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12B1 -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12B1
KR102092812B1 KR1020180150052A KR20180150052A KR102092812B1 KR 102092812 B1 KR102092812 B1 KR 102092812B1 KR 1020180150052 A KR1020180150052 A KR 1020180150052A KR 20180150052 A KR20180150052 A KR 20180150052A KR 102092812 B1 KR102092812 B1 KR 102092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pyrrolo
pyrimidine
carbonitrile
meth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575A (ko
Inventor
최환근
박종배
고은화
손정범
조중희
고이경
박진희
김소영
강석용
이승연
김남두
이윤호
이선화
김다예
이선주
배재현
홍은미
장태호
김상범
이승훈
남도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국립암센터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국립암센터,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ublication of KR2018013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LRRK2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활성이 우수하며, LRRK2 발현 세포주인 NIH-3T3 세포주 및 뇌종양 환자 유래 세포주인 NCC01과 448T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LRRK2 이외에도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에 대하여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이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으므로,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yrolo-pyrimidin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preventing or treating protein kinase related diseas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키나아제는 아데노신삼인산(ATP)의 말단 인산기를 단백질의 특정 잔기(타이로신, 세린, 트레오닌)에 전이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서, 세포외 매개체 및 환경의 변화에 대한 세포의 활성, 성장 및 분화를 조절하는 신호에 관여한다.
부적절하게 높은 단백질 키나아제 활성은 비정상 세포 작용으로부터 기인하는 다수의 질병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다. 예를 들면, 돌연변이, 과잉-발현 또는 부적절한 효소 활성에 관련된 키나아제의 적절한 조절메카니즘의 실패, 또는 사이토카인 또는 키나아제의 업스트림 또는 다운스트림의 신호 전달에 참여하는 인자들의과잉 또는 결핍 생성에 의해 질병이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키나아제 활성의 선택적인 억제는 질병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의 유익한 표적이 될 수 있다.
뇌암은 뇌조직과 뇌를 싸고 있는 뇌막에서 발생되는 원발성 뇌암과 두개골이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발생된 암으로부터 전이된 이차성 뇌암을 통칭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뇌암은 다른 장기에서 발생하는 암과 구분되는 점이 많다. 우선 폐, 위, 유방 등에 생기는 암은 장기별로 한 두 종류에 국한되고, 그 성질이 동일, 유사한 편이다. 그러나 뇌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암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다형성아교모세포종, 악성신경교종, 임파선종, 배아세포종, 전이성 종양 등 다양하다.
파킨슨병은 뉴런의 만성 진행성 퇴화의 결과이나, 그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주요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파킨슨병은 흑색질(substantia nigra; SN)의 도파민성 뉴런(dopaminergic neurons)이 퇴화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흑색질은 무의식적 운동의 조절을 돕는 하부 뇌 중 일부 또는 뇌간이다. 이러한 뉴런들의 손실로 인한 뇌에서의 도파민 결핍이 관찰 가능한 증상들을 야기한다고 알려져있다. 임상학적으로, 파킨슨병은 안정시 진전(resting tremor), 경직(rigidity), 서동(bradykinesia) 및 자세불안(postural instability)의 주요 증상의 형태로 나타난다. MAO-B 억제제 셀레길린(selegiline) 및 COMT 억제제 엔타카폰(entacapone) 뿐만 아니라 레보도파, 도파민 작용물질(예를 들어, 로티고틴, 프라미펙솔, 브로모크립틴, 로피니롤, 카베르골린, 퍼골리드, 아포모르핀 및 리수라이드), 항콜린제, NMDA 길항제 및 β-차단제가 운동 증상의 완화용 약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제제들의 대부분은 도파민 및/또는 콜린 신호 전달에 관여하며, 이로 인해 파킨슨병의 전형적인 운동장애 증상에 영향을 미친다.(특허문헌 1)
LRRK2 (leucin-rich repeat kinase-2)는 류신 풍부 반복 키나아제 집단(leucin-rich repeat kinase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이며, 종간 유사성이 높은 2527개의 아미노산 배열로 구성되어 있고, 특징적으로 하나의 단백질 안에 GTP가수분해효소(GTPase)와 세린-트레오닌 키나아제(Serine-threonine kinase)활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발현된 LRRK2는 뇌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과 조직에서 관찰되고 있으며, 세포수준에서는 세포질 또는 세포막 및 미토콘드리아 외막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LRRK2의 정확한 생체 내 기능에 대해서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기능상 중요한 5개의 도메인(domain)을 가지고 있어, 자가인산화작용(Autophosphorylation)에 의한 자가활성조절작용과 단백질 상호작용 및 효소작용을 통한 세포기능 조절작용이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샤페론기전(chaperone machinery), 세포골격 배열(cytoskelecton arrangement), 단백질번역기전(protein translational machinery), 시냅스소포 세포내유입(synaptic vesicle endocytosis), 미토젠활성화단백질키나아제신호전달과정(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signaling cascades), 유비퀴틴/오토파지단백질 분해과정(ubiquitin/autophageprotein degradation pathways)이 LRRK2에 의해 조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은 대부분이 산발적으로 일어나지만 5-10%의 환자는 가족력을 가지는데 이들 환자 시료의 연구로부터 PARK 1-16의 유전자자리가 현재까지 밝혀졌으며, 그 중 몇 개의 유전자자리에서 돌연변이에 의해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돌연변이에 의해 파킨슨병을 일으키는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는 파킨(parkin), PINK1, DJ-1, α-시누클레인(α-synuclein), LRRK2(leucine-rich repeat kinase 2)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LRRK2 유전자는, α-시누클레인처럼 상동염색체의 우성 유전자로 2004년에 최초로 보고되었다. LRRK2 돌연변이에 의한 파킨슨병 환자는, 다른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와는 달리, 그 증상이 산발적 파킨슨병 환자와 아주 유사하다. LRRK2 돌연변이는 가족력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뿐 아니라 산발적 파킨슨병의 환자의 1-2%에서도 발견되므로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파킨슨병 발병 기작을 밝히면 파킨슨병의 발병 기작 이해와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이된다.
또한, LRRK2는 알츠하이머병과 관련된 경도 인지 손상의 전가, L-도파(Dopa) 유도된 운동이상증, 뉴런 전구 분화와 관련된 CNS 장애, 암, 예컨대 뇌암, 신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혈액암 및 폐암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 유두상(papillary) 신장 및 갑상선 암종, 다발성 골수종,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및 강직 척추염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 LRRK2 활성을 조절하는 데에 효과적인 화합물 및 조성물은 신경퇴행성 질환, CNS 장애, 암,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다발성 골수종, 및 염증성 질환 등의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단백질 키나아제의 활성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화합물을 연구하던 중,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이 LRRK2 및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의 발현을 우수하게 억제시킬 뿐만 아니라 뇌암 및 파킨슨병 발현 세포주의 억제 효과가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7830
본 발명의 목적은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2
, Z, X 및 R1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조건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4
, Z, X, R1, X' 및 PG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LRRK2를 포함하는 다양한 단백질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활성이 우수하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NIH-3T3 세포주에서의 LRRK2 인산화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NCC01 세포주에서의 LRRK2 인산화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448T 세포주에서의 LRRK2 인산화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H-, -O- 또는 -S-일 수 있고;
Z는 시아노(-CN);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일 수 있고;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6 알킬;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C6 사이클로 알킬; 또는 N 및 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3-8 원자의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일 수 있고; 및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6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8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09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0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1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2
또는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3
일 수 있고,
이때, R2, R4, R6, R8, R11, R17, 및 R23은 각각 수소, 할로겐,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및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일 수 있고,
R3, R5, R7 및 R9는 각각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콕시; 하이드록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콕시, 아미노카르복시기(-(C=O)NH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비치환 또는 할로겐 및 산소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5 원자의헤테로 사이클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또는 -(C=O)NR24R25일 수 있고,
여기서, R24 및 R25는 각각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또는 산소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5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로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또는 R24 및 R25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 또는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을 형성하고, 이때, 상기 치환된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은, 할로겐;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로 하나 이상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6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로 하나 이상 치환될 수 있고,
R10은 -CR26R27-CN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R26 및 R27은 각각 수소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 3알킬일 수 있고,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수소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이거나,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 중 동일한 탄소에 결합된 둘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와 함께 카보닐을 형성할 수 있고,
R16 및 R22는 각각 수소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 3알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H- 또는 -O-일 수 있고;
Z는 -CN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메틸일 수 있고;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비치환 또는 메틸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C5 사이클로 알킬; 또는 N 및 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6 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 알킬일 수 있고; 및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4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8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19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0
또는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1
일 수 있고,
이때, R2, R4, R6, R8, R11, R17, 및 R23은 각각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메톡시 및 에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치환기일 수 있고,
R3, R5, R7 및 R9는 각각 메틸; 이소프로필; 메톡시; 하이드록시, 메톡시, 메틸, 아미노카르복시기(-(C=O)NH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플루오로, 클로로, 옥세타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피페리디닐; 비치환 또는 메틸이 하나 이상 치환된 피페라디닐 또는 모폴리닐; 또는 -(C=O)NR24R25일 수 있고,
여기서, R24 및 R25는 각각 수소;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옥세타닐로 치환된 피페리디닐; 또는 R24 및 R25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페라지닐, 모폴리닐 또는 피페리디닐을 형성하고, 이때, 상기 치환된 피페라지닐, 모폴리닐 또는 피페리디닐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메틸, 옥세타닐, 피페라지닐 또는 모폴리닐로 치환될 수 있고,
R10은 -CR26R27-CN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R26 및 R27은 각각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고,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거나,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 중 동일한 탄소에 결합된 둘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와 함께 카보닐을 형성할 수 있고,
R16 및 R22는 각각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H- 또는 -O-일 수 있고;
Z는 -CN 또는 -CF3일 수 있고;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 1-메틸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라닐일 수 있고;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2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3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4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8
또는
Figure 112018119134664-pat00029
일 수 있고,
이때, R2, R4, R6, R8, R11, R17, 및 R23은 각각 수소, 클로로, 플루오로, 메틸 및 메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일 수 있고;
R3 및 R7는 각각 메톡시,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0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1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2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3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4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8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39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0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1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2
또는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3
일 수 있고; 및
R5 및 R9는 각각 메틸, 이소프로필,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4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7
또는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8
일 수 있고,
R10은 -CR26R27-CN이고, 여기서, 상기 R26 및 R27은 각각 수소 또는 메틸일 수 있고,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수소 또는 메틸이거나,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 중 동일한 탄소에 결합된 둘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와 함께 카보닐을 형성할 수 있고,
R16 및 R22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H- 또는 -O-일 수 있고;
Z는 -CN 또는 -CF3일 수 있고;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 1-메틸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히드로피란-4-일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일 수 있고; 및
Figure 112018119134664-pat00049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0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1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2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3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4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8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59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0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1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2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3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4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8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69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0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1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2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3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4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8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79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0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1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2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3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4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5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6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8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89
