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39B1 -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39B1
KR102092839B1 KR1020190054841A KR20190054841A KR102092839B1 KR 102092839 B1 KR102092839 B1 KR 102092839B1 KR 1020190054841 A KR1020190054841 A KR 1020190054841A KR 20190054841 A KR20190054841 A KR 20190054841A KR 102092839 B1 KR102092839 B1 KR 102092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weight
composition
content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785A (ko
Inventor
안창기
박진규
문정초
강은주
설성련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비센 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4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83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30 ~ 70중량% 함유되고, 상기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Rg3 함량이 0.01 ~ 4중량% 함유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 조성물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 처리에 의하여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대되고, 진세노사이드 중 마이너 사포닌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항산화, 항염증 및 항노화 기능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GINSENOSIDE COMPOSITION FOR TREATING, IMPROV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인삼 진세노사이드를 대사시켜 생리활성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조성물들을 얻으며, 이를 통해 염증성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 또는 홍삼의 주요 생리 활성 성분이 포함된 사포닌 성분은 타 식물에서 발견되는 사포닌과 화학 구조가 상이한 바, 이를 특별히 인삼(Ginseng) 배당체 (Glycoside)란 의미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 명명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세노사이드는 아글리콘(aglycone)의 구조에 따라 프로토파낙사이다이올계 (Protopanaxadiol-type), 프로토파낙사트라이올계 (Protopanaxatriol-type), 및 올레아놀린산계 (Oleanolic acid-type) 진세노사이드 등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세 그룹은 다시, 화합물 구조 중 고리의 C-3, C-6 및 C-20 위치의 글라이코시딕 결합 (glycoside bond)에 의해 부착되는 당 부위 (sugar moieties (aglycones))의 위치 및 수에 따라 분류되는데, 그 중 Rg1, Re, Rb1, Rc 및 Rb2 는 전체 사포닌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메이저 진세노사이드 (major ginsenoside)이고 (Park, 2004), 이들은 큰 사이즈로 인하여 인체에 경구 투여되는 경우, 직접 흡수되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메이저 진세노사이드들은, 생체 시험(in vivo test)에서 생리적 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당을 제거 (deglycosylated)하는 전환과정이 요구된다 (Tawab et al., 2003; Akao et al.,1998). 한편, 최근 수십 년간 Rg3, Rh2 및 화합물 K(compound K)등 마이너 형태(minor form)를 갖는 진세노사이드들의 뛰어난 약리효능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발표됨에 따라 보다 우수한 약리 작용을 갖는 진세노사이드들 F2, Rg3, Rh1, Rh2 및 화합물 K(compound K, C-K), Gyp17, Rg3, C-Mc1, C-Mx1, F2 등 미량의 마이너 진세노사이드들(minor ginsenosides)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마이너 형태를 갖는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량의 사포닌인 마이너 진세노사이드들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적 분해 방법 (De Mayo 등, canad. J. Chem., 43, 2033, 1965), 효소적 방법 (Kitagawa등, Terahedron Letters, 30, 2283, 1974), 및 배당체 합성을 이용한 방법 (제10-2005-0007250호)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1) 제조 공정상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거나, 2) 제조과정에서 목적하는 성분이 소실되며, 3) 식용에 부적합한 촉매를 사용하거나, 4) 낮은 수율을 나타내어 여전히 대량생산에 한계가 존재하여 왔다.
