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4588A -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588A
KR20100044588A KR1020080103783A KR20080103783A KR20100044588A KR 20100044588 A KR20100044588 A KR 20100044588A KR 1020080103783 A KR1020080103783 A KR 1020080103783A KR 20080103783 A KR20080103783 A KR 20080103783A KR 20100044588 A KR20100044588 A KR 20100044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strength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액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액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액센
Priority to KR102008010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4588A/ko
Publication of KR2010004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근육을 단련하는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운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 및 상기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를 상기 근력 운동기구에 제공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운동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운동량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근력 운동기구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신이 수행하는 근력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 게임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경쟁을 하면서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운동에 흥미를 느끼고, 경쟁심리가 작용하여 더욱 열심히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 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 무게추, 칼로리, 운동 프로그램, 서버, 통신망

Description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System for managing personal exercise history of digital muscular exerciser}
본 발명은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신이 수행하는 근력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운동 게임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경쟁을 하면서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운동에 흥미를 느끼고, 경쟁심리가 작용하여 더욱 열심히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 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외모에 대한 욕구가 증대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 및 운동을 통해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매를 가꾸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현대인들은 헬스클럽과 같은 운동 시설에 등록하고, 운동 시설에 구비된 다양한 종류의 헬스 기구들을 이용하여 살을 빼거나 근육을 단련한다ㄴ.
도 1은 헬스 클럽에 구비된 헬스 기구 중 하나인 체스트 프레스 머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스트 프레스 머신은 사용자가 자리할 수 있는 받침대(10) 및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레버(20)가 구비된 조작 프레임(30)과, 다수의 무게추(40)가 설치된 무게추 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게추 프레임(50)을 보면, 무게추 프레임(50)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설치봉(60)에 다수의 무게추(4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무게추(40)와 레버(20) 사이에는 다수의 풀리(70)를 통해 로프(8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레버(20)를 상방으로 밀면 로프(80)가 당겨지면서, 무게추(40)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20)를 반복적으로 들어올리면, 무게추(40)의 하중에 의해 사용자의 가슴 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 및 이완되면서, 근육이 발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헬스 기구들은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헬스클럽 등의 운동 시설에서는 운동 프로그램이나 회원들의 운동 이력에 대한 데이터 축적이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운동 시작부터 운동 목적을 이룰 때까지의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회원들은 개인별 운동 상황, 운동 성과 등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려워 효율적인 운동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력 운동기구의 특성상, 사용자가 혼자 운동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2인 이상이 함께할 수 있는 다른 운동보다 운동을 통해 느끼는 재미가 덜하기 때문 에 쉽게 운동에 흥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가 있어, 목표로 설정한 운동량을 완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자신이 수행하는 근력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 게임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경쟁을 하면서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운동에 흥미를 느끼고, 경쟁심리가 작용하여 더욱 열심히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 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근육을 단련하는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운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 및 상기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를 상기 근력 운동기구에 제공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운동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운동량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근력 운동기구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와 연결된 다른 서버들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체중, 근육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센서부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 및 상기 산출된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에 기초하여 칼로리 소비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상기 운동 횟수, 운동 강도 및 칼로리 소비량을 포함하는 운동량을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운동량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력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 정보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서버들과 연결된 근력 운동기구에 전송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부를 통해 다른 근력 운동기구의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는 각 근력 운동기구에서 산출되는 운동량을 비교하여 승패 또는 순위를 정하며, 상기 산출되는 운동량 및 운동량의 비교 결과를 각 근력 운동기구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운동 게임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수행하는 근력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하게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연별로 누적 집계되어 저장된 결과로도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운동에 대한 개선사항 및 운동의 성취도를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 및 근육량에 따른 적절한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 게임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경쟁을 하면서 운동을 함으로써 사용자는 운동에 흥미를 느끼고, 경쟁심리가 작용하여 더욱 열심히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 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 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도 2의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근력 운동기구의 무게추가 설치된 프레임 및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은 프레임(50)에 설치된 다수의 무게추(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근육을 단련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들을 서버(110) 및 통신망(130; 도 4 참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에 흥미를 느끼며 효율적으로 운동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운동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헬스클럽과 같은 운동장소에 설치되는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120) 및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120)에 연결되어 각각의 근력 운동기구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다른 근력 운동기구들로 전송하는 서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근력 운동기구(12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21),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정보(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 등)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122), 및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3)를 포함한다.
