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36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36B1
KR102093436B1 KR1020150071907A KR20150071907A KR102093436B1 KR 102093436 B1 KR102093436 B1 KR 102093436B1 KR 1020150071907 A KR1020150071907 A KR 1020150071907A KR 20150071907 A KR20150071907 A KR 20150071907A KR 102093436 B1 KR102093436 B1 KR 10209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hell
shield
receptacle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682A (ko
Inventor
최정훈
최경해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8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인슐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쉘; 및 쉘에 수용된 인슐레이터의 일 방향에서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쉴드를 포함하되, 쉘과 쉴드는 인슐레이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쉴드만이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접지 연결 구조가 변경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새로운 USB 규격인 C 타입(type-c) USB 커넥터의 세부 정보가 IDF(Intel Developer Forum)에서 공개되었다. C 타입 USB 커넥터는 USB 2.0 Micro-B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방향에 구애받지 않아 플러그 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C 타입 USB 커넥터는 기존 USB 3.0보다 2배 빠른 10Gbps에 이르는 전송속도를 가지며, 100W까지 전력 공급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이 예상된다.
다만, C 타입 USB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 주로 사용되는 Micro-USB에 비해 그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C 타입 USB 커넥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이용하는 경우,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스마트폰의 하단에 Micro-USB 커넥터가 장착되고, Micro-USB 커넥터의 상부에는 내장형 칩 안테나가 장착된다. 이 때, 내장형 칩 안테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와 연결되는 Micro-USB 커넥터의 쉘의 수직 방향에 내장형 칩 안테나가 위치되지 않도록 배열한다. 왜냐하면, 내장형 칩 안테나로 수신된 RF 신호가 접지에 연결된 쉘에 의해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접지와 연결되는 쉘의 수직 방향에 내장형 칩 안테나가 위치되는 경우, 쉘과 내장형 칩 안테나 사이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이 내장형 칩 안테나로 수신되는 신호를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장형 안테나의 성능이 악화될 수 있다.
그러나, Micro-USB 커넥터에 비해 크기가 큰 C 타입 USB 커넥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크기로 인해, 접지와 연결되는 쉘과 내장형 칩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더욱 인접하게 되어 내장형 칩 안테나의 송수신 능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 연결 구조를 변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내장협 칩 안테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PCB에 대한 실장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쉘; 및 상기 쉘에 수용된 인슐레이터의 일 방향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쉴드를 포함하되, 상기 쉘과 상기 쉴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쉴드만이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일부가 상기 쉘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쉴드는, 상기 쉘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쉘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쉘과 상기 쉴드는, 0.635mm 내지 0.725mm의 거리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쉘의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쉘의 단부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쉴드가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 방향에서 결합될 때, 상기 쉴드의 단부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게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상기 컨택트 어레이의 접점부의 후방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와 접촉하는 RFI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 패드는, 상기 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쉘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RFI 패드는, 상기 쉴드와 레이저 웰딩(Laser Welding)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쉴드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PCB에 솔더링되는 딥 솔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형 칩 안테나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쉘의 수직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쉴드의 수직 방향에는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 연결 구조를 변경하여,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내장협 칩 안테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PCB에 대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연결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2 인슐레이터의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돌출부의 예시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 2 인슐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인슐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가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부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부품들의 종류는 하나의 예시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도 1에 도시된 구성 부품들 중 일부는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부품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구성 부품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 미드 플레이트(130), 제 1 컨택트 어레이(150), 제 2 컨택트 어레이(210),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30),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 패드(300), 쉘(400) 및 쉴드(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는 미드 플레이트(130) 및 제 1 컨택트 어레이(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제 1 인슐레이터(100)(도 7 참조)를 구성한다.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의 재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일 수 있고, 미드 플레이트(130)와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의 재질은 예를 들어, 도전성의 금속일 수 있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의 일부의 컨택트들은 표면 실장 구조를 가지고, 다른 일부의 컨택트들은 딥 솔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30)는 후술할 제 1 인슐레이터(100) 및 제 2 컨택트 어레이(210)를 내부에 포함하여 제 2 인슐레이터(200)(도 4 참조)를 구성한다.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30)의 재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일 수 있고,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의 재질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일 수 있다.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의 모든 컨택트들은 표면 실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는 다수개의 컨택트 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열 방향으로 배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될 플러그 커넥터에게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동시에, PCB에 실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저면 또는 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의 후방 영역은 PCB에 실장되는 실장부(150a, 210a)이며,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의 전방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에게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접점부(150b, 210b)이다.
