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495B1 -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 Google Patents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495B1
KR100942495B1 KR1020080047144A KR20080047144A KR100942495B1 KR 100942495 B1 KR100942495 B1 KR 100942495B1 KR 1020080047144 A KR1020080047144 A KR 1020080047144A KR 20080047144 A KR20080047144 A KR 20080047144A KR 100942495 B1 KR100942495 B1 KR 100942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
mounting member
stroke
stroke rehabilitation
index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043A (ko
Inventor
장성호
송준찬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4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49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61H1/0288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 A61H2205/067Fingers

Abstract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가 개시된다.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는 거치 부재, 제1 결속 부재 및 제2 결속 부재를 포함한다. 거치 부재는 외면에 엄지가 거치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외면에 검지가 거치되는 제2 부분을 일체로 포함한다. 제1 결속 부재는 제1 부분에 엄지를 고정시키며 제2 결속 부재는 제2 부분에 검지를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활성 신체 부위의 활동을 의도적으로 제한하여 마비가 진행된 비활성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뇌졸중, 엄지, 검지, 거치 부재, 결속 부재

Description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Medical Instrument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활성 신체 부위의 활동을 의도적으로 제한하여 마비가 진행된 비활성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혈류에 순환 장애가 일어나 발생하며 환자에게 반신마비를 남긴다. 반신마비 환자는 운동 능력이 상실된 비활성 신체 부위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재활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밖에 없으나 재활 과정이 길고 힘들어 성공률이 낮은 편이다.
반신마비의 재활 성공률이 떨어지는 중요한 이유는 환자의 의식 여부와 관련 없이 환자가 비활성 신체 부위보다 운동 능력이 상실되지 않은 활성 신체 부위를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여 비활성 신체 부위의 운동 능력이 점차 퇴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환자의 활성 신체 부위를 의도적으로 제한하여 반사적으로 비활성 신체 부위의 활용을 꾀하는 재활 치료 방법 및 기구들 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로 뇌졸중 환자의 활성 신체 부위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거치 부재, 제1 결속 부재 및 제2 결속 부재를 포함하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가 제공된다. 거치 부재는 외면에 엄지가 거치되는 제1 부분 및 제1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외면에 검지가 거치되는 제2 부분을 일체로 포함한다. 제1 결속 부재는 제1 부분에 엄지를 고정시킨다. 제2 결속 부재는 제2 부분에 검지를 고정시킨다.
거치 부재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2 결속 부재들은 각각 제1 및 2 부분의 내면들에 고정되는 신축성 직물 밴드 또는 신축성 합성 수지 밴드일 수 있다.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외면에 엄지와 검지의 사이 부분이 거치되는 거치 부재의 제3 부분에 사이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3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결속 부재는 제3 부분의 내면에 고정되는 접착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거치 부재는 원형 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거치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된 고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또 다르게 거치 부재는 타원형 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활성 신체 부위의 활동을 의도적으로 제한하여 마비가 진행된 비활성 신체 부위에 대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 또는 확대하여 도시된 것일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또는 "제3"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 또는 "제3"은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100)는 거치 부재(10), 제1 결속 부재(12) 및 제2 결속 부재(14)를 포함한다.
거치 부재(10)는 원형 링의 구조를 갖는다. 거치 부재(10)는 외면에 엄지가 거치되는 제1 부분(10a) 및 제1 부분(10a)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외면에 검지가 거 치되는 제2 부분(10b)을 일체로 포함한다. 거치 부재(10)는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12)는 제1 부분(10a)에 엄지를 고정시키며 제2 결속 부재(14)는 제2 부분(10b)에 검지를 고정시킨다. 제1 및 2 결속 부재(12, 14)들은 신축성 직물 밴드 또는 신축성 합성 수지 밴드일 수 있다. 제1 및 2 결속 부재(12, 14)들은 거치 부재(10)와 각각 제1 부분(10a)의 내면 및 제2 부분(10b)의 내면에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100)는 반신마비가 진행된 뇌졸중 환자의 활성 신체 부위 손의 엄지 및 검지에 착용시킨다. 엄지 및 검지가 제1 및 2 결속 부재들(12, 14)에 의해서 거치 부재(10)에 고정되고 거치 부재(10)의 형태는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엄지 및 검지는 소정 간격 이격된 채 움직임이 제한된다.
반신마비가 진행된 뇌졸중 환자의 경우 가장 많은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신체 부위는 어떤 물체를 파지하기 위한 엄지와 검지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100)를 사용하는 경우 간단하고 편이하지만 활성화 신체 부위 중에서 엄지와 검지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하여 비활성 신체 부위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촉발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200)는 제3 결속 부재(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에서 설명된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 부재(10)의 제1 부분(10b) 및 제2 부분(10b) 사이에 위치하는 제3 부분(20c)에는 외면에 엄지와 검지의 사이 부분이 거치된다. 따라 엄지와 검지의 사이 부분을 제3 부분(20c)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인 제3 결속 부재(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3 결속 부재(26)는 거치 부재(10)와 제3 부분(20c)의 내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300)는 거치 부재(30)를 제외하고 도 1에서 설명된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거치 부재(30)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된 고리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거치 부재(30)의 제1 부분(30a)에는 엄지가 거치되고 제1 부분(30a)의 반대편인 제2 부분(30b)에는 검지가 거치되며 제1 부분(30a) 및 제2 부분(30b)의 사이에 제3 부분(30c)에는 엄지 및 검지의 사이 부분이 거치된다. 제3 부분(30c)의 반대편은 개방되어 거치 부재(30)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된 고리 구조를 갖게 된다.
비록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의 사이 부분을 제3 부분(30c)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인 제3 결속 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400)는 거치 부재(40)를 제외하고 도 1에서 설명된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치 부재(40)는 타원형 링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엄지 및 검지가 각각 거치되는 제1 부분(40a) 및 제2 부분(40b)의 곡률 반경들은 엄지와 검지의 사이 부분이 거치되는 제3 부분(40c)의 곡률 반경보다 실질적으로 크다.
비록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의 사이 부분을 제3 부분(40c)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 테이프인 제3 결속 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Claims (8)