입력부(121)는 사용자의 이름, 체중, 근육량 등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다. 이때, 입력부(121)와 표시부(123)는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 판넬을 장착하여 일체로 형성한 터치스크린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22)는 프레임(50)에 설치된 복수의 무게추(40)의 운동 정보를 검추검출하는 것으로서, 발광부(111) 및 수광부(112)를 포함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122)는 프레임(50)의 좌우 측면 프레임(51, 52)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무게추(40)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발광부(122a)는 좌우 측면 프레임(51, 5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무게추(40)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즉, 발광부(122a)는 무게추(40) 각각에 빛을 조사한다. 수광부(122b)는 좌우 측면 프레임(51, 52) 중 나머지 하나에 발광부(122a)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발광부(122a)로부터 조사된 빛을 수신한다.
이와 같은 센서부(122)의 구성에 의해, 무게추(40)가 모두 제자리에 있으면, 즉 무게추(40)가 들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 발광부(122a)로부터 조사된 빛은 수광부(122b)에 수신되지 못하고, 사용자의 운동에 의해 무게추(40)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들려져 있는 경우에 발광부(122a)로부터 조사된 빛은 무게추(40)가 들려져 있는 만큼 수광부(122b)에 수신된다.
또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센서부(110)는 상기 무게추들의 하부에 위치되어 무게추들의 중량 및 중량 변화를 검출하는 중량 센서일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110)는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운동 프로그램이 표시부(123)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서버(110)에는 사용자의 체중 및 근육량에 따라 적합한 개인별 운동 프로그램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운동 프로그램 저장부(111)를 포함한다.
이 운동 프로그램들은 무게추(40)를 들어올리는 근력 운동 횟수와, 이 운동 횟수의 집합인 세트 및 세트 사이의 시간 간격 등이 설정된 운동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제 1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횟수 12회를 3세트 반복하고, 각 세트 사이의 쉬는 시간은 60초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 2 운동 프로그램은 운동 횟수 15를 4세트 반복하고, 각 세트 사이의 쉬는 시간은 90초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3)는 서버(110)에 저장된 사용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표시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중 및 근육량에 적합한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130)을 이용하여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120, 120')들과 연결된 복수의 서버(110, 110')를 연결하여 서버 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서버(110)는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량을 산출하는 운동량 산출부(112)와, 산출된 운동량을 저장하는 운동량 저장부(113)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운동량 산출부(112)는 센서부(122)를 통해 검출된 무게추(4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산출한다.
즉, 센서부(122)가 광센서로 이루어진 경우, 운동량 산출부(112)는 발광 부(122a)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전부 수광부(122b)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를 운동 횟수 1회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산출하고, 발광부(122a)로부터 조사되는 빛 중에서 수광부(122b)에 수신되지 않는 빛의 갯수를 판단하여 무게추의 중량 즉 운동 강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가 표시부(123)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하면서 자신의 운동 상황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서부(122)가 중량 센서인 경우, 운동량 산출부(112)는 무게추들이 전부 제 위치에 있을 때의 중량을 기준값으로 하여, 기준값으로부터 변화되는 중량 및 중량 변화를 기초로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산출한다.
또한, 운동량 산출부(112)는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과, 산출된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소비한 칼로리를 계산한다.
이때, 칼로리 계산은 미리 입력된 칼로리 계산 테이블(미도시)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체중에 운동 횟수를 곱하고, 이 결과값에 운동 강도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소비된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다.
표시부(123)는 운동량 산출부(112)를 통해 계산된 칼로리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동 중 실시간으로 소비되는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어, 체계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동 후 소비된 총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어 자신의 운동량 및 운동 성취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운동량 저장부(113)는 운동량 산출부(112)를 통해 산출된 운동 횟수, 운동 강도, 및 칼로리 소비량과 같은 운동량을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이를 일별, 월별, 분기별, 또는 연별로 누적 집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21)를 통해 사용자 정보 즉,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면 표시부(123)는 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에 대한 개선사항 및 운동의 성취도를 체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다른 헬스클럽에서도 자신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여 운동량 저장부(113)에 저장된 자신의 운동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근력 운동기구 또는 다른 헬스 클럽에서 운동하는 사람의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근력 운동기구에 카메라(124)가 구비된다.
카메라(124)는 근력 운동기구(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는 서버(110)를 거쳐 다른 근력 운동기구(120)로 전송되거나, 통신망(130)을 거쳐 다른 서버(110')들과 연결된 근력 운동기구(120') 즉, 다른 헬스 클럽의 근력 운동기구에 전송되고, 전송된 영상 정보는 표시부(123)를 통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같은 헬스클럽 내의 다른 근력 운동기구(120)를 사용하는 사용자 또는 다른 헬스 클럽 내의 근력 운동기구(12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서버(110)는 운동 게임 실행부(114)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운동 게임 실행부(114)는 각 근력 운동기구(120)에서 산출되는 사용자의 운동량을 비교하여 승자와 패자를 결정하거나 순위를 정하며, 표시부(123)를 통해 산출된 운동량 및 그 비교 결과가 표시되도록 한다.
즉, 둘 이상의 사용자가 근력 운동기구(120)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들은 운동 게임 실행부(114)를 통해 운동 횟수, 운동 강도 및 칼로리 소비량 등의 운동량을 통해 승패를 가리는 게임, 또는 여러 사용자들이 각자의 순위를 가리는 게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근력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운동에 흥미를 느끼고, 경쟁심리가 작용하여 더욱 열심히 운동을 함으로써 운동 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근력 운동기구 중 하나인 체스트 프레스 머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근력 운동기구의 무게추가 설치된 프레임 및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의 또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110': 서버 111: 운동 프로그램 저장부
112: 운동량 산출부 113: 운동량 저장부
114: 운동 게임 실행부 120, 120': 근력 운동기구
121: 입력부 122: 센서부
123: 표시부 124: 카메라
130: 통신망

