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089B1 - 칫솔 살균 장치 - Google Patents

칫솔 살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089B1
KR102096089B1 KR1020190102210A KR20190102210A KR102096089B1 KR 102096089 B1 KR102096089 B1 KR 102096089B1 KR 1020190102210 A KR1020190102210 A KR 1020190102210A KR 20190102210 A KR20190102210 A KR 20190102210A KR 102096089 B1 KR102096089 B1 KR 102096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unit
toothpaste
typ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김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희 filed Critical 김재희
Priority to KR1020190102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1Container, e.g. bag or box with a collection of various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1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pressure on soap, e.g. with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Brush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칫솔 살균 장치에 관한 것이며, 칫솔 살균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개폐 가능한 도어와 복수개의 칫솔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된 칫솔거치부를 가지며, 상기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칫솔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수행하는 살균처리부;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을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부에 의하여 식별된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살균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처리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처리를 위해 상기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칫솔 살균 장치 {A TOOTHBRUSH STERILIZER}
본원은 칫솔 살균 장치(달리 표현해, 기능성 칫솔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칫솔살균기는 칫솔 내부에 기생하는 수많은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수많은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칫솔살균기는, 칫솔이 거치되는 거치대와 그 거치대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램프, 자외선램프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외부로 연장되어 콘센트에 끼어지는 전선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칫솔살균기는 습기가 많고 물이 많이 튀는 화장실에 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칫솔살균기는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젖은 손으로 전선을 만지거나 전선으로 물이 튈 경우 감전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외부로 노출되어 늘어진 전선은 화장실 내부의 외관을 해치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개개인마다 각자 자신의 칫솔을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칫솔살균기는 개개인의 구분 없이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복수개의 칫솔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단일 설정 기능(예를 들어, 5분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등)으로만 살균처리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임에 따라, 효과적인 살균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638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칫솔살균기의 경우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야기되는 감전사고의 유발 가능성 및 화장실 내부의 외관을 해치게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복수개의 칫솔 각각에 맞춤형으로 효과적인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칫솔 살균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개폐 가능한 도어와 복수개의 칫솔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된 칫솔거치부를 가지며, 상기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칫솔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수행하는 살균처리부;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을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부에 의하여 식별된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살균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처리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처리를 위해 상기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은,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 및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칫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은, 상기 램프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 범위, 세기,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램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각각에 칫솔이 거치되었을 때 각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 각각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각각에 거치된 칫솔 각각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칫솔 각각의 타입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램프 각각의 동작 유형을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부가 구비되는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은 투명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고,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형은, 상기 제1 유형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강하게 설정되거나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길게 설정되는 유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거치부는,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에 대응하는 상기 칫솔거치부의 내면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RFID 리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RFID 리더부 각각은, 자신이 위치한 칫솔거치부의 내면에 대응하는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에 마련된 RFID 태그를 향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RFID 태그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인식하며,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RFID 리더부 각각에 의한 데이터 인식을 통해 상기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칫솔 각각의 타입으로서 칫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 정보는,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연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부에 의한 칫솔 정보의 식별 결과,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상기 거치된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비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고,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상기 거치된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각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각 거치홈과 이웃하는 상기 칫솔거치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칫솔 정보는, 칫솔의 초기무게값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칫솔이 거치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 중 상기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어느 하나의 무게센서 쌍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의 무게값과 상기 식별부에 의하여 식별된 상기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의 초기무게값 간의 무게 차이의 정도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칫솔에 치약을 제공하기 위한 치약 제공 유닛을 포함하는 치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약 제공 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연결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치약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치약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하면과 연결된 유출구;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치약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저장부의 외면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압력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처리부는, 상기 치약처리부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치약을 제공받기 위한 칫솔의 칫솔머리가 접촉되는 접촉부를 갖는 칫솔 대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치약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부에 칫솔의 칫솔머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칫솔머리로의 치약 제공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압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치약 중 미리 설정된 중량에 대응하는 치약이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제공되도록, 상기 압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에 칫솔의 칫솔머리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 처리부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 각각의 저장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치약을 저장하며, 상기 칫솔 대기 유닛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타입 중 칫솔 정보를 식별하는 칫솔 정보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칫솔 정보 식별부에 의하여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의 동작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에 대응하는 압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 제공부의 동작 제어시, 상기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에 대응하는 저장부의 외면에 가해지는 압력 정도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을 통해 제공되는 치약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자동으로 식별된 칫솔 타입에 따라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달리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효과적인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접촉부에 대한 칫솔의 접촉 여부를 고려해 칫솔 타입에 따라 치약 종류, 치약량 등을 달리 제공할 수 있어, 칫솔 살균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구강관리(올바른 양치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자체 구비된 충전부에 의한 충전을 통해 구동 가능함에 따라, 종래 칫솔살균기에서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야기되던 감전사고의 유발 가능성 및 화장실 내부의 외관을 해치게 하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서 살균처리부의 내부 일영역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칫솔이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의 도 4의 A-A' 단면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구비된 램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RFID 리더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구비된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구비된 치약처리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구비된 치약처리부에 치약 제공 유닛이 복수개 구비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에 구비된 타이머부와 충전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서 도어(2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서 살균처리부(110)의 내부 일영역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칫솔이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상태에서의 도 4의 A-A' 단면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 구비된 램프부(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 구비된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7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달리 표현해, 도 6a는 칫솔 살균 장치(100) 내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을 전방(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b 및 도 7은 칫솔 살균 장치(100) 내 칫솔거치부(30)를 상측(상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몸체부(10), 살균처리부(110), 식별부(120), 제어부(130), 이미지 센서(50),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70) 및 치약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는 하우징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는 일예로 본 장치(100)에 대한 방향 설정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 따르면, 도 2의 도면을 기준으로, 10시-4시 방향을 좌우방향, 8시-2시 방향을 전후방향, 12시-6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좌우방향은 길이방향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설정은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살균처리부(110)는 몸체부(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은 본 장치(100)에 대하여 좌측 방향의 일측을 의미할 수 있다.