미드 플레이트(13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 사이에 위치된다. 미드 플레이트(13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를 통해 흐르는 신호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를 통해 흐르는 신호 사이의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미드 플레이트(13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를 통해 흐르는 신호가 발산될 때, 해당 신호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가 아닌 접지로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드 플레이트(130)는 결합 돌기(132)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돌기(132)와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대응 돌기(12)는 서로 맞물리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10)를 서로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132)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결합되거나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분리될 때, 플러그 커넥터(10)의 대응 돌기(12)와 맞물리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일정 정도 방해하는 걸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정확하게 분리되었는지를 인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드 플레이트(13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제 2 인슐레이터(200) 중 제 1 컨택트 어레이(150) 및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의 접점부(150b, 210b)가 배치되는 영역(텅(tongue) 영역)에서 상기 제 1 컨택트 어레이(150), 제 2 컨택트 어레이(210) 및 미드 플레이트(130)의 체결 또는 조립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RFI 패드(300)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도중에 컨택트 어레이(150, 210)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를 통해 고속의 신호가 흐르면, 어느 하나의 컨택트를 통해 흐르는 신호가 다른 컨택트에 흐르는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접지와 연결되는 RFI 패드(300)는 어느 하나의 컨택트를 통해 흐르는 신호가 발산될 때, 발산되는 신호를 다른 컨택트가 아닌 RFI 패드(300)로 흐르게 함으로써, 컨택트 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쉘(40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후방에서 제 2 인슐레이터(200)를 내부에 수용한다.
쉴드(5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쉘(400)에 수용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후방에서 제 2 인슐레이터(200)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쉴드(500)는 컨택트 어레이(150, 210)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될 때, 송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가 후방 또는 상부 방향으로 발산되어 안테나 등의 전기 소자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쉴드(500)는 접지 역할을 함으로써, 컨택트 어레이(150, 2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가 안테나 등의 전기 소자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600)는 C 타입 USB 리셉터클 커넥터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는 제 2 인슐레이터(200), 쉘(400) 및 쉴드(50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200)는 다수의 컨택트들의 집합인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를 내부에 포함한다. 제 2 인슐레이터(200)에는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가 배치되는 다수의 슬롯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00)에는 RFI 패드(30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00)가 쉘(400)의 내부에 수용될 때,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일부는 쉘(400)의 외부로 노출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쉘(400)의 전방에서 쉘(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제 1 컨택트 어레이(150) 및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쉴드(500)는 쉘(400)의 외부로 노출된 제 2 인슐레이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쉴드(500)는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후방으로 노출된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제 2 컨택트 어레이(210)를 통해 신호가 송수신될 때, 송수신되는 신호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가 후방으로 발산되어 안테나 등의 전기 소자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USB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컨택트 어레이를 통해 흐르는 신호의 발산 또는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인슐레이터와 컨택트 어레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구성들, 예를 들어, 금속 재질의 쉘 등을 접지에 연결시킨다.
그러나,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쉘(400)과 쉴드(500)는 제 2 인슐레이터(200)를 경계로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쉘(400)과 쉴드(500)를 PCB에 실장할 때, 쉴드(500)만을 PCB를 통해 접지에 연결시킴으로써, 쉘(400)이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쉘(400)과 쉴드(50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쉴드(500)만이 접지에 연결되므로 쉘(400)은 접지에 연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를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하더라도 쉘(400)과 내장형 안테나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극복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확대도이다.
도 5를 보면,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상부에는 돌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40)를 중심으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전방에는 쉘(400)의 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부(242)가 형성되고,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후방에는 쉴드(500)의 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부(244)가 형성된다.
돌출부(240)는 제 2 인슐레이터(200)가 쉘(400)의 후방에서 쉘(400)의 내부로 수용될 때, 제 2 인슐레이터(200)의 전진을 차단하는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하고, 마찬가지로, 돌출부(240)는 제 2 인슐레이터(200)의 후방에서 쉴드(500)가 결합될 때, 쉴드(500)의 전진을 차단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 2 인슐레이터(200)와 쉘(400)이 결합되고, 제 2 인슐레이터(200)와 쉴드(500)가 결합되면, 쉘(400)과 쉴드(500)는 돌출부(24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쉘(400)과 쉴드(500) 각각이 제 2 인슐레이터(200)에 결합되었을 때, 쉘(400)의 단부와 쉴드(500)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0.635mm 내지 0.725mm만큼 이격되도록 제 2 인슐레이터(200)가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40)의 폭(w)을 0.635mm 내지 0.725mm로 제작함으로써, 쉘(400)의 단부와 쉴드(500)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0.635mm 내지 0.725mm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는, C 타입(type-c) USB 규격에 의할 때, 쉘(400)과 접지에 연결되는 RFI 패드(300) 사이의 거리가 0.635mm 내지 0.725mm만큼 이격되기 때문에, 이와 마찬가지로, 쉘(400)과 쉴드(500) 사이의 거리를 이격시키는 것이다.
