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704B1 - 단자 삽입 검사지그 - Google Patents

단자 삽입 검사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704B1
KR102093704B1 KR1020180170600A KR20180170600A KR102093704B1 KR 102093704 B1 KR102093704 B1 KR 102093704B1 KR 1020180170600 A KR1020180170600 A KR 1020180170600A KR 20180170600 A KR20180170600 A KR 20180170600A KR 102093704 B1 KR102093704 B1 KR 10209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housing
terminal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현
이세연
양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양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양기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017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8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 G01R31/69Testing of releasable connections, e.g. of terminal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erminals at the end of a cable or a wire harness; of plugs; of sockets, e.g. wall sockets or power sockets in appli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된 단자를 당겨 상기 단자의 삽입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로서, 상기 하우징이 안착되는 지그 프레임;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되며, 검사하고자 하는 상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력에 따라 검사 강도를 설정하는 강도 조정부; 및 상기 결합력과 상기 검사 강도의 힘 차이에 따른 상기 단자의 삽입 상태를 확인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동일한 하우징의 단자 결합여부를 확인할 때 균일한 힘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 있으며,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자 삽입 검사지그 {INSPECTION JIG FOR TERMINAL INSERTION}
본 발명은 단자 삽입 검사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결합된 단자가 완전히 결합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이다.
차량의 내부에는 전기의 공급으로 작동되는 각종 부품 및 구동장치 등과 같은 전장품이 장착되어 있으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분배하여 전장품으로 공급하기 위한 정션박스가 구비된다. 이러한 정션박스에는 다수의 와이어가 결합되어 전기를 분배한다.
통상적으로 정션박스에 와이어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지그(10)에 정션박스의 하우징(600)을 안착시킨 후, 하우징(600)에 와이어(800)가 결합된 단자(700)를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단자(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00)에 형성된 단자 삽입홀(610)에 삽입되며, 단자 걸림편(620)이 걸림홈(710)에 걸리면서 하우징(600)에 결합된다. 단자(700)를 하우징(600)에 결합시킨 후에는, 작업자가 와이어(800)를 당겨보는 것으로 단자(700)의 결합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와이어(800)를 당겨보는 것이 검사의 전부이기 때문에, 단자(700)의 결합여부 확인은 작업자에게만 의존해야하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와이어(800)를 당겨 검사하는 작업이 미숙할 경우 단자(700)가 완전히 결합되지 못한 불량을 검출해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렇듯, 단자(700)의 결합 불량을 검출하지 못할 경우, 조립공정 이후 완료 단계인 회로검사 단계에서 불량이 검출된다. 조립공정에서 불량을 검출하지 못하고 회로검사에서 불량이 검출되면 다시 조립공정부터 작업을 수행해야한다. 따라서, 재작업에 따른 시간이 소요되며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회로검사 단계에서도 불량이 검출되지 못한채로 차량에 적용될 경우, 차량의 진동에 의해 단자(700)가 하우징(600)에서 이탈되면서 차량 고장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작업자가 하우징(600)을 파지하여 와이어링(800)을 당기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지그(10)를 사용하더라도 각도, 높이 조절 등이 불가능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균일한 힘으로 단자의 결합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 삽입된 단자를 당겨 상기 단자의 삽입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로서, 상기 하우징이 안착되는 지그 프레임;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 상기 지그 프레임에 결합되며, 검사하고자 하는 상기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력에 따라 검사 강도를 설정하는 강도 조정부; 및 상기 결합력과 상기 검사 강도의 힘 차이에 따른 상기 단자의 삽입 상태를 확인하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그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우징이 결합되며, 상기 단자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가동 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가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강도 조정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볼트; 및 일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조정 볼트에 접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검출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이동에 의한, 상기 상부 프레임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검출 스위치; 및 상기 검출 스위치의 상태가 전환되면 알람을 개시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 스위치는, 오프(OFF) 상태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이 이동되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결합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에 접하도록 복수의 상기 안착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 클램프는, 상기 안착 프레임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이동 레버; 및 상기 이동 레버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접하도록 상기 이동 레버에 결합되는 하우징 접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지그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하우징의 단자 결합여부를 확인할 때 균일한 힘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 있으며, 알람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 결합여부 검사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됨으로써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량 발생으로 인한 시간 및 비용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검사지그에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하우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지그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 공간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지그 프레임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을 고정시켜서 단자 삽입 및 검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자 삽입 검사를 표현한 사진.
