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79B1 - 피가공물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피가공물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79B1
KR102093479B1 KR1020190161291A KR20190161291A KR102093479B1 KR 102093479 B1 KR102093479 B1 KR 102093479B1 KR 1020190161291 A KR1020190161291 A KR 1020190161291A KR 20190161291 A KR20190161291 A KR 20190161291A KR 102093479 B1 KR102093479 B1 KR 10209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astening
support
upper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석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9016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5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장치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피가공물을 다음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장소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피가공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공장치로부터 가공된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가공물 이송 장치{WORKPIECE CONVEYING DEVICE}
본 발명은 피가공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 장치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피가공물을 다음 공정이 수행되고 있는 장소까지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피가공물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파이프는 1공정과 2공정으로 나누어 제적되는데, 1공정은 코일형상으로 감겨진 철판스트립(STRIP)을 순차적으로 풀어 성형장치에 공급하여 성형장치를 통과시키면서 성형시키고, 성형된 금속 파이프를 1차교정기와 2차교정기를 차례로 통과시켜 진원도와 직선상태를 반복적으로 교정시켜 주며, 교정된 금속파이프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연마기를 통과시켜 외주면을 연마시킨 후에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시켜 적재한다.
또한, 2공정은 상기의 적재된 파이프를 세척하고(스테인레스재질의 파이프일 경우는 산세척을 한다) 이어서, 검사기 및 라 벨인쇄기가 장착된 이송장치에 개별적으로 적재한다.
상기와 같이 적재된 파이프는 1개씩 이송장치의 롤러위로 올려놓고 롤러를 회전시켜 파이프를 검사기에 통과시켜 크랙이나 진원도등을 검사하고 이어서, 표면에 상표 및 라벨을 인쇄하고 다시 적재하여 보관 및 출하한다.
그런데, 상기에서 세척된 파이프를 1개씩 이송롤러 위로 올리는 과정에서 현재는 부채꼴 모양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적층된 파이프를 하나씩 들어올려 이송롤러에 내려놓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올려지는 파이프는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이송롤러로 떨어지게 됨으로 파이프에 강한 충격이 전해지고, 또한, 잦은 이송롤러의 파손 및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이송롤러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 또한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파이프에 전해지는 강한 충격에 의하여 파이프가 검사기의 검사에서 불량으로 처리되어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65898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0704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이송 롤러와 지지 프레임 간에 탈부착 구조를 구현하고, 이송 롤러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피가공물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이송 롤러와 상부 수평 프레임 간의 탈부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피가공물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안착홈의 각 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각각 설치되어 안착홈에 안착되는 체결 하우징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피가공물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장치로부터 가공된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바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또는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받침대; 및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대향하며 설치되는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는 간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일측이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에 안착되며, 가공장치로부터 피가공물이 전달되면 회전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및 상기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체결 유닛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부 일측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체결 유닛이 삽입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체결 유닛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 및 일측면이 개방 형성되는 체결 하우징; 및 상기 안착홈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체결 하우징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하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기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체결뭉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하우징은,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기 체결뭉치의 전단 상부 및 후단 하부를 체결하기 위한 걸림턱이 전단 상부 및 후단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전단에 상기 체결뭉치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가 상기 받침대의 전단과 벽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안착홈의 각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안착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체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삽입홈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며, 전면에 상기 케이스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의 전단에서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케이스가 상기 실린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유체를 압축시켜 주는 지지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전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방향으로 밀착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In)된 상기 지지 피스톤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로부터 슬라이딩 아웃(Out)시켜 주는 회귀 스프링; 및 상기 실린더로부터 반대면에 설치되는 다른 탄성 지지 유닛의 실린더로 유체를 전달하는 유체 전달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송 롤러와 지지 프레임 간에 탈부착 구조를 구현하고, 이송 롤러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피가공물에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감소시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롤러와 상부 수평 프레임 간의 탈부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일부 이송 롤러가 고장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 손쉽게 분리시킨 뒤 교체할 수 있어 정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안착홈의 각 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각각 설치되어 안착홈에 안착되는 체결 하우징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이송 롤러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탄성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안착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탄성 지지 유닛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 이송 장치(10)는, 이송부(10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이송부(100)는, 절단기 등과 같은 가공장치(P)로부터 가공된 피가공물(P)을 전달받아 다음 공정이 수행되는 장소로 이송하며, 하측에 설치된 지지부(200)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지지부(200)는, 후술하는 다수 개의 프레임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송부(1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이송부(10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200)는, 하부 수평 프레임(210), 상부 수평 프레임(220), 수직 프레임(230), 받침대(240) 및 간격 프레임(2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수평 프레임(210)은, 바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수직되도록 수직 프레임(230)이 설치된다.