살균처리부(110)는 개폐 가능한 도어(20), 복수개의 칫솔(1, 2, 3, ?)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이 형성된 칫솔거치부(30)를 가질 수 있다. 살균처리부(11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1, 2, 3, ?)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예에 따르면, 본 장치(100)에 4개의 칫솔 거치가 가능하도록 칫솔거치부(30)가 4개의 거치홈을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칫솔거치부(30)에 형성되는 거치홈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예에 따르면, 본 장치(100)의 칫솔거치부(30)에는 칫솔 뿐만 아니라 면도기 등의 다양한 세면도구가 거치될 수 있다.
칫솔거치부(30), 특히 칫솔거치부(30) 내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에는 복수개의 칫솔(1, 2, 3, ?) 중 적어도 하나가 거치될 수 있다.
도 3의 일예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중 제1 거치홈(g1)에는 제1 칫솔(1)이 거치되고, 제2 거치홈(g2)에는 제2 칫솔(2)이 거치되고, 제3 거치홈(g3)에는 제3 칫솔(3)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제4 거치홈(g4)에는 제4 칫솔(4)이 거치되고, 제5 거치홈(g5)에는 면도기가 거치될 수 있다.
식별부(12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1, 2, 3, ?)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식별부(120)는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각각에 거치된 칫솔(1, 2, 3, ?) 각각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부(120)는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의 타입을 식별하고, 제2 거치홈(g2)에 거치된 제2 칫솔(2)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은,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면적) 및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칫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식별부(120)가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의 타입을 식별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식별부(120)는 제1 칫솔(1)의 타입으로서,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크기(면적) 및 제1 칫솔(1)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칫솔 정보(제1 칫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는 복수의 칫솔모가 위치한 칫솔(1)의 일측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는 칫솔 몸체의 일측단 및 복수의 칫솔모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칫솔모의 일단은 칫솔 몸체의 일측단의 전면에 접촉되고, 복수의 칫솔모의 타단은 외부를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이라 함은, 제1 칫솔(1) 상에 위치한 복수의 칫솔모의 타단에 대응하는 면(즉, 외부를 향하여 노출된 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가 복수개의 칫솔(1, 2, 3, ?) 중 제1 칫솔(1)에 대하여 타입 식별, 살균처리 등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기로 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에서 제1 칫솔(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다른 칫솔들(2, 3, ?)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는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면적)의 경우 후술하는 이미지 센서(50)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고, 칫솔 정보의 경우 후술하는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칫솔의 타입과 관련하여,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는 달리 표현하여 복수의 칫솔모를 타단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복수의 칫솔모가 분포해있는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칫솔 정보는 해당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식별부(120)는 칫솔의 타입으로서 칫솔 정보를 식별함으로써, 해당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개개인마다 서로 다른 칫솔(즉, 각자 자신의 칫솔)을 사용한다. 종래의 칫솔살균기에는 이러한 다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복수개의 칫솔이 함께 거치되며, 다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복수개의 칫솔 전체에 대하여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
특히나, 종래의 칫솔살균기는 개개인의 구분 없이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복수개의 칫솔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단일 설정 기능(예를 들어, 5분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등)으로만 살균처리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칫솔 각각에 맞춤형으로 효과적인 살균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장치(100)는 식별부(120)에 의하여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각각에 거치되는 칫솔(1, 2, 3, ?) 각각의 타입을 이미지 센서(50)와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는 식별부(120)를 통해 자동 식별된 칫솔(1, 2, 3, ?) 각각의 타입을 기반으로, 각 칫솔의 타입을 고려해 각 칫솔에 대하여 맞춤형으로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식별부(120)에 의하여 식별된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살균처리부(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살균처리부(110)의 동작으로서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을 달리(달리 제어)할 수 있다. 램프부(40)는 UV LED 일 수 있다.
여기서,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은, 램프부(4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 범위, 세기,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처리부(110)는 램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부(4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대응하는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에 구비되고, 살균처리를 위해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램프부(40)는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에 대하여, 몸체부(10)의 좌우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r1)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램프(41, 42, 43, ?)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은,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 중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각각에 칫솔이 거치되었을 때 각 거치홈(g1, g2, g3, ?)에 거치된 칫솔(1, 2, 3, ?) 각각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중 제1 램프(41)는, 제1 거치홈(g1)에 제1 칫솔(1)이 거치되었을 때,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 중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식별부(120)에 의하여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각각에 거치된 칫솔(1, 2, 3, ?) 각각의 타입이 식별되면, 제어부(130)는 식별된 칫솔(1, 2, 3, ?) 각각의 타입에 따라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동작 유형을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동작 유형은 앞서 설명한 램프부(40)의 동작 유형과 동일한 동작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동작 유형은, 각 램프(41, 42, 43,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 범위, 세기,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램프부(40)가 구비되는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의 후측에 구비되어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은 투명 부재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카메라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5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복수개의 칫솔(1, 2, 3, ?) 전체의 칫솔머리의 상단이 촬영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일예에서는 본 장치(100)에 이미지 센서(50)가 예시적으로 제1 램프(41)의 후측에 1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이미지 센서(50)는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에 대응하는 수로,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후측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램프(41, 42, 43, ?)의 수가 4개이면, 이미지 센서(50)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이미지 센서(5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복수개의 칫솔(1, 2, 3, ?) 중 둘 이상의 칫솔의 칫솔머리가 촬영 가능하도록,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개의 칫솔(1, 2, 3, ?)이 4개인 경우, 이미지 센서(50)는 2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이미지 센서(50) 중 1개의 이미지 센서는 제1 칫솔(1)과 제2 칫솔(2)의 칫솔머리가 촬영 가능하도록 내면(s1)의 후측에 구비되고, 나머지 1개의 이미지 센서는 제3 칫솔(3)과 제4 칫솔(4)의 칫솔머리가 촬영 가능하도록 내면(s1)의 후측에 구비될 수 있다.
