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816B1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816B1
KR102095816B1 KR1020130101913A KR20130101913A KR102095816B1 KR 102095816 B1 KR102095816 B1 KR 102095816B1 KR 1020130101913 A KR1020130101913 A KR 1020130101913A KR 20130101913 A KR20130101913 A KR 20130101913A KR 102095816 B1 KR102095816 B1 KR 10209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adhesive
adhesive layer
touch panel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683A (ko
Inventor
이근수
홍성철
정희진
김찬영
허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8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위에 위치하며 패턴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1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접착층은 제1 반사 입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를 개선한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에 투명 전도성 박막을 포함하는 전도성 필름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도성 필름은, 플라스틱 기재 상에 형성되는 투명하고 저항이 작은 투명 전도성 박막을 형성하고, 이 투명 전도성 박막을 패터닝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투명 전도성 박막을 패터닝하면, 투명 전도성 박막이 있는 부분과 제거된 부분의 광학 특성에 차이가 생겨서 투명 전도성 박막의 패턴이 사용자의 눈에 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전층의 패턴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 터치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위에 위치하며 패턴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1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접착층은 제1 반사 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무기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티타늄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유기 비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비드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코어와, 상기 코어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이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구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입자의 크기가 1㎛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입자의 크기가 50nm 내지 1㎛일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0.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0.1 내지 0.3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제1 전도성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위치하는 제2 전도성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은 제2 반사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 입자보다 상기 제2 반사 입자가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 입자의 크기가 1㎛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 접착층의 접착력보다 상기 제2 투명 접착층의 접착력이 클 수 있다.
상기 제1 투명 접착층은, 상기 커버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층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1 전도성 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의 접착력보다 상기 제2 층의 접착력이 클 수 있다.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중간 기재층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상에 위치하며 패턴을 가지는 제1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1 전도성 필름; 상기 제1 전도성 필름 상에 위치하는 제2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상에 위치하며 패턴을 가지는 제2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2 전도성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2 투명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가 반사 입자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는, 투명 접착층에 반사 입자를 위치시켜 도전층이 위치한 부분과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반사율을 유사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전층의 패턴에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패널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투명 접착층에 반사 입자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하여 도전층의 패턴 시인을 간단한 구조로 쉽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표시 장치 등의 전자 장치의 특성 또한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터치 패널의 제1 및 제2 전극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도전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터치 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터치 패널의 제1 및 제2 전극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도전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100)은, 커버 기판(10)과, 커버 기판(10) 위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20)과, 제1 투명 접착층(20) 위에 위치하는 제1 전도성 필름(30)을 포함하고, 제1 전도성 필름(30) 위에 위치하는 제2 투명 접착층(22) 및 이 위에 위치하는 제2 전도성 필름(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투명 접착층(20, 22) 중 적어도 하나가 반사 입자(20b, 22b)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커버 기판(10)은 터치 패널(10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터치 패널(100)을 통하여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 기판(10)은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기판(10)의 물질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버 기판(10) 위(도면 상으로는, 커버 기판(10)의 하부면의 위)에 제1 및 제2 전도성 필름(30, 32)이 위치한다. 제1 전도성 필름(30)은 베이스 부재(30a)와 이에 형성되는 제1 도전층(30b)을 포함하고, 제2 전도성 필름(32)은 베이스 부재(32a)와 제2 도전층(32b)를 포함한다. 이때, 제1 전도성 필름(30)의 제1 도전층(30b)이 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1 전극을 구성하고, 제2 전도성 필름(32)의 제2 도전층(32b)이 제1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2 전극을 구성한다.