특히 효소적 방법 중, 사용될 수 있는 효소의 종류로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 (ginsenoside glycosidase), α-L-아라비노피라노시데이즈 (α-arabinopyranosidase), α-L-아라비노퓨라노시데이즈 (α-L-arabinofuranosidase), α-L-람노시데이즈 (α-L-rhamnosidase)와 같은 효소가 Rb1, Rb2, Rc 및 Re와 같은 메이저 진세노사이드들을 생전환(biotransformation)함이 보고되고 있다. 즉, 인삼으로부터 추출한 사포닌들은 대부분 Rg1, Re, Rb1, Rb2, Rc 및 Rb3 등의 복합 사포닌들로 형성되어 있어 글라이코시딕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당들의 부착 수, 종류와 위치 등이 상이하여 여러 가지 효소들이 다량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649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4763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상태의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메이저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를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로 생물 전환하여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현저히 높고, 총 진세노사이드 중 생리활성이 높은 마이너 사포닌의 함량이 높은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30 ~ 70중량% 함유되고, 상기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Rg3 함량이 0.01 ~ 4중량% 함유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Gyp17, Rg3, C-Mc1, C-Mx1 및 F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2 내지 30중량%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Gyp17, Rg3, C-Mc1, C-Mx1 및 F2의 중량의 합이 30 내지 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염증성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복막염, 골수염, 봉소염, 뇌막염, 뇌염, 췌장염, 외상 유발 쇼크,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낭포성 섬유증, 뇌졸중,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골관절염, 통풍, 척추관절병증, 강직성 척추염, 장질환 척추염, 연소자성 관절병증, 연소자성 강직성 척추염, 반응성 관절병증, 감염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재귀열, 건선, 후-감염성 관절염, 임균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 바이러스성 관절염, 진균성 관절염, 매독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근육통, 관절 세포 동맥염, 칼슘 결정 침착 관절병증, 비-관절 류마티즘, 점액낭염, 건초염, 및 혈색소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a) 인삼을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인삼 추출물을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로 효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효소 처리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Re, Rb1, Rc, Rb2, Rb3 및 R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Gyp17, Rg3, C-Mc1, C-Mx1 및 F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물전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자연상태의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메이저 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를 특정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로 생물 전환하여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현저히 높고, 총 진세노사이드 중 마이너 사포닌 함량을 증가시켜 생리활성을 높여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진세노사이드 사이즈 마커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반응 전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나타낸 HPLC 분석결과이다.
도 3은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와 반응 후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나타낸 HPLC 분석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에 대한 세포 독성 시험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에 대한 TNF-α 발현 측정 시험 결과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에 대한 IL-6 발현 측정 시험 결과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에 대한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측정 시험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된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30 ~ 70중량% 함유되고, 상기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Rg3 함량이 0.01 ~ 4중량% 함유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Gyp17, Rg3, C-Mc1, C-Mx1 및 F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2 내지 30중량%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Gyp17, Rg3, C-Mc1, C-Mx1 및 F2의 중량의 합이 30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또는 염증성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질환,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복막염, 골수염, 봉소염, 뇌막염, 뇌염, 췌장염, 외상 유발 쇼크,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낭포성 섬유증, 뇌졸중, 급성 기관지염, 만성 기관지염, 골관절염, 통풍, 척추관절병증, 강직성 척추염, 장질환 척추염, 연소자성 관절병증, 연소자성 강직성 척추염, 반응성 관절병증, 감염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재귀열, 건선, 후-감염성 관절염, 임균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 바이러스성 관절염, 진균성 관절염, 매독성 관절염, 류마티스성 다발성근육통, 관절 세포 동맥염, 칼슘 결정 침착 관절병증, 비-관절 류마티즘, 점액낭염, 건초염, 혈색소증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래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인삼을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인삼 추출물을 제조한다(단계 a).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헥산, 디에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인삼 추출물을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로 효소 처리한다(단계 b).
