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890B1 -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3890B1 KR102093890B1 KR1020190126797A KR20190126797A KR102093890B1 KR 102093890 B1 KR102093890 B1 KR 102093890B1 KR 1020190126797 A KR1020190126797 A KR 1020190126797A KR 20190126797 A KR20190126797 A KR 20190126797A KR 102093890 B1 KR102093890 B1 KR 1020938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ousing
- core drill
- bit
- dri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면 등에 구멍을 뚫어 줄 때 발생되는 각종 분진을 물과 함께 회수한 후 여과하여 지속적으로 천공 위치로 물이 순환되도록 하여, 분진 발생으로 인한 유해한 작업환경을 깨끗하게 개선하고 고속 회전하는 비트로 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작업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물이 유입되어 출구에서 분출되도록 물이동홀이 뚫어진 회전축의 선단에 벽면에 홀을 뚫기 위해 비트가 장착되어 있는 코어드릴과,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비트를 포함한 코어드릴을 벽면을 향해 작업자의 레버 조작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는 드릴 가이더와, 상기 회전축의 외부를 감싸지게 하여 물이동홀의 위치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을 마련하고 외부로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 캡과, 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브러쉬 캡의 접속구에 접속된 공급관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를 포함한 수개의 수납함들이 출입되도록 하고 상부가 트여지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드릴이 진입되는 위치로 벽면에 고정되며, 회전축의 물이동홀을 통해 분출된 물에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구에 접속되는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트하우징과, 상기 수납함들에 각각 수납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들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물이 유입되어 출구에서 분출되도록 물이동홀이 뚫어진 회전축의 선단에 벽면에 홀을 뚫기 위해 비트가 장착되어 있는 코어드릴과,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비트를 포함한 코어드릴을 벽면을 향해 작업자의 레버 조작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는 드릴 가이더와, 상기 회전축의 외부를 감싸지게 하여 물이동홀의 위치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을 마련하고 외부로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 캡과, 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브러쉬 캡의 접속구에 접속된 공급관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를 포함한 수개의 수납함들이 출입되도록 하고 상부가 트여지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드릴이 진입되는 위치로 벽면에 고정되며, 회전축의 물이동홀을 통해 분출된 물에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구에 접속되는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트하우징과, 상기 수납함들에 각각 수납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들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벽면 등에 구멍을 뚫어 줄 때 발생되는 각종 분진을 물과 함께 회수한 후 여과하여 지속적으로 천공 위치로 물이 순환되도록 하여, 분진 발생으로 인한 유해한 작업환경을 깨끗하게 개선하고 고속 회전하는 비트로 물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작업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공사, 설비공사 또는 에어컨 설치와 같은 각종 공사를 실시할 때에는 콘크리트 벽면에 코아드릴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어 주는 드릴링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종래, 코아드릴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면에 구멍을 뚫어 줄때 드릴이나 비트가 점진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콘크리트 파편과 분진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파편과 분진이 작업을 실시하는 주변에 비산되어 주위를 크게 오염시키므로 유해물질로 오염된 분위기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작업자의 시야를 흐리게 하거나 이물질이 작업자의 눈이나 코 등으로 침투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코어 드릴에 분진 포집기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알려진 분진 포집기로 국내 등록 실용신안 20-0359145호는 드릴이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뚫어지는 직사각 형태의 하우징을 벽면에 고정 부착하여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하우징에 의해 작업 위치를 파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벽면의 코너부를 뚫는 공사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분진이나 파편 등을 담는 용량의 한계에 때문에 계속해서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중 부주의로 드릴이나 비트가 하우징이 부딛쳐 하우징과 비트가 각각 훼손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되어 그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알려진 분진 포집기로 국내 등록 특허 10-0701334 호에서는 고속으로 회전되는 비트의 둘레를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감싸게 하고, 모여지는 분진은 주로 하우징 하부에 마련된 포집구에 호스를 연결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물의 공급은 이루어지 못하고 실질적으로 건식으로 가공되는 과정에서 분진이 드릴이나 비트 통과를 위해 마련된 삽입구 위치로 배출되어 포집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내 등록 특허 10-1677173호 에서는 코어드릴의 외부를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자바라관 