,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0
또는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1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로는 하기의 화합물들을 들 수 있다:
(1)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 4-(에틸아미노)-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 4-(에틸아미노)-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 4-(에틸아미노)-2-((1-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 릴;
(5) 4-(에틸아미노)-2-((1-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6) 4-(에틸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 4-(에틸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 4-(에틸아미노)-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 2-((2-메톡시-4-(4-모르폴리닐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 (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1) 2-((5-플루오로-2-메 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 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2)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3) 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4)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5) 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 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6)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7)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8)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9)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0)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1) (S)-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2) 2-((4-((2R,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3) 2-((4-(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 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4) 2-((4-((2R,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25) (R)-4-(에틸아미노)-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6) (S)-4-(에틸아미노)-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7) 2-((4-(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8) 6-((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29) 6-((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 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30) 6-((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31) 6-((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32) 2-((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3) 2-((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4) 4-(에틸아미노)-2-((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5) 4-(에틸아미노)-2-((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6)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7)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8) 2-((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9) 2-((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0) 2-((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1) 2-((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2)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3) (S)-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4) 2-((4-((2R,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5) 2-((4-(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6) 2-(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판아미드;
(47)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8) 4-(에틸아미노)-2-((3-메톡시-5-(모르폴린-4-카르보닐)피리딘-2-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9)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0)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1) 2-((5-클로로-1-((3S, 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2)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3) 4-(에틸아미노)-2-((1- (3S, 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4) 2-((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5)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56)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 (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57) 2-((2-메톡시-4-(옥세탄-3-일)피페라진-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8) 4-(에틸아미노)-2-((2-메톡시-4-(4-(옥세탄-3-일)피페라진-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9) 2-((5-클로로-1-(2-메톡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60)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질아미드;
(61)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질아미드;
(62) 2-((5-클로로-1-(2-메톡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63)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피롤리딘-1-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4)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피롤리딘-1-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5)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 -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6)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7)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68)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69) 2-((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0) 4-(에틸아미노)-2-((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1) 2-((3-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2) 2-((3-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3) 2-((5-클로로-1-(2-시아 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4) 2-((5-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5)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6)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7) 2-((1-(2-시아노프로판-2-일)-3,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8) 2-((1-(2-시아노프로판-2-일)-3,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9)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5-플루오로-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0)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5-플루오로-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1)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82)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83)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84) 2-((2-메톡시-4-(모르폴린 -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5)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6)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7) 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88) (S)-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9) (R)-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0) 4-이소프로폭시-2-((2-메 톡시-4-(모르폴린-4-카르 보닐)페닐)아미노)-7H-피 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1) 4-이소프로폭시-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 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2) (S)-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 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3) (S)-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94)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5)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6)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7)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 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8)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 [2,3d]카르보니트릴;
(99) (S)-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 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0) 2-((4-((2R,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1) 2-((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2) N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N4-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03) 2-(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 판니트릴;
(104)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일)메탄온;
(105)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06) (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107)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08) (R)-(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2-메틸모르폴리노)메탄온;
(109) ((2R,6S)-2,6-디메틸모르 폴리노)((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 미딘-2-일)아미노)-3-메 톡시페닐)메탄온;
(110)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 페닐)메탄온;
(111) (S)-(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2-메틸모르폴리노)메탄온;
(112) (3-메톡시-4-((4-(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13) 2-(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 판아미드;
(114) N4-에틸-N2-(2-메톡시-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15) N4-에틸-N2-(2-메톡시-4-모르폴리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 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16)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17) N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N4-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18)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 리미딘-2-일)아미노)-3-메 톡시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19)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 미딘-2-일)아미노)-3-메톡 시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20)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121) (3-메톡시-4-((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22) (3-메톡시-4-((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올;
(123) (R)-(2,4-디메틸피페라진-1-일)(2-플루오로-5-메톡시-4-((4-(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메탄온;
(124) (3-메톡시-4-((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25) (3-메톡시-4-((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26) (3-메톡시-4-((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127) N-(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4-((테트라히드로푸란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아민;
(128) 2-((6-클로로-2-메틸-1- 옥소이소인돌-5-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 미딘-5-카보니트릴;
(129) 4-(에틸아미노)-2-((2-메틸-1-옥소이소인돌-5-일)아미노)-7H-피롤 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0) 4-(에틸아미노)-2-((6- 메톡시-2-메틸-1-옥소 이소인돌-5-일)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1) 4-(에틸아미노)-2-((6- 메톡시-2,2,4-트리메틸-3-옥소-3,4-디히드로-2H-벤조[b][1,4]옥사진-7-일)아미노)-7H-피 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2) 2-((2-(2-시아노프로판 -2-일)-4-메틸싸이아졸 -5-일)아미노)-4-(에틸 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3) 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2-메틸이소인돌린-1-온;
(134) 6-((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2-메틸이소인돌린-1-온;
(135) 6-클로로-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 이소인돌린-1-온;
(136) 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이소인돌린-1-온;
(137) 7-((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2,2,4-트리메틸-2H-벤조[1,4]옥사진-3(4H)-온.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화학식 1의 유도체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광학 이성질체, 수화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LRRK2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활성이 우수하며, LRRK2 발현 세포주인 NIH-3T3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뇌종양 환자 유래 세포주인 NCC01과 448T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 효과 또한 뛰어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LRRK2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실험예 1-3 참조)
또한 LRRK2 키나아제 뿐만 아니라 ABL, ALK, BUB1, CAMK1B, CAMK4, CAMKK1, CAMKK2, CHEK2m, CLK1, CLK2, CLK3, CLK4, CSNK1A1, CSNK1A1L, CSNK1D, CSNK1E, CSNK1G2, CSNK1G3, CSNK2A1, DAPK1, DAPK2, DAPK3, DCAMKL1, DRAK1, DRAK2, DYRK1A, DYRK1B, ERK5, FAK, FER, FES, FLT, GAK, HIPK1, HIPK2, HIPK3, HUNK, IGF1R, INSR, INSRR, IRAK4, JAK1, JNK1, JNK2, JNK3, KIT, LRRK2, LTK, MAP3K15, MAPKAPK2, MAPKAPK5, MEK3, MEK4, MEK5, MEK6, MKNK2, MYLK, MYO3B, NEK10, NIK, OSR1, PDGFRA, PHKG1, PHKG2, PIP5K1C, PIP5K2C, PLK1, PLK3, PLK4, PRKD1, PRKD2, PRKD3, PYK2, RIOK2, RIPK5, ROS1, RPS6KA4, RPS6KA5, RSK3, STK33, STK39, SYK, TAK1, TGFBR1, TNK1, TNK2, TSSK1B, TTK, YSK4 또는 ZAP70 등의 다양한 키나아제에 대하여도 저해활성을 가지므로 ABL, ALK, BUB1, CAMK1B, CAMK4, CAMKK1, CAMKK2, CHEK2m, CLK1, CLK2, CLK3, CLK4, CSNK1A1, CSNK1A1L, CSNK1D, CSNK1E, CSNK1G2, CSNK1G3, CSNK2A1, DAPK1, DAPK2, DAPK3, DCAMKL1, DRAK1, DRAK2, DYRK1A, DYRK1B, ERK5, FAK, FER, FES, FLT, GAK, HIPK1, HIPK2, HIPK3, HUNK, IGF1R, INSR, INSRR, IRAK4, JAK1, JNK1, JNK2, JNK3, KIT, LRRK2, LTK, MAP3K15, MAPKAPK2, MAPKAPK5, MEK3, MEK4, MEK5, MEK6, MKNK2, MYLK, MYO3B, NEK10, NIK, OSR1, PDGFRA, PHKG1, PHKG2, PIP5K1C, PIP5K2C, PLK1, PLK3, PLK4, PRKD1, PRKD2, PRKD3, PYK2, RIOK2, RIPK5, ROS1, RPS6KA4, RPS6KA5, RSK3, STK33, STK39, SYK, TAK1, TGFBR1, TNK1, TNK2, TSSK1B, TTK, YSK4 또는 ZAP70 관련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실험예 4 참조)
또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했을 때, 처리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검출되는 P-LRRK2의 양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LRRK2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은 세포내의 LRRK2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므로 LRRK2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조건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2
(상기 반응식 1에서,
X, Z, R1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3
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은 할로겐이고; 및