도 2는 도 1의 하우징에서 분리된 단자의 예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의 정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에 의한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
도 9는 도 4의 하우징 결합부의 평면도.
도 10은 도 4의 강도 조정부의 단면도.
도 11은 도 4의 검출부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검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이용하여 하우징과 단자의 결합여부를 검사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절단선 Ⅵ-Ⅵ'에 의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4의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4의 하우징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4의 강도 조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4의 검출부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검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이용하여 하우징과 단자의 결합여부를 검사하는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 삽입 검사지그(이하, '검사지그'라고 함.)는, 하우징(600)에 결합된 단자(700)의 결합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그 프레임(100), 고정 프레임(200), 하우징 결합부(300), 강도 조정부(400) 및 검출부(500)로 구성된다. 지그 프레임(100), 고정 프레임(200) 및 하우징 결합부(300)는 검사지그에 하우징(600)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강도 조정부(400)와 검출부(500)는 결합된 하우징(600)에 결합된 단자(700)의 결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아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600)에 삽입된 단자(700)의 결합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작업자가 단자(700)에 결합된 와이어(800)를 당기는 방향을 '당김 방향'이라고 한다.
지그 프레임(100)은 하우징(600)이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이탈 방지부재(130) 및 가이드 레일(140)로 구성된다.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은 사각의 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600)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하부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10)을 지지하면서, 고정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110)은 하부 프레임(12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때, 상부 프레임(110)은 작업자가 단자(700)의 결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와이어(800)를 당기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탈 방지부재(130)는, 상부 프레임(110)의 가동 거리를 제한하여 상부 프레임(1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재(130)는, 일단이 상부 프레임(110)의 일면을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하부 프레임(1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상부 프레임(110)이 이탈 방지부재(130)의 절곡된 단부에 접함으로써 가동 거리가 제한된다.
가이드 레일(140)은, 상부 프레임(11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레일(141)과 블록(142)으로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41)과 블록(142)은 서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본 발명에서는, 레일(141)은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블록(142)은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레일(141)과 블록(142)은 서로 당김 방향으로 직선 운동만 허용한다. 즉, 레일(141)과 블록(142)에 의해, 상부 프레임(110)은 당김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만 허용되고, 그 외의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40)은 복수로 형성되어 상부 프레임(110)의 가동 경로를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레일(141)과 블록(142)이 각각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있으나, 반대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에 가이드 레일(140)을 구성함으로써, 상부 프레임(110)의 가동 경로를 통제할 수 있어 검사지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 프레임(200)은 검사지그를 작업대와 같은 작업공간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120)의 양 측면에 결합된다.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200)의 일단에는 위치 조절부(210)가 형성된다.
위치 조절부(210)는 하부 프레임(12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검사지그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조절부(210)는, 고정 프레임(200)을 절개하여 가이드 홀(211)이 형성되고, 고정 나사(212)가 가이드 홀(211)을 관통하여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가이드 홀(211)은 고정 프레임(200)의 일단에 소정의 길이와 곡률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고정나사(212)가 가이드 홀(211)을 따라 이동되면서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됨으로써, 하부 프레임(120)이 결합되는 각도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고정 프레임(200)에 위치 조절부(210)를 형성하여 지그 프레임(100)을 고정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지그 프레임(100)의 각도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신장, 작업대 높이 등의 작업 조건에 따라 지그 프레임(1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결합부(300)는, 지그 프레임(100)에 안착된 하우징(600)을 상부 프레임(1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하우징 결합부(300)는 하우징(6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지그 프레임(100)에 복수로 형성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프레임(310)과 고정 클램프(320)로 구성된다.