구조의 신축관체로 감싸게 하고,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하여 습식에 의해 분진을 물과 혼합되도록 한 후 배수관을 통해 저장조로 배출시키도록 한 습식 포집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냉각수 공급을 위한 상수도 시설이 없는 환경에서는 작동시킬 수 없는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중에 계속해서 냉각수를 공급해야 하므로 물의 낭비로 인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량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벽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수도 시설이 없는 환경에서도 물의 낭비 없이 지속적으로 습식 분진 포집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수조에 담긴 물을 이용해 분진을 습식으로 제거할 수 있어 상수도 설비가 없는 조건에서도 쾌적한 환경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진과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여과시켜 새로운 물의 보충 없이도 장시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 청소 시기를 작업자가 파악할 수 있고, 필터 청소 작업이 용이하여 편의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유입되어 출구에서 분출되도록 물이동홀이 뚫어진 회전축의 선단에 벽면에 홀을 뚫기 위해 비트가 장착되어 있는 코어드릴과,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비트를 포함한 코어드릴을 벽면을 향해 작업자의 레버 조작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는 드릴 가이더와,
상기 회전축의 외부를 감싸지게 하여 물이동홀의 위치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을 마련하고 외부로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 캡과,
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브러쉬 캡의 접속구에 접속된 공급관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를 포함한 수개의 수납함들이 출입되도록 하고 상부가 트여지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드릴이 진입되는 위치로 벽면에 고정되며, 회전축의 물이동홀을 통해 분출된 물에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구에 접속되는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트하우징과,
상기 수납함들에 각각 수납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들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지지판을 부착하여 상기 가이더와 함께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납함들에 수납되는 필터들은 상부에 메쉬(mesh) 숫자가 적어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메쉬 숫자가 커서 작은 입자의 이물질도 걸려지게 다단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공극들이 마련되어 있는 스폰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수조에는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가 구비되어 제어회로에서 알람 또는/ 및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이 유입되어 출구에서 분출되도록 물이동홀이 뚫어진 회전축의 선단에 벽면에 홀을 뚫기 위해 비트가 장착되어 있는 코어드릴과,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비트를 포함한 코어드릴을 벽면을 향해 작업자의 레버 조작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는 드릴 가이더와,
상기 회전축의 외부를 감싸지게 하여 물이동홀의 위치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을 마련하고 외부로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 캡과,
상기 저수조를 포함한 수개의 수납함들이 출입되도록 하고 상부가 트여지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드릴이 진입되는 위치로 벽면에 고정되며, 회전축의 물이동홀을 통해 분출된 물에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구에 접속되는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트하우징과,
상기 수납함들에 각각 수납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들과,
상기 저수조에 물과 함께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와,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오염정도가 설정값 이상과 이하로 판별하여 해당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서 저수조내의 물이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전자밸브를 개방하여 저수조내의 오염된 물 만을 저장하는 오염수 저장용기와,
상기 제어회로에서 저수조내의 물 오염정도가 설정값 이하로 정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전자밸브를 개방하여 정화수를 저장하고, 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브러쉬 캡의 접속구에 접속된 공급관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활용수 저장용기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스텐드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납함들에 수납되는 필터들은 상부에 메쉬(mesh) 숫자가 적어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메쉬 숫자가 커서 작은 입자의 이물질도 걸려지게 다단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공극들이 마련되어 있는 스폰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수조에는 구비되는 탁도센서에 의해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제어회로에서 알람 또는/ 및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비트 회전으로 벽면 등을 뚫을 때 발생되는 분진을 물을 이용해 습식으로 제거할 수 있고, 특히 상수도 설비가 없는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여과시켜 새로운 물의 보충 없이도 장시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청소 시기 등을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필터 청소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트에 의해 콘크리트를 가공하는 위치로 냉각 및 