식별부(120)는 이미지 센서(5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의 분석은 기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을 기초로, 이미지 센서(5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식별부(120)에 의한 이미지 분석 결과,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식별부(120)에 의한 이미지 분석 결과,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형은, 제1 유형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강하게 설정되거나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길게 설정되는 유형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30)는 이미지 분석 결과,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으로서 제1 램프(41)의 동작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0)는 제1 램프(41)를 제1 유형으로 제어함에 따라, 제1 램프(41)로부터 제1 세기의 강도를 가지는 자외선이 조사되거나 혹은 5분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30)는 이미지 분석 결과, 제2 거치홈(g2)에 거치된 제2 칫솔(2)의 칫솔머리(2a)의 상단(2b)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으로서 제2 램프(42)의 동작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30)는 제2 램프(42)를 제2 유형으로 제어함에 따라, 제2 램프(42)로부터 상술한 제1 세기보다 강한 제2 세기의 강도를 가지는 자외선이 조사되거나 혹은 10분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칫솔거치부(30)의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각각에 거치된 칫솔(1, 2, 3, ?) 각각의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미만인지 여부로, 각 칫솔(1, 2, 3, ?)의 칫솔머리 상단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동작 유형을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 대비 큰 크기를 가지는 칫솔의 칫솔머리에 대하여, 보다 강한 자외선이 조사되거나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을 결정(혹은, 자외선의 조사 유형을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앞선 본원의 일예에서는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이 제1 유형과 제2 유형, 2가지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가짓수는 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b를 참조하면, 칫솔거치부(30)는 복수개의 거치홈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에 대응하는 칫솔거치부(30)의 내면(s2a, s2b, ?)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61, 62, 63, ?)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61, 62, 63, ?) 각각은, 자신이 위치한 칫솔거치부(30)의 내면에 대응하는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에 마련된 RFID 태그를 향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무선신호에 응답하여 칫솔의 RFID 태그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인식(해독)할 수 있다. 여기서, 칫솔의 RFID 태그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라 함은 칫솔의 타입 중 칫솔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식별부(120)는,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61, 62, 63, ?) 각각에 의한 데이터 인식을 통해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1, 2, 3, ?) 각각의 타입으로서 칫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61, 62, 63, ?) 중 제1 RFID 리더부(61)는, 제1 거치홈(g1)에 대응하는 칫솔거치부(30)의 내면(s2a)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RFID 리더부(62)는, 제2 거치홈(g2)에 대응하는 칫솔거치부(30)의 내면(s2b)에 구비될 수 있다. 제3 RFID 리더부(63)는, 제3 거치홈(g3)에 대응하는 칫솔거치부(30)의 내면(s2c)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칫솔(1)에는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와 이웃한 제1 칫솔(1)의 칫솔 몸체 상에, RFID 태그(제1 RFID 태그, 61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칫솔(1) 상의 제1 RFID 태그(61a)는, 제1 칫솔(1)이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거치되었을 때, 해당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대응하는 칫솔거치부(30)의 내면에 구비된 RFID 리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일예로 제1 칫솔(1)이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경우, 제1 RFID 태그(61a)는 제1 칫솔(1) 상에서 제1 RFID 리더부(6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칫솔(1)이 제1 거치홈(g1)에 거치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1 RFID 리더부(61)는, 자신이 위치한 칫솔거치부(30)의 내면(s2a)에 대응하는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에 마련된 제1 RFID 태그(61a)를 향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후, 제1 RFID 리더부(61)는 송출된 무선신호에 응답하여 제1 칫솔(1)의 제1 RFID 태그(61a)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식별부(120)는 제1 RFID 리더부(61)에 의한 데이터 인식을 통해, 칫솔거치부(30) 중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의 타입으로서, 제1 칫솔(1)의 칫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칫솔의 타입에 포함된 칫솔 정보는, 해당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칫솔 정보는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연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식별정보는 예시적으로 '성인', '어린이', '청소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표현하여, 제1 칫솔(1)의 제1 RFID 태그(61a)에는 제1 칫솔(1)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로서, 칫솔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칫솔(1)의 칫솔 정보에는 제1 칫솔(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제1 칫솔(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연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식별부(120)에 의한 칫솔 정보의 식별 결과,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거치된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비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거치된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제어부(130)는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의 칫솔 정보의 식별 결과, 제1 칫솔(1)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비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제1 램프(41)가 제1 유형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제2 거치홈(g2)에 거치된 제2 칫솔(2)의 칫솔 정보의 식별 결과, 제2 칫솔(2)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제2 램프(42)가 제2 유형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예로 제1 유형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강하게 설정되거나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길게 설정되는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칫솔거치부(30)의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에 거치된 칫솔(1, 2, 3, ?) 