안착 프레임(310)은 지그 프레임(100)에 안착된 하우징(600)과 인접한 곳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고정 클램프(320)는 안착 프레임(31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고정 클램프(320)는 지그 프레임(100)에 형성된 모든 안착 프레임(3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의 안착 프레임(310)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마주보는 방향으로 두 개 이상 형성되어 하우징(6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 클램프(320)는, 안착 프레임(31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이동 레버(321)와 안착 프레임(310)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하우징(600)에 접하는 하우징 접촉판(322)이 형성된다. 하우징 접촉판(322)은 이동 레버(321)에 고정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이동 레버(321)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된다.
이처럼, 하우징 결합부(300)에 이동 가능한 고정 클램프(320)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600)을 탈착시키는 것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 접촉판(322)을 안착 프레임(310) 내부로 완전히 삽입시키면 하우징(600)의 외주면을 따라 유격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탈착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또한, 이동 레버(321)를 통해 하우징 접촉판(32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하우징(6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하우징 결합부(300)를 지그 프레임(100)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하우징(600)에 대응하여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검사지그에 다양한 크기의 하우징(600)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사지그의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공간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생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지그 프레임(100), 고정 프레임(200) 및 하우징 결합부(300)는 언급한 바와 같이, 하우징(600)을 검사지그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거나,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분류된다. 보다 상세하게, 레일(141) 및 하우징 결합부(300)는 상부 프레임(110)과 함께 이동되며, 이탈 방지부재(130) 및 블록(142)은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부 프레임(110)이 이동되는 경우는 단자(700)가 하우징(600)에 완전 결합된 경우로, 하우징(600)에 결합된 단자(700)를 당김 방향으로 당겼을 때, 하우징(600)이 단자(700)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우징(600)이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부 프레임(110)까지 함께 이동된다.
아래에서는, 하우징(600)에 단자(700)가 완전 결합되었을때 상부 프레임(110)이 당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먼저, 검사 지그의 검사 강도를 설정하는 강도 조정부(400)와, 결합력과 검사 강도를 차이에 따라 이동되는 상부 프레임(110)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500)를 설명한다. 여기서 언급되는 검사 강도는, 검사지그에서 하우징(600)과 단자(700)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한 최소한의 힘으로서, 단자(700)가 하우징(600)에 완전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600)과 단자(700) 사이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강도 조정부(400)는, 검사 강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120)에 복수로 형성되며 볼트 하우징(410), 조정 볼트(420) 및 조정 스프링(430)으로 구성된다.
볼트 하우징(410)은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조정 볼트(420)가 결합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볼트(420)는 상부 프레임(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트 하우징(410)과 하부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때, 볼트 하우징(410)이 조정 볼트(420)와 접하는 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이 되도록한다. 조정 스프링(430)은 일단이 조정 볼트(420)에 접하고, 타단이 상부 프레임(110)에 접하도록 결합된다. 이처럼 조정 볼트(420)에 의해 가압되는 조정 스프링(430)은 상부 프레임(110)을 밀어내면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조정 볼트(420)를 상부 프레임(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체결하면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이 길어진다. 그리고 반대로, 조정 볼트(420)를 상부 프레임(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체결하면 상부 프레임(110)이 하부 프레임(120) 측으로 이동되면서 간격이 짧아진다. 