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379A -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379A
KR20170006379A KR1020150096916A KR20150096916A KR20170006379A KR 20170006379 A KR20170006379 A KR 20170006379A KR 1020150096916 A KR1020150096916 A KR 1020150096916A KR 20150096916 A KR20150096916 A KR 20150096916A KR 20170006379 A KR20170006379 A KR 2017000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ock
exercise
weight
exercise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현
임동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5009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379A/ko
Publication of KR2017000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동자가 운동한 중량, 횟수, 세트 및 시간 등을 통합한 운동량 등을 통합한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의료진 또는 트레이너들에게 전달하여 운동자가 적절한 운동을 행하고 있는지 또는 앞으로 운동자가 해야 할 운동량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의 웨이트 블록에 삽입되어 무게를 선택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파지부로 구성되는 웨이트 블록 조절핀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일측에 구비되어 웨이트 블록의 일측에 구비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리딩하는 리딩부; 상기 리딩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결과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adjustment pin of weight block able to measuring exercise and it using syste}
본 발명은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운동자가 운동한 중량, 횟수, 세트 및 시간 등을 통합한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의료진 또는 트레이너들에게 전달하여 운동자가 적절한 운동을 행하고 있는지 또는 앞으로 운동자가 해야 할 운동량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헬스장에 등록한 사용자들의 각 웨이트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각 운동기구의 운동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체계적으로 자신의 운동량, 소모 열량 등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었고, 그 필요성에 사용자의 운동량을 체크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웨이트 트레이닝이란, 운동자극에 대한 신체의 적응성을 이용, 의지력을 포함한 인체의 형태·기능 등 스포츠 능력을 보다 강화·발달시키는 과정으로, 근대 스포츠의 트레이닝은 모든 스포츠 능력의 모체가 되는 체력조성 트레이닝이 주체가 된다.
이러한 웨이트 트레이닝의 종류로는 스포츠 활동에 있어 중요한 근력(筋力)강화를 위한 것으로 아이소토닉 트레이닝(바벨·아령·자신의 몸무게 등을 이용한 동적 근력 트레이닝), 아이소메트릭 트레이닝(움직이지 않는 물체를 움직이려고 온힘을 발휘하는 정적 근력 트레이닝), 아이소키네틱 트레이닝(가동부위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구를 사용해 관절각도의 변화와 함께 항상 최대 근력을 발휘), 플리오메트릭 트레이닝(무거운 것을 들고 대(臺) 위에서 뛰어내리는 동작처럼 근육이 수축하기 직전 반사적 신장과 이완을 되풀이해 근육을 강화) 등이 있다.
현재의 웨이트 트레이닝은 기계적인 머신을 이용하여 프로운동선수의 신체능력향상, 재활의학 분야의 환자 또는 장애인 재활치료, 노인들의 건강증진, 인체의 미를 극대화시키는 보디빌딩 등, 인간의 신체능력 향상은 물론, 저항력 강화, 부상방지 노화예방, 아름다움 추구 등 일상생활에서나 스포츠 현장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기구는 운동자의 운동시간, 운동속도, 운동거리, 소모 칼로리 또는 운동 페이스 정보를 통해 분석된 운동량과 운동자의 운동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환자들의 재활 운동에 있어서, 그 운동 효과를 최대한으로 극대화만 할 뿐 이러한 정보를 제3자에게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기능 및 이러한 정보를 전송받아 환자의 진료 등에 이용하는 수단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운동자의 신체적인 조건 및 상태에 따라 운동 중에 적절한 운동 횟수 등을 가이드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운동 후 자신의 운동량뿐만 아니라, 운동시간, 운동량, 칼로리 소비량 등에 대한 각종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224547호 등록특허 10-8926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운동자가 운동한 중량, 횟수, 세트, 시간 및 이들에 의해 부가적으로 얻어지는 칼로리 등을 통합한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의료진 또는 트레이너들에게 전달하여 운동자가 적절한 운동을 행하고 있는지 또는 앞으로 운동자가 해야 할 운동량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기구(200)의 웨이트 블록(210)에 삽입되어 무게를 선택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후단에 구비되는 파지부(100)로 구성되는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0) 일측에 구비되어 웨이트 블록(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리딩하는 리딩부(120); 상기 리딩부(120)의 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제어부(130)에서 연산된 결과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는, 그 내부에 가속도 센서(150)가 더 구비되어 운동자가 상기 웨이트 블록(210)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 및 웨이트 블록(210)의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140)은,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메인서버(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230)는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웨이트 블록(210)의 중앙부의 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딩부(120)는, 삽입부(110)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2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은,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10); 및 상기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으로부터 연산되어 통신모듈(140)에 의해 전송되는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 