PG는 (2-(트리메틸실릴)메톡시)메틸(SEM), p-메톡시벤질(PMB),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아릴옥시카보닐(Alloc) 또는 p-메톡시벤질(PMB)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단계 1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의 구체적인 일례로써,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염기를 용매에 첨가하여 녹인 후, 초음파 처리하여 가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반응 혼합물에 팔라듐 촉매 및 Xphos을 100 ℃에서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염기로는 세슘카보네이트, 소듐 t-부톡사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소듐카보네이트, 포타슘카보네이트, 소듐하이드라이드 등의 무기염기; 또는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테센(DBU),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가 있으며, 이를 당량 또는 과량,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포타슘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팔라듐 촉매로는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Pd2(dba)3),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Pd(Ph3P)4), 팔라듐 차콜(Pd-C),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 (PdCl2(PPh3)2),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다이클로로팔라듐(PdCl2(dppf)), 알릴팔라듐 클로라이드 다이머([PdCl(allyl)]2), 팔라듐 아세테이트(Pd(OAc)2), 팔라듐 클로라이드(PdCl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Pd2(dba)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사용 가능한 반응 용매로는 톨루엔,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메틸렌 클로라이드, 다이클로로에탄, 물,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나이트릴; 아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다이옥산, 에틸에테르, 1,2-다이메톡시에탄 등을 포함하는 에테르용매;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sec-부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유기용매로 세척할 수 있다. 여과액을 농축한 후 얻어진 고체상의 화합물 4를 더 이상의 정제 없이 그 다음 단계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반응 용매로는 톨루엔,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 다이메틸포름아마이드(DMF),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메틸렌 클로라이드, 다이클로로에탄, 물,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나이트릴; 아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포함하는 저급 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다이옥산, 에틸에테르, 1,2-다이메톡시에탄 등을 포함하는 에테르 용매; 등이 있으며,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EtOAc(Ethyl acetate) 및 MeOH(Methan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조건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의 구체적인 일례로써, 화학식 3을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후, 상온에서 TFA(Trifluoroacetic acid)를 첨가할 수 있다. 4시간 정도의 반응을 시킨 후,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농축된 혼합물을 다시 유기 용매에 녹인 후, 상온에서 염기를 첨가하여 14시간 동안 반응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염기로는 세슘카보네이트, 소듐 t-부톡사이드, 포타슘 t-부톡사이드, 소듐하이드록사이드, 소듐카보네이트, 포타슘카보네이트, 소듐하이드라이드 등의 무기염기; 또는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1,8-디아자비사이클로[5.4.0]-7-운테센(DBU),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가 있으며, 이를 당량 또는 과량,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포화 포타슘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후, 결과물은 EtOAc(Ethyl acetate)로 희석한 다음, 물과 브린(brine)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유기층은 MgSO4(Magnesium sulfate)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혼합물을 prep-HPLC를 통해 정제할 수 있고 고체상의 화합물 1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백질 키나아제는 ABL, ALK, BUB1, CAMK1B, CAMK4, CAMKK1, CAMKK2, CHEK2m, CLK1, CLK2, CLK3, CLK4, CSNK1A1, CSNK1A1L, CSNK1D, CSNK1E, CSNK1G2, CSNK1G3, CSNK2A1, DAPK1, DAPK2, DAPK3, DCAMKL1, DRAK1, DRAK2, DYRK1A, DYRK1B, ERK5, FAK, FER, FES, FLT, GAK, HIPK1, HIPK2, HIPK3, HUNK, IGF1R, INSR, INSRR, IRAK4, JAK1, JNK1, JNK2, JNK3, KIT, LRRK2, LTK, MAP3K15, MAPKAPK2, MAPKAPK5, MEK3, MEK4, MEK5, MEK6, MKNK2, MYLK, MYO3B, NEK10, NIK, OSR1, PDGFRA, PHKG1, PHKG2, PIP5K1C, PIP5K2C, PLK1, PLK3, PLK4, PRKD1, PRKD2, PRKD3, PYK2, RIOK2, RIPK5, ROS1, RPS6KA4, RPS6KA5, RSK3, STK33, STK39, SYK, TAK1, TGFBR1, TNK1, TNK2, TSSK1B, TTK, YSK4 또는 ZAP70 등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은 암, 퇴행성 뇌질환 및 염증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암은 뇌암,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 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병, 루게릭병, 치매, 헌팅턴 질환, 다발성 경화증, 근위측성 측삭 경화증, 중풍, 뇌졸중 및 경도 인지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증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간염, 식도염, 위염, 장염, 췌장염, 대장염, 신장염, 전신부종, 국소부종, 관절염, 각막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치주염, 치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엘릭시르제, 트로키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 등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등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는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를 주입하는 방법에 의한다.
이때,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 또는 바이알 단위 투여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멸균되고/되거나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따라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몸무게가 70 Kg인 성인 환자를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 0.1-1000 mg/일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 mg/일이며, 또한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LRRK2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실험예 1을 통해 확인되었으며, LRRK2 발현 세포주인 NIH-3T3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이 실험예 2를 통해 확인되었고, 뇌종양 환자 유래 세포주인 NCC01 세포주 및 448T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 효과 또한 뛰어나다는 것이 실험예 3을 통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했을 때, 처리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검출되는 P-LRRK2의 양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했을 때, P-LRRK2가 극소량 검출되거나 검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검출되는 P-LRRK2의 양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LRRK2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LRRK2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임상 투여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은은 암, 퇴행성 뇌질환 및 염증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암은 뇌암,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 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병, 루게릭병, 치매, 헌팅턴 질환, 다발성 경화증, 근위측성 측삭 경화증, 중풍, 뇌졸중 및 경도 인지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증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간염, 식도염, 위염, 장염, 췌장염, 대장염, 신장염, 전신부종, 국소부종, 관절염, 각막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치주염, 치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20 g, 바람직하게는 약 5-12 g이다.
나아가,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필요한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은은 암, 퇴행성 뇌질환 및 염증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암은 뇌암,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 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병, 루게릭병, 치매, 헌팅턴 질환, 다발성 경화증, 근위측성 측삭 경화증, 중풍, 뇌졸중 및 경도 인지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증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간염, 식도염, 위염, 장염, 췌장염, 대장염, 신장염, 전신부종, 국소부종, 관절염, 각막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치주염, 치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은은 암, 퇴행성 뇌질환 및 염증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암은 뇌암, 뇌종양,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두경부 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남성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직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남성 생식기종양, 음경암, 전립선암, 여성생식기종양,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여성요도암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병, 루게릭병, 치매, 헌팅턴 질환, 다발성 경화증, 근위측성 측삭 경화증, 중풍, 뇌졸중 및 경도 인지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증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간염, 식도염, 위염, 장염, 췌장염, 대장염, 신장염, 전신부종, 국소부종, 관절염, 각막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치주염, 치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1> 2- 클로로 -4-( 메틸아미노 )-7-((2-( 트리메틸실릴 ) 에톡시 ) 메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반응식 2]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4
단계 1: 2,4-디클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10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요오도숙신이미드 (1.1 당량)를 넣고 온도를 상온으로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얼음물를 넣어 침전을 유도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은 여과 후, 흰색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2,4-디클로-5-요오도-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 (0.5 M)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78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aH (1.5 당량)를 넣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SEM-Cl (1.2 당량)를 영하 78 oC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상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반응물에 얼음물을 넣은 후,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어준 후, MgSO4를 이용해 남은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3: isoprypylmagnesium chloride lithium chloride complex solution (5.0 당량, 1.3 M in THF)을 THF (0.5 M)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78 oC로 낮추고 THF에 녹인 2,4-디클로로-5-요오도-7-((2-( 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20분 동안 반응 후, THF에 녹인 Tosyl-CN (1.5 당량) 용액을 그 혼합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반응 후, 그 반응물에 HOAc를 넣고 영하 78 oC에서 15분 동안 다시 반응을 하였다. 그 반응 결과물에 물을 넣어,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은 다음, Mg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노란빛 고체상의 목적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52 %)
단계 4: 2,4-디클로-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 당량)을 THF에 녹인 후, 상온에서 메틸아민(1.0 당량, 35wt% in ethanol)과 DIPEA (1.0 당량)를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은 상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후, 물을 넣고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Mg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노란빛 고체상의 목적화합물 2-클로로-4-(메틸아미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하였다.(수율: 57 %)
< 제조예 1-2> 2- 클로로 -4-( 에틸아미노 )-7-((2-( 트리메틸실릴 ) 에톡시 ) 메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4-(에틸아미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제조하였다.(수율 67%)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5
< 제조예 1-3> 2- 클로로 -4-( 프로필아미노 )-7-((2-( 트리메틸실릴 ) 에톡시 ) 메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4-(프로필아미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제조하였다.(수율 45%)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6
< 제조예 1-4> 2- 클로로 -4-( 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 )-7-((2-( 트리메틸실릴 ) 에톡시 )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4-(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제조하였다.(수율 50%)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7
< 제조예 1-5> 2- 클로로 -4-(1- 메틸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 )-7-((2-( 트리메틸실릴 )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4-(1-메틸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8
< 제조예 2-1> 2- 클로로 -4-( 테트라하이드로 -2H-피란-4- 일옥시 )-7-((2-( 트리메틸실릴 )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반응식 3]
Figure 112018119134664-pat00099
단계 1: 2,4-디클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10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요오도숙신이미드 (1.1 당량)를 넣고 온도를 상온으로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얼음물를 넣어 침전을 유도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은 여과 후, 흰색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2: 2,4-디클로-5-요오도-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 (0.5 M)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78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aH (1.5 당량)를 넣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SEM-Cl (1.2 당량)를 영하 78 oC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상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반응물에 얼음물을 넣은 후,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어준 후, MgSO4를 이용해 남은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3: isoprypylmagnesium chloride lithium chloride complex solution (5.0 당량, 1.3 M in THF)을 THF (0.5 M)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78 oC로 낮추고 THF에 녹인 2,4-디클로로-5-요오도-7-((2-( 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20분 동안 반응 후, THF에 녹인 Tosyl-CN (1.5 당량) 용액을 그 혼합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반응 후, 그 반응물에 HOAc를 넣고 영하 78 oC에서 15분 동안 다시 반응을 하였다. 그 반응 결과물에 물을 넣어,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은 다음, Mg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노란빛 고체상의 목적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52 %)
단계 4 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올(1.8 당량)을 1,4-디옥산(0.25 M)에 녹인 후, 질소 하의 상온에서 NaH (2.0 당량)을 첨가하고 5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후, 그 혼합용액에 1,4-디옥산에 녹아져 있는 2,4-디클로로-7-((2-( 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 당량)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결과적인 반응물을 100 oC로 온도를 높여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그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sat. NH4Cl로 넣어 남아있는 NaH의 활성을 없앤 후, 유기물을 EtOAc로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Mg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MeOH:CH2Cl2)를 통해 정제되었고 노란빛 오일의 목적화합물인 2-클로로-4-(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옥시)-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하였다.(수율: 33 %)
< 제조예 2-2> 2- 클로로 -4-(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일옥시 )-7-((2-( 트리메틸실릴 )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4-(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옥시)-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제조하였다.(수율: 87 %)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0
< 제조예 2-3> 2- 클로로 -4- 이소프로폭시 -7-((2-( 트리메틸실릴 ) 에톡시 ) 메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4-이소프로폭시-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제조하였다.(수율: 62 %)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1
< 제조예 2-4> 2- 클로로 -4-(1- 메틸사이클로프로폭시 )-7-((2-( 트리메틸실릴 )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4-(1-메틸사이클로프로폭시)-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2
< 제조예 3-1> 2- 클로로 -N- 메틸 -5-( 트리플루오로메틸 )-7-((2-( 트리메틸실릴 )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반응식 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3
단계 1: 2,4-디클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10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요오도숙신이미드 (1.1 당량)를 넣고 온도를 상온으로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얼음물를 넣어 침전을 유도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은 여과 후, 흰색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2: 2,4-디클로-5-요오도-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 (0.5 M)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78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aH (1.5 당량)를 넣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SEM-Cl (1.2 당량)를 영하 78 oC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상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반응물에 얼음물을 넣은 후,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어준 후, MgSO4를 이용해 남은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흰색 고체의 목적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3: Sealed tube안에 2,4-디클로로-5-요오도-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을 EtOH에 녹인 후, 상온에서 메틸아민 (3.5wt% in EtOH)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100 oC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용매를 제거하고 결과물을 EtOAc로 희석한 다음, 물로 씻어주었다. 유기층은 Mg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투명한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4 %)
