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818B1 -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818B1
KR101489818B1 KR20130079544A KR20130079544A KR101489818B1 KR 101489818 B1 KR101489818 B1 KR 101489818B1 KR 20130079544 A KR20130079544 A KR 20130079544A KR 20130079544 A KR20130079544 A KR 20130079544A KR 101489818 B1 KR101489818 B1 KR 10148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washing water
collecting
hou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154A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국 filed Critical 김진국
Priority to KR2013007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8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3Devices for removing chips using the gravity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2Devices for removing scrap from the cutting teeth of circular or non-circula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 B24B55/03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designed as a complete equipment for feeding or clarifying coo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을 배출시킬 때 공급되는 세정수를 수거하기 위한 집수구성이 장치의 하우징에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별도의 세정수 집수장치를 구입함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고, 주변 가공기기 또는 각각의 가공기기에 부설된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통합집수하여 보다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며,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수거트레이가 착탈가능하게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거트레이를 출입시키도록 하기 위한 일측의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공기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이 세정수와 함께 낙하되면, 스크랩을 수집하여 수거트레이로 낙하시키기 위한 통로로 형성된 호퍼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퍼를 통해 스크랩과 함께 낙하되는 세정수를 수거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집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Scrap discharg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water catchment}
본 발명은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을 배출시킬 때 공급되는 세정수를 수거하기 위한 집수구성이 장치의 하우징에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별도의 세정수 집수장치를 구입함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고, 주변 가공기기 또는 각각의 가공기기에 부설된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통합집수하여 보다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기기는 가공대상물을 목적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위해 절단, 절삭, 연마, 프레스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가공기기는 주로 목적하는 제품의 제작라인에 설치되어 CNC 등에 의해 공급된 가공대상물을 자동화 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공기기에 의한 가공작업 중에는 가공대상물에서 상당량의 스크랩(scrap), 칩(chip) 등의 잔폐물(이하, 스크랩)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스크랩은 가공되는 대상물의 가공작업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하기 위해 수시로 배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공기기에서 발생되는 스크랩은 가공기기가 자동화됨에 따라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전용의 배출장치에 의해 수거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2-2998호(정밀 프레스 가공시 스크랩 처리장치, 이하 기출원발명)에는 가공기기 중 프레스장치에 부설되어 프레스 작업시 발생되는 스크랩을 수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기출원발명은「프로그래시브 금형의 정밀 프레스 가공시 발생되는 아주 미세한 스크랩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에 우레탄고무가 설치된 덮개를 체결부재로 체결시켜 구성된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스크랩 처리수단과, 상기 스크랩 처리수단의 덮개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고무호스 및 고정캡으로 형성된 스크랩 흡입수단과 스크랩 처리수단 내부에 진공상태를 유지토록 공기압차이를 발생시키는 공기배출수단으로 설치되어」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출원발명은 정밀프레스 가공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랩(Scrap)을 흡입처리하여 정밀 프레스 가공시 원활한 제품의 가공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출원발명은 작업대상물에서 이탈된 스크랩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해 가공기기의 스크랩이 적치되는 지점이나 스크랩 처리장치의 스크랩이 진입되는 입구에 세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출원발명의 스크랩 처리장치는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저수조, 펌프 등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 장비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가공기기는 특정 제품의 제작 라인에 다수가 배치되고, 이와 같은 가공기기에는 각각 스크랩 처리장치가 수반되기 때문에 스크랩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구성 각각 설치되며, 이들 다수의 세정수 공급구성과 함께 스크랩 배출시 사용된 세정수를 집수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집수배출 구성도 다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집수배출 구성을 구비함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며, 다수의 세정수 배출호스 또는 배출관 등이 작업장의 바닥을 어지럽히게 되어 작업장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을 배출시킬 때 공급되는 세정수를 수거하기 위한 집수구성이 장치의 하우징에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별도의 세정수 집수장치를 구입함에 따른 경비를 절감하고, 주변 가공기기 또는 각각의 가공기기에 부설된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통합집수하여 보다 편리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크랩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며,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수거트레이가 착탈가능하게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거트레이를 출입시키도록 하기 위한 일측의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공기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이 세정수와 함께 낙하되면, 스크랩을 수집하여 수거트레이로 낙하시키기 위한 통로로 형성된 호퍼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퍼를 통해 스크랩과 함께 낙하되는 세정수를 