보조프레임(223)과 이루는 각기 특정한 경사 각도가 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자전거페달유닛(520) 내에는 페달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회전수를 산출하며 그 산출값을 무선 통신 등의 방법으로 관리자서버(700)에 전송하는 통합모듈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직보조프레임(223)의 하측에는 사용자가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때, 발목을 거치할 수 있는 싯업바(530)(sit up bar)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좌우측면프레임(240)은 후면프레임(220)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대향 배치된다. 좌우측면프레임(240)은 예를 들어, U자 모양의 프레임 양단이 후면프레임(220)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좌우측면프레임(240)은 후면프레임(220)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운동 기구 시스템을 보관하고자 할 때, 즉, 보관 모드에서 좌우측면프레임(240)은 후면프레임(220)의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보관 모드에서 전술한 바닥플레이트부(100) 역시 후면프레임(220)의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다. 게다가, 보관 모드에서 바닥플레이트부(100) 및 좌우측면프레임(240)은 락킹되어 회동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락킹은 별도의 고정편 등을 사용하여 바닥플레이트부(100) 및 좌우측면프레임(240)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펀치패드모듈(300)은 프레임유닛(200)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한다. 프레임유닛(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후면프레임(220)과 좌우측면프레임(240) 사이의 각도는 서로 90도를 이루는 수직 상태가 된다. 이는, 타격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게 멀티 3방향인 3D 타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펀치패드모듈(300)은 후면프레임(220)에 1개, 좌우측면프레임(240)에 각각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펀치패드모듈(300)은 예를 들어, 후면프레임(220)에 3개, 좌우측면프레임(240)에 각각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펀치패드모듈(300)의 설치 개수가 달라지면, 그 만큼 타격 운동을 할 때, 허리 부분이 비틀어지는 각도 또한 달라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타격 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상체 및 하체에 대한 트위스트 운동이 가능하여 허리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복부 및 옆구리에 자극을 통해 지방을 효과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다.
펀치패드모듈(300)은 구체적으로 패드부(310), 탄성스트링(320), 압전소자부(330), 센서부(340), 연산부(350), 통신부(360), 충전용밧데리(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310)는 내부가 고무 재질로 충전되어 타격에 의한 힘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패드부(310)의 내측 공간에는 일정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패드부(310)의 외측에는 예를 들어, 다양한 컬러의 LED소자(미도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압전소자부(33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발광될 수 있다.
탄성스트링(320)은 일단이 패드부(310)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프레임유닛(200) 중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에 결합되어 펀치패드모듈(300)이 프레임유닛(2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탄성스트링(320)의 타단은 프레임유닛(200) 중 수직 방향이나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에도 결합될 수 있다. 탄성스트링(320)은 탄성 재질의 줄을 의미한다.
압전소자부(330)는 패드부(310) 내에 삽입되며 패드부(310)에 발생하는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압전소자부(330)는 패드부(310)에 대한 타격으로 패드부(310)가 흔들리면서 기계적인 진동을 일으키고, 그에 따라 진동 에너지가 발생하면 이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즉, 압전소자부(330)는 일종의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압전소자부(330)는 펀치패드모듈(30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의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런 압전소자부(330)는 전술한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도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센서부(340)는 패드부(310)에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한다. 센서부(340)는 특히, 미리 설정된 유효 조건을 만족하는 타격을 검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유효 조건은 예를 들어, 패드부(310)의 특정 영역으로 타격이 정확하게 가해졌는지, 타격이 일정 크기 이상의 힘으로 가해졌는지, 타격이 비트 컨텐츠의 비트 수에 맞춰 가해졌는지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340)는 충격에 따른 진동에 반응하는 충격 센서, 비트 수를 인식할 수 있는 소리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유효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들어, 비트 수에 맞는 타격이 검출되면 LED소자를 통해 이를 인식할 수 있다.