베이스 부재(30a, 32a)는 제1 및 제2 전도성 필름(30, 32)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투광성을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는 필름, 시트, 기판 등일 수 있다. 베이스 부재(30a, 32a)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설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페닐렌설피드,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스티렌 등의 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베이스 부재(30a, 32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부재(30a, 32a)로 상술한 물질 외의 다양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은 전도성을 가지며 투광성을 가지는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또는 제2 도전층(30b, 32b)은 인듐-틴 산화물(ITO)를 포함하거나,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금속 나노 와이어(예를 들어, 은 나노 와이어, 구리 나노 와이어, 백금 나노 와이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도전층(30b, 32b)이 금속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면, 우수한 투광성 및 전도성을 가지고, 금속 양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의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으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 및 상술한 설명에서는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제1 및 제2 전도성 필름(30, 32)이 각기 베이스 부재(30a, 32a), 그리고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도성 필름(30, 32)의 보호를 위한 오버 코팅층, 하드 코팅층, 또는 적층되는 층들 사이의 접착 특성 등을 향상하기 위한 접착층, 프라이머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도성 필름(30, 32)의 구조로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전극을 구성하는 제1 도전층(30b)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는 감지하는 복수의 제1 센서부(301b)와, 이러한 복수의 제1 센서부(301b)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302b)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302b)는 복수의 제1 센서부(301b)를 일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전극을 구성하는 제2 도전층(32b)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는 감지하는 복수의 제2 센서부(321b)와, 이러한 복수의 제2 센서부(321b)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322b)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322b)는 복수의 제2 센서부(321b)를 제1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한다. 도면에서는 제1 센서부(301b) 및 제2 센서부(321b)가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센서부(301b) 및 제2 센서부(321b)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센서부(301b, 321b)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되고, 이 차이가 발생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커버 기판(10)과 제1 전도성 필름(30) 사이에 제1 투명 접착층(20)이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하고, 제1 전도성 필름(30)과 제2 전도성 필름(32) 사이에 제2 투명 접착층(22)이 위치하여 이들을 접착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 투명 접착층(22)에 의하여 터치 패널(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들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투명 접착층(20, 22)은 양쪽에 위치한 층들을 접착할 수 있는 접착 특성과 함께 투광성을 가지는 물질, 즉, 광학성 투명 접착 물질(optically clear adhesive, OCA)(이하, 각기 제1 및 제2 접착 물질)(20a, 22a)로 구성될 수 있다. 광학성 투명 접착 물질은 접착력이 우수하고, 도전층(30b, 32b)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습성, 내열 발포성, 가공성 등이 우수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투명 접착층(20, 22)은 각기 제1 및 제2 반사 입자(20b, 2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 기판(10)과 제1 전도성 필름(3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20)은 제1 접착 물질(20a)에 복수 개의 제1 반사 입자(20b)가 분산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사 입자(20b)는 난반사를 유도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서의 반사율을 유사하게 만들어서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접착 물질(20a)로는 알려진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착 물질(20a)은, 중합성 화합물과,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성 화합물은 열 또는 자외선(UV) 등에 의하여 중합하는 화합물로서, 접착 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합성 화합물로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들 수 있으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등을 주 단략체(main monomer)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극성 단량체와 공중합을 진행하여 부분 중합된 상태의 고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극성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푸라르산 등의 가르복실기를 함유한 단량체, 아크릴 아마이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의 질소를 함유한 단량체, 하이드록시 에틸아클렐이트, 하이드록시 프로필 아클레이트, 하이드록시 부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헥실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 아크릴아마이드 등의 하이드록실기를 함유한 단량체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제는 열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하여 에너지를 흡수하여 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중합 반응을 개시하고 중합 반응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반사 입자(20b)로는 반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반사 