  1. 외면에 엄지가 거치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외면에 검지가 거치되는 제2 부분을 일체로 포함하는 거치 부재;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엄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검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결속 부재를 포함하고,
    손가락들 중 상기 엄지와 상기 검지의 활동만을 제한하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부재는 합성 수지 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결속 부재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2 부분의 내면들에 고정되는 신축성 직물 밴드 또는 신축성 합성 수지 밴드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고 외면에 상기 엄지와 상기 검지의 사이 부분이 거치되는 상기 거치 부재의 제3 부분에 상기 사이 부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3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속 부재는 상기 제3 부분의 내면에 고정되는 접착 테이프인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부재는 원형 링의 구조를 갖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된 고리 구조를 갖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부재는 타원형 링의 구조를 갖는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KR1020080047144A 2008-05-21 2008-05-21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KR100942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44A KR100942495B1 (ko) 2008-05-21 2008-05-21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144A KR100942495B1 (ko) 2008-05-21 2008-05-21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43A KR20090121043A (ko) 2009-11-25
KR100942495B1 true KR100942495B1 (ko) 2010-02-12

Family

ID=4160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144A KR100942495B1 (ko) 2008-05-21 2008-05-21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511A (ko) 2015-07-17 2017-01-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재활운동기구
CN108992935A (zh) * 2018-07-23 2018-12-14 汪小青 一种用于对抑郁症患者能够进行舒缓身心的减压玩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768B1 (ko) * 2015-01-15 2016-12-2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악력 및 손목운동용 재활장치
CN104771287A (zh) * 2015-03-26 2015-07-15 淮南东正电子科技有限公司 手指康复理疗仪
KR102096439B1 (ko) * 2017-11-01 2020-04-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상 운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환자의 장애 평가 방법
KR200493965Y1 (ko) 2019-10-30 2021-07-07 오도희 뇌졸중 자가 진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112A (ja) * 2004-01-20 2005-08-04 Nobuyuki Kihara 運動器具
JP2007097819A (ja) * 2005-10-04 2007-04-19 Kashima Denshi Kk 指リハビリテーション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5112A (ja) * 2004-01-20 2005-08-04 Nobuyuki Kihara 運動器具
JP2007097819A (ja) * 2005-10-04 2007-04-19 Kashima Denshi Kk 指リハビリテーション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511A (ko) 2015-07-17 2017-01-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지 재활운동기구
CN108992935A (zh) * 2018-07-23 2018-12-14 汪小青 一种用于对抑郁症患者能够进行舒缓身心的减压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043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495B1 (ko) 뇌졸중 재활 치료용 보조구
JP4495658B2 (ja) 点滴注射針固定用バンド
CA3111200A1 (en) Carpal tunnel wrist brace
CN206315345U (zh) 输液约束固定器
CN201912571U (zh) 一种静脉输液固定器
KR102100216B1 (ko) 동맥천자용 손목 고정장치
SE0950988A1 (sv) Dorsal underarmsplatta
CN203763311U (zh) 拳状功能垫
CN209499852U (zh) 动脉穿刺托板
CN208446690U (zh) 一种穿戴式约束手套
CN201283125Y (zh) 手部静脉输液固定器
CN204766090U (zh) 露指手套式约束带
CN218922934U (zh) 一种约束手套
CN216257726U (zh) 一种医用约束手套
CN105411602A (zh) 一种血氧饱和仪指夹探头的固定结构
CN215381624U (zh) 一种防针刺伤用凹槽型指套
CN203802633U (zh) 医用手部防护带
CN216439322U (zh) 一种远端桡动脉穿刺体位垫
CN210784934U (zh) 一种手部约束套
CN211962319U (zh) 非计划拔管用约束手套
CN215779796U (zh) 镇痛仪
CN215780574U (zh) 留置针保护装置
CN210673527U (zh) 医用手指固定手套
CN201356874Y (zh) 一种输液约束固定装置
CN201200697Y (zh) 可调式输液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