저장된 운동자의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운동자의 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메인서버(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운동자의 휴대 단말기(30) 또는 의료진이 접속하는 서버(40)와 연결되어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데이터는, 운동자가 웨이트 블록을 통하여 운동한 시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 웨이트 블록의 무게 및 운동 시 소모된 칼로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의하면, 첫째, 운동자가 운동한 중량, 횟수, 세트 및 시간 등을 통합한 운동량 등을 통합한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의료진 또는 트레이너들에게 전달하여 운동자가 적절한 운동을 행하고 있는지 또는 앞으로 운동자가 해야 할 운동량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운동지도 또는 치료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휴대하면서 다닐 수 있어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운동장을 찾아다니면서 운동할 수 있어 운동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운동자의 몸상태에 따른 운동을 할 수 있어 건강관리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이 구비되는 웨이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표시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5는 메인서버 상에서 구현되는 표시부이고, 도 6은 웨이트 운동기구에 구비되는 표시부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이 구비되는 웨이트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은, 크게 파지부(100) 및 삽입부(110)로 구분된다. 상기 삽입부(110)는, 웨이트 운동기구(200)의 웨이트 블록(210)에 삽입되어 무게를 선택하기 위한 일종의 봉이며, 그 후단의 파지부(100)는 운동자가 웨이트 블록(210)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110)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웨이트 블록 조절핀의 역할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이용되는 웨이트 운동기구들에 사용되는 웨이트 블록 조절핀의 역할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인 운동량 측정을 하기 위한 구성들은 파지부(100)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후술에서 그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웨이트 운동기구(200)에 구비되어 운동자의 운동 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웨이트 블록의 중간 홀의 일측에는 각각의 무게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230)가 인쇄되거나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편의상 도면에는 바코드의 형태로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웨이트 운동기구(200)의 일측에는 운동속도 표시계(220)가 설치되어 운동자도 운동을 하면서 자신이 운동처방대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를 인식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파지부(100) 및 삽입부(110)가 서로 결합되는 일측,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10)의 일측에 상기 웨이트 블록(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리딩하기 위한 리딩부(1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230)는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웨이트 블록(210)의 중앙부의 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딩부(120)는, 삽입부(110)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2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리딩부(120)의 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하는 제어부(130)가 구비된다. 또한, 제어부(130)에서 연산된 결과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140) 및 상기 운동자의 개인정보 및 운동자가 해야 할 운동량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동자의 개인정보 및 운동량 데이터는 메인서버(20)에도 저장되므로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리딩부(120)에 의해 리딩된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30)로 전달된 운동량 데이터의 값과 기 설정된 운동자의 정보 및 운동자가 운동해야 될 운동량을 비교하여 연산하게 된다. 또한, 연산된 운동량 데이터는 운동장(헬스클럽 등)에 비치되는 메인서버(20)로 전달되어 저장되고, 이러한 운동량 데이터는 운동자의 단말기 또는 의료진 또는 트레이너가 접속하는 서버(30)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운동자의 정보 및 운동자의 운동량은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운동자의 나이, 성별, 체중 및 각 운동기구별로 운동자가 해야 할 운동량이 입력된다. 이러한 운동량 데이터들은 메인서버(20)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파지부(100)에는 가속도 센서(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150)는 운동자가 상기 웨이트 블록(210)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 및 웨이트 블록(210)의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의사나 트레이너가 운동자에게 지시한 사항을 운동자가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150)에는 운동자가 운동을 하게 되면, 웨이트 운동기구를 통하여 웨이트 블록을 들어 올린 후 내리는 속도를 적분하면, 평균 속도값이 산출되며, 이와 같이 산출된 속도값은 적분하면, 운동자가 웨이트 운동기구를 통하여 웨이트 블록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거리값을 산출한 데이터 값을 제어부(13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운동시간의 범위 내에서 웨이트 블록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횟수는 운동자가 웨이트 블록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속도를 의미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은 상기 파지부(100)의 내측에 배터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의 경우 운동자가 휴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발명되었기 때문에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각 서버 및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력이 필요하므로 상기 배터리는 필수적인 것이다. 