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6451A -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6451A
KR20200066451A KR1020180152542A KR20180152542A KR20200066451A KR 20200066451 A KR20200066451 A KR 20200066451A KR 1020180152542 A KR1020180152542 A KR 1020180152542A KR 20180152542 A KR20180152542 A KR 20180152542A KR 20200066451 A KR20200066451 A KR 20200066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xercise
smart clothing
heart r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196B1 (ko
Inventor
이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티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티엔지
Priority to KR1020180152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1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48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4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ard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 및 측정하여 사용자가 운동하는 종목 및 그 운동 종목에 따른 신체의 심박수, 근활성도, 좌우근육밸런스, 소모된 칼로리양 등을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측정 및 기록된 정보를 전문트레이너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문트레이너로부터 올바른 운동 방법에 관한 코칭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의류에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되, 사용자의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위치되는 양측 근육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토록 다수개의 측정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감지 및 측정되는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운동 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전문트레이너 중 어느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기록전송부를 통해 DB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칭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운동 방법 및 자세로 개선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Health care and coaching system using smart clothing}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의류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 및 측정하여 사용자가 운동하는 종목 및 그 운동 종목에 따른 신체의 심박수, 근활성도, 좌우근육밸런스, 소모된 칼로리양 등을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측정 및 기록된 정보를 전문트레이너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문트레이너로부터 올바른 운동 방법에 관한 코칭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스마트폰 수요가 급증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특히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시스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사용자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공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사용자들의 신체 관리에 대한 관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신체관리 헬스케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는 별도의 장치 및 헬스케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유산소, 무산소 운동 등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제 10-2018-0064885호 웨어러블 디바이스, 운동 관리 서버, 그리고 유선단말 및 무선단말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고 운동을 시작하게 되면, 하나의 웨이트 트레이닝 세트가 끝날 때마다 네트워크를 통해 운동 관리 서버로의 액세스에 따라 로그정보를 실시간으로 운동 관리 서버에 저장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전송모듈 및 운동 상태에서 휴식 상태로 전환된 뒤, 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권장 휴식시간 내에 다시 운동이 시작되지 않으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의 그래픽 화면과 진동모터의 진동을 출력 제어하여 사용자가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운동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하나의 웨이트 트레이닝 세트가 끝나면 하나의 웨이트 트레이닝 세트 동안의 사용자 심박수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일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운동이 시작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운동을 재실시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단순히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 및 기록하고 일정시간마다 운동을 재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사용자의 근활성도, 좌우근육밸런스, 소모된 칼로리양 등을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동 초보자의 경우, 본인의 운동에 따라 측정 및 기록된 정보를 확인하고 잘못된 운동 방법 및 자세 등을 고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스마트의류에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되, 사용자의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위치되는 양측 근육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토록 다수개의 측정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감지 및 측정되는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운동 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전문트레이너 중 어느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기록전송부를 통해 DB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칭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운동 방법 및 자세로 개선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의류(100)와, 상기 스마트의류(100)와 연결되는 단말기(200)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300)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300)과 연동되는 DB(400)로 구성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되, 사용자의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위치되는 양측 근육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토록 다수개가 배치되는 측정장치(110)와, 상기 측정장치(110)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장치(110)로부터 감지 및 측정되는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20)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200)는 선택적으로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모듈(120)과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인적사항을 기재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310)와, 상기 접속부(3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속할 시,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을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 종목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운동 종목 표시부(320)와,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심박수 및 근활성도와 상기 다수개의 측정장치(110)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되는 근활성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신체의 좌, 우측 근육밸런스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신체 상태 표시부(330)와,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 및 신체 상태 표시부(330)로부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운동 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연동된 DB(400)에 저장하는 기록전송부(340)와, 다수의 전문트레이너 중 