상부 수평 프레임(220)은 수직 프레임(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하부 수평 프레임(210)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하부 수평 프레임(210)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며,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220a)과의 사이를 따라 간격 프레임(250)이 설치된다.
수직 프레임(230)은, 하부 수평 프레임(210)과 상부 수평 프레임(220)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하부 수평 프레임(210)의 상측에서 상부 수평 프레임(220)을 지지하며, 하측에 받침대(240)가 연결 설치된다.
받침대(240)는, 수직 프레임(230)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직 프레임(230)을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줌에 따라 하부 수평 프레임(210) 또는 상부 수평 프레임(22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간격 프레임(250)은, 상부 수평 프레임(220)과 상부 수평 프레임(220)과 대향하며 설치되는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220a)을 따라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공물 이송 장치(10)는, 이송 롤러와 지지 프레임 간에 탈부착 구조를 구현하고, 이송 롤러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이송 과정에서 피가공물에 발생될 수 있는 파손을 감소시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송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00)는, 이송 롤러(110) 및 체결 유닛(120)을 포함한다.
이송 롤러(110)는, 일측이 상부 수평 프레임(220)의 안착부(222)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220a)에 안착되며, 가공장치(20)로부터 피가공물(P)이 전달되면 회전하여 이송시키며, 안착부(222)에 안착되는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체결 유닛(120)이 설치된다.
체결 유닛(120)은, 이송 롤러(110)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부 수평 프레임(220) 및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220a)에 체결되어 상부 수평 프레임(220)과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220a) 사이에서 이송 롤러(1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수평 프레임(220)은, 프레임 바디(221) 및 안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바디(2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송 롤러(110)와 대향하는 상부 일측을 따라 안착부(222)가 형성된다.
안착부(222)는, 체결 유닛(1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 바디(221)의 상부 일측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10cm 내지 50cm 등)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00)는, 상부 수평 프레임(220)과 탈부착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일부 이송 롤러(110)가 고장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한 경우 손쉽게 분리시킨 뒤 교체할 수 있어 정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222)는, 안착홈(2221), 체결 하우징(2222) 및 탄성 지지 유닛(2223)을 포함한다.
안착홈(2221)은, 체결 하우징(22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으로 프레임 바디(221)의 상부 일측에서 함몰 형성되고, 각 면에는 탄성 지지 유닛(2223)이 설치된다.
체결 하우징(2222)은, 안착홈(222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2221)에 안착되며, 체결 유닛(120)의 체결뭉치(123)가 삽입되기 위한 내부 공간(S)과 체결 유닛(120)이 내부 공간(S)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 및 일측면이 개방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하우징(2222)은, 내부 공간에 삽입된 체결뭉치(123)의 전단 상부 및 후단 하부를 체결하기 위한 걸림턱이 전단 상부(2222a) 및 후단 하부(2222b)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전단에 체결뭉치(123)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2222c)가 배치되고, 받침대(2222c)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2222e)가 받침대(2222c)의 전단과 벽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2222c)의 전면에 탄성체(2222e)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대(2222d)가 설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탄성 지지 유닛(2223)은, 안착홈(2221)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어 안착홈(2221)에 안착된 체결 하우징(2222)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도 4는 도 2의 체결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체결 유닛(120)은, 지지 프레임(121), 체결부(122) 및 체결뭉치(123)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21)은, 이송 롤러(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1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체결부(122)가 형성된다.
체결부(122)는, 지지 프레임(121)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체결뭉치(123)의 양측(H)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체결뭉치(123)는, 체결 하우징(2222)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하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R)되며,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체결부(122)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도 5는 도 3의 탄성 지지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지지 유닛(2223)은, 케이스(2223a), 지지 플레이트(2223b) 및 지지 스프링(2223c)을 포함한다.
케이스(2223a)는, 안착홈(2221)의 각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2221a)에 안착되며, 일측(A)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지지 스프링(2223c)가 삽입 설치된다.
지지 플레이트(2223b)는, 케이스(2223a)에서 개구부(A)를 형성하는 일측에 안착되어 지지 스프링(2223c)에 의하여 지지되며, 안착홈(2221)에 안착된 체결 하우징(2222)을 지지한다.