단계 4: Two-necked round-bottom flask를 질소 기체로 채운 후, CuI(5.0 당량)와 KF (5.0 당량)를 넣었다. 그 혼합물은 150 oC로 온도를 높인 후, 감압 상태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후,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고 실소 하에서 DMF/NMP (1:1)에 녹아져 있는 트리메틸(트리플로로메틸)실란 (5.0 당량)를 syringe를 통해 첨가했다. 30분 동안 반응 후, DMF/NMP (1:1)에 녹아져 있는 2-클로로-5-요오도-N-미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 (1.0 당량)을 syringe를 통해 첨가하고 45 oC에서 48시간 동안 반응했다. 반응 후, 그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시킨 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모아진 여과액으로부터 유기물이 EtOAc를 이용하여 추출되었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고, Na2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노란빛 고체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65 %)
< 제조예 3-2> 2- 클로로 -N-에틸-5-( 트리플루오로메틸 )-7-((2-( 트리메틸실릴 )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N-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4
< 제조예 3-3> 2- 클로로 -N- 사이클로프로필 -5-( 트리플루오로메틸 )-7-((2-( 트리메틸실릴 )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N-사이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5
< 제조예 3-4> 2- 클로로 -N-(1- 메틸사이클로프로필 )-5-( 트리플루오로메틸 )-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상기 제조예 3-1과 유사한 방법으로 2-클로로-N-(1-메틸사이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6
< 제조예 4-1> 2- 클로로 -4-(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 일록시 )-5-( 트리플루오로메틸 )-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의 제조
[반응식 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7
단계 1: 2,4-디클로-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10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요오도숙신이미드 (1.1 당량)를 넣고 온도를 상온으로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얼음물을 넣어 침전을 유도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은 여과 후, 흰색의 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2: 2,4-디클로-5-요오도-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를 DMF (0.5 M)에 녹인 후, 온도를 영하 78 oC로 낮추었다. 그 혼합물에 NaH (1.5 당량)를 넣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SEM-Cl (1.2 당량)를 영하 78 oC에서 첨가하고, 반응물을 상온으로 온도를 올린 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반응물에 얼음물을 넣은 후,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어준 후, MgSO4를 이용해 남은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흰색 고체 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100%)
단계 3: 질소 하에서 테트라히드로퓨란-3-올 (2.0 당량)을 1,4-디옥산 (0.15 M)에 녹인 후, 0 oC로 온도를 낮추었다. NaH (1.1 당량)을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한 다음, 2,4-디클로로-5-요오도-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그 반응물을 70 oC로 가열한 다음,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후, 그 결과물을 상온으로 식힌 다음, sat. NH4Cl을 넣어 남아있는 NaH의 활성을 없애고 EtOAc로 유기물을 추출하였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고, Mg2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Hex:CH2Cl2)를 통해 정제되었고 하얀색 고체 화합물을 수득하였다.(수율: 81 %)
단계 4: Two-necked round-bottom flask를 질소 기체로 채운 후, CuI(5.0 당량)와 KF (5.0 당량)를 넣었다. 그 혼합물은 150 oC로 온도를 높인 후, 감압 상태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후,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고 실소 하에서 DMF/NMP (1:1)에 녹아져 있는 트리메틸(트리플로로메틸)실란 (5.0 당량)를 syringe를 통해 첨가했다. 30분 동안 반응 후, DMF/NMP (1:1)에 녹아져 있는 2-클로로-5-요오도-N-미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아민 (1.0 당량)을 실린지를 통해 첨가하고 45 oC에서 48시간 동안 반응했다. 반응 후, 그 반응물에 물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형성시킨 다음,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모아진 여과액으로부터 유기물이 EtOAc를 이용하여 추출되었다(x3). 모아진 유기층은 brine으로 씻고, Na2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MPCL (EtOAc:Hex)를 통해 정제되었고 노란빛 고체의 목적 화합물인 2-클로로-4-(테트라하이드로퓨란-3-일록시)-5-(트리플루오로메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 을 수득하였다. (수율: 65 %)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1
본 발명에 따른 파킨슨 병 및 뇌암 치료용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를 하기 반응식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반응식 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8
단계 1: 제조예 1-1의 화합물(1.0 당량), (4-아미노-3-메톡시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0 당량)과 K2CO3(5.0 당량)를 sec-BuOH(0.1 M)에 첨가하여 녹인 후, 1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여 가스를 제거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Pd2(dba)3(0.1 당량) 및 Xphos(0.1 당량)을 100 oC에서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반응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로 여과하고, EtOAc와 MeOH로 씻어주었다. 얻어진 여과액을 농축한 후, 얻어진 노란색 고체의 목적 화합물을 더 이상의 정제 없이 그 다음 단계에 사용되었다.
단계 2: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 당량)을 CH2Cl2 (0.05 M)에 녹인 후, 상온에서 TFA (100 당량)를 첨가하였다. 4시간 반응 후, 용매를 제거하였다. 농축된 혼합물을 다시 THF (0.03 M)에 녹인 후, 상온에서 sat. Na2CO3 (0.03 M)를 첨가하여 14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반응 후, 결과물은 EtOAc로 희석한 다음, 물과 brine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였다. 그 유기층은 MgSO4로 남아있는 물을 제거하였다. 그 혼합물은 prep-HPLC를 통해 정제되었고 노란빛 고체의 목적 화합물인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하였다. (수율: 91 %)
< 실시예 2> ~ < 실시예 137>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2
상기 제조예 1-1 ~ 1-4, 제조예 2-1 ~ 2-4, 제조예 3-1 ~ 3-4 및 제조예 4-1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킨슨 병 및 뇌암 치료용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137에 대한 화학구조식을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으며, 각 실시예의 화합물명, H1 NMR 데이터, 수율 및 HPLC 분석 결과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화학구조 실시예 화학구조
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09
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0
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1
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2
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3
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4
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5
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6
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7
1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8
1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19
1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0
1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1
1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2
1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3
1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4
1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5
1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6
1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7
2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8
2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29
2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0
2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1
2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2
2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3
2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4
2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5
2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6
2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7
3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8
3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39
3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0
3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1
3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2
3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3
3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4
3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5
3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6
3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7
4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8
실시예 화학구조 실시예 화학구조
4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49
4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0
4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1
4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2
4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3
4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4
4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5
4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6
4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7
5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8
5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59
5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0
5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1
5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2
5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3
5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4
5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5
5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6
5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7
6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8
6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69
6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0
6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1
6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2
6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3
6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4
6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5
6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6
6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7
7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8
7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79
7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0
7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1
7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2
7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3
7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4
7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5
7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6
7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7
8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8
실시예 화학구조 실시예 화학구조
8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89
82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0
83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1
84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2
85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3
86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4
87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5
88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6
89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7
90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8
91
Figure 112018119134664-pat00199
92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0
93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1
94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2
95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3
96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4
97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5
98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6
99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7
100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8
101
Figure 112018119134664-pat00209
102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0
103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1
104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2
105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3
106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4
107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5
108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6
109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7
110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8
111
Figure 112018119134664-pat00219
112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0
113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1
114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2
115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3
116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4
117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5
118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6
119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7
120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8
실시예 화학구조 실시예 화학구조
121
Figure 112018119134664-pat00229
122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0
123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1
124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2
125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3
126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4
127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5
128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6
129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7
130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8
131
Figure 112018119134664-pat00239
132
Figure 112018119134664-pat00240
133
Figure 112018119134664-pat00241
134
Figure 112018119134664-pat00242
135
Figure 112018119134664-pat00243
136
Figure 112018119134664-pat00244
137
Figure 112018119134664-pat00245
-


화합물명 1H NMR; MS(ESI) m/z 수율
(%)
HPLC
r.t. (min)
(method)
1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 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0 (d, J = 8.28 Hz, 1H), 7.65 (s, 1H), 7.04 (d, J = 1.76 Hz, 1H), 6.98 (dd, J = 8.32, 1.8 Hz, 1H ), 3.90 (s, 3H), 3.60 (br, 8H), 3.11 (s, 3H); 408 [M+H]+ 73 4.848