각각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흡연자인지 혹은 비흡연자인지에 따라, 각 칫솔(1, 2, 3, ?)의 칫솔머리 상단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동작 유형을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비흡연자 대비 흡연자가 사용하는 칫솔의 칫솔머리에 대하여, 보다 강한 자외선이 조사되거나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칫솔 정보에는 사용자의 흡연여부 정보 뿐만 아니라 음주 여부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음주 여부 정보라 함은 해당 사용자가 평소에 술을 마시는지 안마시는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음주 여부 정보에 따라,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동작 유형을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70)(71, 72, 73, ?)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70)(71, 72, 73, ?)은,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각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각 거치홈(g1, g2, g3, ?)과 이웃하는 칫솔거치부(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70)(71, 72, 73, ?) 중 제1 무게센서 쌍(71)은 제1 거치홈(g1)과 이웃하는 칫솔거치부(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무게센서(71a) 및 제2 무게센서(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무게센서 쌍(72)은 제2 거치홈(g2)과 이웃하는 칫솔거치부(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무게센서(72a) 및 제2 무게센서(72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무게센서 쌍(73)은 제3 거치홈(g3)과 이웃하는 칫솔거치부(3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무게센서(73a) 및 제2 무게센서(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게센서 쌍(71)(71a, 71b)은 칫솔이 제1 거치홈(g1)에 거치되었을 때,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칫솔이 제1 무게센서 쌍(71)(71a, 71b)의 상면에 놓이도록, 칫솔거치부(3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무게센서 쌍(71)(71a, 71b)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다른 무게센서 쌍(72, 73, ?)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칫솔의 RFID 태그에는, 칫솔 정보로서 칫솔의 초기무게값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식별부(120)는 복수개의 RFID 리더부(60)(61, 62, 63, ?)를 통해,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칫솔의 칫솔 정보로서 칫솔의 초기무게값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개의 거치홈(g1, g2, g3, ?)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칫솔이 거치된 경우,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70)(71, 72, 73, ?) 중 상기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어느 하나의 무게센서 쌍을 이용하여 측정된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의 무게값과 식별부(120)에 의하여 식별된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의 초기무게값 간의 무게 차이의 정도에 따라 램프부(40)의 동작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거치홈(g1)에 제1 칫솔(1)이 거치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1 무게센서 쌍(71)은 제1 거치홈(g1)에 거치된 제1 칫솔(1)의 무게값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RFID 리더부(61)는 제1 칫솔(1)의 제1 RFID 태그(61a)에 저장된 데이터(칫솔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별부(120)는 제1 RFID 리더부(61)에 의하여 제1 칫솔(1)의 초기무게값을 식별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제1 무게센서 쌍(71)을 이용해 측정된 제1 칫솔(1)의 무게값과 식별부(120)에 의하여 식별된 제1 칫솔(1)의 초기무게값 간의 무게 차이의 정도에 따라, 램프부(40)로서 특히 제1 램프(41)의 동작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이때, 무게 차이의 정도는 일예로 3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30)는 측정된 무게값과 초기무게값 간의 무게 차이가 제1 임계 범위에 속하는 경우 램프부(40)를 제1 유형으로 제어하고, 무게 차이가 제2 임계 범위에 속하는 경우 램프부(40)를 제2 유형으로 제어하고, 무게 차이가 제3 임계 범위에 속하는 경우 램프부(40)를 제3 유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제1 임계 범위는 0g 이상 300g 미만에 해당하는 범위이고, 제2 임계 범위는 300g 이상 600g 미만에 해당하는 범위이고, 제3 임계 범위는 600g 이상에 해당하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무게센서 쌍에 의하여 측정된 칫솔의 무게값과 해당 칫솔의 초기무게값 간의 무게 차이의 정도에 따라, 램프부(4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유형을 달리 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칫솔의 무게값과 해당 칫솔의 초기무게값 간의 무게 차이의 정도는, 해당 칫솔에 물기가 얼마나 많이 묻어있는지, 즉 해당 칫솔에 존재하는 수분의 정도(수분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칫솔에 물기가 많이 묻어있을수록 무게 차이의 정도는 더 큰 값으로 나타날 것인데, 본 장치(100)는 이러한 칫솔의 무게 차이의 정도(즉, 수분 정도)에 따라, 복수개의 램프(41, 42, 43, ?) 각각의 동작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0)는 바람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 공급부(미도시)는 살균처리부(110)의 내면(s1) 중 일영역에 마련되어,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복수개의 칫솔(1, 2, 3, ?)에 대하여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칫솔거치부(30)에 거치된 복수개의 칫솔(1, 2, 3, ?) 각각에 대한 무게 차이의 정도 중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무게 차이의 정도에 따라, 바람 공급부(미도시)의 동작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 공급부(미도시)의 동작 유형에는 바람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조사되는 바람의 세기(강도),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개의 칫솔(1, 2, 3, ?) 각각의 무게 차이의 값 중 제1 칫솔(1)이 가장 큰 무게 차이의 값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1 칫솔(1)의 무게 차이의 정도가 제1 임계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바람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제1 세기를 가지는 바람이 조사(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제1 칫솔(1)의 무게 차이의 정도가 제2 임계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바람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제1 세기 보다 강한 제2 세기를 가지는 바람이 조사(공급)되도록, 바람공급부(미도시)의 동작 유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는 해당 칫솔의 무게 차이의 정도(달리 표현해, 수분 정도)에 따라, 램프부(4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유형을 달리하거나, 바람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조사되는 바람의 유형을 달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치약처리부(1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 구비된 치약처리부(140)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치약처리부(140)는 몸체부(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은 본 장치(100)에 대하여 우측 방향 측을 의미할 수 있다.