입자(20b)는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무기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의 무기 산화물은 광을 반사하고 분산하는 성질이 매우 우수하고, 투광성이 우수하며,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는, 제1 반사 입자(20b)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등의 유기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비드는 광을 반산하고 분산하는 성질이 우수하고, 투광성이 우수하며, 유기 물질로 구성되어 플렉서블한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제1 반사 입자(20b)가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와, 코어 상에 코팅되며 MMA, PS 등의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무기 산화물 및 유기 물질에 의한 장점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1 반사 입자(20b)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반사 입자(20b)는 구형을 가질 수 있다. 제1 반사 입자(20b)가 구형을 가지면서 제1 반사 입자(20b)의 표면에서 전체적으로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 반사 입자(20b)에 의한 난반사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반사 입자(20b)가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 입자(20b)는 커버 기판(10)에 인접한 제1 투명 접착층(20)에 위치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의 시인과 크게 관련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이를 고려하여 제1 반사 입자(20b)에 의하여 난반사를 최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제1 반사 입자(20b)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사 입자(20b)의 크기(좀더 상세하게는, 중간 입경(D50))이 1㎛ 이하일 수 있다. 제1 반사 입자(20b)의 크기가 1㎛ 이하일 때 난반사를 많이 유도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의 반사율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 입자(20b)의 크기는 50nm 내지 1㎛일 수 있다. 50nm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제1 반사 입자(20b)를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제1 접착 물질(20a) 내에 고르게 분산시키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반사 입자(20b)의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투명 접착층(20)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반사 입자(20b)가 0.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가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1 투명 접착층(20)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난반사가 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1 투명 접착층(20)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반사 입자(20b)가 0.1 내지 0.3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부 범위 내에서 제1 투명 접착층(20)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적절한 난반사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투명 접착층(20)은, 제1 접착 물질(20a)과, 제1 반사 입자(20b)와,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 조성물의 양면에 이형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위치시킨 상태로 제조된다. 용매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n-부틸 아세테이트(n-butyl acet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혼합 조성물의 고형분은 20% 내지 50%(좀더 구체적으로는, 35% 내지 45%)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에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커버 기판(10)과 제1 전도성 필름(30) 사이에 제1 투명 접착층(2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자외선 또는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커버 기판(10)과 제1 전도성 필름(30)을 접착한다.
이러한 제1 투명 접착층(20)은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일 예로, 분자량이 30만 내지 100만(좀더 구체적으로는, 50만 내지 80만)이고, 점도가 3000cps 내지 8000cps(좀더 구체적으로는, 4000cps 내지 6000cps)이며, 접착력이 20N/inch 내지 39N/inch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필름(30)과 제2 전도성 필름(3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투명 접착층(22)은 제2 접착 물질(22a)에 복수 개의 제2 반사 입자(22b)가 분산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반사 입자(22b)는 난반사를 유도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서의 반사율을 유사하게 한다.
제2 접착 물질(22a)로는 알려진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 제2 접착 물질(22a)은, 중합성 화합물과,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 물질(22a)의 중합성 화합물, 경화제 등은 제1 접착 물질(22a)의 중합성 화합물, 경화제 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반사 입자(22b)로는 반사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반사 입자(22b)는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무기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등의 무기 산화물은 광을 반사하고 분산하는 성질이 매우 우수하고, 투광성이 우수하며, 쉽게 구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는, 제2 반사 입자(22b)가 MMA, PS 등의 유기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비드는 광을 반산하고 분산하는 성질이 우수하고, 투광성이 우수하며, 유기 물질로 구성되어 플렉서블한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제2 반사 입자(22b)가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와, 코어 상에 코팅되며 MMA, PS 등의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무기 산화물 및 유기 물질에 의한 장점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2 반사 입자(22b)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반사 입자(22b)는 구형을 가질 수 있다. 