즉, 조정 볼트(420)가 볼트 하우징(410)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검사 강도가 조절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볼트(420)가 볼트 하우징(410)에 나사체결되는 것을 일 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볼트 하우징(410)을 구성하지 않고, 하부 프레임(120)이 조정 볼트(420)와 접하는 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을 하부 프레임(1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지지하는 강도 조정부(400)에 의해 조절되는 검사 강도는, 상부 프레임(110)과 이탈 방지부재(130)의 간격으로 가늠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위에서 하우징(600)에 단자(700)가 완전 결합되면, 와이어(800)를 당겼을 때 하우징(600)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그리고, 하우징(600)은 상부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함께 움직인다. 또한, 상부 프레임(110)은 이탈 방지부재(130)에 접하는 높이까지로 가동 범위가 제한된다. 즉, 단자(700)가 완전 결합되면 하우징(600)과 함께 상부 프레임(110)까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하우징(600)과 단자(700) 사이에 요구되는 결합력은 상부 프레임(110)을 이탈 방지부재(130)에 접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수 있는 힘 이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검사 강도를 상부 프레임(110)과 이탈 방지부재(130) 사이의 간격으로 가늠할 수 있는 것이다. 상부 프레임(110)과 이탈 방지부재(130) 사이의 간격이 짧을수록 상부 프레임(110)을 들어올릴 때 필요한 힘은 적어지고, 길어질수록 상부 프레임(110)을 들어올릴 때 필요한 힘이 커지는 것이다. 즉, 상부 프레임(110)과 이탈 방지부재(130) 사이의 간격이 짧아지도록 하여 검사 강도를 감소시키고, 간격이 길어지도록 하여 검사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검사 강도와 하우징(600)과 단자(700) 사이의 결합력의 차이에 의해 단자(700)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단자(700)가 완전 결합되면, 하우징(600)과 단자(700) 사이의 결합력이 검사 강도보다 크다. 따라서, 와이어(800)를 당기면 하우징(600)과 상부 프레임(110)이 당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단자(700)가 불완전 결합 상태일 때는, 하우징(600)과 단자(700) 사이의 결합력이 검사 강도보다 작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110)과 하우징(600)은 움직이지 않고 단자(700)가 하우징(600)에서 분리되면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검사 강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하우징(600)의 단자(700)를 검사할 때, 적절한 힘으로 설정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필요로 하는 하우징(600)을 검사할 때는 검사 강도를 감소시켜 작업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하우징(600)의 단자(700) 결합여부를 검사할때, 다른 작업자가 검사를 수행하더라도 균일한 힘으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항상 같은 결과값을 얻을 수 있어 검사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검출부(500)는, 상부 프레임(110)의 위치를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개시하는 것으로서, 검출 스위치(510)와 알람부(520)가 구성된다.
검출 스위치(510)는, 상부 프레임(110)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서,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의 하면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부 프레임(120)에 내장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도 11(a)와 같이, 검출 스위치(510)는 상부 프레임(110)이 이동되지 않았을 때는 상부 프레임(110)의 하면에 의해 눌려진다. 그리고, 도 11(b)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이 이동되었을 때는, 검출 스위치(510)가 눌려지지 않게 된다. 이처럼, 하부 프레임(120)에 내장되어 결합된 검출 스위치(510)는 상부 프레임(110)과 접촉되어 눌려있는 상태가 오프(OFF) 상태(도 11(a))이고, 접촉되지 않아 눌리지 않은 상태가 온(ON) 상태(도 11(b))이다.
또한 검출 스위치(5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110)의 상면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검출 스위치(510)가 상부 프레임(110)의 상측을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된다. 상부 프레임(110)을 관통하는 지지대에 의해 검출 스위치(510)가 결합되거나, 상부 프레임(110)의 외주면을 피해 지지대가 결합되는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검출 스위치(510)는 이탈 방지부재(130)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10)이 이탈 방지부재(130)에 접하는 높이까지 이동되었을 때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서 검출 스위치(510)는, 상부 프레임(110)과 접촉되지 않아 눌리지 않은 상태가 오프(OFF) 상태(도 12(a))이고, 접촉되어 눌리는 상태가 온(ON) 상태(도 12(b))이다.