어느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기록전송부(340)를 통해 DB(400)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칭부(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인이 운동하는 부위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확인하며 운동에 따른 신체의 변화를 확인하고,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운동 초보자의 경우에는 코칭부를 이용하여 전문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운동 방법, 자세 및 순서를 통해 균형 잡힌 신체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 및 측정하여 사용자가 운동하는 종목 및 그 운동 종목에 따른 신체의 심박수, 근활성도, 좌우근육밸런스, 소모된 칼로리양 등을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측정 및 기록된 정보를 전문트레이너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전문트레이너로부터 올바른 운동 방법에 관한 코칭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의류(100)와, 상기 스마트의류(100)와 연결되는 단말기(200)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300)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300)과 연동되는 DB(400)로 구성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되, 사용자의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위치되는 양측 근육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토록 다수개가 배치되는 측정장치(110)와, 상기 측정장치(110)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장치(110)로부터 감지 및 측정되는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20)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200)는 선택적으로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모듈(120)과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인적사항을 기재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310)와, 상기 접속부(3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속할 시,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을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 종목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운동 종목 표시부(320)와,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심박수 및 근활성도와 상기 다수개의 측정장치(110)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되는 근활성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신체의 좌, 우측 근육밸런스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신체 상태 표시부(330)와,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 및 신체 상태 표시부(330)로부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운동 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연동된 DB(400)에 저장하는 기록전송부(340)와, 다수의 전문트레이너 중 어느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기록전송부(340)를 통해 DB(400)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칭부(350)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상의, 하의 등과 같은 의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내측에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되, 사용자의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위치되는 양측 근육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측정장치(110)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의류(100)가 반바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허벅지와 맞닿는 위치에 상기 측정장치(11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양쪽 엉덩이, 양쪽 다리의 대퇴 전, 후면에 각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의류(100)를 착용할 시, 스마트의류(100)에 맞닿는 팔, 다리 등과 같은 사용자의 부위별 움직임 및 각 근육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장치(110)가 스마트의류(100)의 내측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마트의류(100)에는 상기 측정장치(110)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장치(110)로부터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측정되는 근활성도 정보를 하기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20)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장치(110)는 피부에 전극을 붙여 근전도를 검사하여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표면 근전도 검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20)은 종래의 일반적인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수행이 가능한 다양한 통신모듈이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선택적으로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모듈(120)과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될 어플리케이션(300) 설치 및 접속이 종래의 일반적인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은 접속부(310), 운동 종목 표시부(320), 신체 상태 표시부(330), 기록전송부(340), 코칭부(3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단말기(200)인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으로 접속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먼저, 상기 접속부(310)는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인적사항을 기재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는 상기 접속부(3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속할 시,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을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 종목을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의류(100)를 착용하고 스쿼트 운동을 실시할 시,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의 화면을 통해 스쿼트 운동 자세를 나타내는 가상 캐릭터(GIF 이미지) 또는 ‘스쿼트’라는 문구를 표시하여 사용자 및 하기될 전문트레이너가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동 종목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신체 상태 표시부(330)는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심박수 및 근활성도와 상기 다수개의 측정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심박수 및 근활성도와 상기 다수개의 측정장치(110)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되는 근활성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신체의 좌, 우측 근육밸런스를 산출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 상태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좌, 우측 근육밸런스는 그래프 형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좌, 우측 근육밸런스를 사용자 및 하기될 전문트레이너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체 상태 표시부(330)에 표시되는 심박수 및 근활성도는 각각 bpm 및
Figure pat00001
단위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근활성도는 상기 다수개의 측정장치(110)로부터 측정되는 근활성도의 평균을 산출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부위별 근육의 근활성도 또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신체 상태 표시부(330)를 통해 사용자 및 하기될 전문트레이너가 운동을 실시 중인 사용자의 부위별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의 근활성도가 현저히 높거나 낮은 경우,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운동 방법, 자세 및 방법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록전송부(340)는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 및 신체 상태 표시부(330)로부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운동 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밸런스 정보를 연동된 DB(400)에 저장한다.