제2 반사 입자(22b)가 구형을 가지면서 제2 반사 입자(22b)의 표면에서 전체적으로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1 반사 입자(22b)에 의한 난반사를 최대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반사 입자(22b)가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터치 패널(100)은 표시 장치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에 부착되는데, 제1 투명 접착층(20)이 커버 기판(10)에 인접 위치하여 외부 쪽에 가깝게 위치하고, 제2 투명 접착층(22)이 표시 장치 쪽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투명 접착층(22)이 터치 패널(100)이 부착된 표시 장치에 좀더 가깝게 위치하므로, 제2 투명 접착층(22) 내의 제2 반사 입자(22b0는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아야 한다. 이에 따라 제2 반사 입자(22b)는 작은 크기를 가지되, 제1 반사 입자(20b)보다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사 입자(22b)의 크기(좀더 상세하게는, 중간 입경(D50))이 1㎛ 내지 3㎛(좀더 구체적으로는, 1㎛ 초과, 3㎛ 이하)일 수 있다. 제2 반사 입자(22b)의 크기가 3㎛ 이하일 때 난반사를 많이 유도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의 반사율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반사 입자(22b)의 크기를 1㎛ 또는 이보다 크게 하여, 표시 장치에서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여 선명한 화상, 영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투명 접착층(22)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 반사 입자(22b)가 0.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가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2 투명 접착층(22)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난반사가 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2 투명 접착층(22)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2 반사 입자(22b)가 0.1 내지 0.3 중량부만큼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부 범위 내에서 제2 투명 접착층(22)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적절한 난반사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2 투명 접착층(22)은, 제2 접착 물질(22a)과, 제2 반사 입자(22b)와,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된 혼합 조성물의 양면에 이형 필름(도시하지 않음)을 위치시킨 상태로 제조된다. 용매로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A),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MEK), n-부틸 아세테이트(n-butyl acet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혼합 조성물의 고형분은 20% 내지 50%(좀더 구체적으로는, 35% 내지 45%)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후에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제1 전도성 필름(30)과 제2 전도성 필름(32) 사이에 제2 투명 접착층(22)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자외선 또는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전도성 필름(32)과 제2 전도성 필름(32)을 접착한다.
이러한 제2 투명 접착층(22)은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일 예로, 분자량이 30만 내지 100만(좀더 구체적으로는, 50만 내지 80만)이고, 점도가 3000cps 내지 8000cps(좀더 구체적으로는, 4000cps 내지 6000cps)이며, 접착력이 20N/inch 내지 39N/inch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 투명 접착층(20)은 커버 기판(10)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제2 투명 접착층(22)보다 낮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투명 접착층(20, 22)의 부착 작업 시 이물, 기포 등이 유입되거나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가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하면 제1 및/또는 제2 투명 접착층(20, 22)을 분리한 후에 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재작업을 수행할 때 제1 및 제2 전도성 필름(30, 32)은 재사용할 수 없지만 커버 기판(10)은 재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기판(10)에 접착되는 제1 투명 접착층(20)의 접착력을 제2 투명 접착층(22)의 접착력보다 작게 하면, 커버 기판(10)을 제1 투명 접착층(20)으로부터 좀더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재작업 시 시간,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착 물질(20a)의 접착력이 제2 접착 물질(22a)의 접착력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제1 접착 물질(20a)의 접착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접착 물질(20a)의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이 제2 접착 물질(22a)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낮으면 제1 접착 물질(20a)의 접착력이 제2 접착 물질(22a)의 접착력보다 작아지게 된다. 낮은 유리 전이 온도는 중합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주 단량체의 체인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1 접착 물질(20a)의 주 단량체의 체인 길이가 제2 접착 물질(22a)의 주 단량체의 체인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투명 접착층(20)의 제1 접착 물질(20a)의 극성 단량체의 함량을 제2 투명 접착층(22)의 제2 접착 물질(22a)의 극성 단량체의 함량보다 크게 하여, 제1 투명 접착층(20)이 제2 투명 접착층(22)보다 더 큰 겔 분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겔 분율은 제1 또는 제2 투명 접착층(20, 22)을 구성하는 조성물을 극성 용제(예를 들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등)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48 시간) 동안 담근 후 300 메시 철망에 걸러서 높은 온도(예를 들어, 11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한 후에 남은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투명 접착층(20)의 겔 분율을 6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제2 투명 접착층(22)의 겔 분율을 60%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투명 접착층(20)의 제1 접착 