윤활역할을 하는 물이 공급되는 것에 의해 절삭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의 편의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 내부를 절단하여 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비트하우징과 비트 및 회전축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비트가 콘크리트 벽면에 진입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수납함에 수납되는 필터들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은 일부 절단하여 전체 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의 수납함에 수납되는 필터들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 내부를 절단하여 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비트하우징과 비트 및 회전축을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비트가 콘크리트 벽면에 진입된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우징의 수납함에 수납되는 필터들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7은 일부 절단하여 전체 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은 하우징의 수납함에 수납되는 필터들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분진 포집장치의 일실시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코어드릴(10)의 선단에는 회전축(11)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는 튜브형상의 비트(14)가 마련되어 있고, 벽면에는 비트(14)가 진입되는 위치로 비트(14)의 회전을 가이드하면서 내부로 물이 채워질 수 있는 비트하우징(60)이 고정 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비트(14)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거나 회수하기 위해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저수조(40)와, 회수된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70)들은 다단으로 서랍식 출입이 가능한 수납함(51)들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코어드릴(10)은 가이더(20)에 의해 직선으로 벽면을 향해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수납함(51)들 및 저수조(40)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50)의 내부를 절단하고, 코어드릴(10)과 가이더(20)의 연결 구조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벽면에 고정되는 비트하우징(60)으로 코어드릴(10)의 선단에 결합되어 고속으로 회전되는 비트(14) 및 회전축(11)의 구성을 일부 절결하여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비트(14)에 의해 콘크리트 벽면에 진입되어 홀을 뚫는 과정을 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하우징((50)에 다단의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하게 마련된 수납함(51)들 메쉬(mesh)가 상이한 수개의 필터(70)들이 수납되어 있는 구성을 사시도로 예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코어드릴(10)은 주로 벽면에 홀을 뚫기 위한 용도로 드릴 가이더(20)의 안내로 벽면을 향해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코어드릴(10)의 내부에 마련된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축(11)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되는 비트(14)는 끝단면이 요철형상으로 성형되고 속이 빈 튜브형상으로 벽면에 뚫기 위한 홀의 구멍 크기나 깊이 등을 감안하여 선택한 비트(14)를 회전축(11)의 선단에 견고하게 결착시키게 된다.
습식으로 분진을 포집하기 위해 회전축(11)의 중간 위치로 도 3에서와 같이 잘록하게 직경이 가늘게 성형하고, 그 잘록한 허리 위치로 물이 유입되어 출구에서 분출되도록 물이동홀(12)이 뚫어지게 된다.
이때, 물이동홀(12)에는 분사관(13)을 접속하여 물이 최대한 비트(14)의 벽면 가공위치에 근접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물이동홀(12)이 뚫어지는 잘록한 허리 위치의 외부에는 물이 공급된 상태로 채워지기 위해 브러쉬 캡(30)이 장착된다.
브러쉬 캡(30)은 코어드릴(10)의 몸체에 부착되어 그 내부로 물이 채워질 수 있는 저장공간은 마련하면서 기밀 유지상태에서 회전축(11)이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접촉부에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링형상으로 된 부쉬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 브러쉬 캡(30)의 일측에는 접속구(31)가 마련되어 공급관(32)이 접속된 상태에서 저수조(40) 내부의 물이 펌프(P) 구동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드릴 가이더(20)는 공지 기술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벽면에 앵커볼트(1)로 고정되는 고정판(21)에 직각되게 가이드부재(22)를 설치하고, 레버(23) 조작에 따른 가이드수단의 안내로 코어드릴(10)이 벽면을 향해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된다.
코어드릴(10)을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수단의 구성은 가이드부재(22)에 길이 방향을 따라 래크기어를 마련하고, 이 래크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정역 방 회전시키는 레버(23) 조작으로 전후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수단에 포함되는 레버(23)는 수동이 아닌 자동을 위한 모터구동부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모터 구동부는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드릴 가이더(20)의 구성 및 작동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하우징((50)의 주로 가장 하단에는 저수조(40)가 수납되어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펌프(P)의 구동으로 브러쉬 캡(30)의 접속구(31)에 접속된 공급관(32)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50)에는 상부가 트여진 상태로 저수조(40)의 상부로 수개의 수납함(51)들이 출입되도록 한다.
수납함(51)들에는 메쉬의 차이로 인해 여과 능력이 상이한 복수개의 필터(70)들이 각각 수납되어 분진이 포함된 물이 저수조(40)로 이동될 때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어드릴(10)이 진입되는 위치로 벽면에는 비트하우징(60)이 고정 설치된다.