이는 운동자가 운동장소를 찾을 때 마다 본인의 정보가 저장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운동장에서 운동을 하여야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의 외부 일측에는 충전용 커넥터(101)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은, 도 3에 구비되는 웨이트 운동기구(20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운동기구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도시된 운동기구 외에 웨이트 블록이 구비되는 모든 웨이트 운동기구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으로부터 연산되어 통신모듈(140)에 의해 전송되는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 저장된 운동자의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운동자의 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메인서버(20)가 구비된다. 상기한 운동량 데이터는 운동자가 웨이트 블록을 통하여 운동한 시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 웨이트 블록의 무게 및 운동 시 소모된 칼로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운동자의 휴대 단말기(30) 또는 의료진이 접속하는 서버(40)와 연결되어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공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유한 운동량 데이터는 트레이너 또는 의료진에게 전달되어 담당 운동자가 운동을 잘 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물리치료 또는 재활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은 환자(운동자)가 의료진을 통하여 복약 및 투약 지도 외에 운동도 주기적으로 일정량을 실시하라는 지도를 받게 되면, 이러한 지도 사항은 상기 메인서버에 의료진 또는 운동자에 의해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된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으로 운동자는 운동장에서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웨이트 블롤 조절핀(10)을 웨이트 운동기구의 웨이트 블록들 사이에 삽입한 후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운동자는 미리 지도받은 사항을 준수하면서 운동을 하여야 되나 그렇지 않을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자는 운동 지도에 따라 웨이트 운동기구의 속도는 느리게 또는 빠르게, 무게는 무겁게 또는 가볍게 등을 지켜가면서 하여야 되나, 부주의로 이를 지키지 못하고 웨이트 운동을 실시할 경우 이러한 운동 데이터는 상기 리딩부(120)를 통하여 제어부(130)로 전달되고, 이러한 부적절한 운동 데이터는 메인서버(20)에 저장된다. 그러면 이러한 운동량 데이터는 의료진이 접속하는 서버(30) 또는 운동자의 휴대용 단말기(40)로 전송되어 운동자에게 자신이 잘못한 운동결과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운동자는 추후의 운동부터는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운동자가 운동처방에 맞게 운동을 한 경우에는 즉, 적절한 운동을 실시한 경우에는 이러한 운동량 데이터는 서버(30)로 저장되어 추후 의료진과의 진료 시 운동량을 조절하여 차기 운동부터는 한층 강화된 운동을 지시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진 또는 트레이너가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운동처방에 따른 운동량, 운동실시 현황이 개인별로 즉시 표시되도록 하여 자신이 운동처방대로 운동하고 있는지, 목표는 달성하였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운동이 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운동량 데이터는 메인서버(20)에 저장되어 서버(40)에 전달되어 공유된다.
한편, 상기한 운동량 데이터는 운동자가 운동처방 대로 운동하는지를 본인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웨이트 운동기구(200)의 일측에 운동속도 표시계(220)가 설치되어 운동자도 운동을 하면서 자신이 운동처방대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동속도 표시계(220)의 경우 도 5와 같이 모든 항목이 다 표시될 수도 있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운동장(헬스클럽 등)에는 각양각색의 웨이트 운동기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문제 상 운동속도 만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운동속도 표시계(220)는 다수의 유도램프와 운동램프로 구비되며, 양자는 동일한 갯수로 대응되게 병렬로 구성된다. 따라서 운동자는 본인이 운동처방에 맞게 하는지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운동할 수 있어 효과적인 운동치료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운동속도 표시계(220)의 경우 메인서버(20)와 통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운동자가 본인이 해야할 운동속도를 수동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및 이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웨이트 블록 조절핀
100 : 파지부 110 : 삽입부
120 : 리딩부 130 : 제어부
140 : 통신모듈 150 : 가속도 센서
200 : 웨이트 운동기구 210 : 웨이트 블록
220 : 운동속도 표시계

Claims (7)

  1. 웨이트 운동기구(200)의 웨이트 블록(210)에 삽입되어 무게를 선택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후단에 구비되는 파지부(100)로 구성되는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0) 일측에 구비되어 웨이트 블록(2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리딩하는 리딩부(120);
    상기 리딩부(120)의 신호를 전송받아 연산하는 제어부(130); 및
    상기 제어부(130)에서 연산된 결과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100)는,
    그 내부에 가속도 센서(150)가 더 구비되어 운동자가 상기 웨이트 블록(210)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 및 웨이트 블록(210)의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140)은,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메인서버(2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230)는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웨이트 블록(210)의 중앙부의 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리딩부(120)는, 삽입부(110)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바코드 또는 QR코드(2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
  5.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10); 및