연산부(350)는 센서부(34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통계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연산부(350)는 유효 조건을 만족하는 타격 운동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타격의 평균 정확도, 타격의 평균 속도, 타격의 평균 충격량, 유효 타격의 개수 등을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360)는 센서부(340) 또는 연산부(350)로부터 전송받은 전기적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이 때, 무선 송출되는 대상은 관리자서버(700)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800)를 포함한다. 한편, 통신부(360)는 통상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800)에는 앱 스토어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스마트디바이스(800)는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관리자서버(700)와 연동될 수 있다. 충전용밧데리(370)는 압전소자부(330)를 통해 발생한 전기 에너지 중 잉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컨텐츠제공부(600)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운동 모드를 변경시킨다. 컨텐츠제공부(600)는 1)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2) 운동의 종류(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중 어느 하나), 3) 운동 동작의 종류, 난이도 및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제공부(600)는 전술한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보다 적합한 비트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런, 컨텐츠제공부(600)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비트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트 컨텐츠는 예를 들어, 128 BPM(beats per minute) 형식의 비트 수, 박자 수, 마디 수 등을 통해 구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뮤직 컨텐츠가 아닌 비트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는 비트 수에 대응하여 운동 자세를 취하고, 비트 수에 따라 운동 동작에 대한 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런, 비트 컨텐츠는 예를 들어, 컨텐츠제공부(600)에 형성된 슬롯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제공부(600)를 포함하는 운동 기구 시스템은 타격 운동을 포함하는 각 종 운동 모드에 맞는 차별화된 비트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흥미 및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모드는 비트 컨텐츠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운동 모드는 예를 들어, 준비 운동, 타격 운동, 스트레칭 운동, 유산소 운동, 웨이트 운동, 신체 균형 운동 등을 포함하며, 각 운동은 일정 규칙의 박자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운동 모드에 포함되는 모든 운동은 박자 운동에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 시스템은 모션(motion)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갖는 박자운동측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자운동측정유닛(미도시)은 타격 운동 이외의 운동 모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박자운동측정유닛은 바닥플레이트부(100)의 상면에 서거나 누운 상태에서 타격 운동이 아닌 일정 규칙의 박자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거나 착용된다. 예를 들어, 박자운동측정유닛은 운동 모드에 따라 사용자의 신발 내에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 등에 착용될 수 있고, 운동복 등의 주머니 등에 소지될 수도 있다.
이런, 박자운동측정유닛은 박자 운동에 대한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여, 운동 데이터를 관리자서버(700)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8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 데이터는 운동 종류, 운동 속도, 운동 횟수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박자운동측정유닛은 비트 컨텐츠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등을 통해 비트 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운동 기구 시스템은 탄성밴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유닛(200)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의 상하 2지점에는 도르래부(5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런, 탄성밴드부(400)는 고탄력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당기는 동작 등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칭 운동, 웨이트 운동, 신체 균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밴드부(400)는 줄의 형태로 구성되며, 일단이 도르래부(510)의 상측 도르래에 거치되고, 타단이 도르래부(510)의 하측 도르래에 거치된다. 탄성밴드부(400)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도르래부(510)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사용자가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양 단부에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밴드부(400)는 탄력의 강도에 따라 선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르래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곡면이 형성되어 탄성밴드부(400)에 대한 접촉면을 넓히고, 탄성밴드부(400)의 분리 이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탄성밴드부(400)는 다양한 운동 모드에 적용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효과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바닥플레이트부 110: 푸쉬업바
200: 프레임유닛 220: 후면프레임
240: 좌우측면프레임 221: 지주프레임
222: 수평지지프레임 223: 수직보조프레임
300: 펀치패드모듈 310: 패드부
320: 탄성스트링 330: 압전소자부
340: 센서부 350: 연산부
360: 통신부 400: 탄성밴드부
510: 도르래부 520: 자전거페달유닛
530: 싯업바 600: 컨텐츠제공부
700: 관리자서버 800: 스마트디바이스

Claims (7)

  1. 바닥플레이트부;
    상기 바닥플레이트부의 일측에서 연직 상방으로 배치되는 후면프레임과,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에서 전방을 향해 대향 배치되는 좌우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
    상기 프레임유닛의 각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타격을 감지하는 펀치패드모듈; 및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비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운동 모드를 변경시키는 컨텐츠제공부;를 포함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패드모듈은
    타격에 의한 힘을 완충하는 패드부;
    일단이 상기 패드부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유닛 중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탄성스트링;
    상기 패드부 내에 삽입되며, 상기 패드부에 발생하는 진동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압전소자부; 및