도 5는 돌출부(240)를 ┛┗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쉘(400)과 쉴드(500)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돌출부(24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사선 방향으로 볼록하고, 후방 사선 방향으로 오목한
Figure 112015049507454-pat00001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사선 방향으로 오목하고, 후방 사선 방향으로 볼록한
Figure 112015049507454-pat00002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전술한, RFI 패드(300)는 컨택트 어레이(150, 210)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 간섭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RFI 패드(300) 역시 접지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쉴드(500)와 RFI 패드(3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쉘(400)과 RFI 패드(300)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된다. 쉴드(500)와 RFI 패드(300)는 도 3에 도시된 레이져 웰딩(Laser Welding)(53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RFI 패드(300) 중 쉘(4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과 쉴드(500)가 서로 레이져 웰딩(Laser welding)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제 2 인슐레이터(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 1 인슐레이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을 보면, 제 2 인슐레이터(200)는 제 2 인슐레이터 몸체(230)의 내부에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와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방식으로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제 2 컨택트 어레이(210)와 제 1 인슐레이터(100)를 인서트 몰딩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뒤, 인서트 몰딩 금형 내부로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 몰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보면, 제 1 인슐레이터(100)는 제 1 인슐레이터 몸체(110)의 내부에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미드 플레이트(130)를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몰딩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컨택트 어레이(150)와 미드 플레이트(130)를 인서트 몰딩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뒤, 인서트 몰딩 금형 내부로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 몰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측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보면, 쉘(400)과 쉴드(500)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PCB(700)에 실장되는 딥 솔더부(410, 5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딥 솔더부(410, 510)를 통해 쉘(400)과 쉴드(500)가 PCB(7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쉘(400)의 딥 솔더부(410)는 PCB(700)의 접지에 연결되지 않고, 쉴드(500)의 딥 솔더부(510)만이 PCB(700)의 접지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는 쉘(400) 뿐만 아니라, 쉴드(500)에도 딥 솔더부(510)를 형성하여, 쉴드(500)를 PCB(700)에 실장시킬 수 있으므로,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전체적인 실장 강도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가 적용된 휴대 단말기(1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휴대 단말기(1100)를 스마트폰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100)는 리셉터클 커넥터(600)와 내장형 칩 안테나(1110)가 장착되는 단말 장치라면, 테블릿 PC, 노트북 등 어떠한 종류의 단말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쉴드(500)만이 접지에 연결되므로, 내장형 칩 안테나(1110)를 휴대 단말기(1100)에 장착할 때, 내장형 칩 안테나(1110)가 쉘(400)의 수직 방향에 위치되고, 쉴드(500)의 수직 방향에는 위치되지 않게끔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 쉴드(500)에 의해 안테나(111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는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접지 연결 구조를 변경하여, 휴대용 단말기 등에 리셉터클 커넥터(600)를 적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내장협 칩 안테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600)는 리셉터클 커넥터(600)의 실장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 1 인슐레이터 110: 제 1 인슐레이터 몸체
130: 미드 플레이트 150: 제 1 컨택트 어레이
150a: 실장부 150b: 접점부
200: 제 2 인슐레이터 210: 제 2 컨택트 어레이
210a: 실장부 210b: 접점부
230: 제 2 인슐레이터 몸체 240: 돌출부
242: 제 1 결합부 244: 제 2 결합부
300: RFI 패드 400: 쉘
410: 딥 솔더부 500: 쉴드
510: 딥 솔더부 600: 리셉터클 커넥터
700: PCB 1100: 휴대 단말기
1110: 내장형 칩 안테나

Claims (9)

  1.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쉘; 및
    상기 쉘에 수용된 인슐레이터의 일 방향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쉴드를 포함하되,
    상기 쉘과 상기 쉴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쉴드만이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인슐레이터는,
    일부가 상기 쉘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쉴드는,
    상기 쉘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쉘의 외부에 노출된 상기 인슐레이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과 상기 쉴드는,
    0.635mm 내지 0.725mm의 거리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인슐레이터가 상기 쉘의 내부로 수용될 때, 상기 쉘의 단부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쉴드가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 방향에서 결합될 때, 상기 쉴드의 단부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게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상기 컨택트 어레이의 접점부의 후방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와 접촉하는 RFI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쉘;
    상기 쉘에 수용된 인슐레이터의 일 방향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쉴드; 및
    플러그 커넥터에게 전기적 접점을 제공하는 상기 컨택트 어레이의 접점부의 후방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와 접촉하는 RFI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쉘과 상기 쉴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쉴드만이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RFI 패드는,
    상기 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쉘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FI 패드는,
    상기 쉴드와 레이져 웰딩(Laser Welding)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PCB에 솔더링되는 딥 솔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택트 어레이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쉘; 및 상기 쉘에 수용된 인슐레이터의 일 방향에서 상기 인슐레이터를 커버하는 쉴드를 포함하되, 상기 쉘과 상기 쉴드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쉴드만이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내장형 칩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내장형 칩 안테나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쉘의 수직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쉴드의 수직 방향에는 위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50071907A 2015-01-08 2015-05-22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93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01132P 2015-01-08 2015-01-08