비트하우징(60)은 속이 빈 관 형상으로 내부로는 비트(14)가 진입되어 벽면에 홀을 뚫는 과정에서 물을 포함한 분진이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배출구(64)에 접속되는 배수관(63)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비트하우징(60)은 벽면에 패드(61)를 통해 밀착되어 물이 새지 못하도록 기밀 상태를 유지하고, 앵커볼트(1)를 통해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관(62)이 비트하우징(60)의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비트(14)가 고속으로 회전되며 벽면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물과 혼합되어 배수관(63)을 통해 배출되며, 배수관(63)의 출구는 하우징((50)의 상단 트여진 개구부에 위치되어 오염된 물은 필터(70)들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저수조(40)에 회수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함들에 각각 수납되어 분진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70)들은 그 여과능력이 상이한 것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즉, 상부에 위치되는 필터(70)는 메쉬(mesh) 숫자가 적어 걸름망의 통과구멍 크기가 커서 비교적 입자가 큰 돌이나 파편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메쉬 숫자가 커서 걸름망의 통과구멍 크기가 좁은 것으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분진을 포함한 이물질이 걸려서 여과되도록 다단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함(51)들과 필터(70)는 각각 4개로 상부에 위치되는 2개의 필터는 메쉬 숫자가 적어 입자가 큰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 위치되는 2개의 필터는 메쉬 숫자가 커서 작은 입자의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종류의 필터를 상하 방향으로 두 개씩 마련한 이유는 순환 과정에서 이물질이 많이 쌓인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제거하여도 나머지 하나가 필터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수납함(51)들과 필터(70)는 각각 4개로 상부로부터 하단에 까지 메쉬 숫자가 순차적으로 점차 커지는 서로 다른 여과능력을 갖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납함(51)에 수납되는 필터(70)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공극들이 마련되어 있는 스폰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스폰지 구조의 필터(70)는 여과능력이 가장 우수하므로 가장 하단부의 수납함(51)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러한 저수조(40)와 수납함(51)들을 마련하고 있는 하우징((50)은 코어드릴(10)에 근접된 위치로 설치하기 위해 일측에 지지판(52)을 부착하여 상기 드릴 가이더(20)의 고정판(21)과 벽면 사이로 지지판(52)을 위치한 후 벽면에 앵커볼트(1)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도 2)
또, 하우징((50)은 일측에 고정구멍(53)이 뚫어진 지지판(52)을 부착하여 앵커볼트(1)와 고정구멍(53)을 연결하는 연결고리(54)를 통해서 걸어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도 1)
그리고, 상기 저수조(40)에는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S)가 구비되어 새로운 물을 저수조(40)에 보충하거나 물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시기를 제어회로(80)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물의 오염을 작업자에게 알리는 방법은 알람 경보나 경고등 점멸 중 어느 하나 또는 경보음과 경고등이 둘다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7에서는 하우징(50)의 내부에 마련된 저수조(40)와 별도로 재활용수 저장용기(91)와 오염수 저장용기(100)가 마련되어 탁도센서(S)에서 측정된 오염정도에 따라 재활용수와 버려지는 오염수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장치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하우징(50)의 내부에 서로 다른 여과 능력을 갖는 필터(70)들이 2개의 수납함(51)에 수납되고 가장 하부에는 저수조(40)가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50) 구성을 사시도로 예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2 실시예 따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하우징((50)에 마련된 탁도센서(S)에 의해 물의 오염정도를 측정하고, 제어회로(80)에서 입력된 기준값에 따라 재활용이 가능하면 재활용수 저장용기(91)로 저수조(40)의 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기준값에 따라 오염정도가 심각하여 재활용이 어려운 정도의 물이 저수조(40)에 채워지면 오염수 저장용기(100)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코어드릴(10)과 브러쉬 캡(30), 그릴 가이더(20) 및 비트하우징(60)의 구성은 상기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우징((50)에 마련되는 저수조(40)와 별도로 재활용수 저장용기(90)와 오염수 저장용기(10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저수조(40)를 포함한 수개의 수납함(51)들이 서랍식으로 출입 가능하도록 된 하우징((50)은 상부가 트여진 상태로 스텐드(55)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받쳐지게 된다.