수거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집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는,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용기형태의 구성으로, 사용되어 낙하된 세정수를 집수하여 저수하는 집수챔버와; 상기 집수챔버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집수챔버에 저수된 세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관부와; 주변에 배치된 1이상의 가공장치 또는 각각의 가공장치에 부설된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통합하여 집수하기 위해 주변의 가공장치 또는 스크랩 배출장치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세정수가 집수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집수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거트레이는 스크랩과 함께 세정수가 낙하되면 스크랩이 적치된 상태에서 세정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망사체의 용기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거트레이가 하우징으로 투입되어 정위치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안착부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거트레이는 외측단부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하여 하우징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일측단부를 상측으로 기울여 취출하기 위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경사부와 대응하는 지점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전용의 호퍼에 의해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이 세정수와 함께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게 되며, 공급된 세정수를 수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호퍼 및 세정수 집수배출 구성이 하우징에 일체화되어 별도의 세정수 집수배출 구성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시키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가공기기 또는 이들 각각에 수반되는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단일의 스크랩 배출장치에 일체화되어 형성된 집수배출 구성에 통합집수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다수의 집수배출 구성의 구입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해소시키고, 세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복잡한 배출호스 및 배출관을 간소화시켜 작업장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는 하우징(10), 호퍼(20), 집수부(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크랩은 전술된 것과 같이 가공기기, 특히 자동화 가공기기에서 작업대상물을 가공할 때 발생되는 잔폐물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10)은 내부에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수거트레이(11)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수거트레이(11)를 내부로 출입시키도록 하기 위해 일측, 특히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이 개방부에는 도어(12)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도어(12)는 일측이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되어 여닫이 형태로 개방부를 개폐시키게 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개방부가 길게 형성될 경우 절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12)는 하우징(10) 내부의 수거트레이(11)에 스크랩이 적치되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체의 글라스 도어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수거트레이(11)가 정위치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수거트레이(11)는 후술될 세정수 공급유닛(40)에 의해 스크랩이 세정수와 함께 투입되면 세정수가 저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망체(또는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의 형기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거트레이(11)는 하우징(10)의 개방부를 통해 일측단부(도면상 하우징 외측으로 향하는 단부)를 상측으로 기울여 취출하거나 그 반대형태로 장착시키기 위해 외측단부의 높이(길이)가 감소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수거트레이(11)의 외측단부 하측에는 경사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수거트레이(11)의 경사부(11a)와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13)에는 경사면(13a)이 형성되어 수거트레이(11)가 안착될 때 견고한 장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호퍼(20)는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공기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호퍼(20)는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이 낙하되면, 스크랩을 수집하여 수거트레이(11)로 낙하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집수부(30)는 하우징(1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집수부(30)는 호퍼(20)를 통해 스크랩과 함께 낙하되는 세정수를 수거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집수부(30)는 집수챔버(31), 배출관부(32), 집수관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챔버(31)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어 이미 사용된 세정수를 저수하기 위한 용기형태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집수챔버(31)는 액상의 세정수를 저수하기 위해 적어도 바닥면과 측벽면이 밀폐되어야 함은 당연하며, 저수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홀 등이 형성되어 후술될 배출관부(32)와 연통되어야 한다.
상기 배출관부(32)는 전술된 집수챔버(31)의 드레인 홀에 의해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이와 같은 배출관부(32)는 호스 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관체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일측은 집수챔버(31)와 결합되고 타측은 장치의 외부 측으로 배치되어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부(32) 또는 세정수가 스크랩과 함께 낙하되어 배출되기 이전의 구간 중 어느 일 구간에 수거트레이(11)를 통과한 미세한 스크랩이 세정수와 함께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내측에 여과망(35)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집수관부(33)는 주변에 배치된 1이상의 가공장치 또는 각각의 가공장치에 부설된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통합하여 집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집수관부(33)는 주변의 가공장치 또는 스크랩 배출장치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세정수가 집수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집수관부(33)는 호스 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관체 등으로 적용되고, 이들 호스 또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관체 등과 집수관부(33)가 손쉽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집수챔버(31)에는 1 이상의 결합관체(34)가 형성된다.