즉, 상기 기록전송부(340)를 통해 DB(400)에 저장된 각각의 정보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언제든 운동 결과를 확인하거나 상기한 정보를 토대로 운동 계획 등을 세울 수 있도록 하고, 하기될 코칭부(350)를 통해 전문트레이너에게 상기한 각각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기록전송부(340)는 하기될 DB(400)에 상기한 각각의 정보를 시간별, 일자별 등 다양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칭부(350)는 다수의 전문트레이너 중 어느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기록전송부(340)를 통해 DB(400)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칭부(350)는 사용자가 코칭부(350)를 이용하여 전문트레이너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전문트레이너와의 채팅을 통해 운동에 관한 질문을 하거나 정확한 운동 방법, 자세 및 순서를 배울 수 있도록 하여 균형 잡힌 신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칭부(350)는 사용자가 코칭부(350)를 이용하여 상기 DB(400)에 저장된 각각의 정보를 전문트레이너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에 대한 피드백을 받으며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에는, 상기 DB(400)와 연결되어 연동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된 다수의 타 사용자를 친구로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친구로 등록된 타 사용자 중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친구로 등록된 타 사용자 및 사용자 각각의 기록전송부(340)를 통해 DB(400)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토대로 친구로 등록된 타 사용자 및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심박수 또는 근활성도 또는 좌, 우측 근육밸런스의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프렌즈부(3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프렌즈(360)는 사용자가 프렌즈부(360)를 이용하여 친구와 연결 될 시, 친구와의 채팅을 통해 운동에 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개개인의 순위 정보를 통해 친구로 등록된 타 사용자 및 사용자가 선의의 경쟁을 하며 운동을 보다 흥미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에는, 상기 DB(400)와 연결되어 연동되되 상기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별 MET(Metabolic Equivalent of Task)를 기반으로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를 통해 표시되는 운동 종목에 따른 실시간 소모된 칼로리양을 표시하는 칼로리표시부(37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MET(Metabolic Equivalent of Task)는 1MET 1시간 동안 단위체중(kg)당 1Kcal의 열량이 소모되는 활동을 의미하며, 이는 사용자의 운동종목, 시간, 체구를 고려한 MET단위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활동 소비 칼로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여기서 소모된 칼로리양은 ‘열량(kcal) = 평균활동량(MET) * 시간(h) * 체중(kg)’으로 계산된다.
예를 들어, 평균활동량이 6MET인 웨이트트레이닝을 60kg의 사용자가 1시간동안 실시할 시, 소모된 열량은 360kcal로 표시된다.
즉, 상기 칼로리표시부(370)는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를 통해 표시되는 사용자의 운동종목을 파악하고, 기저장된 상기 운동종목의 MET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소모된 칼로리양을 산출하여 소모된 칼로리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코칭부(350)에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의류(100)를 착용하여 운동할 시,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 및 신체 상태 표시부(330)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사용자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된 전문트레이너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운동을 음성으로 코칭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부(35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음성부(353)는 전문트레이너가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음성부(353)를 통해 사용자에게 올바른 운동 방법, 자세 및 순서를 알려줄 수 있어,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전문트레이너의 코칭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에는,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가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과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움직임이 일치하는 운동종목을 표시하지 못할 시, 사용자가 직접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운동 종목 선택부(3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운동 종목 선택부(380)는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가 사용자의 운동종목을 표시하지 못할 시에 사용자가 직접 본인이 실시하는 운동종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전문트레이너가 사용자가 어떠한 운동을 실시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칼로리표시부(370)는 사용자가 실시하는 운동종목별 MET를 기반으로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인이 운동하는 부위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확인하며 운동에 따른 신체의 변화를 확인하고,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운동 초보자의 경우에는 코칭부를 이용하여 전문 트레이너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운동 방법, 자세 및 순서를 통해 균형 잡힌 신체 운동을 할 수 있어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스마트의류
110 : 측정장치
120 : 통신모듈
200 : 단말기
300 : 어플리케이션
310 : 접속부
320 : 운동 종목 표시부
330 : 신체 상태 표시부
340 : 기록전송부
350 : 코칭부
353 : 음성부
360 : 프렌즈부
370 : 칼로리표시부
380 : 운동 종목 선택부
400 : DB

Claims (5)

  1.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마트의류(100)와, 상기 스마트의류(100)와 연결되는 단말기(200)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접속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300)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300)과 연동되는 DB(400)로 구성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의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되, 사용자의 신체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측에 위치되는 양측 근육의 근활성도를 각각 측정토록 다수개가 배치되는 측정장치(110)와, 상기 측정장치(110)와 연결되어 상기 측정장치(110)로부터 감지 및 측정되는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20)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기(200)는 선택적으로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모듈(120)과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은,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가 인적사항을 기재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부(310)와, 상기 접속부(31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접속할 시,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을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 종목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운동 종목 표시부(320)와,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심박수 및 근활성도와 상기 다수개의 측정장치(110)로부터 각각 개별적으로 측정되는 근활성도를 기반으로 사용자 신체의 좌, 우측 근육밸런스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신체 상태 표시부(330)와,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 및 신체 상태 표시부(330)로부터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운동 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연동된 DB(400)에 저장하는 기록전송부(340)와, 다수의 전문트레이너 중 어느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기록전송부(340)를 통해 DB(400)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칭부(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에는,