    상기 웨이트 블록 조절핀(10)으로부터 연산되어 통신모듈(140)에 의해 전송되는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 저장된 운동자의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운동자의 몸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메인서버(20);을 포함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20)는,
    운동자의 휴대 단말기(30) 또는 의료진이 접속하는 서버(40)와 연결되어 운동자의 운동량 데이터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데이터는,
    운동자가 웨이트 블록을 통하여 운동한 시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속도, 웨이트 블록의 무게 및 운동 시 소모된 칼로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1020150096916A 2015-07-08 2015-07-08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KR20170006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16A KR20170006379A (ko) 2015-07-08 2015-07-08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16A KR20170006379A (ko) 2015-07-08 2015-07-08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379A true KR20170006379A (ko) 2017-01-18

Family

ID=5799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916A KR20170006379A (ko) 2015-07-08 2015-07-08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3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5037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오몰래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WO2020005036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오몰래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CN112825270A (zh) * 2019-11-20 2021-05-21 欧文乐有限责任公司 利用霍尔传感器的重量追踪装置及方法
WO2022005062A1 (ko) * 2020-06-30 2022-01-06 김민철 기구 운동을 위한 부착형 운동량 계측 및 정보제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65B1 (ko) 2008-02-19 2009-04-15 (주)개선스포츠 운동자세 및 운동량을 알려주는 헬스 웨이트 서비스 방법
KR101224547B1 (ko) 2012-07-25 2013-01-22 (주)개선스포츠 조절핀과 웨이트 블록의 수평조절기능이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665B1 (ko) 2008-02-19 2009-04-15 (주)개선스포츠 운동자세 및 운동량을 알려주는 헬스 웨이트 서비스 방법
KR101224547B1 (ko) 2012-07-25 2013-01-22 (주)개선스포츠 조절핀과 웨이트 블록의 수평조절기능이 있는 웨이트 운동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5037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오몰래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WO2020005036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오몰래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CN111032164A (zh) * 2018-06-28 2020-04-17 欧文乐有限责任公司 位置追踪装置及方法
CN111032164B (zh) * 2018-06-28 2021-07-27 欧文乐有限责任公司 位置追踪装置及方法
CN112825270A (zh) * 2019-11-20 2021-05-21 欧文乐有限责任公司 利用霍尔传感器的重量追踪装置及方法
WO2022005062A1 (ko) * 2020-06-30 2022-01-06 김민철 기구 운동을 위한 부착형 운동량 계측 및 정보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04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raining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of strength training
Elvitigala et al. GymSoles: Improving squats and dead-lifts by visualizing the user's center of pressure
US9135347B2 (en) Exercise tracking and analysi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Thomas et al. The effects of a calisthenics training intervention on posture,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KR102003801B1 (ko) 스마트 프리웨이트 트레이닝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510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strength training
US201003174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e training of athletes
KR101361117B1 (ko) 생체정보 획득을 통한 운동관리 줄넘기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방법
KR20170006379A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웨이트 블록 조절핀을 이용한 운동량 측정 시스템
WO2014148038A1 (ja) 健康支援装置
KR100892665B1 (ko) 운동자세 및 운동량을 알려주는 헬스 웨이트 서비스 방법
Saeterbakken et al. Effects of ten weeks dynamic or isometric core training on climbing performance among highly trained climbers
Kovacs et al. Complete conditioning for tennis, 2E
KR101645342B1 (ko) 운동 관리 시스템
CN114585294A (zh) 游乐体验系统
WO2021186709A1 (ja) 運動支援装置、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支援方法および運動支援プログラム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100044588A (ko)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KR20190059518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 연동형 전신 운동기구 시스템
KR102145672B1 (ko) 스마트 바벨 시스템 제어방법
KR20210157779A (ko)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KR20220070123A (ko) 다기능 케틀벨과 이를 이용한 홈 트레이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2473A (ko) 센서를 이용한 운동자의 움직임 가이드 및 피드백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93413B1 (ko) 짐볼을 이용한 운동기구
Westcott et al. Strength training past 5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