치약처리부(140)는 칫솔에 치약을 제공하기 위한 치약 제공 유닛(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치약처리부(140)로부터 제공되는 치약을 제공받는 칫솔이 복수개의 칫솔(1, 2, 3, ?) 중 일예로 제1 칫솔(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칫솔(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다른 칫솔들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치약 제공 유닛(140A)은, 몸체부(10)의 상면(s3)과 연결된 유입구(81), 외부로부터 유입구(81)를 통해 유입된 치약을 저장하는 저장부(82), 저장부(82)에 저장된 치약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몸체부(10)의 하면(s4)과 연결된 유출구(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약 제공 유닛(140A)은, 저장부(82)에 저장된 치약이 유출구(8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저장부(82)의 외면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압력 제공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82)는 압착이 가능하도록 플랙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압력 제공부(84)는 일예로 저장부(82)의 양 측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치약처리부(140)는 칫솔 대기 유닛(141)을 포함할 수 있다.
칫솔 대기 유닛(141)은 치약처리부(140)에 대응하는 몸체부(10)의 하면(s4)에 구비될 수 있다. 칫솔 대기 유닛(141)은 유출구(8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치약을 제공받기 위한 칫솔(일예로,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b)가 접촉되는 접촉부(141a)가질 수 있다. 이때, 접촉부(141a)에는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b) 중 칫솔 몸체의 후면이 접촉될 수 있다.
유출구(83)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저장부(82) 내 치약은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에 놓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접촉부(141a)에 칫솔(1)의 칫솔머리(1a)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1)의 칫솔머리로(1a)의 치약 제공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압력 제공부(8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예시적으로 2초, 3초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접촉부(141a)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41a)에 칫솔의 칫솔머리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는 접촉부(141a)의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접촉부(141a)는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접촉부(141a)에 칫솔의 칫솔머리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는 접촉부(141a)의 무게 센서를 통해 측정된 무게 값이 미리 설정된 무게 값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접촉부(141a)에 칫솔(1)의 칫솔머리(1a)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저장부(82)에 저장된 치약 중 미리 설정된 중량에 대응하는 치약이 유출구(83)를 통하여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에 제공되도록, 압력 제공부(8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중량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제공부(84)의 동작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부(130)는 저장부(82)의 양 측에 한 쌍 구비되는 압력 제공부(84)가 각각 저장부(82)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제공부(84)의 이동 제어에 의해, 저장부(82)가 압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저장부(82) 내에 저장된 치약이 유출구(83)로 유출(배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압력 제공부(84)의 동작 제어로서, 압력 제공부(84)의 이동 내지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접촉부(141a)에 칫솔(1)의 칫솔머리(1a)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저장부(82)에 저장된 치약 중 미리 설정된 중량에 대응하는 치약이 유출구(83)를 통하여 유출되도록, 제어부(130)는 압력 제공부(84)가 미리 설정된 중량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거리만큼 저장부(82)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압력 제공부(8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중량은 치약의 1회 사용량(1회 사용 분량)으로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0)는 칫솔이 접촉부(141a)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되면, 이를 치약 제공을 위한 지시 신호인 것으로 자동 인식하여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로 저장부(82)에 저장된 치약이 1회 사용 분량만큼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중량은 칫솔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의 유형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중량은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성인'인 경우, 제1 중량으로서 일예로 1.6g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중량은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어린이'인 경우, 제2 중량으로서 일예로 0.8g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중량은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청소년'인 경우, 제3 중량으로서 일예로 1.2g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미리 설정된 중량의 수치적 예시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 구비된 치약처리부(140)에 치약 제공 유닛이 복수개 구비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치약처리부(140)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앞서 도 8에서 치약 제공 유닛(140A)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9의 일예에서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으로서 2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이 포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치약 제공 유닛의 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치약처리부(140) 내에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으로서 2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이 포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각각의 저장부(82, 9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치약을 저장할 수 있다.
칫솔 대기 유닛(141)은,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의 타입 중 칫솔 정보를 식별하는 칫솔 정보 식별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칫솔 정보 식별부(141b)는 앞서 설명한 복수개의 RIFD 리더부(60)와 동일한 RIFD 리더부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칫솔 정보 식별부(141b)는 접촉부(141a)에 제1 칫솔(1)이 접촉되면, 제1 칫솔(1)의 RFID 태그(61a)를 향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무선신호에 응답하여 제1 칫솔(1)의 RFID 태그(61a)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인식할 수 있다.
칫솔 정보 식별부(141b)는 획득된 데이터의 인식을 통해 제1 칫솔(1)의 칫솔 타입으로서 칫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칫솔 정보에는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연여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30)는 칫솔 정보 식별부(141b)에 의하여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중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중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의 동작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에 대응하는 압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압력 제공부의 동작 제어시,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에 대응하는 저장부의 외면에 가해지는 압력 정도(압력 값)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을 통해 제공되는 치약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정도(압력 값)의 제어(조절)는 앞서 설명한 저장부의 양 측에 한 쌍 구비된 압력 제공부의 이동 거리(저장부의 중심 방향을 향하는 이동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제어(조절)될 수 있다.