도면 중 부호 40은 가공기기 또는 호퍼(20)의 내부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정수 공급기기를 나타내며, 이는 통상의 구성이으로 이상의 기재를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배출장치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스크랩 배출장치는 세정수 공급유닛(40)의 저수조(41)에 저수된 세정수가 펌프(43)에 의해 호퍼(20) 측으로 진행되어 호퍼(20)의 내측에 공급되며, 공급된 세정수는 가공기기에서 발생되어 수거된 스크랩과 함께 호퍼(20)를 통해 하우징(10) 내부의 수거트레이(11)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스크랩과 함께 수거트레이(11)로 낙하된 세정수는 망사체의 수거트레이(11)를 통과하여 하우징(10)의 하측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하측으로 낙하된 세정수는 집수부(30)의 집수챔버(31)로 집수되고, 집수된 세정수는 배출관부(3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크랩 배출장치는 도 6에서와 같이 주변의 가공기기 또는 가공기기에 부설된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통합하여 배출시키기 위해, 각각의 가공기기 또는 스크랩 배출장치는 본 실시예에서 제시된 스크랩 배출장치의 집수관부(33)를 통해 통합적으로 집수되어 배출관부(32)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10: 하우징
20: 호퍼
30: 집수부

Claims (5)

  1.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며,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수거트레이(11)가 착탈가능하게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거트레이(11)를 출입시키도록 하기 위한 일측의 개방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12)가 설치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공기기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공기기에서 발생된 스크랩이 세정수와 함께 낙하되면, 스크랩을 수집하여 수거트레이(11)로 낙하시키기 위한 통로로 형성된 호퍼(20)와;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퍼(20)를 통해 스크랩과 함께 낙하되는 세정수를 수거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집수부(30);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30)는,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용기형태의 구성으로, 사용되어 낙하된 세정수를 집수하여 저수하는 집수챔버(31)와; 상기 집수챔버(31)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집수챔버(31)에 저수된 세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관부(32)와; 주변에 배치된 1이상의 가공장치 또는 각각의 가공장치에 부설된 스크랩 배출장치에서 사용된 세정수를 통합하여 집수하기 위해 주변의 가공장치 또는 스크랩 배출장치와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세정수가 집수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집수관부(33);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수거트레이(11)가 하우징(10)으로 투입되어 정위치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안착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수거트레이(11)는 외측단부의 길이가 감소되도록 하여 하우징(10) 상부의 개방부를 통해 일측단부를 상측으로 기울여 취출하기 위한 경사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3)에는 경사부(11a)와 대응하는 지점에 경사면(13a)이 형성되며, 상기 수거트레이(11)는 스크랩과 함께 세정수가 낙하되면 스크랩이 적치된 상태에서 세정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망사체의 용기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30079544A 2013-07-08 2013-07-08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KR10148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544A KR101489818B1 (ko) 2013-07-08 2013-07-08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9544A KR101489818B1 (ko) 2013-07-08 2013-07-08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154A KR20150006154A (ko) 2015-01-16
KR101489818B1 true KR101489818B1 (ko) 2015-02-04

Family

ID=5256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9544A KR101489818B1 (ko) 2013-07-08 2013-07-08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9814A (zh) * 2015-06-25 2015-09-09 佛山市普拉迪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机床的排水排屑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87B1 (ko) 2007-03-29 2008-03-13 박미선 연삭액 칩 분리장치
KR20080006380U (ko) * 2007-06-15 2008-12-18 신기영 절삭유 재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787B1 (ko) 2007-03-29 2008-03-13 박미선 연삭액 칩 분리장치
KR20080006380U (ko) * 2007-06-15 2008-12-18 신기영 절삭유 재순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9814A (zh) * 2015-06-25 2015-09-09 佛山市普拉迪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加工机床的排水排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154A (ko) 201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2910B2 (en) Worktable apparatus
KR101433210B1 (ko) 가공기기용 스크랩 배출장치
KR102093890B1 (ko)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US20080087333A1 (en) Mobile fluid feeding apparatus for a power tool
KR20150125223A (ko) 청소기
KR101489818B1 (ko) 세정수 통합집수 기능을 갖는 스크랩 배출장치
CN210934081U (zh) 一种污水废渣回收装置
US20160303624A1 (en) Chemcial jug washer and disposal assembly
US10603699B2 (en) Chemical jug washer and disposal assembly
KR101726518B1 (ko) 공작기계용 칩수거장치
CN110841966A (zh) 胶塞清洗预洗系统
KR102205171B1 (ko) 다용도 습식용 진공청소기
KR101593085B1 (ko) 절삭유 이물질 제거장치
CN210938337U (zh) 一种用于机床的排屑机构
KR101760901B1 (ko) 드레인 필터가 마련된 오일 미스트 집진기
CN215147362U (zh) 用于数控机床的移动式切削液收集箱
CN210938112U (zh) 一种用于机床底座和水箱的连接结构
CN104190653A (zh) 医用清洗机
CN209901733U (zh) 一种物料去污用清理装置
CN220949006U (zh) 一种机械配件物料架
CN213673131U (zh) 一种立式加工中心用排屑装置
CN217966878U (zh) 一种用于刀具细抛的工作台
CN215468541U (zh) 一种螺丝件原料切圆装置
CN206651357U (zh) 果蔬振动沥水机
CN215945627U (zh) 一种市政工程用垃圾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