상기 수납함(51)들에는 배수관(63)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필터(70)들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조(40)내에는 채워지는 물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S)가 구비되고, 이 탁도센서(S)에서 감지되는 오염정도를 설정값 이상과 이하로 제어회로(80)에서 비교 판별하여 재활용 되거나 오염수로 버리기 위해 제1전자밸브(91) 및 제2전자밸브(101)를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해당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즉, 상기 탁도센서(S)에서 저수조(40)내의 물이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제어회로(80)가 판단되는 경우 제2전자밸브(101)를 개방하여 저수조(40)내의 오염된 물은 호스(102)를 통해 오염수 저장용기(100)로 흘려 보내게 된다.
오염수 저장용기(100)에 모여진 오염수는 추후 하수도 등을 통해 버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탁도센서(S)에서 저수조내의 물 오염정도가 설정값 이하로 정화된 것으로 제어회로(80)가 판단되는 경우 제1전자밸브(91)를 개방하여 호스(92)를 통해 재활용수 저장용기(90)로 흘려 보내게 된다.
재활용수 저장용기(90)에 모여지는 정화된 물은 펌프(P)의 구동으로 상기 브러쉬 캡(30)의 접속구(31)에 접속된 공급관(32)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비트하우징(60)과 저수조(40)를 통해 물은 계속 순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트(14)가 고속으로 회전되며 벽면을 뚫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물과 혼합되어 배수관(63)을 통해 배출되며, 배수관(63)의 출구는 하우징(50)의 상단 트여진 개구부에 위치되어 오염된 물은 필터(70)들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저수조(40)에 회수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함(51)들에 각각 수납되어 분진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70)들은 그 여과능력이 상이한 것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즉, 상부에 위치되는 필터(70)는 메쉬(mesh) 숫자가 적어 걸름망의 통과구멍 크기가 커서 비교적 입자가 큰 돌이나 파편과 같은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에는 메쉬 숫자가 커서 걸름망의 통과구멍 크기가 좁은 것으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분진을 포함한 이물질이 걸려서 여과되도록 다단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 수납함(51)에 수납되는 필터(70)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공극들이 마련되어 있는 스폰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 스폰지구조의 필터(70)는 여과능력이 우수하므로 하단부의 수납함(51)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한편, 상기 저수조(40)에는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S)는 새로운 물을 저수조(40)에 보충하거나 물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시기를 제어회로(80)에 의해 작업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물의 오염을 작업자에게 알리는 방법은 알람 경보나 경고등 점멸 중 어느 하나 또는 경보음과 경고등이 둘다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필터(70)들은 물의 순환이 멈춘 상태에서 수납함(51)을 개방하여 걸려진 이물질을 탈락시키는 청소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수납함(51) 내부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누구나 간단하게 필터 청소를 수행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코어드릴 11 - 회전축
12 - 물이동홀 13 - 비트
20 - 드릴 가이더 21 - 고정판
22 - 가이드부재 30 - 브러쉬 캡
32 - 공급관 40 - 저수조
50 - 하우징 51 - 수납함
60 - 비트하우징 63 - 배수관
70 - 필터 80 - 제어회로
90 - 재활용수 저장용기 91 - 제1전자밸브
100 - 오염수 저장용기 101 - 제2전자밸브
12 - 물이동홀 13 - 비트
20 - 드릴 가이더 21 - 고정판
22 - 가이드부재 30 - 브러쉬 캡
32 - 공급관 40 - 저수조
50 - 하우징 51 - 수납함
60 - 비트하우징 63 - 배수관
70 - 필터 80 - 제어회로
90 - 재활용수 저장용기 91 - 제1전자밸브
100 - 오염수 저장용기 101 - 제2전자밸브
Claims (10)
- 물이 유입되어 출구에서 분출되도록 물이동홀이 뚫어진 회전축의 선단에 벽면에 홀을 뚫기 위해 비트가 장착되어 있는 코어드릴과,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비트를 포함한 코어드릴을 벽면을 향해 작업자의 레버 조작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는 드릴 가이더와,
상기 회전축의 외부를 감싸지게 하여 물이동홀의 위치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을 마련하고 외부로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 캡과,
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브러쉬 캡의 접속구에 접속된 공급관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를 포함한 수개의 수납함들이 출입되도록 하고 상부가 트여지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드릴이 진입되는 위치로 벽면에 고정되며, 회전축의 물이동홀을 통해 분출된 물에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구에 접속되는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트하우징과,