치약의 주성분은 치면세균막(프라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세마제와 충치예방을 위한 불소가 주를 이룬다. 잇몸염증에 효과가 있는 성분이나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것, 세균이나 염증에 효과가 있는 물질들이 함유된 것 등과 같이 다양한 치약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세마제는 치약의 거친 정도를 결정한다. 세마제가 많은 치약은 치면세균막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치아마모율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개인의 잇몸상태나 치아뿌리의 노출 정도에 따라 치약 내에 함유된 세마제 양을 고려하여 치약을 선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예시적으로, 비흡연자인 일반 성인 사용자의 경우에는 세마제가 보통으로 들어있는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흡연자의 경우에는 치면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일반 성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치약 대비 상대적으로 세마제가 많은 치약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린아이의 경우에는 잇몸 등이 성인 대비 약하기 때문에, 일반 성인 사용자가 쓰는 치약 대비 상대적으로 세마제가 적은 치약을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개개인마다, 개개인의 특성(연령대 등), 치아 상태, 흡연 여부 등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치약을 사용해야 효과적인 구강 관리가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나,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목욕탕 등에서는 한 종류의 치약을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형태로 치약 사용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 개개인에 맞춤형으로 구강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장치(100)에서는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즉, 칫솔 정보)을 고려하여, 칫솔 정보 식별부(141b)에 의하여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치약이 저장된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중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에 저장된 치약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마제가 보통으로 들어있는 치약이 제1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고, 세마제가 보통 보다 많이 들어있는 치약이 제2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라고 하자.
또한, 제1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1 치약 제공 유닛(140A)의 저장부(제1 저장부, 82)에 저장되어 있고, 제2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2 치약 치약 제공 유닛(140B)의 저장부(제2 저장부, 92)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또한, 제1 칫솔(1)의 칫솔 정보로서 흡연 여부 정보가 '흡연 무'이고,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성인'이라고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또한, 제2 칫솔(2)의 칫솔 정보로서 흡연 여부 정보가 '흡연 유'이고,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성인'이라고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1 칫솔(1)의 칫솔 정보가 '흡연 무' 및 '성인'임에 따라, 칫솔 정보 식별부(141b)는 일예로 제1 칫솔(1)이 접촉부(141a)에 접촉된 경우, 해당 제1 칫솔(1)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비흡연자인 성인임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중 제1 치약 제공 유닛(140A)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칫솔(1)의 칫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치약 제공 유닛(140A)의 압력 제공부(84, 제1 압력 제공부)가 제1 저장부(82)에 대해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0)는, 제1 칫솔(1)의 사용자가 '비흡연자'임에 따라 제1 저장부(82)에 저장된 제1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공되되, 제1 칫솔(1)의 사용자가 '성인'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서 제1 중량(예시적으로, 1.6g)에 해당하는 제1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칫솔(2)의 칫솔 정보가 '흡연 유' 및 '성인'임에 따라, 칫솔 정보 식별부(141b)는 일예로 제2 칫솔(2)이 접촉부(141a)에 접촉된 경우, 해당 제2 칫솔(2)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흡연자임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중 제2 치약 제공 유닛(140B)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칫솔(2)의 칫솔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치약 제공 유닛(140B)의 압력 제공부(94, 제2 압력 제공부)가 제2 저장부(92)에 대해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0)는, 제2 칫솔(2)의 사용자가 '흡연자'임에 따라 제2 저장부(92)에 저장된 제2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공되되, 제2 칫솔(2)의 사용자가 '성인'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서 제1 중량(예시적으로, 1.6g)에 해당하는 제2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2 칫솔(2)의 칫솔머리(2a)의 상단(2b)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세마제가 보통 보다 적게 들어있는 치약이 제3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라고 하자.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3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3 치약 제공 유닛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또한, 제3 칫솔(3)의 칫솔 정보로서 흡연 여부 정보가 '흡연 무'이고,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어린이'라고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제3 칫솔(3)의 칫솔 정보가 '흡연 무' 및 '어린이'임에 따라, 칫솔 정보 식별부(141b)는 일예로 제3 칫솔(3)이 접촉부(141a)에 접촉된 경우, 해당 제3 칫솔(3)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비흡연자인 어린이임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 중 제3 치약 제공 유닛(140C)이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3 칫솔(3)의 칫솔 정보에 기초하여, 제3 치약 제공 유닛(140C)의 압력 제공부가 제3 치약 제공 유닛(140C) 내 제3 저장부에 대해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장치(100)는, 제3 칫솔(3)의 사용자가 '비흡연자'임에 따라 제3 저장부에 저장된 제3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공되되, 제3 칫솔(3)의 사용자가 '어린이'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서 제2 중량(예시적으로, 0.8 g)에 해당하는 제3 세마제에 대응하는 치약이 제3 칫솔(3)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0)는 칫솔 정보 식별부(141b)에 의하여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즉, 칫솔 정보 식별부에 의한 칫솔 정보의 식별 결과에 따라),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 각각에 저장된 서로 다른 종류의 치약 중 해당 사용자에게 맞는 어느 하나의 치약을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복수개의 칫솔(1, 2, 3, ?)을 사용하는 각각의 사용자의 특성(칫솔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치약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일예로 제어부(130)가 칫솔 정보 식별부(141b)에 의한 칫솔 정보의 식별 결과에 따라, 칫솔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식별정보의 유형에 따라 기 설정된 중량(미리 설정된 중량)에 해당하는 치약이 제공되도록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140A, 140B, ?)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도 8의 도면을 기준으로, 본 장치(100)에는, 유출구(83)와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cm)을 두고 몸체부(10)의 하면(s4)에 배치되어,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2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길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길이라 함은, 칫솔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길이로서, 예시적으로 접촉부(141a)에 칫솔(1)의 칫솔머리(1a)가 접촉된 경우에 몸체부(10)를 기준으로 몸체부(10)의 전후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산출된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길이를 기반으로, 유출구(83)를 통해 유출되는 치약이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길이 중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놓여지도록, 유출구(8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치약 제공 유닛(140A)은 유출구(83)의 이동을 제어하는 유출구 이동 제어 유닛(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비율은 예시적으로 1/4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모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 중 1/4의 길이를 덮는 치약의 양으로 양치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진 바 있다.