위의 두 가지 예시에서 검출 스위치(510)는, 검사를 수행하지 않을 때는 상부 프레임(110)이 이동되지 않으므로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검사를 수행하면 상황에 따라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그리고 검사를 수행할 땐, 단자(700)가 완전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110)이 이동되면 온(ON) 상태로 전환되고, 불완전 결합일 때는 상부 프레임(110)이 이동하지 않아 오프(OFF) 상태를 유지한다.
알람부(520)는 검출 스위치(510)가 온(ON) 상태로 전환되면 작업자에게 상태를 개시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LED와 같은 발광소자를 사용하여 검출 스위치(510)가 온(ON) 상태가 되면 빛을 내어 알릴 수 있다. 또는, 음향소자를 사용하여 버저음을 내도록 하여 알릴 수도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작업자에게 검출 스위치(510)의 온(ON), 오프(OFF) 상태를 개시할 수 있다.
이상의 검출부(500)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검출 스위치(510)와 알람부(52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알람부(520)를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검출 스위치(510)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부(520)의 알람 여부에 따라 단자(700)의 결합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복수의 작업자가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검사지그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단자(700) 결합여부 검사 공정에 사용된다.
작업자는 우선, 위치 조절부(210)를 이용하여 지그 프레임(10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하우징(600)을 지그 프레임(100)에 안착시킨 후, 고정 클램프(320)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하우징(600)이 고정되면, 와이어(800)가 연결된 단자(700)를 단자 삽입홀(610)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단자(700)를 삽입한 후에 와이어(800)를 당김 방향으로 당겨 단자(700)의 결합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도 13(c)와 같이 알람부(520)에 알람이 울리면 단자(700)가 완전 결합된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공정으로 넘어간다. 그러나, 알람부(520)의 알람이 울리지 않고 단자(700)가 하우징(600)에서 빠져 나올경우, 단자(700)의 파손, 마모 등의 불량 유무를 판단하여 교체하거나 다시 단자 삽입홀(610)에 삽입하여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검사지그를 이용할 경우, 설명한 바와 같이, 최소한의 힘으로 단자(700)의 결합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하우징(600)이 지그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하우징(600)을 파지하여 작업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단자(700)와 하우징(600) 사이에 요구되는 결합력에 해당되는 힘만큼만 와이어(800)를 당겨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작업자가 검사 과정에서 사용해야하는 힘을 최소화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700)의 결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와이어(800)에 가하는 힘을 검사 강도로 설정함으로써 다른 작업자가 검사를 수행해도 똑같은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검사 결과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자(700)를 하우징(600)에 삽입하는 단계에서 단자(700)의 결합여부 검사를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후반 공정이나 완제품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지그 프레임 110 : 상부 프레임
120 : 하부 프레임 130 : 이탈 방지부재
140 : 가이드 레일 141 : 레일
142 : 블록 200 : 고정 프레임
210 : 위치 조절부 211 : 가이드 홀
212 : 고정 나사 300 : 하우징 결합부
310 : 안착 프레임 320 : 고정 클램프
321 : 이동 레버 322 : 하우징 접촉판
400 : 강도 조정부 410 : 볼트 하우징
420 : 조정 볼트 430 : 조정 스프링
500 : 검출부 510 : 검출 스위치
520 : 알람부 600 : 하우징
610 : 단자 삽입홀 620 : 단자 걸림편
700 : 단자 710 : 걸림홈
800 : 와이어

Claims (10)

  1. 하우징(600)에 삽입된 단자(700)를 당겨 상기 단자(700)의 삽입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단자 삽입 검사지그로서,
    상기 하우징(600)이 안착되는 지그 프레임(100);
    상기 지그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 삽입 검사지그를 고정시키는 고정 프레임(200);
    상기 하우징(600)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지그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하우징 결합부(300);
    상기 지그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검사하고자 하는 상기 단자(700)와 상기 하우징(600)의 결합력에 따라 검사 강도를 설정하는 강도 조정부(400); 및
    상기 결합력과 상기 검사 강도의 힘 차이에 따라 상기 단자(700)의 삽입 상태를 확인하는 검출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지그 프레임(100)은,
    상기 고정 프레임(200)에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120);
    상기 하우징(600)이 결합되며, 상기 단자(700)를 당기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110); 및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가동 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재(130);
    를 포함하며,
    상기 강도 조정부(400)는,
    상기 하부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볼트(420); 및