    미리 설정된 유효 조건을 만족하는 타격을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패드모듈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통계 데이터를 산출하는 연산부; 및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연산부로부터 전송받은 전기적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프레임은 양 측에 배치되며 높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한 쌍의 지주프레임과, 상기 펀치패드모듈이 고정되며, 상기 지주프레임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지지프레임과, 상기 수평지지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자전거페달유닛이 설치되는 수직보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좌우측면프레임은 상기 후면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보관 모드에서 내측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보관 모드에서 상기 바닥플레이트 및 상기 좌우측면프레임은 락킹되어 회동 불가능한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1)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2) 운동의 종류(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중 어느 하나), 3) 운동 동작의 종류, 난이도 및 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비트 컨텐츠를 제공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부의 상면에 서거나 누운 상태에서 타격 운동이 아닌 일정 규칙의 박자 운동을 하는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거나 착용되며, 박자 운동에 대한 운동 데이터를 측정하여, 운동 데이터를 관리자서버로 전송하는 박자운동측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유닛의 적어도 어느 일측 단부의 상하 2지점에 각각 형성되는 도르래부; 및
    일단이 상기 도르래부의 상측 도르래에 거치되고, 타단이 상기 도르래부의 하측 도르래에 거치되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도르래부를 따라 슬라이딩되고, 양 단부에 고리가 형성되는 탄성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KR1020190005138A 2019-01-15 2019-01-15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KR102201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38A KR102201693B1 (ko) 2019-01-15 2019-01-15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138A KR102201693B1 (ko) 2019-01-15 2019-01-15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624A true KR20200088624A (ko) 2020-07-23
KR102201693B1 KR102201693B1 (ko) 2021-01-15

Family

ID=7189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38A KR102201693B1 (ko) 2019-01-15 2019-01-15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6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23B1 (ko) * 2020-09-23 2021-05-13 광주도시관리공사 하체 강화 운동 장치
CN115034273A (zh) * 2021-12-27 2022-09-09 驻马店市中心医院 一种基于模式识别的肌电生物反馈设备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26B1 (ko) 2005-06-21 2007-12-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 운동장치
KR20130032040A (ko) 2011-09-22 2013-04-01 장용주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140006129A (ko) 2012-06-25 2014-0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방치기 운동기구
KR20180002205U (ko) * 2017-01-10 2018-07-18 조강원 조립식 다용도 운동기구
KR101888889B1 (ko) 2016-12-29 2018-08-16 이동훈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코어 운동기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26B1 (ko) 2005-06-21 2007-12-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지능형 운동장치
KR20130032040A (ko) 2011-09-22 2013-04-01 장용주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140006129A (ko) 2012-06-25 2014-01-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방치기 운동기구
KR101888889B1 (ko) 2016-12-29 2018-08-16 이동훈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는 코어 운동기구 시스템
KR20180002205U (ko) * 2017-01-10 2018-07-18 조강원 조립식 다용도 운동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23B1 (ko) * 2020-09-23 2021-05-13 광주도시관리공사 하체 강화 운동 장치
CN115034273A (zh) * 2021-12-27 2022-09-09 驻马店市中心医院 一种基于模式识别的肌电生物反馈设备及系统
CN115034273B (zh) * 2021-12-27 2023-09-01 驻马店市中心医院 一种基于模式识别的肌电生物反馈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693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3985A1 (en) Interactive ai coaching-based musculoskeletal exercise and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10417932B2 (en) Biometric data gathering
US100619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ssing muscular capacities of athletes using short tests
US20200022651A1 (en) Method for measuring exercise
KR101837284B1 (ko) 동적자세균형 기반 실감형 재활 운동 시스템
US103913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ining of athletes
US10569124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resistance band extension, and transport mechanism
US9517374B2 (en) Air straps
US20150094191A1 (en) Punching Bag Force Measurement System
CN101816831A (zh) 基于健身器材的游戏角色属性养成系统和方法
WO2009013679A2 (en) Device and method for physical training
KR102201693B1 (ko) 비트 컨텐츠를 이용한 운동 기구 시스템
JP2006150084A (ja) 上半身モニタリングを備えた全身エリプティカルエクササイズ機器
CN108837404A (zh) 一种四肢力量综合锻炼装置
US20150265869A1 (en) Battle Rope Training Device
CN105457227A (zh) 一种智能型健身器
US11305153B2 (en) Portable elliptical exercise machine and transport mechanism
US20150057576A1 (en) Wearable muscle strength training detector device
KR102216146B1 (ko) 줄타기 운동기구
KR20160026373A (ko) 스쿼트 운동기구
CN210575125U (zh) 一种智能运动器材
CN204745512U (zh) 仰卧举腿腰腹肌力训练与测试系统
CN201366216Y (zh) 新型室内滑板健身器
CN207575635U (zh) 智能监测多功能健身训练带
TW200701949A (en) Pedometer with automatic step corr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