따라서, 제2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 결과, 일예로 식별된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길이가 20mm라고 하자. 이러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 중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길이인 0.5mm(20mm x 1/4 = 0.5mm)에 해당하는 칫솔머리(1a) 부분만 치약이 놓여지도록, 유출구(83)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30)는 0.5mm에 해당하는 칫솔머리(1a)의 면적에 해당하는 치약의 양이 제1 칫솔(1)의 칫솔머리(1a)의 상단(1b)에 제공되도록, 압력 제공부(8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각 사용자에게 맞춤화되어, 올바른 양치질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제2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에 기초하여, 치약처리부(140)에 의하여 접촉부(141a)에 접촉된 칫솔로 제공되는 치약의 양 및 치약 제공의 위치를 제어(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치약 제공의 위치라 함은, 칫솔머리(1a)의 상단(1b)의 길이(면적) 중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길이(면적)에 대응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 살균 장치(100)에 구비된 타이머부(150)와 충전부(16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타이머부(150) 및 충전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부(150)는 일예로 치약처리부(140)에 해당하는 몸체부(10) 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이머부(150)는 예시적으로 모래시계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양치질은 3분정도 칫솔질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진 바 있으므로, 예시적으로, 타이머부(150)는 3분의 타이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장치(100)의 몸체부(10)에는 제1 타이머부(150)를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버튼부(미도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30)는 타이머부(15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타이머부(150)가 모래시계 타입으로 이루어진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130)는 타이머부(150)의 동작 제어시 해당 모래시계 타입의 타이머부(150)가 180도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3분의 타이머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타이머부(150)는 모래시계 타입이 아닌, 전자시계 표시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타이머부(150)는 전자시계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전자시계 표시 패널을 통해 3분에 해당하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버튼부(미도시)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30)는 전자시계 표시 패널을 활성화시켜 타이머부(150)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3분의 카운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충전부(160)는 일예로 몸체부(10)의 전면 중 치약처리부(140)에 해당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160)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60)는 태양광 패널을 통해 본 장치(100)에 이용되는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160)는 태양광 패널을 통해 태양광으로 에너지를 충전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충전부(160)는 배터리 등에 의하여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이러한 충전부(16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구비된 충전부(160)에 의한 충전을 통해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100)는 종래 칫솔살균기에서 자외선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야기되던 감전사고의 유발 가능성 및 화장실 내부의 외관을 해치게 하는 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본 장치(100)의 제공을 통해, 복수개의 칫솔 각각의 타입에 따라 각기 다른 유형의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그에 맞춤화된 치약을 제공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칫솔 정보)에 맞추어 효과적인 살균처리 및 구강 관리(올바른 양치질)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칫솔 살균 장치
110: 살균처리부
120: 식별부
130: 제어부
140: 치약처리부
150: 타이머부
160: 충전부

Claims (17)

  1. 칫솔 살균 장치로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개폐 가능한 도어와 복수개의 칫솔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거치홈이 형성된 칫솔거치부를 가지며, 상기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칫솔에 대하여 살균처리를 수행하는 살균처리부;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을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부에 의하여 식별된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살균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처리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살균처리를 위해 상기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을 향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달리하고,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은,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 및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련된 칫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은, 상기 램프부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파장 범위, 세기,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 살균 장치는 상기 램프부가 구비되는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칫솔의 칫솔머리를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를 식별하고,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은 투명 부재로 이루어진 것인, 칫솔 살균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는,
    상기 살균처리부의 내면에 대하여, 상기 몸체부의 좌우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램프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각각에 칫솔이 거치되었을 때 각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 각각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각각에 거치된 칫솔 각각의 타입을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칫솔 각각의 타입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램프 각각의 동작 유형을 개별적으로 달리 제어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고,
    칫솔머리의 상단의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형은, 상기 제1 유형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강하게 설정되거나 자외선의 조사 시간이 길게 설정되는 유형인 것인, 칫솔 살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거치부는,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에 대응하는 상기 칫솔거치부의 내면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개의 RFID 리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RFID 리더부 각각은, 자신이 위치한 칫솔거치부의 내면에 대응하는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에 마련된 RFID 태그를 향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송출된 무선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RFID 태그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인식하며,
    상기 식별부는, 상기 복수개의 RFID 리더부 각각에 의한 데이터 인식을 통해 상기 칫솔거치부에 거치된 칫솔 각각의 타입으로서 칫솔 정보를 식별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 정보는,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흡연여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부에 의한 칫솔 정보의 식별 결과,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상기 거치된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비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1 유형으로 제어하고,