    일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110)에 접하고, 타단이 상기 조정 볼트(420)에 접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조정 스프링(4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 프레임(100)은,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가동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 레일(14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5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10)의 이동에 의한, 상기 상부 프레임(110)과의 접촉 여부에 따라 온(ON) 상태와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는 검출 스위치(510); 및
    상기 검출 스위치(510)의 상태가 전환되면 알람을 개시하는 알람부(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510)는,
    오프(OFF) 상태인 것을 기본으로 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110)이 이동되면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결합부(300)는,
    상기 상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안착 프레임(310); 및
    상기 하우징(600)에 접하도록 복수의 상기 안착 프레임(31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 클램프(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램프(320)는,
    상기 안착 프레임(31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이동 레버(321); 및
    상기 이동 레버(321)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600)에 접하도록 상기 이동 레버(321)에 결합되는 하우징 접촉판(32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200)은,
    상기 지그 프레임(100)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위치 조절부(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210)는,
    상기 고정 프레임(200)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가이드 홀(211); 및
    상기 가이드 홀(2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홀(211)을 관통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고정 나사(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삽입 검사지그.
KR1020180170600A 2018-12-27 2018-12-27 단자 삽입 검사지그 KR10209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00A KR102093704B1 (ko) 2018-12-27 2018-12-27 단자 삽입 검사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600A KR102093704B1 (ko) 2018-12-27 2018-12-27 단자 삽입 검사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704B1 true KR102093704B1 (ko) 2020-03-26

Family

ID=6995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600A KR102093704B1 (ko) 2018-12-27 2018-12-27 단자 삽입 검사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7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555B1 (ko) * 2012-11-07 2014-04-23 주식회사 하닉스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당김 체크용 홀더 어셈블리
KR200486098Y1 (ko) * 2016-12-07 2018-04-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안착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555B1 (ko) * 2012-11-07 2014-04-23 주식회사 하닉스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당김 체크용 홀더 어셈블리
KR200486098Y1 (ko) * 2016-12-07 2018-04-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안착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828B2 (en) Load supporting belt
KR101750243B1 (ko)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 단자 검사장치
WO2006117989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器
KR101606569B1 (ko) 차량용 케이블의 검사장치
KR102093704B1 (ko) 단자 삽입 검사지그
KR101310359B1 (ko) Led 칩 검사 장치
KR20210035589A (ko) 디스플레이 패널 테스트 장치
KR20150129935A (ko)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KR102093705B1 (ko) 단자 삽입 검사지그
KR102187079B1 (ko) 단자 삽입 검사지그
KR20150065335A (ko) 얼라이먼트 검사지그
CN213462528U (zh) 一种pcb板穿线焊接分离机构
KR100759080B1 (ko) 전자모듈 검사용 소켓
KR100773309B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및 그 공정
WO2006117988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の導通検査器
JP2012032225A (ja) 導通検査治具の取付構造
JP2001201528A (ja) 配線基板等の導通試験装置
JP2017098092A (ja) ワイヤーハーネス製造支援装置及びコネクタバー
JP2021090974A (ja) 加工状態検査装置
KR102438891B1 (ko) 지중배전상태 점검기능을 구비한 안전형 지중배전선 지지트레이
KR20060086933A (ko) 단자의 삽입량 검사 장치
KR101535285B1 (ko) 납땜 장치
CN1518165A (zh) 检查接头锁定的装置及方法
JP5027032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への電線端子の挿入状態確認装置及び挿入状態検知方法
KR101511757B1 (ko) 케이블 납땜상태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