상기 수납함들에 각각 수납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들이 포함되어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되게 배치되어 배수관의 출구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함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랍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수납함에는 메쉬구조로 구현되는 필터가 각각 형성되되,
상부의 수납함에 설치되는 필터의 통과구멍의 크기에 비해서 하부에 수납함에 설치되는 필터의 통과구멍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며,
배수관의 출구에서 토출되어 하우징으로 들어온 물과 이물질은 낙하하여 상부 수납함에 있는 필터와 하부 수납함에 있는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지지판을 부착하여 상기 가이더와 함께 벽면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들에 수납되는 필터들은 상부에 메쉬(mesh) 숫자가 적어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메쉬 숫자가 커서 작은 입자의 이물질도 걸려지게 다단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공극들이 마련되어 있는 스폰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가 구비되어 제어회로에서 알람 또는/ 및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물이 유입되어 출구에서 분출되도록 물이동홀이 뚫어진 회전축의 선단에 벽면에 홀을 뚫기 위해 비트가 장착되어 있는 코어드릴과,
벽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비트를 포함한 코어드릴을 벽면을 향해 작업자의 레버 조작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는 드릴 가이더와,
상기 회전축의 외부를 감싸지게 하여 물이동홀의 위치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을 마련하고 외부로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는 브러쉬 캡과,
저수조를 포함한 수개의 수납함들이 출입되도록 하고 상부가 트여지는 하우징과,
상기 코어드릴이 진입되는 위치로 벽면에 고정되며, 회전축의 물이동홀을 통해 분출된 물에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배출구에 접속되는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비트하우징과,
상기 수납함들에 각각 수납되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들과,
상기 저수조에 물과 함께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탁도센서와,
상기 탁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오염정도가 설정값 이상과 이하로 판별하여 해당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어회로에서 저수조내의 물이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전자밸브를 개방하여 저수조내의 오염된 물 만을 저장하는 오염수 저장용기와,
상기 제어회로에서 저수조내의 물 오염정도가 설정값 이하로 정화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전자밸브를 개방하여 정화수를 저장하고, 펌프의 구동으로 상기 브러쉬 캡의 접속구에 접속된 공급관을 통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활용수 저장용기가 포함되되,
상기 하우징은 상부가 개방되게 배치되어 배수관의 출구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납함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랍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수납함에는 메쉬구조로 구현되는 필터가 각각 형성되되,
상부의 수납함에 설치되는 필터의 통과구멍의 크기에 비해서 하부에 수납함에 설치되는 필터의 통과구멍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며,
배수관의 출구에서 토출되어 하우징으로 들어온 물과 이물질은 낙하하여 상부 수납함에 있는 필터와 하부 수납함에 있는 필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스텐드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들에 수납되는 필터들은 상부에 메쉬(mesh) 숫자가 적어 입자가 큰 이물질이 걸려지도록 하고, 하부에는 메쉬 숫자가 커서 작은 입자의 이물질도 걸려지게 다단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들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세공극들이 마련되어 있는 스폰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는 구비되는 탁도센서에 의해 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여 제어회로에서 알람 또는/ 및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797A KR102093890B1 (ko) | 2019-10-14 | 2019-10-14 |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797A KR102093890B1 (ko) | 2019-10-14 | 2019-10-14 |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3890B1 true KR102093890B1 (ko) | 2020-03-26 |
Family