    상기 거치된 칫솔의 타입으로서 상기 거치된 칫솔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흡연자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제2 유형으로 제어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각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각 거치홈과 이웃하는 상기 칫솔거치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칫솔 정보는, 칫솔의 초기무게값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거치홈 중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칫솔이 거치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무게센서 쌍 중 상기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대응하도록 구비된 어느 하나의 무게센서 쌍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의 무게값과 상기 식별부에 의하여 식별된 상기 어느 하나의 거치홈에 거치된 칫솔의 초기무게값 간의 무게 차이의 정도에 따라 상기 램프부의 동작 유형을 달리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구비되고, 칫솔에 치약을 제공하기 위한 치약 제공 유닛을 포함하는 치약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약 제공 유닛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과 연결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치약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치약을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의 하면과 연결된 유출구;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치약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저장부의 외면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압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처리부는,
    상기 치약처리부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구비되고, 상기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치약을 제공받기 위한 칫솔의 칫솔머리가 접촉되는 접촉부를 갖는 칫솔 대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치약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놓이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부에 칫솔의 칫솔머리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촉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칫솔머리로의 치약 제공을 지시하는 지시 신호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압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치약 중 미리 설정된 중량에 대응하는 치약이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칫솔머리의 상단에 제공되도록, 상기 압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에 칫솔의 칫솔머리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는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 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 값 이상인지 여부로 판단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처리부는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 각각의 저장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치약을 저장하며,
    상기 칫솔 대기 유닛은, 상기 접촉부에 접촉된 칫솔의 타입 중 칫솔 정보를 식별하는 칫솔 정보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칫솔 정보 식별부에 의하여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치약 제공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의 동작으로서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에 대응하는 압력 제공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압력 제공부의 동작 제어시, 상기 식별된 칫솔 정보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에 대응하는 저장부의 외면에 가해지는 압력 정도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상기 어느 하나의 치약 제공 유닛을 통해 제공되는 치약의 양이 조절되는 것인, 칫솔 살균 장치.
KR1020190102210A 2019-08-21 2019-08-21 칫솔 살균 장치 KR102096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0A KR102096089B1 (ko) 2019-08-21 2019-08-21 칫솔 살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10A KR102096089B1 (ko) 2019-08-21 2019-08-21 칫솔 살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089B1 true KR102096089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10A KR102096089B1 (ko) 2019-08-21 2019-08-21 칫솔 살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0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36Y1 (ko) * 2006-03-10 2006-05-25 김대희 위생신발장
KR20090099803A (ko) * 2008-03-18 2009-09-23 이강문 치약 자동 디스펜서
WO2010018382A1 (en) * 2008-08-15 2010-02-18 Jerry Francis Mahony Sterilisation apparatus
KR20100009578U (ko) * 2009-03-19 2010-09-29 양명환 이동식 자외선 램프가 부착된 칫솔 살균기
JP5347040B2 (ja) * 2012-03-19 2013-11-20 靖幸 西岡 練り歯磨き供給装置
JP2013544282A (ja) * 2010-12-17 2013-12-12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分配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336Y1 (ko) * 2006-03-10 2006-05-25 김대희 위생신발장
KR20090099803A (ko) * 2008-03-18 2009-09-23 이강문 치약 자동 디스펜서
WO2010018382A1 (en) * 2008-08-15 2010-02-18 Jerry Francis Mahony Sterilisation apparatus
KR20100009578U (ko) * 2009-03-19 2010-09-29 양명환 이동식 자외선 램프가 부착된 칫솔 살균기
JP2013544282A (ja) * 2010-12-17 2013-12-12 コルゲート・パーモリブ・カンパニー 分配装置
JP5347040B2 (ja) * 2012-03-19 2013-11-20 靖幸 西岡 練り歯磨き供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6347A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WO2017139256A1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KR20170010357A (ko) 살균 충전식 얼굴용 브러시
BR112016012521B1 (pt) Escova de dentes com emissor de luz visível a comprimento de onda curto com um controle eletrônico de bloqueio de sinal
KR101109003B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2025742B1 (ko) 마우스 피스 칫솔 및 이를 구비하는 애완 동물용 칫솔 장치
KR101785696B1 (ko) 올바른 양치습관을 유도하는 다기능 led 칫솔
KR102096089B1 (ko) 칫솔 살균 장치
KR101701187B1 (ko) 트레이 거치형 미용기구 살균소독장치
KR100423950B1 (ko) 유에스비 포트를 내장한 휴대용 칫솔 살균 장치
EP3073862B1 (en) Toothbrush
US9936795B2 (en) Toothbrush
KR200480400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양치 카운트 칫솔
KR200311757Y1 (ko) 살균기능을 갖는 칫솔
WO2021252738A2 (en) Health care mirror
KR102553274B1 (ko) 권장 양치습관의 유도 학습기능을 갖는 칫솔 거치대
KR20140013158A (ko) 구강살균장치 및 제어방법
EP4114302B1 (de) Zahnpflegeanordnung
KR102427083B1 (ko) 전동칫솔 충전이 가능한 칫솔 살균기
KR102265324B1 (ko) 올인원 타입 이미용 기구 작동 방법
CN211327062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洁面仪
KR102057150B1 (ko)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421881Y1 (ko) 도어에 리드 스위치가 있는 자외선 칫솔 살균기
JP3021889U (ja) 歯ブラシ殺菌器
IT202000021331A1 (it) Contenitore tascabile di un dispositivo ortodontico amovi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