상기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의 아미노산 서열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기 효소 처리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Re, Rb1, Rc, Rb2, Rb3 및 R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Gyp17, Rg3, C-Mc1, C-Mx1 및 F2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물전환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삼 추출물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3 내지 7배로 현저히 높아질 뿐 아니라, 총 진세노사이드 중 생리활성이 높은 마이너형 사포닌 즉 Gyp17, Rg3, C-Mc1, C-Mx1 및 F2이 생성됨으로써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기능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예를 들어, 0.001 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mg/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g/kg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mg/kg 이상 포함된다.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학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학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학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빵류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
인삼은 홍미삼을 구입(대동고려삼, 대한민국)하여 에탄올을 이용하여 사포닌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사포닌은 3차 정제수를 이용하여 용해하였으며, 반응은 50 mM 포스페이트 버퍼 (phosphate buffer, pH 7.0) 용액 속에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기질 = 1:4,000 (몰비, Molar Ratio) 비로 첨가하여 37 ℃ 쉐이킹 인큐베이터(shaking incubator)에서 하루 동안 실시하였다. 반응 완료 후 로타리 이베퍼레이터(rotary evaporator, R300, BUCHI)를 이용하여 최초 반응 용량 대비 30~50 %로 농축하였다. 농축물은 다시 동량의 n-부탄올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하고, 상청액만을 별도 분리하여 저온 진공상태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용매를 기화시켰다 (Speed Vac. Drying). 건조된 반응물들은 믹서기(Mixer)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였으며 분말화 후 60℃ 건조기에서 48시간 동안 별도로 건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생물전환 확인
실시예 1에 따라 별도로 건조한 반응물은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조성물 분석하였다. 도 1은 진세노사이드 사이즈 마커들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와 반응 전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아래의 표 1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와 반응 후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아래의 표 2와 도 3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 반응 전 인삼추출물 조성
Title Retention Time (min.) Area Ratio (%) Content (%) 성분비 (%) Area Ratio (%) Components
CH 1 1.2333 43.67 52.36 77.41   Carbohydrates (CH)
CH 2 1.7000 4.88 5.85  
CH 3 1.8500 16.01 19.20  
Re 4.4000 0.67 0.80 11.65 6.89 Ginsenosides
Rb1 4.8800 3.56 4.27 36.63
Rc 5.1667 2.48 2.97 25.51
Rb2/3 5.4333 2.09 2.51 21.50
Rd 6.0333 0.92 1.10 9.47
Gyp17     0.00 0.00
C- Mc1     0.00 0.00
C- Mx1     0.00 0.00
F2     0.00 0.00
Rg3     0.00 0.00
Unknown1 12.9833 0.58 0.70 10.94   Lipid
Unknown2 13.9167 1.74 2.09  
Unknown3 15.6167 6.80 8.15  
Sum   83.40 100.00 100.00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 반응 후 인삼추출물 조성
Title Retention Time (min.) Area Ratio (%) Content (%) 성분비 (%) Area Ratio (%) Components
CH 1 1.2833 6.78 9.23 34.61   Carbohydrates (CH)
CH 2 1.6833 9.91 13.49  
CH 3 1.8500 8.73 11.89  
Re 4.3667 1.09 1.48 47.96 3.09 Ginsenosides
Rb1 4.8667 3.56 4.85 10.11
Rc 5.2333 3.63 4.94 10.31
Rb2/3 5.5500 4.17 5.68 11.84
Rd 6.1833 2.59 3.53 7.35
Gyp17 6.6167 6.76 9.20 19.19
C- Mc1 7.0167 2.99 4.07 8.49
C- Mx1 7.2667 4.12 5.61 11.70
F2 8.2167 5.53 7.53 15.70
Rg3 9.9333 0.78 1.06 2.21
Unknown1 12.8333 1.78 2.42 17.43 Lipid
Unknown2 13.7833 2.31 3.15  
Unknown3 15.5167 8.71 11.86  
Sum   73.44 100.00 100.00    
이에 따르면, 인삼 추출물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11.65%에서 47.96%로 4배 이상 증가하였을 뿐 아니라, 진세노사이드의 조성을 살펴보면, 메이저 사포닌으로부터 마이너 사포닌인 Gyp17, Rg3, C-Mc1, C-Mx1 및 F2로 생물전환이 이루어져 진세노사이드의 성분이 크게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진세노사이드 효능 시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사포닌 시료를 이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및 항노화 효능에 관한 시험관 내(in vitro) 실험을 진행하였다.