물질(20a)의 경화제의 함량을 제2 투명 접착층(22)의 제2 접착 물질(22a)의 경화제의 함량보다 크게 하여, 제1 투명 접착층(20)의 경화도를 크게 하여 접착력을 낮출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투명 접착층(20)이 제1 반사 입자(20b)를 포함하고 제2 투명 접착층(22)이 제2 반사 입자(22b)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투명 접착층(20, 22) 중 적어도 하나에만 반사 입자(20b, 22b)가 포함되면 족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투명 접착층(20, 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반사 입자(20b, 22b)를 위치시켜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이 위치한 부분과 위치하지 않은 부분의 반사율을 유사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의 패턴에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100)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에서 생성된 화상, 영상 등이 선명하게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이때, 터치 패널(100)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제1 및/또는 제2 투명 접착층(20, 22)에 반사 입자(20b, 22b)를 포함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의 패턴 시인을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쉽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의 패턴 시인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층 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터치 패널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소 상술한 실시예의 터치 패널에 적용될 수 있는 변형예들은 아래의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커버 기판(10)과, 커버 기판(10) 위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20)과, 제1 투명 접착층(20) 위에 위치하며 일면에 제1 도전층(30b)이 형성되고 타면에 제2 도전층(32b)이 형성된 제1 전도성 필름(30)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도성 필름(30)의 각기 다른 면에 위치한 제1 도전층(30b) 및 제2 도전층(32b)이 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터치 패널(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가장 큰 두께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30a)의 개수를 줄여 터치 패널을 박형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제2 도전층(32b)이 형성된 커버 기판(10)과, 제2 도전층(32b)을 덮도록 커버 기판(10) 위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20)과, 제1 투명 접착층(20) 위에 위치하며 제1 도전층(30b)이 형성된 제1 전도성 필름(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도전층(32b)을 커버 기판(10)에 형성하여 터치 패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터치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기판(10)과, 커버 기판(10) 위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20)과, 제1 투명 접착층(20) 위에 위치하는 제1 전도성 필름(30)을 포함하고, 제1 전도성 필름(30) 위에 위치하는 제2 투명 접착층(22) 및 이 위에 위치하는 제2 전도성 필름(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전도성 필름(30, 32)의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이 각각의 베이스 부재(30)를 기준으로 커버 기판(10) 쪽으로 배치된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도전층(30b)이 제1 전도성 필름(30)의 베이스 부재(30a)에서 커버 기판(10)에 쪽 면에 위치하고 제2 도전층(32b)은 제2 전도성 필름(32)의 베이스 부재(30a)에서 커버 기판(10)의 반대쪽 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층(30b, 32b)의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투명 접착층(20)이 커버 기판(10) 위에 위치하는 제1 층(201)과, 제1 층(201)과 제1 전도성 필름(3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층(20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층(201)은, 광학성 투명 접착 물질과 이에 분산된 반사 입자를 각기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의 제1 투명 접착층(20)의 제1 접착 물질(20a) 및 제1 반사 입자(20b)의 설명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제1 층(201)의 접착력보다 제2 층(202)의 접착력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는 제1 투명 접착층(20)의 부착 시 문제가 발생하여 재작업이 필요할 때 커버 기판(1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층(201)의 접착 물질의 접착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층(201)의 접착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가 제2 층(202)의 접착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층(201)의 접착 물질의 중합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주 단량체의 체인 길이를 제2 층(202)에서보다 짧게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층(201)의 접착 물질의 극성 단량체의 함량을 제2 층(202)의 접착 물질의 극성 단량체의 함량보다 크게 하여, 더 큰 겔 분율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201)의 겔 분율을 60% 이상이 되도록 하고, 제2 층(202)의 겔 분율을 60% 미만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층(201)의 접착 물질의 경화제의 함량을 제2 층(202)의 접착 물질의 경화제의 함량보다 크게 하여, 경화도를 크게 하여 접착력을 낮출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층(201)의 두께를 제2 층(202)의 두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동일한 조성을 가지더라도 두께가 작으면 접착력이 작아지므로 제1 및 제2 층(201, 202)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접착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층(202)의 두께 : 제1 층(201)의 두께 비율이 1:1.5 내지 1:5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서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예시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 도 4 및 도 5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터치 