2 4-(에틸아미노)-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42 (s, 1H), 8.55 (d, J= 8.3 Hz, 1H), 7.93 (s, 1H), 7.80 (s, 1H), 7.07 (s, 1H), 7.03 (d, J= 8.3 Hz, 1H), 6.70 (br s, 1H), 4.20-4.45 (m, 2H), 3.93 (s, 3H), 3.61 (m, 4H), 3.55 (m, 4H), 1.24 (t, J = 7.1 Hz, 3H); 422 [M+H]+ 32 5.245
3 4-(에틸아미노)-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16 (s, 1H), 8.92 (s, 1H), 7.87 (s, 1H), 7.24 (s, 2H), 6.41 (br s, 1H), 4.28-4.75 (m, 2H), 3.76 (s, 6H), 3.60 (s, 5H), 1.24 (t, J = 7.1 Hz, 3H); 369 [M+H]+ 33 5.540
4 4-(에틸아미노)-2-((1-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 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09 (s, 1H), 8.95 (s, 1H), 7.83 (d, J =12.1 Hz, 2H), 7.52 (s, 1H), 6.42 (br s, 1H), 3.79 (s, 3H), 3.56 (m, 2H), 1.24 (t, J = 7.0 Hz, 3H); 283 [M+H]+ 34 4.557
5 4-(에틸아미노)-2-((1-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40 (s, 1H), 9.76 (s, 1H), 7.91 (s, 1H), 7.61 (s, 1H), 6.97 (br s, 1H), 6.45 (s, 1H), 3.77 (s, 3H), 3.58 (m, 2H), 1.26 (t, J = 7.1 Hz, 3H); 283 [M+H]+ 34 4.593
6 4-(에틸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37 (s, 1H), 8.57 (d, J= 12.6 Hz, 1H), 7.92 (s, 1H), 7.61 (s, 1H), 6.99 (d, J= 6.2 Hz, 1H), 6.55 (t, J = 5.6 Hz, 1H), 3.91 (s, 3H), 3.64 (br s, 5H), 3.56 (m, 5H), 3.30 (br s, 2H), 1.25 (t, J = 7.1 Hz, 3H); 440 [M+H]+ 14 5.598
7 4-(에틸아미노)-2-((5-플 루오로-2-메톡시-4-(4- 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23 [M+H]+ 29 4.602
8 4-(에틸아미노)-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 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05 [M+H]+ 24 4.396
9 2-((2-메톡시-4-(4-모르폴리닐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7 (d, J = 8.28 Hz, 1H), 7.59 (s, 1H), 7.01 (d, J = 1.68 Hz, 1H), 6.98 (dd, J = 8.28, 1.76 Hz, 1H ), 3.98 (m, 2H), 3.89 (s, 3H), 3.68 (m, 2H), 3.42 (m, 3H), 3.12 (m, 3H), 2.94 (m, 1H), 2.10 (m, 2H),1.62 (m,2H); 491 [M+H]+ 15 4.211
10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 보닐)페닐)아미노)-4- (메틸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1 (d, J = 12.88 Hz, 1H), 7.53 (s, 1H), 6.86 (d, J = 6.08 Hz, 1H), 3.87 (s, 3H), 3.66 (br, 4H), 3.56 (m, 2H), 3.37 (m, 2H), 3.04 (s, 3H); 426 [M+H]+ 28 5.237
11 2-((5-플루오로-2-메 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 페닐)아미노)-4-(메틸 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8 (d, J = 12.8 Hz, 1H), 7.57 (s, 1H), 6.87 (d, J = 6.12 Hz, 1H), 3.98 (m, 2H), 3.87(s, 3H), 3.80 (m, 1H), 3.65 (m, 2H), 3.42 (m, 4H), 3.12 (m, 3H), 3.05(s, 3H), 2.79 (m, 1H), 2.16 (m,2H), 1.60 (m, 2H); 509 [M+H]+ 5 4.445
12 2-((2-메톡시-4-(모르 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4 (d, J = 8.28 Hz, 1H), 7.61 (s, 1H), 7.02 (d, J = 1.72 Hz, 1H), 6.97 (dd, J = 8.28, 1.76 Hz, 1H ), 3.89 (s, 3H), 3.60 (br, 8H), 3.49 (t, J = 7.44, 7.28, 2H), 1.67 (m, 2H), 0.95 (t, J = 7.48, 7.36, 3H); 436 [M+H]+ 56 5.718
13 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4 (d, J = 8.28 Hz, 1H), 7.61 (s, 1H), 7.02 (d, J = 1.64 Hz, 1H), 6.97 (dd, J = 8.32, 1.72 Hz, 1H ), 3.99 (m, 2H), 3.88 (s, 3H), 3.66 (m, 2H), 3.49 (t, J = 7.44, 7.28, 2H), 3.42 (m, 3H), 3.12 (m, 4H), 2.10 (m, 2H), 1.67 (m,2H), 1.63 (m,3H), 0.94 (t, J = 7.44, 7.40, 3H); 519 [M+H]+ 14 4.536
14 2-((5-플루오로-2-메 톡시-4-(모르폴린-4- 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7 (d, J = 12.8 Hz, 1H), 7.52 (s, 1H), 6.86 (d, J = 6.12 Hz, 1H), 3.87 (s, 3H), 3.66 (m, 4H), 3.56 (m, 2H), 3.46 (m, 2H), 3.38 (m, 2H), 1.64 (m, 2H), 0.95 (m, 3H); 454 [M+H]+ 43 6.162
15 2-((5-플루오로-2-메 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 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9 (d, J = 12.6 Hz, 1H), 7.56 (s, 1H), 6.87 (d, J = 6.08 Hz, 1H), 3.97 (m, 2H), 3.85 (s, 3H), 3.77 (m, 1H), 3.46 (m, 2H), 3.40 (m, 3H), 3.11 (m, 4H), 2.78 (m, 1H), 2.15 (m,2H), 1.64 (m,2H), 1.59 (m, 2H), 0.94 (t, J = 7.48, 7.36, 3H); 537 [M+H]+ 15 4.916
16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2-메톡시-4- (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 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73 (d, J = 8.04 Hz, 1H), 7.62 (s, 1H), 7.01 (d, J = 1.72 Hz, 1H), 6.97 (dd, J = 8.32, 1.8 Hz, 1H ), 3.9 (s, 3H), 3.60 (br, 8H), 2.86 (m, 1H), 0.92 (d, J = 6.04, 2H), 0.70 (m, 2H); 434 [M+H]+ 19 5.018
17 4-(시클로프로필아미노) -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70 (d, J = 8.36 Hz, 1H), 7.64 (s, 1H), 7.01 (d, J = 1.64 Hz, 1H), 6.97 (dd, J = 8.32, 1.76 Hz, 1H ), 3.98 (m, 2H), 3.90(s, 3H), 3.67 (m, 2H), 3.41 (m, 3H), 3.12 (m, 5H), 2.84 (m, 1H), 2.11 (m, 2H),1.61 (m,2H), 0.93 (m, 2H), 0.72 (m, 2H); 517 [M+H]+ 14 4.034
18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5-플루오로-2- 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9 (d, J = 12.56 Hz, 1H), 7.65 (s, 1H), 6.91 (d, J = 6.04 Hz, 1H), 3.89 (s, 3H), 3.66 (br, 4H), 3.55 (m, 2H), 3.34 (m, 2H), 2.83 (m, 1H), 0.94 (m, 2H), 0.72 (m,2H); 452 [M+H]+ 57 5.484
19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5-플루오로-2- 메톡시-4-(4-모르폴리 노피페리딘-1-카르 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76 (d, J = 12.8 Hz, 1H), 7.60 (s, 1H), 6.88 (d, J = 6.12 Hz, 1H), 3.98 (m, 2H), 3.87(s, 3H), 3.79 (m, 1H), 3.65 (m, 2H), 3.41 (m, 3H), 3.12 (m, 4H), 2.82 (m, 1H), 2.78 (m,1H), 2.16 (m, 2H), 1.58 (m, 2H), 0.89 (m, 2H), 0.67 (m,2H); 535 [M+H]+ 44 4.635
20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12.40(s,1H),8.57(d,J=8.28Hz,1H),7.92(s,1H),7.79(brs,1H),7.06(s,1H),7.02(d,J=8.24Hz,1H),6.76(brs,1H),3.93(s,3H),3.80(brs,2H),3.52-3.44(m,2H),3.17(s,3H),3.03(s,3H),1.08(brs,3H);422[M+H]+ 37 5.087
21 (S)-2-((2-메톡시-4-(2- 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35 (s, 1H), 8.58 (d, J = 8.28 Hz, 1H), 7.89 (s, 1H), 7.71 (brs, 1H), 7.06 (s, 1H), 7.00 (d, J = 8.32 Hz, 1H), 6.68 (brs, 1H), 4.02-3.99 (m, 2H), 3.91 (s, 3H), 3.48-3.43 (m, 4H), 3.08-3.01 (m, 1H), 3.00 (s, 3H), 1.07 (brs, 3H); 422 [M+H]+ 36 5.126
22 2-((4-((2R,6S)-2,6-디멜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38 (s, 1H), 8.56 (d, J = 8.36 Hz, 1H), 7.90 (s, 1H), 7.77 (brs, 1H), 7.05 (s, 1H), 7.00 (d, J = 8.28 Hz, 1H), 6.73 (br, 1H), 4.09-3.99 (m, 4H), 3.82 (s, 3H), 3.56-3.51 (m, 2H), 3.01 (s, 3H), 1.27 (brs, 6H); 436 [M+H]+ 51 5.363
23 2-((4-(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보닐)-2- 메톡시페닐 아미노)-4-(메틸아미노)-7H- 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40 (s, 1H), 8.56 (d, J = 8.28 Hz, 1H), 7.91 (s, 1H), 7.80 (brs, 1H), 7.10 (s, 1H), 7.04 (d, J = 6.52 Hz, 1H), 6.77 (brs, 1H), 3.93 (s, 3H), 3.47 (brs, 4H), 3.01 (s, 3H), 2.12-2.05 (4H); 442 [M+H]+ 46 5.641
24 2-((4-((2R, 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9 (d, J = 8.3 Hz, 1H), 7.66 (s, 1H), 7.04 (s, 1H), 6.99 (d, J = 8.3 Hz, 1H), 4.49 (m, 1H), 3.91 (s, 3H), 3.60 (m, 5H), 2.80 (m, 1H), 1.31 (t, J = 7.2 Hz, 4H), 1.08 (m, 6H); 450 [M+H]+ 36 5.694
25 (R)-4-(에틸아미노)-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5 (d, J = 8.3 Hz, 1H), 7.74 (s, 1H), 7.15 (s, 1H), 7.09 (d, J = 8.3 Hz, 1H), 4.51 (br s, 1H), 4.01 (s, 3H), 3.92 (br s, 2H), 3.72 (q, J = 7.2 Hz, 3H), 3.61 (br s, 2H), 2.75 (m, 1H), 1.40 (t, J = 7.2 Hz, 3H), 1.18 (br s, 3H); 436 [M+H]+ 46 5.445
26 (S)-4-(에틸아미노)-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8 (d, J = 8.3 Hz, 1H), 7.74 (s, 1H), 7.15 (s, 1H), 7.10 (d, J = 8.3 Hz, 1H), 4.48 (m, 1H), 4.01 (s, 3H), 3.91 (br s, 2H), 3.72 (q, J = 7.2 Hz, 2H), 3.61 (br s, 3H), 2.80 (m, 1H), 1.40 (t, J = 7.2 Hz, 3H), 1.18 (br s, 3H); 436 [M+H]+ 28 5.449
27 2-((4-(4,4-디플루오로피 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8 (d, J = 8.3 Hz, 1H), 7.74 (s, 1H), 7.18 (s, 1H), 7.13 (d, J = 8.3 Hz, 1H), 4.02 (s, 3H), 3.78 (br s, 3H), 3.75 (q, J = 7.2 Hz, 3H), 2.09 (br s, 4H), 1.40 (t, J = 7.2 Hz, 3H); 456 [M+1]+ 32 5.934
28 6-((1,3-디메틸-1H-피라 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53 (s, 1H), 7.50 (s, 1H), 3.75 (s, 3H), 3.07 (s, 3H), 2.17 (s, 3H); 283 [M+H]+ 39 4.180
29 6-((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 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75 (s, 1H), 7.56 (s, 1H), 3.77 (s, 3H), 3.09 (s, 3H), 2.12 (s, 3H); 283 [M+H]+ 39 4.214
30 6-((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83 (s, 1H), 7.58 (s, 1H), 4.41-4.34 (m, 1H), 3.09 (s, 3H), 2.13 (s, 3H), 1.42 (d, J = 6.7 Hz, 6H); 311 [M+H]+ 50 4.612
31 6-((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55 (s, 1H), 7.54 (s, 1H), 4.54-4.47 (m, 1H), 3.07 (s, 3H), 2.18 (s, 3H), 1.41 (d, J = 6.6 Hz, 6H); 311 [M+H]+ 49 4.572
32 2-((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64 (s, 1H), 7.58 (s, 1H), 3.84 (s, 3H), 3.70 (q, J = 7.2 Hz, 2H), 2.27 (s, 3H), 1.34 (t, J = 7.2 Hz, 3H); 297 [M+H]+ 29 4.498
33 2-((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82 (s, 1H), 7.66 (s, 1H), 3.87 (s, 3H), 3.72 (q, J = 7.2 Hz, 2H), 2.22 (s, 3H), 1.36 (t, J = 7.2 Hz, 3H); 297 [M+H]+ 31 4.527
34 4-(에틸아미노)-2 -((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12.05(brs,1H),8.13(brs,1H),7.74(s,1H),7.54(s,1H),6.30(brs,1H),4.514.40(m,1H),3.543.45(m,2H),2.16(s,3H),1.35(d,J = 6.6 Hz, 6H), 1.18 (t, J = 7.1 Hz, 3H); 325 [M+H]+ 28 4.829
35 4-(에틸아미노)-2-((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12.16(brs,1H),8.36(brs,1H),7.87(s,1H),7.79(s,1H),6.59(brs,1H),4.414.30(m,1H),3.593.49(m,2H),2.11(s,3H),1.38(d,J = 6.5 Hz, 6H), 1.21 (t, J = 6.9 Hz, 3H); 325 [M+H]+ 14 4.883
36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30 (s, 1H), 8.80 (d, J = 8.2 Hz, 1H), 7.91 (d, J = 2.4 Hz, 1H), 7.61 (br, 1H), 7.06 (s, 1H), 7.05 (d, J = 8.4 Hz, 1H), 6.64 (br, 1H), 3.93 (s, 3H), 3.70-3.52 (m, 8H), 1.23 (s, 3H), 0.89-0.82 (m, 2H), 0.82-0.76 (m, 2H); 448 [M+H]+ 13 5.339
37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91 (d, J = 12.5 Hz, 1H), 7.71 (s, 1H), 7.01 (d, J = 1H) 3.99 (s, 3H), 3.77-3.76 (m, 4H), 3.67-3.65 (m, 2H), 3.49-3.45 (m, 2H), 1.59 (s, 3H), 1.04-1.01 (m, 2H), 0.99-0.96 (m , 2H); 466 [M+H]+ 4 6.032
38 2-((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75 (s, 1H), 7.69 (s, 1H), 4.63-4.56 (m, 1H), 2.29 (s, 3H), 1.52 (s, 3H), 1.48 (d, J = 6.6 Hz, 6H), 1.09-0.95 (m, 2H), 0.95-0.77 (m, 2H); 351 [M+H]+ 7 4.994
39 2-((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04 (s, 1H), 7.73 (s, 1H), 4.49-4.42 (m, 1H), 2.26 (s, 3H), 1.55 (s, 3H), 1.50 (d, J = 6.7 Hz, 6 H), 1.12-1.00 (m, 2H), 0.99-0.83 (m, 2H); 351 [M+H]+ 11 5.042
40 2-((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70 (s, 1H), 7.66 (s, 1H), 3.83 (s, 3H), 2.28 (s, 3H), 1.54 (s, 3H), 1.00 (br, 2H), 0.87 (br, 2H); 323 [M+H]+ 7 4.576
41 2-((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00 (s, 1H), 7.70 (2, 1H), 3.86 (s, 3H), 2.26 (s, 3H), 1.58 (s, 3H), 1.04 (br, 2H), 0.92 (br, 2H) ; 323 [M+H]+ 4 4.623
42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4 (d, J = 8.3 Hz, 1H), 7.64 (s, 1H), 7.00 (s, 1H), 6.95 (d, J = 8.3 Hz, 1H), 4.41-4.20 (m, 1H), 3.88 (s, 3H), 3.85-3.66 (m, 1H), 3.65-3.52 (m, 1H), 3.51-3.39 (m, 2H), 1.45 (s, 3H), 3.01-2.76 (m, 1H), 2.75-2.48 (m, 1H), 1.14-0.97 (m, 2H), 0.94 (s, 3H), 0.86-0.83 (m, 2H); 462 [M+H]+ 23 5.564
43 (S)-2-((2-메톡시-4-(2- 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4 (d, J = 8.3 Hz, 1H), 7.64 (s, 1H), 7.00 (s, 1H), 6.95 (d, J = 8.3 Hz, 1H), 4.43-4.18 (m, 1H), 3.88 (s, 3H), 3.83-3.36 (m, 4H), 1.45 (s, 3H), 2.99-2.49 (m, 2H), 1.12-0.98 (m, 2H), 0.94 (s, 3H), 0.88-0.81 (m, 2H); 462 [M+H]+ 25 5.564
44 2-((4-((2R, 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2 (d, J = 8.3 Hz, 1H), 7.64 (s, 1H), 7.00 (s, 1H), 6.94 (d, J = 8.3 Hz, 1H), 4.45-4.25 (m, 1H), 3.88 (s, 3H), 3.58-3.43 (m, 2H), 2.87-2.69 (m, 1H), 2.56-2.39 (m, 1H), 1.45 (s, 3H), 1.26-0.69 (m, 11H); 476 [M+H]+ 17 5.891
45 2-((4-(4,4-디플루오로피 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8 (d, J = 8.3 Hz, 1H), 7.61 (s, 1H), 7.02 (s, 1H), 6.98 (d, J = 8.3 Hz, 1H), 3.88 (s, 3H), 3.78-3.50 (m, 4H), 2.59-2.47 (m, 2H), 2.01-1.83 (m, 4H), 1.45 (s, 3H), 1.18-1.11 (m, 2H); 482 [M+H]+ 27 6.036
46 2-(4-((5-시아노-4-(메틸 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판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10 (s, 1H), 7.67 (s, 1H), 3.19 (s, 3H), 2.25 (s, 3H), 1.85 (s, 6H); 354 [M+H]+ 34 4.226
47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24 (s, 1H), 7.69 (s, 1H), 3.19 (s, 3H), 2.28 (s, 3H), 2.02 (s, 6H); 336 [M+H]+ 61 4.799
48 4-(에틸아미노)-2-((3-메톡시-5-(모르폴린-4-카르보닐)피리딘-2-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94 (s, 1H), 7.75 (s, 1H), 7.58 (s, 1H), 3.98 (s, 3H), 3.71-3.38 (m, 10H), 1.28 (t, J = 7.2 Hz, 3H); 423 [M+H]+ 13 4.544
49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30 (s, 1H), 7.72 (s, 1H), 2.30 (s, 3H), 2.00 (s, 6H), 1.56 (s, 3H), 1.11-1.00 (m, 2H), 1.00-0.84 (m, 2H); 376 [M+H]+ 31 5.246
50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05 (s, 1H), 7.67 (s, 1H), 5.19-5.06 (m, 1H), 4.84-4.81 (m, 2H), 4.78-4.71 (m, 2H), 4.17-4.14 (m, 1H), 3.69-3.56 (m, 1H), 3.40-3.33 (m, 2H), 3.14 (s, 3H), 2.95-2.71 (m, 2H), 2.42-2.19(m, 2H); 446 [M+H]+ 8 4.213
51 2-((5-클로로-1-((3S, 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 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83 (s, 1H), 7.52 (s, 1H), 5.09-4.93 (m, 1H), 4.71-4.60 (m, 5H), 4.16-4.11 (m, 1H), 3.61-3.54 (m, 1H), 3.50-3.45 (m, 2H), 3.30-3.25 (m, 1H), 2.90-2.70 (m, 2H), 2.34-2.26 (m, 2H), 1.14 (t, J = 7.2 Hz, 3H); 460 [M+H]+ 39 4.473
52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23 (s, 1H), 7.75 (s, 1H), 5.11-5.24 (m, 1H), 4.77-4.88 (m, 5H), 4.26 (m, 1H), 3.73 (m, 1H), 2.95 (m, 1H), 2.86 (m, 1H), 2.45 (m, 2H), 2.35 (m, 1H), 1.55 (s, 3H), 1.30 (br s, 1H), 1.04 (br s, 2H), 0.91 (br s, 2H); 486 [M+H]+ 36 4.583
53 4-(에틸아미노)-2-((1- (3S, 4S)-3-플루오로-1- (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89 (s, 1H), 7.62 (s, 1H), 7.51 (s, 1H), 5.07-4.91 (m, 1H), 4.72-4.61 (m, 4H), 4.56-4.48 (m, 1H), 4.26-4.20 (m, 1H), 3.66-3.59 (m, 1H), 3.57-3.52 (m, 2H), 3.40-3.34 (m, 1H), 3.04-2.85 (m, 2H), 2.31-2.26 (m, 2H), 1.19 (t, J = 7.2 Hz, 3H); 426 [M+H]+ 29 4.232
54 2-((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21 (s, 1H), 7.89 (s, 1H), 7.74 (s, 1H), 5.06-5.22 (m, 1H), 4.81-4.90 (m, 4H), 4.69 (m, 1H), 4.35 (m, 1H), 3.79 (m, 1H), 3.50 (m, 1H), 3.09 (m, 1H), 2.97 (m, 1H), 2.48 (m, 2H), 1.60 (s, 3H), 1.07 (br s, 2H), 0.98 (br s, 2H); 452 [M+H]+ 65 4.367