ID=6995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6797A KR102093890B1 (ko) | 2019-10-14 | 2019-10-14 |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389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8380B1 (ko) * | 2021-04-08 | 2021-08-09 | 지원섭 | 직천공 장치 |
KR102337194B1 (ko) * | 2021-04-27 | 2021-12-09 | 주원씨엔시 주식회사 | 중성화 시험장치 |
CN114454348A (zh) * | 2021-12-13 | 2022-05-10 | 湖南鼎盛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墙体钻孔设备及操作方法 |
CN115209712A (zh) * | 2022-09-16 | 2022-10-18 | 江苏透平电力技术有限公司 | 一种机电设备散热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9145Y1 (ko) | 2004-03-31 | 2004-08-21 | 오명환 |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
KR100701334B1 (ko) | 2006-02-23 | 2007-04-03 | 이미화 | 건식/습식 겸용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
JP4806458B2 (ja) * | 2009-06-08 | 2011-11-02 | 株式会社呉英製作所 | 工具ガイド機構および深穴明機 |
KR101677173B1 (ko) | 2014-10-22 | 2016-11-18 | 한국도로공사 | 분진 포집 기능을 갖는 코어 드릴 장치 |
KR20180000840A (ko) * | 2016-06-24 | 2018-01-04 | (주)하이테크알파 | 사용수 회수기능을 갖는 유압식 코어 드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용 구멍 천공공법 |
-
2019
- 2019-10-14 KR KR1020190126797A patent/KR1020938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9145Y1 (ko) | 2004-03-31 | 2004-08-21 | 오명환 |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
KR100701334B1 (ko) | 2006-02-23 | 2007-04-03 | 이미화 | 건식/습식 겸용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
JP4806458B2 (ja) * | 2009-06-08 | 2011-11-02 | 株式会社呉英製作所 | 工具ガイド機構および深穴明機 |
KR101677173B1 (ko) | 2014-10-22 | 2016-11-18 | 한국도로공사 | 분진 포집 기능을 갖는 코어 드릴 장치 |
KR20180000840A (ko) * | 2016-06-24 | 2018-01-04 | (주)하이테크알파 | 사용수 회수기능을 갖는 유압식 코어 드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용 구멍 천공공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8380B1 (ko) * | 2021-04-08 | 2021-08-09 | 지원섭 | 직천공 장치 |
KR102337194B1 (ko) * | 2021-04-27 | 2021-12-09 | 주원씨엔시 주식회사 | 중성화 시험장치 |
CN114454348A (zh) * | 2021-12-13 | 2022-05-10 | 湖南鼎盛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墙体钻孔设备及操作方法 |
CN114454348B (zh) * | 2021-12-13 | 2023-12-22 | 长沙鼎盛重工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墙体钻孔设备及操作方法 |
CN115209712A (zh) * | 2022-09-16 | 2022-10-18 | 江苏透平电力技术有限公司 | 一种机电设备散热装置 |
CN115209712B (zh) * | 2022-09-16 | 2022-12-13 | 江苏透平电力技术有限公司 | 一种机电设备散热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3890B1 (ko) |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 |
ES2199175T3 (es) | Dispositivo para filtrar liquidos contaminados. | |
CN109227214A (zh) | 一种稳定加工品质的自动排屑过滤系统 | |
CN114986248B (zh) | 一种具有冷却液清洁功能的数控机床 | |
KR101296799B1 (ko) |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 |
CN112171360B (zh) | 一种数控铣床 | |
KR101348897B1 (ko) | 여과 장치 | |
CN112605890B (zh) | 集尘处理装置 | |
CN211357982U (zh) | 一种数控机床冷却液回收装置 | |
JP2008104921A (ja) | 集塵装置 | |
JPH05113499A (ja) | 害性媒体中の表面の剥落による遠隔掃除をし廃棄物回収及び処理を有する設備 | |
US20080202344A1 (en) | Oil fog separator | |
KR101578758B1 (ko) |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 |
KR101498719B1 (ko) | 열교환기 튜브 세정용 스펀지 볼 탈기함수 장치 | |
CN111592166B (zh) | 一种自动化污水处理设备 | |
KR101760901B1 (ko) | 드레인 필터가 마련된 오일 미스트 집진기 | |
CN210306962U (zh) | 自动清扫废屑的数控加工中心 | |
KR101918729B1 (ko) | 습식 진공청소기 | |
KR101480799B1 (ko) | 로봇청소기의 필터 자동교환장치 | |
CN113601255B (zh) | 一种立式机床 | |
JP2006297381A (ja) | 液体貯蔵タンクの移動式多機能清掃機 | |
CN219945459U (zh) | 一种带有废料收集功能的数控机床 | |
KR101489818B1 (ko) |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 |
CN219253577U (zh) | 一种托盘清洗装置 | |
CN220029049U (zh) | 中央除尘设备及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