    상기 DB(400)와 연결되어 연동되되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된 다수의 타 사용자를 친구로 등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친구로 등록된 타 사용자 중 한명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친구로 등록된 타 사용자 및 사용자 각각의 기록전송부(340)를 통해 DB(400)에 저장된 운동종목,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토대로 친구로 등록된 타 사용자 및 사용자의 운동종목별 심박수 또는 근활성도 또는 좌, 우측 근육밸런스의 순위 정보를 표시하는 프렌즈부(36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에는,
    상기 DB(400)와 연결되어 연동되되 상기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별 MET(Metabolic Equivalent of Task)를 기반으로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를 통해 표시되는 운동 종목에 따른 실시간 소모된 칼로리양을 표시하는 칼로리표시부(37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칭부(350)에는,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의류(100)를 착용하여 운동할 시,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 및 신체 상태 표시부(330)와 연동되며 사용자의 실시간 심박수, 근활성도 및 좌, 우측 근육밸런스 정보를 사용자와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 연결된 전문트레이너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운동을 음성으로 코칭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부(353)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300)에는,
    상기 운동 종목 표시부(320)가 상기 스마트의류(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과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에 따른 각각의 움직임 패턴과 비교하여 움직임이 일치하는 운동종목을 표시하지 못할 시, 사용자가 직접 DB(400)에 기저장된 다수개의 운동종목 중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운동 종목 선택부(380)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KR1020180152542A 2018-11-30 2018-11-30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KR102144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542A KR102144196B1 (ko) 2018-11-30 2018-11-30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542A KR102144196B1 (ko) 2018-11-30 2018-11-30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451A true KR20200066451A (ko) 2020-06-10
KR102144196B1 KR102144196B1 (ko) 2020-08-13

Family

ID=7108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542A KR102144196B1 (ko) 2018-11-30 2018-11-30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92A (ko) * 2020-10-13 2022-04-20 (주)세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신체 밸런스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4063A (ko) 2021-12-20 2023-06-27 고윤성 신체적 약자를 위한 낙상 사고 방지 기능이 포함된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382A (ko) * 2010-08-09 2013-05-03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피트니스 모니터링
KR20170076281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개인화된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382A (ko) * 2010-08-09 2013-05-03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피트니스 모니터링
KR20170076281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개인화된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592A (ko) * 2020-10-13 2022-04-20 (주)세이 웨어러블 헬스케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신체 밸런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196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44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ersonal training
US10376739B2 (en) Balance testing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JP6210997B2 (ja) トレーニングプログラムを含む、自動化個人トレーニ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26437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ersonal training that includes training programs
Buttussi et al. MOPET: A context-aware and user-adaptive wearable system for fitness training
CN110559618B (zh) 一种综合健身-竞技分数的系统和方法
CN109637625B (zh) 自学习式健身计划生成系统
CN107095679A (zh) 用于进行锻炼的用户使用的计算机实施的方法以及系统
KR100927473B1 (ko) 단체용 무선 심박계 시스템
JP2012217847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US11413501B2 (en) Method and system of planning fitness courses
US20050283051A1 (en) Portable health information displaying and managing device
KR20190044911A (ko) IoT 운동기구, 운동지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지도방법
JP2002253534A (ja) 運動能力の評価が可能な重心検出装置
US200701170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Information to Optimize Information Retention
EP3391809A1 (en) Fitness level predi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KR20180133682A (ko) 근전도 센서가 장착된 피트니스 웨어를 이용한 근전도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6451A (ko) 스마트의류를 이용한 헬스케어 및 코칭 시스템
US119839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80065593A (ko)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CN101930500A (zh) 一种健康管理方法及其系统
US202303434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Personal Training that Includes Training Programs
US20200215390A1 (en) Fitness monitoring system
KR101940032B1 (ko)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Bian et al. A Grip Force Training and Testing Device for Ol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