55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8.73 (d, J = 9 Hz, 1H), 7.69 (s, 1H), 7.53-7.51 (m, 2H), 4.19-4.13 (m, 1H), 4.02 (s, 3H), 3.64-3.55 (m, 2H), 3.51-3.34 (m, 2H), 3.18 (s, 3H), 2.90 (s, 3H), 2.28-1.89 (m, 4H); 435 [M+H]+
18 4.379
56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 (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8 (d, J = 8 Hz, 1H), 7.70 (s, 1H), 7.53-7.51 (m, 2H), 4.22-4.10 (m, 1H), 4.03 (s, 3H), 3.71-3.66 (m, 2H), 3.64-3.55 (m, 2H), 3.25-3.11 (m, 2H), 2.30-2.22 (m, 2H), 1.98-1.83 (m, 2H), 1.38 (t, J = 7.2 Hz, 3H); 449 [M+H]+ 22 4.536
57 2-((2-메톡시-4-(옥세탄-3-일)피페라진-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6 (d, J = 8.3 Hz, 1H), 7.73 (s, 1H), 7.17 (s, 1H), 7.14 (d, J= 8,32, 1H), 4.88-4.81 (m, 4H), 4.43-4.33(m, 1H), 4.00 (s, 3 H), 4.00-3.84 (m, 4H), 3.28-3.19 (m, 4H), 3.19 (s, 3H); 463 [M+H]+ 19 4.137
58 4-(에틸아미노)-2-((2-메톡시-4-(4-(옥세탄-3-일)피페라진-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6 (d, J = 8.3 Hz, 1H), 7.73 (s, 1H), 7.18 (s, 1H), 7.14 (d, J = 8.3 Hz, 1H), 4.88-4.85 (m, 4H), 4.43-4.40 (m, 1H), 4.05 (s, 3H), 4.05-3.86 (m, 4H), 3.69-3.64 (m, 2H), 3.31-3.28 (m, 4H), 1.37 (t, J = 7.2 Hz, 3H); 477 [M+H]+ 36 4.389
59 2-((5-클로로-1-(2-메톡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93 (s, 1H), 7.67 (s, 1H), 4.37 (t, J = 5.2 Hz, 2H), 3.81 (t, J = 5.2 Hz, 2H), 3.33 (s, 3H), 3.16 (s, 3H); 347 [M+H]+ 15 4.625
60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8 (d, J = 8.9 Hz, 1H), 7.57 (s, 1H), 7.40 (s, 1H), 7.38 (s, 1H), 4.76-4.68 (m, 4H), 4.36-4.25 (m, 1H), 4.13-4.02 (m, 1H), 3.88 (s, 3H), 3.59-3.38 (m, 4H), 3.01-2.84 (m, 2H), 2.21-2.08 (m, 2H), 1.97-1.79 (m, 2H), 1.25 (t, J = 7.2 Hz, 3H); 491 [M+H]+ 33 4.503
61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3 (d, J = 9.0 Hz, 1H), 7.59 (s, 1H), 7.41 (s, 1H), 7.39 (s, 1H), 4.76-4.68 (m, 4H), 4.36-4.27 (m, 1H), 4.15-4.03 (m, 1H), 3.89 (s, 3H), 3.51-3.39 (m, 2H), 3.06 (s, 3H), 3.00-2.86 (m, 2H), 2.22-2.11 (m, 2H), 1.95-1.82 (m, 2H); 477 [M+H]+ 33 4.270
62 2-((5-클로로-1-(2-메톡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79 (s, 1H), 7.52 (s, 1H), 4.24 (t, J = 5.3 Hz, 2H), 3.69 (t, J = 5.2 Hz, 2H), 3.54-3.50 (m, 2H), 3.21 (s, 3H), 1.20 (t, J = 7.2 Hz, 3H); 361 [M+H]+ 32 4.953
63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피롤리딘-1-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0 (d, J = 14.1 Hz, 1H), 7.70 (s, 1H), 7.30 (d, J = 6.6 Hz, 1H), 4.86 (m, 6H), 4.46 (br s, 1H), 4.25 (br s, 1H), 3.99 (s, 3H), 3.60 (br s, 1H), 3.17 (s, 3H), 3.08 (br s, 1H), 2.31 (m, 2H), 2.01 (br s, 2H); 495 [M+H]+ 59 4.560
64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피롤리딘-1-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8.60 (d, J = 14.1 Hz, 1H), 7.69 (s, 1H), 7.28 (d, J = 6.6 Hz, 1H), 4.88 (m, 5H), 4.45 (br s, 1H), 4.23 (br s, 1H), 3.98 (s, 3H), 3.67 (q, J = 7.2 Hz, 2H), 3.62 (br s, 1H), 3.08 (br s, 2H), 2.33 (br s, 2H), 2.01 (br s, 2H), 1.39 (t, J = 7.2 Hz, 3H); 509 [M+H]+ 92 4.811
65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 -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8.66(dd,J = 14.3, 6.6 Hz, 1H), 7.69 (s, 1H), 7.31 (d, J = 6.6 Hz, 1H), 4.22 4.11 (m, 2H), 3.99 (s, 3H), 3.65 3.70 (m, 2H), 3.52 3.45 (m, 1H), 3.17 (s, 3H), 2.92 (d, J = 13.6 Hz, 3H), 2.32 2.25 (m, 2H), 1.95 1.84 (m, 2H); 453 [M+H]+ 62 4.574
66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8.708.60(m,1H),7.69(s,1H),7.32(d,J = 6.6 Hz, 1H), 4.25 4.12 (m, 1H), 4.05 3.94 (m, 3H), 3.68 (dd, J = 14.3, 7.1 Hz, 2H), 3.63 3.56 (m, 2H), 3.25 3.12 (m, 2H), 2.92 (d, J = 13.9 Hz, 3H), 2.33 2.22 (m, 2H), 1.95 1.85 (m, 2H), 1.36 (t, J = 7.2 Hz, 3H); 467 [M+H]+ 50 4.844
67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3 (d, J = 14.28 Hz, 1H), 7.56 (s, 1H), 7.18 (d, J = 6.68 Hz, 1H), 4.08 (m, 2H), 3.87(s, 3H), 3.43 (m, 3H), 3.12 (m, 2H), 3.04 (s, 3H), 2.20 (m, 2H), 1.80 (m, 2H), 1.28 (s, 3H), 1.26 (s, 3H); 481 [M+H]+ 42 4.696
68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DMSO-d4)12.37 ( br, 1H), 8.54 ( d, J = 13.7, 1H), 7.92 (s, 1H), 7.78 (m, 1H), 7.62 (s,1H), 7.18 (d, J = 6.76, 1H ), 6.54 (t, J = 5.72, 5.56, 1H), 3.93 (s, 3H), 3.70 (m, 1H), 3.56 (m, 2H), 2.74(m, 2H), 2.67(m, 1H), 2.18(m, 2H), 1.80(m, 2H),1.50(m, 2H),1.23 (t, J = 7.08, 7.08, 3H), 0.97(s, 3H), 0.95 (s, 3H); 495 [M+H]+ 42 4.943
69 2-((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12.05(brs,1H),8.88(brs,1H),7.92(s,1H),7.77(d,J = 2.5 Hz, 1H), 7.54 (s, 1H), 6.40 (br s, 1H), 4.06 (t, J = 5.6 Hz, 2H), 3.70 (t, J = 5.6 Hz, 2H), 3.00 (s, 3H); 299 [M+H]+ 68 4.083
70 4-(에틸아미노)-2-((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12.10(brs,1H),8.96(brs,1H),7.90(s,1H),7.79(s,1H),7.54(s,1H),6.44(brs,1H),4.07(t,J = 5.6 Hz, 2H), 3.71 (t, J = 5.5 Hz, 2H), 1.22 (t, J = 7.1 Hz, 3H); 313 [M+H]+ 56 4.238
71 2-((3-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6 (s, 1H), 7.70 (s, 1H), 3.19 (s, 3H), 2.03 (s, 6H); 356 [M+H]+ 61 5.506
72 2-((3-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2 (s, 1H), 7.66 (s, 1H), 3.68 (q, J = 7.2 Hz, 2H), 2.03 (s, 6H), 1.37 (t, J = 7.2 Hz, 3H); 370 [M+H]+ 55 5.882
73 2-((5-클로로-1-(2-시아 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01 (s, 1H), 7.40 (s, 1H), 2.97 (s, 3H), 1.93 (s, 6H); 356 [M+H]+ 42 5.269
74 2-((5-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89 (s, 1H), 7.52 (s, 1H), 3.54-3.49 (m, 2H), 1.96 (s, 6H), 1.20 (t, J = 7.5 Hz, 3H); 370 [M+H]+ 20 5.596
75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70 (d, J = 8.3 Hz, 1H), 7.72 (s, 1H), 7.15 (s, 1H), 7.13 (d, J = 8.4 Hz, 1H), 4.01 (s, 3H), 3.51-3.48 (m, 3H), 3.24-3.12 (m, 7H), 2.95 (s, 3H), 1.47 (d, J = 7.2 Hz, 3H); 435 [M+H]+ 19 4.182
76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9 (d, J = 8.3 Hz, 1H), 7.73 (s, 1H), 7.15 (s, 1H), 7.12 (d, J = 8.3 Hz, 1H), 4.00 (s, 3H), 3.70-3.65 (m, 2H), 3.60-3.45 (m, 3H), 3.33-3.26 (m, 3H), 3.20-3.14 (m, 1H), 2.95 (s, 3H), 1.47 (d, J = 7.2 Hz, 3H), 1.37 (t, J = 7.2 Hz, 3H); 449 [M+H]+ 25 4.429
77 2-((1-(2-시아노프로판-2-일)-3,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62 (s, 1H), 3.14 (s, 3H), 2.45 (s, 3H), 2.13 (s, 3H), 2.01(s, 6H); 350 [M+H]+ 6 4.753
78 2-((1-(2-시아노프로판-2-일)-3,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65 (s, 1H), 3.71-3.60 (m, 2H), 2.45 (s, 3H), 2.13 (s, 3H), 2.01(s, 6H), 1.33-1.23 (m, 3H); 364 [M+H]+ 8 5.040
79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5-플루오로-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7 (d, J = 12.84 Hz, 1H), 7.56 (s, 1H), 6.90 (d, J = 6.0 Hz, 1H), 3.88 (s, 3H), 3.71(m,1H), 3.55 (m, 2H), 3.46 (m, 1H), 3.37 (m, 1H), 3.02 (m, 2H), 2.86 (s, 3H), 1.33 (s, 3H), 1.24 (t, J= 7.2, 7.16, 3H), 1.17(s, 2H); 467 [M+H]+ 51 4.742
80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5-플루오로-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8.69(d,J = 12.9 Hz, 1H), 7.67 (s, 1H), 7.01 (d, J = 6.0 Hz, 1H), 3.99 (s, 3H), 3.92 3.77 (m, 1H), 3.72 3.40 (m, 4H), 3.40 3.31 (m, 2H), 3.21 3.09 (m, 4H), 2.96 (s, 3H), 1.44 (s, 3H); 453 [M+H]+ 24 1.66(B)
81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99 (d, J = 14.4 Hz, 1H), 7.72 (s, 1H), 7.36 (d, J = 6.7 Hz, 1H), 4.81 (m, 3H), 4.45 (br s, 1H), 4.24 (br s, 1H), 4.02 (s, 3H), 3.59 (br s, 2H), 3.08 ( br s, 2H), 2.31 (br s, 2H), 2.02 (m, 2H), 1.61 (s, 3H), 1.30 (m, 1H), 1.05 (m, 2H), 0.97 (m, 2H); 535 [M+H]+ 29 4.913
82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92 (d, J = 14.2 Hz, 1H), 7.74 (s, 1H), 7.36 (d, J = 6.6 Hz, 1H), 4.20 (m, 1H), 4.03 (s, 3H), 3.58 (m, 3H), 3.26 ( t, J = 12.3 Hz, 2H), 2.35 (m, 2H), 1.96 (m, 2H), 1.62 (s, 3H), 1.41 (d, J = 6.6 Hz, 6H), 1.07 (m, 2H), 0.99 (m, 2H); 521 [M+H]+ 64 5.069
83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91 (d, J = 14.2 Hz, 1H), 7.74 (s, 1H), 7.35 (d, J = 6.6 Hz, 1H), 4.20 (m, 1H), 4.02 (s, 3H), 3.63 (m, 2H), 3.26 ( t, J = 11.5 Hz, 2H), 2.92(s, 3H), 2.31 (m, 2H), 1.98 (m, 2H), 1.62 (s, 3H), 1.06 (br s, 2H), 0.99 (br s, 2H); 493 [M+H]+ 62 4.951
84 2-((2-메톡시-4-(모르폴린 -4-카르보닐)페닐)아미노) -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4 (d, J= 8.3 Hz, 1H), 7.72 (s, 1H), 7.11 (s, 1H), 7.08 (d, J = 8.3 Hz, 1H), 5.60 (m, 1H), 4.07 (m, 2H), 4.00 (s, 3H), 3.76 (m, 10), 2.19 (m, 2H), 1.96 (m, 2H); 479 [M+H]+ 32 6.179
85 2-((2-메톡시-4-(모르폴린 -4-카르보닐)페닐)아미노) -4-((테트라히드로-2H-피란-4-일)옥시)-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62 [M+H]+ 55 4.853
86 2-((2-메톡시-4-(모르폴린 -4-카르보닐)페닐)아미노) -4-((테트라히드로푸란-3- 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2 (d, J= 8.3 Hz, 1H), 7.68 (s, 1H), 7.09 (s, 1H), 7.07 (d, J = 8.3 Hz, 1H), 5.78 (m, 1H), 4.14 (m, 1H), 4.05 (m, 2H), 3.99 (s, 3H), 3.96 (m, 1H), 3.7 (br s, 8H), 2.38 (m, 1H), 2.29 (m, 1H); 465 [M+H]+ 47 6.022
87 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548 [M+H]+ 16 4.779
88 (S)-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1 (d, J= 8.3 Hz, 1H), 7.69 (s, 1H), 7.09 (s, 1H), 7.07 (d, J = 8.3 Hz, 1H), 5.78 (m, 1H), 4.14 (m, 1H), 4.05 (m, 2H), 3.99 (s, 3H), 3.96 (m, 1H), 3.7 (br s, 8H), 2.29-2.38 (m, 2H); 465 [M+H]+ 58 6.022
89 (R)-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0 (d, J= 8.3 Hz, 1H), 7.68 (s, 1H), 7.09 (s, 1H), 7.07 (d, J = 8.3 Hz, 1H), 5.78 (m, 1H), 4.14 (m, 1H), 4.06 (m, 2H), 3.99 (s, 3H), 3.97 (m, 1H), 3.7 (br s, 8H), 2.29-2.38 (m, 2H); 465 [M+H]+ 75 6.020
90 4-이소프로폭시-2-((2-메 톡시-4-(모르폴린-4-카르 보닐)페닐)아미노)-7H-피 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4 (d, J= 8.3 Hz, 1H), 7.67 (s, 1H), 7.09 (s, 1H), 7.07 (d, J = 8.4 Hz, 1H), 5.58 (m, 1H), 3.99 (s, 3H), 3.71 (br s, 8H), 1.48 (d, J = 6.2 Hz, 6H); 437 [M+H]+ 37 6.392
91 4-이소프로폭시-2-((2-메 톡시-4-(4-모르폴리노피 페리딘-1-카르보닐)페닐) 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20 [M+H]+ 44 4.774
92 (S)-2-((5-플루오로-2-메 톡시-4-(모르폴린-4-카르 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 d]피리 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69 (s, 1H), 8.43 (d, J= 12.1 Hz, 1H), 8.07 (d, J= 13.0 Hz, 2H), 7.05 (d, J= 6.2 Hz, 1H), 5.76 (m, 1H), 4.03 (m, 1H), 3.94 (s, 5H), 3.85 (m, 2H), 3.65 (br s, 5H), 3.56 (m, 2H), 2.35 (m, 1H), 2.15 (m, 1H); 483 [M+H]+ 6 6.286
93 (S)-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566 [M+H]+ 42 4.677
94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13 (s, 1H), 7.48 (s, 1H), 2.15 (s, 3H), 1.86 (s, 6H), 1.64 (s, 3H), 0.94-0.92 (m, 2H), 0.73-0.71 (m, 2H); 377[M+H]+ 33 6.680
95 2-((2-메톡시-4-(모르폴린 -4-카르보닐)페닐)아미노) -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53 (br, 1H), 8.54 (d, J = 8.3 Hz, 1H), 8.02 (d, J = 2.7 Hz, 1H), 7.90 (s, 1H), 7.08-7.04 (m, 2H), 3.92 (s, 3H), 3.70-3.46 (m, 8H), 1.71 (s, 3H), 1.02-0.84 (m, 4H); 449 [M+H]+ 20 6.614
96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07 (s, 1H), 7.55 (s, 1H), 5.08-5.20 (m, 1H), 4.74-4.83 (m, 5H), 4.37 (m, 1H), 3.80 (m, 1H), 3.49 (m, 1H), 3.06 (m, 1H), 2.35 (m, 2H), 1.64 (s, 3H), 1.21 (br s, 1H), 0.97 (m, 2H), 0.71 (m, 2H); 487 [M+H]+ 71 5.341
97 2-((5-플루오로-2-메톡시 -4-(모르폴린-4-카르보닐) 페닐)아미노)-4-(1-메틸 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62 (br, 1H), 8.58 (d, J = 12.4 Hz, 1H), 8.07 (s, 1H), 7.96 (s, 1H), 7.04 (d, J = 6.2 Hz, 1H), 3.92 (s, 3H), 3.68-3.52 (m, 7H), 3.18-3.15 (m, 1H), 1.72 (s, 3H), 1.05-1.02 (m, 2H), 0.88-0.85 (m, 2H); 467 [M+H]+ 25 6.824
98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 [2,3d]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83 (d, J = 8.3 Hz, 1H), 7.73 (s, 1H), 7.11 (s, 1H), 7.09 (d, J = 8.3 Hz, 1H), 4.02 (s, 3H), 3.92 (br s, 1H), 3.61 (br s, 2H), 1.81 (s, 3H), 1.24 (s, 4H), 1.10-1.21 (m, 5H), 0.92 (m, 2H); 463 [M+H]+ 32 6.842
99 (S)-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 페닐)아미노)-4-(1-메틸 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6 (d, J = 8.3 Hz, 1H), 7.56 (s, 1H), 6.94 (s, 1H), 6.93 (d, J = 8.3 Hz, 1H), 4.47-4.07 (m, 1H), 4.28 (s, 3H), 3.81-3.55 (m, 2H), 3.51-3.35 (m, 2H), 3.08-2.44 (m, 2H), 1.64 (s, 3H), 1.01-0.90 (m, 5H), 0.76-0.73 (m, 2H); 463 [M+H]+ 21 6.847
100 2-((4-((2R, 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9 (d, J = 8.3 Hz, 1H), 7.58 (s, 1H), 6.96(s, 1H), 6.95 (d, J = 8.3 Hz, 1H), 4.49-4.21 (m, 1H), 3.78-3.40 (m, 3H), 3.07 (s, 3H), 2.93-2.34 (m, 2H), 1.67 (s, 3H), 1.04-0.97 (m, 8H), 0.79-0.76 (m, 2H); 477 [M+H]+ 20 7.083
101 2-((1-((3S,4S)-3-플루오로 -1-(옥세탄-3-일)피페리딘 -4-일)-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폭시)-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10 (s, 1H), 7.70 (s, 1H), 7.54 (s, 1H), 4.99-5.12 (m, 1H), 4.71-4.89 (m, 4H), 4.56 (m, 1H), 4.30 (m, 1H), 3.70 (m, 1H), 3.45 (m, 1H), 3.09 (m, 1H), 2.95 (m, 1H), 2.36 (m, 2H), 1.71 (s, 3H), 1.00 (br s, 2H), 0.77 (br s, 2H); 453 [M+H]+ 53 5.089
102 N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N4-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00 (s, 1H), 7.49 (s, 1H), 5.08-5.24 (m, 1H), 4.86 (m, 3H), 4.79 (m, 3H), 4.18 (m, 1H), 3.67 (m, 3H), 2.85 (m, 1H), 2.79 (m, 1H), 2.46 (m, 1H), 2.33 (m, 1H), 1.29 (m, 3H); 503 [M+H]+ 22 4.897
103 2-(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 판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20 (s, 1H), 7.47 (s, 1H), 3.73 (q, J = 7.2 Hz, 2H), 2.28 (s, 3H), 2.03 (s, 6H), 1.33 (t, J = 7.2 Hz, 3H); 393 [M+H]+ 48 5.585
104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일)메탄온 548 [M+H]+ 85 4.791
105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8 (d, J = 8.3 Hz, 1H), 7.54 (s, 1H), 7.16 (s, 1H), 7.11 (d, J = 8.3 Hz, 1H), 4.00 (s, 3H), 3.51-3.86 (m, 10H), 1.36 (t, J =7.2 Hz, 3H); 465 [M+H]+ 56 5.595
106 (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8.47 (d, J = 8.3 Hz, 1H), 7.57 (s, 1H), 7.18 (s, 1H), 7.13 (d, J = 8.3 Hz, 1H), 4.78 (m, 1H), 4.01 (s, 3H), 4.00 (s, 2H), 3.75 (q, J = 7.2 HZ, 2H), 3.50-3.68 (m, 8H), 3.45 (m, 1H), 2.98 (s, 4H), 2.18 (br s, 2H), 1.78 (m, 2H), 1.37 (t, J = 7.2 Hz, 3H); 561 [M+H]+ 60 4.587
107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0 (d, J = 8.3 Hz, 1H), 7.53 (s, 1H), 7.21 (s, 1H), 7.18 (d, J = 8.3 Hz, 1H), 4.51 (br s, 1H), 4.02 (s, 3H), 3.74 (q, J = 7.2 Hz, 2H), 3.54 (m, 4H), 3.23 (m, 2H), 2.98 (s, 3H), 1.37 (t, J =7.2 Hz, 3H); 478 [M+H]+ 32 4.768