Claims (7)

  1. 사용자의 근육을 단련하는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운동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 및
    상기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이를 상기 근력 운동기구에 제공하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검출된 운동 정보를 기초로 하여 운동량을 계산하고 이를 상기 근력 운동기구에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복수의 근력 운동기구와 연결된 다른 서버들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체중, 근육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센서부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를 산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체중 및 상기 산출된 운동 횟수 및 운동 강도에 기초하여 칼로리 소비량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운동 횟수, 운동 강도 및 칼로리 소비량을 포함하는 운동량을 사용자별로 저장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운동량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 정보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서버들과 연결된 근력 운동기 구에 전송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부를 통해 다른 근력 운동기구의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 근력 운동기구에서 산출되는 운동량을 비교하여 승패 또는 순위를 정하며, 상기 산출되는 운동량 및 운동량의 비교 결과를 각 근력 운동기구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운동 게임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0080103783A 2008-10-22 2008-10-22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KR20100044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783A KR20100044588A (ko) 2008-10-22 2008-10-22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3783A KR20100044588A (ko) 2008-10-22 2008-10-22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588A true KR20100044588A (ko) 2010-04-30

Family

ID=4221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783A KR20100044588A (ko) 2008-10-22 2008-10-22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458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24B1 (ko) * 2011-04-26 2014-0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킬레스건 운동기구를 장착한 벤치
KR101371421B1 (ko) * 2011-04-26 2014-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운동기구를 장착한 다목적 평상
WO2016204334A1 (ko) * 2015-06-19 2016-12-22 (주)블루클라우드 실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에 기반한 운동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28514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Ai운동시퀀스제공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24B1 (ko) * 2011-04-26 2014-01-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킬레스건 운동기구를 장착한 벤치
KR101371421B1 (ko) * 2011-04-26 2014-03-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수의 운동기구를 장착한 다목적 평상
WO2016204334A1 (ko) * 2015-06-19 2016-12-22 (주)블루클라우드 실감형 인터랙티브 콘텐츠에 기반한 운동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3128514A1 (ko) * 2021-12-28 2023-07-06 주식회사 디랙스 Ai운동시퀀스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79447A1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11673036B2 (en) Exercise storage system
Zemková et al. Sport-specific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neuromuscular training in young athletes
TWI644702B (zh) 力量運動機械裝置
Hoffman NSCA's guide to program design
Fukuda Assessments for sport and athletic performance
TWI508018B (zh) 健身管理服務方法及相關系統
US11351419B2 (en) Smart gym
US8727948B2 (en) Exercise method and system
US20110172060A1 (en) Interactive systems and methods for reactive martial arts fitness training
US20070111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video game to achieve an exercise objective
Neumann et al. The effect of attentional focus strategy on physiological and motor performance during a sit-up exercise
KR101680972B1 (ko) 가상현실을 이용한 실내 운동 시스템
WO2014148038A1 (ja) 健康支援装置
Nunes et al. Motivating people to perform better in exergames: Competition in virtual environments
US20220314072A1 (en) Adjustment of exerci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exercise plan, and user feedback
KR101216960B1 (ko) 네츄럴 인터렉션 기반 건강 및 재활 기능성 게임시스템의 운동정보 가이드 장치
Devaraju et al. Prediction of playing ability in Kabaddi from Selected anthropometrical, physical,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mong college level players
Sansone et al. External, internal, perceived training loads and their relationships in youth basketball players across different positions
KR20100044588A (ko) 디지털 근력 운동기구의 운동 관리 시스템
Gillett Strength training for basketball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Deepika et al. A Study on the Co-Relation of Basketball Playing Ability with Motor Fitness and Health Related Fitness of Female Basketball Players
TWI722188B (zh) 肌肉訓練系統
Magray et al.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on arm and leg strength of volleyball players of Anantnag, Kashm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