(1) 세포 독성(Cytotoxicity) 시험
대식세포 RAW264.7에 LPS(lipopolysaccharide)를 1㎍/㎖ 처리한 것과 처리하지 않은 것을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1×104개 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여 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새로운 배양액(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페니실린(penicillin)이 함유되어 있는 DMEM(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배지)으로 교체하고,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각각 1.3, 2.5, 5, 10㎍/㎖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웰에 10㎕의 WST 용액을 첨가한 후 세포 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 시킨 후 450㎚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복합체의 처리에 의해 세포 생존율이 높아지므로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TNF-α 발현 측정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LPS를 처리 또는 무처리한 RAW264.7 세포를 배양하고, 배양액과 세포를 1㎖ 튜브에 넣고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을 수득하고 루미넥스(luminex) 키트를 통해 TNF-α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복합체의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TNF-α의 생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IL-6 발현 측정
TNF-α 발현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IL-6 발현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진세노사이드 복합체의 처리량이 1.3 ㎍/㎖인 것부터 IL-6의 생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 억제 측정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얻은 배양액을 NO 검출 키트(Nitric oxide detection kit, Intron Biotechnology, Korea)를 이용하여 산화질소 생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의 처리량에 의존적으로 산화질소의 생성량이 감소하였으므로 항염증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BEESEN Bio. Co., Ltd. <120> GINSENOSIDE COMPOSITION FOR TREATING, IMPROVING, OR PREVEN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130> HPC-7597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4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MT BGL167 <400> 1 Thr Pro Met Thr Asn Pro Phe Pro Gln Asp Phe Leu Trp Gly Val Ala 1 5 10 15 Thr Ala Gly His Gln Val Glu Gly Asn Asn Val Asn Ser Asp Val Trp 20 25 30 Phe Leu Glu His Leu Pro Gly Thr Ile Phe Ala Glu Pro Ser Gly Asp 35 40 45 Ala Val Asp His Tyr His Arg Tyr Arg Glu Asp Ile Ala Leu Ile Ala 50 55 60 Gly Leu Gly Phe Thr Ser Tyr Arg Phe Ser Val Glu Trp Ala Arg Ile 65 70 75 80 Glu Pro Glu Glu Gly His Phe Ser Val Ala Ala Leu Asp His Tyr Lys 85 90 95 Arg Val Leu Glu Ala Cys Arg Glu His Gly Leu Thr Pro Val Val Thr 100 105 110 Phe His His Phe Ala Ser Pro Leu Trp Leu Leu Arg Ser Gly Gly Trp 115 120 125 Glu Gly Glu Arg Thr Pro Glu Leu Phe Ala Arg Tyr Cys Gly Arg Val 130 135 140 Met Ala His Leu Gly Asp Leu Ile Gly Val Ala Cys Thr Leu Asn Glu 145 150 155 160 Pro Asn Leu Pro Trp Leu Leu Glu Ser Phe Gly Ala Gly Gly Glu Ala 165 170 175 Pro Glu Asn Arg Gly Lys Val Pro Met Trp Ala Ala Ala Ala Gln Arg 180 185 190 Leu Gly Val Asp Ala Ser Thr Val Ala Pro Phe Trp Phe Cys Ser Thr 195 200 205 Glu Ala Gly Phe Asn Val Lys Leu Ala Ala His Lys Ala Ala Thr Glu 210 215 220 Ala Ile Lys Ala Trp Arg Pro Asp Leu Arg Val Gly Trp Thr Leu Ala 225 230 235 240 Asn Ser Asp Ile Gln Ser Val Pro Gly Gly Glu Glu Ile Ala Ala Gln 245 250 255 Val Arg Arg Asp Val Asn Glu Arg Phe Leu Glu Ala Ser Arg Gly Asp 260 265 270 Asp Phe Val Gly Ile Gln Thr Tyr Gly Arg Thr Val Tyr Gly Pro Asp 275 280 285 Gly His Ala Pro Ala Pro Glu Gly Val Ala Val Asn Gln Met Gly Trp 290 295 300 Glu Ile Tyr Pro Gln Ala Leu Glu Ala Thr Ile Arg Glu Ala Trp Arg 305 310 315 320 Val Ala Gly Ile Pro Val Met Val Thr Glu Asn Gly Leu Ala Thr Glu 325 330 335 Asp Asp Thr Gln Arg Val Ala Tyr Leu Arg Thr Ala Val Asp Gly Val 340 345 350 Ala Ser Cys Leu Ala Asp Gly Ile Asp Val Arg Gly Tyr Ile Ala Trp 355 360 365 Thr Ala Phe Asp Asn Phe Glu Trp Ala Ala Gly Tyr Gly Pro Lys Phe 370 375 380 Gly Leu Ile Ala Val Asp Arg Ser Thr Gln Glu Arg Thr Pro Lys Glu 385 390 395 400 Ser Ala Arg Trp Leu Gly Asn Phe Ala Arg Gln Gln Ala Pro Ala Glu 405 410 415 Ala Pro Gln Pro Ala 420

Claims (6)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ginsenoside glycosidase)로 효소 처리된 인삼 추출물이고,
    상기 인삼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인 Gyp17, Rg3, C-Mc1, C-Mx1 및 F2을 포함하고,
    상기 인삼 추출물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30 내지 70중량%이고,
    상기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Gyp17, Rg3, C-Mc1, C-Mx1 및 F2의 중량의 합이 30 내지 80중량%이고,
    상기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Rg3 함량이 0.01 내지 4중량% 이고, F2 함량이 2 내지 30중량% 이고, Rg3의 함량은 F2의 함량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항염증용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은 항염증용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5. 삭제