108 (R)-(4-((4-(에틸아미노)-5- (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 (2-메틸모르폴리노)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39 (d, J = 8.3 Hz, 1H), 7.47 (s, 1H), 7.07 (s, 1H), 7.02 (d, J = 8.3 Hz, 1H), 4.37 (br s, 1H), 3.91 (s, 3H), 3.81 (m, 1H), 3.65 (q, J = 7.2 Hz, 3H), 3.51 (br s, 2H), 3.01 (br s, 1H), 1.27 (t, J = 7.2 Hz, 3H), 1.12 (br s, 4H); 479 [M+H]+ 49 5.877
109 ((2R,6S)-2,6-디메틸모르 폴리노)((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 미딘-2-일)아미노)-3-메 톡시페닐)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49 (d, J = 8.3 Hz, 1H), 7.56 (s, 1H), 7.16 (s, 1H), 7.11 (d, J = 8.3 Hz, 1H), 4.50 (br s, 1H), 4.01 (s, 3H), 3.75 (q, J = 7.2 Hz, 2H), 3.65 (br s, 3H), 2.94 (br s, 1H), 2.68 (br s, 1H), 1.37 (t, J = 7.2 Hz, 3H), 1.10 (m, 6H); 493 [M+H]+ 46 6.110
110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 페닐)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1 (d, J = 8.3 Hz, 1H), 7.56 (s, 1H), 7.20 (s, 1H), 7.15 (d, J = 8.3 Hz, 1H), 4.01 (s, 3H), 3.83 (br s, 4H), 3.75 (q, J = 7.2 Hz, 2H), 2.09 (br s, 4H), 1.37 (t, J = 7.2 Hz, 3H); 499 [M+H]+ 44 6.287
111 (S)-(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 (2-메틸모르폴리노)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51 (d, J = 8.3 Hz, 1H), 7.55 (s, 1H), 7.16 (s, 1H), 7.11 (d, J = 8.3 Hz, 1H), 4.47 (br s, 1H), 4.01 (s, 3H), 3.91 (br s, 1H), 3.74 (q, J = 7.2 Hz, 2H), 3.61 (br s, 3H), 3.01 (br s, 1H), 1.37 (t, J = 7.2 Hz, 3H), 1.19 (br s, 4H); 479 [M+H]+ 43 5.881
112 (3-메톡시-4-((4-(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0 (br s, 1H), 7.69 (s, 1H), 7.26 (s, 1H), 7.20 (d, J = 8.3 Hz, 1H), 4.09 (s, 3H), 3.79 (br s, 6H), 3.70 (m, 2H), 3.34 (s, 3H); 451 [M+H]+ 89 5.267
113 2-(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 판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07 (s, 1H), 7.47 (s, 1H), 3.74 (q, J = 7.0 Hz, 2H), 2.25 (s, 3H), 1.86 (s, 6H), 1.34 (t, J = 7.2 Hz, 3H); 411 [M+H]+ 40 4.951
114 N4-에틸-N2-(2-메톡시-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 -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86 (d, J = 7.8 Hz, 1H), 7.50 (s, 1H), 6.81 (s, 1H), 6.70 (d, J = 7.8 Hz, 1H), 3.94 (s, 3H), 3.90 (m, 2H), 3.72 (q, J = 7.2 Hz, 2H), 3.64 (m, 2H), 3.48 (m, 2H), 3.11 (m, 2H), 3.00 (s, 3H), 1.34 (t, J = 7.1 Hz, 3H); 450 [M+H]+ 34 4.592
115 N4-에틸-N2-(2-메톡시-4 -모르폴리노페닐)-5-(트리 플루오로메틸)-7H-피롤 로[2,3-d]피리미딘-2,4-디 아민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84 (d, J = 6.6 Hz, 1H), 7.47 (s, 1H), 6.82 (s, 1H), 6.73 (d, J = 8.0 Hz, 1H), 3.93 (s, 3H), 3.91 (m, 4H), 3.74 (q, J = 7.2 Hz, 2H), 3.29 (br s, 4H), 1.34 (t, J = 7.2 Hz, 3H); 436 [M+H]+ 52 5.395
116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67 (d, J = 14.1 Hz, 1H), 7.50 (s, 1H), 7.35 (d, J = 6.6 Hz, 1H), 4.84 (m, 2H), 4.45 (br s, 1H), 4.23 (br s, 1H), 4.01 (s, 3H), 3.74 (q, J = 7.2 Hz, 2H), 3.59 ( br s, 2H), 3.07 (br s, 2H), 2.31 (m, 2H), 2.01 (br s, 2H), 1.37 (t, J = 7.2 Hz, 3H); 552 [M+H]+ 37 5.252
117 N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N4-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23 (s, 1H), 7.58 (s, 1H), 5.11-5.27 (m, 1H), 4.81-4.89 (m, 5H), 4.34 (m, 1H), 3.80 (m, 1H), 3.48 (m, 1H), 3.10 (m, 1H), 2.98 (m, 2H), 2.34-2.51 (m, 2H), 1.07 (br s, 2H), 0.84 (br s, 2H); 515 [M+H]+ 31 4.880
118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 리미딘-2-일)아미노)-3-메 톡시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74 (d, J = 8.3 Hz, 1H), 7.63 (s, 1H), 7.17 (s, 1H), 7.12 (d, J = 8.3 Hz, 1H), 4.04 (s, 3H), 3.73 (br s, 8H), 2.97 (m, 1H), 1.14 (m, 2H), 0.89 (m, 2H); 477 [M+H]+ 62 5.586
119 (4-((4-(시클로프로필아 미노)-5-(트리플루오로메 틸)-7H-피롤로[2,3-d]피리 미딘-2-일)아미노)-3-메톡 시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8.81 (d, J = 8.4 Hz, 1H), 7.63 (s, 1H), 7.22 (s, 1H), 7.18 (d, J = 8.4 Hz, 1H), 4.05 (s, 3H), 3.15-3.56 (m, 8H), 2.98 (s, 4H), 1.14 (m, 2H), 0.89 (m, 2H); 490 [M+H]+ 33 4.746
120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thanol-d4)δ 7.72 (d, J = 8.3 Hz, 1H), 7.65 (s, 1H), 7.18 (s, 1H), 7.12 (d, J = 8.3 Hz, 1H), 4.80 (m, 1H), 4.03 (s, 3H), 3.61 (m, 10H), 3.15 (m, 1H), 2.98 (s, 5H), 2.22 (br s, 2H), 1.77 (m, 2H), 1.16 (m, 2H), 0.92 (m, 2H); 573 [M+H]+ 78 4.542
121 (3-메톡시-4-((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H NMR (400 MHz, , TFA salt, Methanol-d4) δ 8.84 (d, J = 8.32 Hz, 1H), 7.60 (d, J = 1.28 Hz, 1H), 7.24 (d, J = 1.48 Hz, 1H), 7.19 (dd, J = 8.36, 1.68 Hz, 1H), 4.45 (br s, 2H), 4.06 (s, 3H), 3.57 (br s, 4H), 3.24 (br s, 2H), 2.99 (s, 3H), 1.61 (s, 3H), 1.09 - 1.00 (m, 4H); 504 [M+H]+ 46 4.882
122 (3-메톡시-4-((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올 587 [M+H]+ 58 4.668
123 (R)-(2,4-디메틸피페라진-1-일)(2-플루오로-5-메톡시-4-((4-(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 δ 12.12 (d, J = 2.3 Hz, 1H), 9.59 (s, 1H), 8.70 8.60 (m, 1H), 7.65 (d, J = 19.3 Hz, 2H), 6.98 (s, 1H), 6.12 6.05 (m, 1H), 5.05 4.90 (m, 1H), 4.61 4.50 (m, 1H), 4.15 4.05 (m, 1H), 3.93 (s, 3H), 3.72 3.60 (m, 2H), 3.25 3.10 (m, 2H), 3.04 (d, J = 4.5 Hz, 3H), 2.84 (s, 3H), 1.38 1.27 (m, 3H); 496 [M+H] 46 1.82(B)
124 (3-메톡시-4-((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 δ 12.27 (d, J = 1.8 Hz, 1H), 8.44 (d, J = 8.2 Hz, 1H), 7.95 (s, 1H), 7.71 (s, 1H), 7.08 (s, 1H), 7.04 (d, J = 8.2 Hz, 1H) 4.05 4.00 (m, 1H), 3.92 (s, 3H), 3.85 3.81 (m, 4H), 3.65 3.58 (m, 4H), 3.58 3.47 (m, 4H), 2.32 2.22 (m, 1H), 2.10 2.03 (m, 1H); 508 [M+H]+ 38 2.04
(B)
125 (3-메톡시-4-((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 δ 12.28 (s, 1H), 8.48 (d, J = 8.1 Hz, 1H), 7.95 (s, 1H), 7.70 (s, 1H), 7.11 7.09 (m, 2H), 4.40 4.11 (m, 1H), 4.05 3.98 (m, 2H), 3.93 (s, 3H), 3.85 3.81 (m, 4H), 3.40 3.21 (m, 3H), 3.20 3.02 (m, 3H), 2.84 (s, 3H), 2.30 2.23 (m, 1H), 2.10 2.05 (m, 1H); 521 [M+H]+ 40 2.37(B)
126 (3-메톡시-4-((4-((테트라히드로푸란-3-일)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604 [M+H]+ 47 1.92(B)
127 N-(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4-((테트라히드로푸란옥시)-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아민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 δ 12.05 (d, J = 2.0 Hz, 1H), 8.60 (s, 1H), 7.89 (s, 1H), 7.57 (s, 1H), 5.57 (s, 1H), 5.10 4.90 (m, 2H), 4.68 4.51 (m, 5H), 3.97 3.84 (m, 2H), 3.82 3.72 (m, 4H), 3.15 2.90 (m, 2H), 2.27 2.12 (m, 2H), 2.12 1.95 (m, 2H); 546 [M+H]+ 14 4.883
128 2-((6-클로로-2-메틸-1- 옥소이소인돌-5-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 미딘-5-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34(s, 1H), 8.64 (s, 1H), 7.96 (s, 1H), 7.91 (s, 1H), 7.70 (s, 1H), 6.52 (m, 1H), 4.45 (s, 2H), 3.55 (m, 2H), 3.06 (s, 3H), 1.24 (t, J =7.1 Hz, 3H); 382[M+H]+ 27 5.83(A)
129 4-(에틸아미노)-2-((2-메틸-1-옥소이소인돌-5-일)아미노)-7H-피롤 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25(s, 1H), 9.40 (s, 1H), 8.19 (s, 1H), 7.87 (s, 1H), 7.80 (d, J = 8.4 Hz, 1H), 7.51 (d, J = 8.4 Hz, 1H), 6.38 (m, 1H), 4.39 (s, 2H), 3.55 (m, 2H), 3.03 (s, 3H), 1.26 (t, J =7.1 Hz, 3H); 348[M+H]+ 23 5.12(A)
130 4-(에틸아미노)-2-((6- 메톡시-2-메틸-1-옥소 이소인돌-5-일)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12.34(s, 1H), 8.77 (s, 1H), 7.91 (s, 1H), 7.69 (s, 1H), 7.22 (s, 1H), 6.50 (m, 1H), 4.38 (s, 2H), 3.98 (s, 3H), 3.59 (m, 2H), 3.06 (s, 3H), 1.26 (t, J =7.1 Hz, 3H); 378[M+H]+ 44 5.37(A)
131 4-(에틸아미노)-2-((6- 메톡시-2,2,4-트리메틸-3-옥소-3,4-디히드로-2H-벤조[b][1,4]옥사진-7-일)아미노)-7H-피 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H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8.20 (s, 1H), 7.88 (s, 1H), 7.64 (brs, 1H), 6.83(s, 1H), 6.63 (brs, 1H), 3.93 (s, 3H), 3.56 (m, 2H), 3.31 (s, 3H), 1.38 (s, 6H), 1.24 (t, J =7.1 Hz, 3H); 422[M+H]+ 62 5.79(A)
132 2-((2-(2-시아노프로판 -2-일)-4-메틸싸이아졸 -5-일)아미노)-4-(에틸 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NMR (400 MHz, TFA salt, DMSO-d6)δ 7.43 (s, 1H), 7.29 (s, 1H), 6.58(brs, 1H), 3.82 (q, J = 7.1 Hz, 2H), 2.47 (s, 3H), 1.84 (s, 6H), 1.40 (t, J =7.1 Hz, 3H); 367[M+H]+ 43 6.23(A)
133 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2-메틸이소인돌린-1-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OD-d4)δ 8.62 (s 1H), 7.46 (s, 1H), 7.28 (s, 1H), 4.33 (s, 2H), 3.95 (s, 3H), 3.65 (q, J =7.2 Hz, 2H), 3.10 (s, 3H), 1.30 (t, J =7.2 Hz, 3H); 421[M+H]+ 32 5.95(A)
134 6-((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2-메틸이소인돌린-1-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OD-d4)δ 8.64 (s 1H), 7.47 (s, 1H), 7.20 (s, 1H), 4.38 (s, 2H), 3.97 (s, 3H), 3.67 (q, J =7.2 Hz, 2H), 3.11 (s, 3H), 1.29 (t, J =7.2 Hz, 3H); 421[M+H]+ 30 5.50(A)
135 6-클로로-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 이소인돌린-1-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OD-d4)δ 8.73 (s 1H), 7.70 (s, 1H), 7.40 (s, 1H), 4.39 (s, 2H), 3.60 (q, J =7.2 Hz, 2H), 3.10 (s, 3H), 1.26 (t, J =7.2 Hz, 3H); 425[M+H]+ 49 6.71(A)
136 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이소인돌린-1-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OD-d4)δ 8.01 (s 1H), 7.64-7.59 (m, 2H), 7.36 (s, 1H), 4.40 (s, 2H), 3.62 (q, J =7.2 Hz, 2H), 3.10 (s, 3H), 1.27 (t, J =7.2 Hz, 3H); 391[M+H]+ 49 5.70(A)
137 7-((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2,2,4-트리메틸-2H-벤조[1,4]옥사진-3(4H)-온 1H NMR (400 MHz, TFA salt, MeOD-d4)δ 7.97 (s, 1H), 7.40 (s, 1H), 6.73 (s, 1H), 3.88 (s, 3H), 3.64 (q, J =7.2 Hz, 2H), 3.30 (s, 3H), 1.36 (s, 6H), 1.27 (t, J =7.2 Hz, 3H); 465 [M+H]+ 45 6.23(A)
<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효소 활성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 ~ 137의 화합물에 대한 LRRK2 키나아제에 대한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384-웰 플레이트에 재조합 LRRK2 키나아제(Signal Chem, Richmond, BC, Canada), 0.2 ug/ul LRRKtide(Signal Chem, Richmond, BC, Canada) 및 25 ㎛ol/L ATP(Invitrogen, Carlsbad, CA)를 키나아제 반응 버퍼 용액(40 mmol/L TrisHCl, 10 mmol/L MgCl2 및 0.1 ㎍/μL BSA(bovine serum albumin))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 1 ~ 137의 화합물 각각에 대하여 최종 농도를 50 uM, 5 uM, 500 nM, 50 nM, 5 nM, 500 pM, 50 pM, 5 pM, 및 0.5 pM로 첨가한 후, 30 ℃ 인큐베이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동량의 키나아제-글로(Kinase-Glo, Promega, Madison, WI) 용액을 첨가하여 40분 동안 반응시키고, 탐지(detection) 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0분 동안 더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판독기(microplate ELISA reader; Bio-Tek)를 이용하여 루시페라제(Luciferase)의 양을 측정하여 키나아제의 IC50 값을 산출하였다.
측정된 키나아제의 IC50 값을 10nM 미만인 경우 A등급, 10 ~ 100nM인 경우 B등급 100nM 초과인 경우 C등급으로 분류하여 하기 표 6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Enzyme activity
LRRK2(nM)
실시예 Enzyme activity
LRRK2(nM)
1 A 70 A
2 A 71 A
3 A 72 A
4 A 73 A
5 A 74 A
6 A 75 A
7 A 76 A
8 A 77 C
9 A 78 C
10 A 79 A
11 A 80 B
12 A 81 B
13 A 82 B
14 B 83 A
15 A 84 A
16 A 85 A
17 - 86 A
18 B 87 A
19 B 88 A
20 A 89 A
21 A 90 A
22 B 91 A
23 A 92 A
24 A 93 A
25 A 94 A
26 A 95 A
27 A 96 A
28 B 97 A
29 B 98 B
30 B 99 A
31 A 100 B
32 A 101 A
33 A 102 B
34 A 103 A
35 A 104 A
36 A 105 B
37 A 106 A
38 A 107 A
39 A 108 B
40 A 109 C
41 A 110 C
42 A 111 B
43 A 112 B
44 B 113 NA
45 B 114 NA
46 A 115 NA
47 A 116 NA
48 C 117 B
49 A 118 A
50 A 119 NA
51 A 120 NA
52 A 121 NA
53 A 122 NA
54 A 123 NA
55 A 124 B
56 A 125 NA
57 A 126 NA
58 A 127 B
59 A 128 C
60 B 129 NA
61 B 130 A
62 A 131 B
63 A 132 B
64 A 133 A
65 A 134 C
66 B 135 C
67 A 136 B
68 A 137 C
69 A
<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LRRK2 발현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의 LRRK2 발현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LRRK2 발현 세포주로 알려져있는 NIH-3T3 세포주에서의 상기 실시예 32, 33, 34, 35, 36, 47, 49, 50, 52, 94, 95 및 96의 화합물에 대한 인산화 억제활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NIH-3T3 세포주를 사용하여 12-well plate에 1 × 105/1 ml/well이 되도록 시딩한 뒤, 하루 동안 부착시켰다. 각각의 실시예 32, 33, 34, 35, 36, 47, 49, 50, 52, 94, 95 및 96 화합물의 최종농도가 100 nM이 되고, 배양액 내의 DMSO 함량이 0.1 %가 되도록 화합물과 DMSO를 첨가한 다음 37 ℃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2회 세척한 뒤 2X sample buffer(62.5 mM Tris-HCl pH 6.8, 5 % SDS, 10 % Glycerol, 5 % beta-mercaptoethanol, 0.02 % Bromophenol blue) 100 ㎕/well를 넣어 세포를 회수하였다. 75 ℃에서 5분간 둔 다음 웨스턴 블롯을 진행하였다.
웨스턴 블롯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Mini-PROTEAN® TGXTM Precast Gels에 15 ㎕/well을 넣어 전기영동을 진행(85V에서 10분, 110V에서 50분)한 뒤, 단백질을 PVDF membrane으로 transfer 하였다(35V, 18시간). Membrane은 5% skim milk로 blocking(상온, 1시간)한 다음 1차항체 (p-LRRK2, LRRK2, GAPDH)에 넣어 반응시켰다(4℃, 18시간). 1차 항체를 TBST buffer로 세척하고, 2차 항체(Goat anti-rabbit IgG-HRP)에 넣어 반응시킨 후 (상온, 2시간) TBST buffer로 세척하였다. Membrane을 SuperSignalTM West Pico Chemiluminescent Substrate에 반응시킨 다음 LAS4000으로 검출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NIH-3T3 세포주에서의 LRRK2 인산화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했을 때, 처리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검출되는 P-LRRK2의 양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LRRK2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은 세포내의 LRRK2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므로 파킨슨 병 및 뇌암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3>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뇌종양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의 뇌암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뇌종양 세포주에서의 인산화 억제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뇌종양 환자 유래 세포주인 NCC01에서의 인산화 억제활성 실험을 상기 실시예 10, 34, 35, 37, 44, 46, 51, 52, 53, 89, 96 및 97의 화합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또한, 또 다른 뇌종양 환자 유래 세포주인 448T 에서의 인산화 억제활성 실험을 상기 실시예 32, 33, 36, 47, 49, 94 및 95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NCC01 세포주에 대한 결과를 도 2에, 448T 세포주에 대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NCC01 세포주 및 448T 세포주(삼성서울병원, 대한민국)를 사용하여 각각 60 mm dish에 0.75 ~ 1 × 106개의 세포를 시딩한 뒤 하루 동안 부착시켰다. 화합물의 최종농도가 100 nM이 되도록 첨가한 다음 37 ℃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아 세포를 회수한 뒤 RIPA buffer(50 mM Tris-HCl pH 7.5, 150 mM NaCl, 1% Sodium Deoxycholate, 0.1% SDS, 1% Triton X-100)에 protease inhibitor (Roche, 11836153001) 및 phosphatase inhibitor (GenDEPOT, P3200-001)가 들어간 혼합액을 각 30~50 ㎕씩 넣어주었다. Ice에 두고 10분마다 vortexing을 3회 반복하였다. 원심분리 (13000 rpm, 4℃, 20분)하여 상층액을 옮긴 뒤 BCA 정량법으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5X sample buffer(1 M Tris-HCl pH 6.8, 10% SDS, 50% Glycerol, 5% beta-mercaptoethanol, 1% Bromophenol blue)를 섞어주었다(sample buffer의 최종농도는 1X). 그 후 75℃에서 5분간 둔 다음 웨스턴 블롯을 진행한다.