패널(100)에서 제1 투명 접착층(20) 및 제2 투명 접착층(22) 중 적어도 하나가 둘 이상의 층을 가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투명 접착층(20)이 제1 층(201) 및 제2 층(202)과 함께, 제1 층(201)과 제2 층(202) 사이에 위치하며 접착력을 가지지 않는 중간 기재층(2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201) 및 제2 층(202)는 도 6의 실시예의 제1 층(201) 및 제2 층(202)과 각기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중간 기재층(203)은 폴리에틸렌테페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술폰(polyehersulfone, PS),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아크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중간 기재층(203)을 포함하면 제1 층(201) 및 제2 층(202)을 가지는 제1 투명 접착층(20)을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제1 투명 접착층(20)의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를 예시로 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 도 4 및 도 5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터치 패널(100)에서 제1 투명 접착층(20) 및 제2 투명 접착층(22) 중 적어도 하나가 상술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치 패널
10: 커버 기판
20: 제1 투명 접착층
22: 제2 투명 접착층
30: 제1 전도성 필름
32: 제2 전도성 필름

Claims (20)

  1. 커버 기판;
    상기 커버 기판 위에 위치하는 제1 투명 접착층; 및
    상기 제1 투명 접착층 위에 위치하며 패턴을 가지는 도전층을 구비하는 제1 전도성 필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투명 접착층은 제1 반사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층은 투광성을 가지는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의 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사 입자 중 적어도 일부가 이격된 상기 도전층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티타늄 산화물 및 실리콘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 입자가 유기 비드로 구성되는 터치 패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비드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및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P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101913A 2013-08-27 2013-08-27 터치 패널 KR102095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913A KR102095816B1 (ko) 2013-08-27 2013-08-27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913A KR102095816B1 (ko) 2013-08-27 2013-08-27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83A KR20150024683A (ko) 2015-03-09
KR102095816B1 true KR102095816B1 (ko) 2020-04-01

Family

ID=5302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913A KR102095816B1 (ko) 2013-08-27 2013-08-27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129B1 (ko) * 2015-04-21 2022-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769A1 (ja) * 2008-03-26 2009-10-01 京セラ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4882B1 (en) * 2002-12-20 2013-01-23 Teijin Limited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touch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with touch panel
KR20110092814A (ko) * 2010-02-10 2011-08-18 (주)삼원에스티 터치패널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769A1 (ja) * 2008-03-26 2009-10-01 京セラ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83A (ko)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4476B (zh) 整合有偏光層及觸控感測器之光學堆疊結構以及包含該光學堆疊結構之影像顯示裝置
JP5158112B2 (ja) 透明導電材料およびタッチパネル
CN105793805B (zh) 复合偏光板-整合触控感测电极及包括其的触控屏幕面板
KR101137276B1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터치 패널
JP6354751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10310643B2 (en) Touch panel and junction structure of touch panel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8029886B2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and touch panel therewith
US201600416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uch sensors on polymer lenses
KR20070033443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KR20120001292A (ko)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10104936A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및 투명 터치 패널
US11494013B2 (en) Touch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TWI636386B (zh) 混合觸控感測電極及觸控螢幕面板
US10932364B2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KR20170111685A (ko) 터치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104298381A (zh) 触控面板、应用于触控面板之光学匹配胶及前述制造方法
CN102713802A (zh) 用于触摸面板的板件及其制造方法
KR20140012501A (ko) 터치 패널,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75397A (ja) 電極フィルム、電極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座標入力装置
US20170357347A1 (en) Touch sensitive projection screen
KR102095816B1 (ko) 터치 패널
JP2017080959A (ja) 光透過性導電フィルム、及び、アニール処理された光透過性導電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212990705U (zh) 一种透明导电薄膜及触摸屏
WO2012008230A1 (ja) 電子ペーパー用カラーフィルタ部材、電子ペーパー、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208607632U (zh) 一种柔性触摸显示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