US62/101,132 2015-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682A KR20160085682A (ko) 2016-07-18
KR102093436B1 true KR102093436B1 (ko) 2020-03-25

Family

ID=5667972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274A KR102093434B1 (ko) 2015-01-08 2015-04-30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50064537A KR102112700B1 (ko) 2015-01-08 2015-05-08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50071907A KR102093436B1 (ko) 2015-01-08 2015-05-22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50073225A KR102135846B1 (ko) 2015-01-08 2015-05-26 리셉터클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274A KR102093434B1 (ko) 2015-01-08 2015-04-30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50064537A KR102112700B1 (ko) 2015-01-08 2015-05-08 리셉터클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225A KR102135846B1 (ko) 2015-01-08 2015-05-26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0934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772B1 (ko) * 2017-02-24 2024-04-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102294103B1 (ko) * 2017-07-06 2021-08-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102235004B1 (ko) * 2017-04-24 2021-03-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N206893861U (zh) * 2017-04-25 2018-01-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
KR102266624B1 (ko) * 2017-06-23 2021-06-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101954278B1 (ko) 2017-12-04 2019-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에스비 리셉터클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446231B1 (ko) * 2018-01-29 2022-09-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CN109390736A (zh) * 2018-11-22 2019-02-26 昆山捷皇电子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usb连接器母插结构及其制作方法
KR20200143135A (ko) * 2019-06-14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와 통신 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4188761A (zh) * 2020-09-14 2022-03-15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4050A (ja) * 2010-08-31 2012-03-15 Yazaki Corp 基板搭載型コネクタ
JP2013528316A (ja) 2010-06-10 2013-07-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
CN204088689U (zh) * 2014-02-2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00560Y (zh) * 2005-04-19 2006-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3152071U (ja) * 2008-05-27 2009-07-16 鴻海精密工業股▲ふん▼有限公司 電気コネクタ
CN201576114U (zh) * 2009-07-17 2010-09-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JP4898936B2 (ja) * 2010-03-31 2012-03-21 株式会社フジクラ 防水コネクタ
JP2012009358A (ja) * 2010-06-25 2012-01-12 Jst Mfg Co Ltd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及び電気コネクタ
JP5524009B2 (ja) * 2010-09-28 2014-06-18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8113882B1 (en) * 2010-12-29 2012-02-14 U. D. Electronic Corp. USB connector
CN202142706U (zh) * 2011-07-01 2012-02-08 东莞市天誉光电科技有限公司 新型Micro-USB3.0卧式连接器
KR101324656B1 (ko) * 2012-01-04 2013-11-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KR101338249B1 (ko) * 2012-02-24 2013-12-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컨택트 어레이의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KR101301982B1 (ko) * 2012-07-16 2013-08-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JP6257182B2 (ja) * 2013-06-20 2018-01-10 株式会社エクセル電子 防水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1412127B1 (ko) * 2013-08-07 2014-06-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KR101448257B1 (ko) * 2013-11-05 2014-10-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8316A (ja) 2010-06-10 2013-07-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
JP2012054050A (ja) * 2010-08-31 2012-03-15 Yazaki Corp 基板搭載型コネクタ
CN204088689U (zh) * 2014-02-2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52071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34B1 (ko) 2020-03-25
KR102112700B1 (ko) 2020-06-02
KR20160085683A (ko) 2016-07-18
KR20160085682A (ko) 2016-07-18
KR20160085680A (ko) 2016-07-18
KR102135846B1 (ko) 2020-07-21
KR20160085681A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436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9948041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for providing grounding and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9673552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4789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wer terminals in an upper row in contact with those in a lower row
US9647369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31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ed for transmitting high frequency signals
US9647393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660373B2 (en)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502840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105048144B (zh) 可于插接时防止端子翘曲的插座电连接器
US9812818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1010350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better ant-EMI effect
US973551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ood anti-EMI performance
US8052470B1 (en) Probe connector
US2017035299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better ant-emi effect
KR101980975B1 (ko) 접지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접지 단자 및 접지 피스를 함께 구비하는 신호 커넥터
US20160268741A1 (en) Standing-type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108365374B (zh) 插座电连接器
US1046882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tongue portion
CN110690596A (zh) 插头电连接器
US11011864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10270192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100062659A1 (en) Floa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101348141B1 (ko) 멀티형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적용되는 플러그 커넥터
KR100849805B1 (ko) 내장형 안테나 및 내장형 안테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