지지 스프링(2223c)은, 케이스(2223a)의 개구부(A)를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케이스(2223a)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플레이트(2223b)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지지 유닛(222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221)의 각 면(2221A, 2221B, 2221C 및 2221D)에 형성되는 삽입홈(2221a, 2221b, 2221c 및 2221d)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안착홈(2221)에 안착되는 체결 하우징(2222)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이송 롤러(11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탄성 지지 유닛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탄성 지지 유닛(2223)은, 케이스(2223a), 지지 플레이트(2223b), 지지 스프링(2223c), 실린더(2223d), 지지 피스톤(2223e), 회귀 스프링(2223f) 및 유체 전달관(2223g)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2223a), 지지 플레이트(2223b) 및 지지 스프링(2223c)은, 도 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린더(2223d)는, 삽입홈(2221a)에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유체가 수용되며, 지지 피스톤(2223e)가 삽입되어 연결 설치되며, 전면을 따라 회귀 스프링(2223f)이 설치된다.
지지 피스톤(2223e)은, 실린더(2223d)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어 회귀 스프링(2223f)에 의하여 지지되며, 전면에 케이스(2223a)가 고정 설치되어 실린더(2223d)의 전단에서 케이스(2223a)를 지지하며, 케이스(2223a)가 실린더(2223d)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2223d)에 수용된 유체를 압축시켜 준다.
회귀 스프링(2223f)은, 실린더(2223d)의 전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어 실린더(2223d) 방향으로 밀착되어 실린더(2223d)의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In)된 지지 피스톤(2223e)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실린더(2223d)로부터 슬라이딩 아웃(Out)시켜 준다.
유체 전달관(2223g)은, 실린더(2223d)로부터 반대면에 설치되는 다른 탄성 지지 유닛(2223-1)의 실린더(2223d)로 유체를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예에 따른 탄성 지지 유닛(2223)는, 안착홈(2221)에 안착된 체결 하우징(2222)가 일측으로 편향될 경우 편향된 위치에 설치된 탄성 지지 유닛(2223)으로부터 반대측 벽면에 설치되는 다른 탄성 지지 유닛(2223-1)으로 유체를 공급시켜 다른 탄성 지지 유닛(2223-1)을 신장시켜 안정적으로 체결 하우징(2222)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피가공물 이송 장치
100: 이송부
110: 이송 롤러
120: 체결 유닛
200: 지지부
210: 하부 수평 프레임
220: 상부 수평 프레임
230: 수직 프레임
240: 받침대
250: 간격 프레임

Claims (2)

  1. 가공장치로부터 가공된 피가공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바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과 대향하며 연장 형성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 수평 프레임 또는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받침대; 및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대향하며 설치되는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는 간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일측이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에 안착되며, 가공장치로부터 피가공물이 전달되면 회전하여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 및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 및 다른 일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 및 상기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과 상기 다른 상부 수평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체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수평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프레임 바디; 및 상기 체결 유닛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 바디의 상부 일측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상기 체결 유닛이 삽입되기 위한 내부 공간과 상기 체결 유닛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면 및 일측면이 개방 형성되는 체결 하우징; 및 상기 안착홈의 각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체결 하우징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탄성 지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이송 롤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롤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단 하부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상기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체결뭉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하우징은,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기 체결뭉치의 전단 상부 및 후단 하부를 체결하기 위한 걸림턱이 전단 상부 및 후단 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내부 공간의 전단에 상기 체결뭉치의 전단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배치되고, 상기 받침대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탄성체가 상기 받침대의 전단과 벽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지지 유닛은, 상기 안착홈의 각 내측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안착되며,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체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피가공물 이송 장치.