  6. (a) 인삼을 물, 탄소수 1-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인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인삼 추출물을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진세노사이드 글라이코시데이즈(ginsenoside glycosidase)로 효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효소 처리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Re, Rb1, Rc, Rb2, Rb3 및 R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Gyp17, Rg3, C-Mc1, C-Mx1 및 F2로 부분적으로 생물전환되고,
    상기 생물전환에 따라 상기 인삼 추출물의 총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30 내지 70중량%이고,
    상기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Gyp17, Rg3, C-Mc1, C-Mx1 및 F2의 중량의 합이 30 내지 80중량%이고,
    상기 총 진세노사이드 중량에 대하여 Rg3 함량이 0.01 내지 4중량% 이고, F2 함량이 2 내지 30중량% 이고, Rg3의 함량은 F2의 함량 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54841A 2019-05-10 2019-05-10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2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41A KR102092839B1 (ko) 2019-05-10 2019-05-10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41A KR102092839B1 (ko) 2019-05-10 2019-05-10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192A Division KR20190048323A (ko) 2017-10-31 2017-10-31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85A KR20190055785A (ko) 2019-05-23
KR102092839B1 true KR102092839B1 (ko) 2020-03-24

Family

ID=6668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841A KR102092839B1 (ko) 2019-05-10 2019-05-10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8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671A1 (en) 2000-12-29 2004-02-12 Fengxie Jin Ginsenoside glycosidases hydrolyzing ginsenoside sugar moieties and uses thereof
KR101647631B1 (ko) 2014-10-23 2016-08-11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35B1 (ko) 2015-01-09 2016-11-02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671A1 (en) 2000-12-29 2004-02-12 Fengxie Jin Ginsenoside glycosidases hydrolyzing ginsenoside sugar moieties and uses thereof
KR101647631B1 (ko) 2014-10-23 2016-08-11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 Young Seo 외. Effect of a fermented ginseng extract, BST204, on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in murine macrophage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ol. 5, 2005년, pp. 929-93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85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297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알지3, 알지5 및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66911B1 (ko) 생물전환을 통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용 곤드레 발효물 제조방법
KR102069996B1 (ko) 소수성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수용성 약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555652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 그 제조방법및 그를 함유하는 암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조성물
KR100688425B1 (ko) 유효 성분으로 진세노시드 Rh2를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조성물
KR102092839B1 (ko)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0982B1 (ko) 감귤류 가공부산물 유래의 면역활성다당 및 비배당체 플라보노이드의 제조방법
KR101776179B1 (ko) 진세노사이드 20(s)-알지3 또는 진세노사이드 20(r)-알지3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19134B1 (ko) 항비만 효능을 나타내는 저극성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8323A (ko) 염증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3716B1 (ko) 글리코겐의 물리화학적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글리코겐
KR100759772B1 (ko) 유효 성분으로 진세노시드 Rh2를 함유하는 뇌세포 보호조성물
KR101496155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5 또는 진세노사이드 알케이1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30080296A (ko)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분획 및 유도체를 함유하는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94436B1 (ko) 오가피 열매 유래 신규 화합물
KR100556683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 및 상기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사포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위장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234567B1 (ko) 호박덩굴손 유래 신규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582772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520388B1 (ko) 마이크로웨이브 조사에 의해 진세노사이드 알에스3, 알에스4 및 알에스5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400782B1 (ko) 진세노사이드 20(s)-알지3 또는 진세노사이드 20(r)-알지3의 함량비율이 증가된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그 가공 파낙스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5461872B2 (ja) アラビノシルビテキシンを含有する経口摂取用組成物の製造方法とその用途
KR102001557B1 (ko) 인진호 및 진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0702B1 (ko) 인삼박 유래 갈락토유로노글루코올리고당 및 이의 용도
KR101519479B1 (ko) 진피엑스 발효물을 함유한 면역증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