  2. 삭제
KR1020190161291A 2019-12-06 2019-12-06 피가공물 이송 장치 KR10209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91A KR102093479B1 (ko) 2019-12-06 2019-12-06 피가공물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291A KR102093479B1 (ko) 2019-12-06 2019-12-06 피가공물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79B1 true KR102093479B1 (ko) 2020-03-25

Family

ID=7000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291A KR102093479B1 (ko) 2019-12-06 2019-12-06 피가공물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29B1 (ko) 2020-06-15 2021-04-21 오귀연 언코일러장치
KR102265475B1 (ko) 2020-06-15 2021-06-16 오귀연 프레스장치
KR102461912B1 (ko) * 2021-11-30 2022-11-01 주식회사 삼진레이저산업 이송 기능이 부가된 레이저 커팅용 피가공물 지지장치
KR102524376B1 (ko) * 2022-11-10 2023-04-20 이정란 목재 가구 엣지 마감 장치
KR102525083B1 (ko) * 2022-12-18 2023-04-21 김문철 호이스트 새들 제작용 지그 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7188A (en) * 1936-03-23 1937-04-13 Mathews Conveyer Co Roller conveyer
JPH0672957U (ja) * 1993-03-12 1994-10-11 三機工業株式会社 ローラコンベヤ用軸受ホルダ
JP2005104604A (ja) * 2003-09-29 2005-04-21 Ito Denki Kk 支軸の固定装置、並びに、搬送装置
KR100665898B1 (ko) 2005-12-15 2007-01-10 배필만 금속파이프 이송장치
JP2010013220A (ja) * 2008-07-02 2010-01-21 Tomei Kosan Kk 搬送装置
JP2010111492A (ja) * 2008-11-07 2010-05-20 Makitekku:Kk ローラコンベヤ
KR20130002436A (ko) *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롤러스탠드
KR20130134379A (ko) * 2012-05-31 2013-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완충장치
KR20140007044A (ko) 2012-07-05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 장치
WO2017186428A1 (de) * 2016-04-27 2017-11-02 Zf Friedrichshafen Ag Rollenbahn mit federnd gelagerten tragrollen und gussstück-waschanlage mit solcher rollenbahn
KR20180108054A (ko) * 2017-03-23 2018-10-04 주복용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7188A (en) * 1936-03-23 1937-04-13 Mathews Conveyer Co Roller conveyer
JPH0672957U (ja) * 1993-03-12 1994-10-11 三機工業株式会社 ローラコンベヤ用軸受ホルダ
JP2005104604A (ja) * 2003-09-29 2005-04-21 Ito Denki Kk 支軸の固定装置、並びに、搬送装置
KR100665898B1 (ko) 2005-12-15 2007-01-10 배필만 금속파이프 이송장치
JP2010013220A (ja) * 2008-07-02 2010-01-21 Tomei Kosan Kk 搬送装置
JP2010111492A (ja) * 2008-11-07 2010-05-20 Makitekku:Kk ローラコンベヤ
KR20130002436A (ko) * 2011-06-29 2013-01-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롤러스탠드
KR20130134379A (ko) * 2012-05-31 2013-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컨베이어용 완충장치
KR20140007044A (ko) 2012-07-05 2014-01-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 장치
WO2017186428A1 (de) * 2016-04-27 2017-11-02 Zf Friedrichshafen Ag Rollenbahn mit federnd gelagerten tragrollen und gussstück-waschanlage mit solcher rollenbahn
KR20180108054A (ko) * 2017-03-23 2018-10-04 주복용 컨베이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029B1 (ko) 2020-06-15 2021-04-21 오귀연 언코일러장치
KR102265475B1 (ko) 2020-06-15 2021-06-16 오귀연 프레스장치
KR102461912B1 (ko) * 2021-11-30 2022-11-01 주식회사 삼진레이저산업 이송 기능이 부가된 레이저 커팅용 피가공물 지지장치
KR102524376B1 (ko) * 2022-11-10 2023-04-20 이정란 목재 가구 엣지 마감 장치
KR102525083B1 (ko) * 2022-12-18 2023-04-21 김문철 호이스트 새들 제작용 지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479B1 (ko) 피가공물 이송 장치
JP5168594B2 (ja) 基板搬送設備
KR100665898B1 (ko) 금속파이프 이송장치
CN110682169A (zh) 一种镀后活塞杆组件的抛光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US9233441B2 (en) Machining system
CN105921802A (zh) 一种钢材切割机
CN114088285A (zh) 一种农用机械压力管连接头安装与检测装置
KR100519171B1 (ko) 배관 이송투입장치
KR102277726B1 (ko) 프레스용 제품 적재 자동화 장비
DE69922910D1 (de) Modulare Station zum automatischen Laden und Entladen von Gegenständen aus Keramik
KR100971477B1 (ko) 링 형상 가공물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CN210878907U (zh) 一种镀后活塞杆组件的抛光加工设备
JP5236635B2 (ja) 可撓性のホース状形成物、特に袋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JP6492530B2 (ja) 搬送装置
KR20170021447A (ko) 판유리의 하역이 용이하도록 한 판유리 적재대
JP7138449B2 (ja) 部品集積装置
KR101153781B1 (ko) 트레이 구조체 및 제품 이송 장치
KR101374226B1 (ko) 렌즈용 트레이 및 지그 세척장치
CN109748074A (zh) 轴类工件装夹机用上下料装置
JPH07125892A (ja) ラップ巻取機における原反紙管供給装置
KR20160047723A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및 이를 이용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JP4988496B2 (ja) 平面研削盤、そのローディング装置及びワークローディング方法
CN214444918U (zh) 加工送料机
CN111063644B (zh) 用于半导体加工设备的卸料装置及半导体加工设备
CN216035400U (zh) 一种包装机的自动送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