웨스턴 블롯 방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Gel에 20 ㎍/well를 넣어 전기영동을 진행 (100V에서 1시간)한 뒤 단백질을 PVDF membrane으로 transfer 하였다(250 mA, 100분). Membrane은 5% skim milk로 blocking (상온, 1시간)한 다음 1차항체 (p-LRRK2, LRRK2, beta-actin)에 넣어 반응시켰다(4℃, 18시간). 1차 항체를 TBST buffer로 세척하고 (10분, 6회), 2차 항체 (Goat anti-rabbit IgG-HRP)에 넣어 반응시킨 후 (상온, 1시간) TBST buffer로 세척하였다 (10분, 6회). Membrane을 GE ECL plus solution에 5분간 반응시킨 다음 X-ray film으로 검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NCC01 세포주에서의 LRRK2 인산화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의 448T 세포주에서의 LRRK2 인산화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했을 때, 뇌종양 환자 유래 세포주인 NCC01 및 448T 세포주에서의 LRRK2 인산화가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검출되는 P-LRRK2의 양이 현저히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LRRK2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은 암 유발 세포 내의 LRRK2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므로 LRRK2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키나아제 저해활성 평가 실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보다 많은 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별명의 실시예 화합물 중, 선별된 실시예 8, 실시예 64, 실시예 104에 대하여, DiscoverX 사에 의뢰하여 효소(kinase) 선택성을 측정하기로 하고, scanMAXTM Kinase 분석용 패널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효소에 처리되는 약물의 농도는 DMSO에 1 uM로 하였고, 다음 식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절 백분율(% control)을 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식 1]
(실시예 화합물 - 양성 대조군)/(음성 대조군 - 양성대조군) × 100
여기서, 상기 양성 대조군은 0%의 조절 백분율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하며, 음성 대조군은 DMSO로 100%의 조절 백분율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효소 선택성은 각각의 효소에 대하여 조절 백분율이 < 35%(즉, 35% 미만)이면 해당 효소에 대하여 활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 52 실시예 64 실시예 104
AAK1 78.0 9.6 59 90
ABL1(E255K)-phosphorylated 91.0 0.6 100 100
ABL1(F317I)-nonphosphorylated 99.0 25 96 56
ABL1(F317I)-phosphorylated 54.0 7.6 78 29
ABL1(F317L)-nonphosphorylated 91.0 16 95 74
ABL1(F317L)-phosphorylated 48.0 0 55 35
ABL1(H396P)-nonphosphorylated 81.0 0.55 76 96
ABL1(H396P)-phosphorylated 94.0 0.9 73 74
ABL1(M351T)-phosphorylated 62.0 2.6 100 100
ABL1(Q252H)-nonphosphorylated 57.0 1.1 100 99
ABL1(Q252H)-phosphorylated 100.0 0.25 88 82
ABL1(T315I)-nonphosphorylated 83.0 0 100 100
ABL1(T315I)-phosphorylated 59.0 0.05 94 98
ABL1(Y253F)-phosphorylated 97.0 1 86 86
ABL1-nonphosphorylated 92.0 6.4 62 91
ABL1-phosphorylated 88.0 1.8 68 63
ABL2 99.0 34 100 100
ACVR1 97.0 73 100 100
ACVR1B 86.0 92 97 100
ACVR2A 100.0 98 100 100
ACVR2B 100.0 85 100 100
ACVRL1 88.0 100 88 97
ADCK3 94.0 98 93 100
ADCK4 100.0 76 100 100
AKT1 83.0 100 100 100
AKT2 86.0 100 100 94
AKT3 70.0 4.5 100 100
ALK 13.0 3 10 0.35
ALK(C1156Y) 9.3 0.8 18 16
ALK(L1196M) 33.0 9.9 20 0.75
AMPK-alpha1 87.0 4.3 100 100
AMPK-alpha2 85.0 9.9 100 100
ANKK1 82.0 15 64 95
ARK5 88.0 2.5 45 99
ASK1 57.0 1.8 41 82
ASK2 56.0 11 79 92
AURKA 99.0 0.85 90 87
AURKB 73.0 14 100 90
AURKC 100.0 7.1 100 100
AXL 90.0 0 70 69
BIKE 62.0 0 87 100
BLK 100.0 2.2 86 100
BMPR1A 94.0 100 100 100
BMPR1B 98.0 22 95 83
BMPR2 79.0 0.65 100 100
BMX 93.0 39 92 94
BRAF 69.0 99 100 100
BRAF(V600E) 95.0 100 100 100
BRK 93.0 24 74 64
BRSK1 97.0 96 95 100
BRSK2 89.0 70 100 100
BTK 72.0 9.1 100 100
BUB1 36.0 0.2 16 95
CAMK1 59.0 6.8 68 72
CAMK1B 45.0 64 18 21
CAMK1D 50.0 14 65 66
CAMK1G 74.0 34 70 94
CAMK2A 60.0 28 64 39
CAMK2B 62.0 57 79 81
CAMK2D 82.0 65 72 66
CAMK2G 88.0 53 91 80
CAMK4 99.0 55 24 27
CAMKK1 81.0 21 21 14
CAMKK2 65.0 5.7 30 20
CASK 69.0 91 100 100
CDC2L1 100.0 84 98 99
CDC2L2 91.0 100 100 98
CDC2L5 82.0 97 100 100
CDK11 87.0 100 97 96
CDK2 94.0 96 97 98
CDK3 100.0 76 100 93
CDK4 61.0 100 100 100
CDK4-cyclinD1 74.0 59 53 55
CDK4-cyclinD3 96.0 100 70 53
CDK5 96.0 63 100 100
CDK7 67.0 19 91 48
CDK8 100.0 76 84 86
CDK9 96.0 84 100 100
CDKL1 89.0 46 83 88
CDKL2 99.0 73 100 100
CDKL3 93.0 100 85 100
CDKL5 76.0 100 100 100
CHEK1 85.0 26 100 100
CHEK2 7.7 0 12 12
CIT 86.0 76 96 100
CLK1 1.8 0.6 0.05 0.15
CLK2 5.9 2.6 0.85 0.9
CLK3 70.0 27 61 4
CLK4 3.4 1.4 2.8 4.1
CSF1R 89.0 0 69 88
CSF1R-autoinhibited 46.0 0 52 100
CSK 99.0 33 85 85
CSNK1A1 19.0 1.6 4 56
CSNK1A1L 34.0 0.85 1.8 15
CSNK1D 5.0 1 0.6 2.6
CSNK1E 12.0 0.15 0.1 4.2
CSNK1G1 95.0 6.4 42 73
CSNK1G2 58.0 0.1 7.5 100
CSNK1G3 58.0 0.15 1.9 90
CSNK2A1 59.0 24 27 73
CSNK2A2 76.0 11 73 95
CTK 98.0 47 100 100
DAPK1 8.5 12 14 49
DAPK2 11.0 12 6.8 35
DAPK3 12.0 8.4 11 56
DCAMKL1 57.0 34 33 49
DCAMKL2 91.0 76 82 93
DCAMKL3 98.0 91 92 90
DDR1 94.0 50 100 100
DDR2 96.0 20 100 100
DLK 74.0 21 100 100
DMPK 100.0 3.4 100 100
DMPK2 90.0 81 94 100
DRAK1 37.0 0.3 29 49
DRAK2 13.0 1.2 8.1 15
DYRK1A 4.1 0.15 0.5 0.05
DYRK1B 13.0 0.55 0 0
DYRK2 22.0 0.8 9.9 25
EGFR 91.0 31 81 82
EGFR(E746-A750del) 97.0 59 100 100
EGFR(G719C) 82.0 71 97 96
EGFR(G719S) 82.0 57 100 100
EGFR(L747-E749del, A750P) 98.0 38 97 99
EGFR(L747-S752del, P753S) 100.0 49 100 98
EGFR(L747-T751del,Sins) 61.0 68 95 100
EGFR(L858R) 96.0 41 95 89
EGFR(L858R,T790M) 54.0 2.3 48 55
EGFR(L861Q) 100.0 53 94 99
EGFR(S752-I759del) 76.0 94 96 100
EGFR(T790M) 61.0 1.3 36 41
EIF2AK1 64.0 86 86 90
EPHA1 93.0 58 100 100
EPHA2 97.0 79 99 100
EPHA3 92.0 18 89 92
EPHA4 93.0 75 100 100
EPHA5 87.0 79 100 100
EPHA6 93.0 43 100 100
EPHA7 97.0 20 100 94
EPHA8 97.0 86 100 93
EPHB1 100.0 41 100 100
EPHB2 99.0 70 71 91
EPHB3 93.0 95 100 100
EPHB4 95.0 48 100 100
EPHB6 84.0 3.7 100 95
ERBB2 79.0 100 99 100
ERBB3 68.0 100 100 100
ERBB4 99.0 45 100 100
ERK1 88.0 42 68 100
ERK2 86.0 54 82 100
ERK3 89.0 54 91 95
ERK4 95.0 100 93 92
ERK5 72.0 13 41 18
ERK8 100.0 62 98 100
ERN1 57.0 28 89 83
FAK 55.0 0.3 1.1 3.8
FER 15.0 0.25 2.2 3
FES 61.0 1.3 22 36
FGFR1 97.0 42 100 100
FGFR2 95.0 26 95 96
FGFR3 100.0 9.8 94 100
FGFR3(G697C) 97.0 11 100 100
FGFR4 89.0 31 95 38
FGR 94.0 10 100 100
FLT1 99.0 6.2 100 100
FLT3 86.0 0.05 99 65
FLT3(D835H) 92.0 0.1 33 21
FLT3(D835V) 58.0 0 11 0
FLT3(D835Y) 82.0 0 18 14
FLT3(ITD) 83.0 0 42 21
FLT3(ITD,D835V) 51.0 0 14 15
FLT3(ITD,F691L) 47.0 0.7 42 79
FLT3(K663Q) 92.0 0.1 70 64
FLT3(N841I) 90.0 0 85 51
FLT3(R834Q) 65.0 7.8 100 100
FLT3-autoinhibited 45.0 0.3 81 76
FLT4 100.0 0.6 96 97
FRK 97.0 49 100 77
FYN 100.0 19 100 100
GAK 11.0 5.8 0.85 1
GCN2(Kin.Dom.2,S808G) 93.0 33 79 64
GRK1 72.0 36 85 67
GRK2 97.0 45 81 96
GRK3 99.0 53 93 97
GRK4 92.0 1.6 100 100
GRK7 71.0 65 60 78
GSK3A 100.0 12 100 100
GSK3B 79.0 50 92 83
HASPIN 63.0 100 97 100
HCK 95.0 11 100 100
HIPK1 61.0 18 19 13
HIPK2 47.0 13 27 14
HIPK3 64.0 6.2 24 16
HIPK4 95.0 39 81 45
HPK1 79.0 4.3 100 100
HUNK 5.3 51 0 0.7
ICK 73.0 71 97 96
IGF1R 82.0 19 85 12
IKK-alpha 57.0 3.4 100 93
IKK-beta 75.0 9.7 100 92
IKK-epsilon 98.0 9.9 100 95
INSR 48.0 0.35 28 7.1
INSRR 61.0 6.5 42 3.2
IRAK1 75.0 1.4 100 100
IRAK3 90.0 3.9 49 26
IRAK4 92.0 0.2 100 100
ITK 99.0 9.7 100 100
JAK1(JH1domain-catalytic) 92.0 44 100 100
JAK1(JH2domain-pseudokinase) 14.0 0 7.1 55
JAK2(JH1domain-catalytic) 83.0 0 100 100
JAK3(JH1domain-catalytic) 64.0 0 100 100
JNK1 0.0 0 0.8 25
JNK2 0.1 0 0.6 23
JNK3 0.0 0 0.15 18
KIT 48.0 0.15 4.8 56
KIT(A829P) 60.0 11 93 100
KIT(D816H) 77.0 8.1 91 100
KIT(D816V) 89.0 0.15 50 99
KIT(L576P) 41.0 0 5.9 47
KIT(V559D) 38.0 0 2.1 46
KIT(V559D,T670I) 73.0 0.4 47 87
KIT(V559D,V654A) 76.0 0.9 44 94
KIT-autoinhibited 59.0 0.1 55 74
LATS1 100.0 35 67 100
LATS2 61.0 11 98 87
LCK 100.0 19 100 100
LIMK1 100.0 98 100 100
LIMK2 94.0 65 100 99
LKB1 91.0 31 79 87
LOK 95.0 74 100 100
LRRK2 0.0 0 1.8 1.2
LRRK2(G2019S) 0.0 2.6 1.9 2
LTK 6.8 3.4 5.2 3.7
LYN 90.0 36 95 100
LZK 81.0 16 100 100
MAK 95.0 71 100 100
MAP3K1 100.0 81 94 83
MAP3K15 35.0 27 94 61
MAP3K2 85.0 0.05 100 92
MAP3K3 98.0 0.1 92 87
MAP3K4 100.0 77 100 97
MAP4K2 75.0 1.2 44 69
MAP4K3 97.0 3.3 100 100
MAP4K4 82.0 18 100 100
MAP4K5 89.0 30 100 100
MAPKAPK2 4.6 70 17 24
MAPKAPK5 16.0 72 31 51
MARK1 91.0 36 100 100
MARK2 100.0 9.5 92 81
MARK3 100.0 29 100 86
MARK4 84.0 37 100 100
MAST1 100.0 74 100 72
MEK1 89.0 0.1 94 86
MEK2 93.0 0.3 85 83
MEK3 4.3 0.8 14 12
MEK4 0.0 0 1.5 16
MEK5 47.0 0.05 33 74
MEK6 43.0 19 33 92
MELK 78.0 6.3 71 79
MERTK 96.0 0 100 93
MET 89.0 21 100 100
MET(M1250T) 100.0 28 100 100
MET(Y1235D) 82.0 31 100 100
MINK 50.0 6.4 80 91
MKK7 48.0 6.1 92 100
MKNK1 62.0 100 100 100
MKNK2 31.0 5.5 36 39
MLCK 96.0 9 86 92
MLK1 81.0 0.5 46 66
MLK2 90.0 4.4 97 96
MLK3 78.0 3.1 76 86
MRCKA 100.0 100 100 100
MRCKB 100.0 89 100 100
MST1 93.0 17 100 100
MST1R 88.0 78 96 95
MST2 92.0 15 95 71
MST3 86.0 25 91 84
MST4 69.0 28 100 100
MTOR 100.0 66 100 100
MUSK 97.0 100 94 94
MYLK 0.0 0.55 3.3 0.95
MYLK2 88.0 100 100 100
MYLK4 90.0 82 65 89
MYO3A 68.0 3.9 93 78
MYO3B 84.0 10 35 19
NDR1 84.0 42 100 94
NDR2 98.0 31 100 100
NEK1 94.0 80 99 93
NEK10 53.0 0.95 13 100
NEK11 70.0 100 100 100
NEK2 97.0 70 83 74
NEK3 70.0 96 94 82
NEK4 75.0 100 100 100
NEK5 98.0 99 94 95
NEK6 95.0 93 99 100
NEK7 100.0 97 100 94
NEK9 100.0 73 100 99
NIK 3.7 7.4 16 16
NIM1 77.0 100 100 100
NLK 98.0 75 76 69
OSR1 21.0 0.45 5.6 7.5
p38-alpha 94.0 91 95 96
p38-beta 98.0 92 100 100
p38-delta 100.0 76 92 95
p38-gamma 70.0 77 100 89
PAK1 100.0 75 66 71
PAK2 95.0 45 68 71
PAK3 68.0 17 85 100
PAK4 79.0 3.4 100 100
PAK6 76.0 8.3 82 91
PAK7 91.0 0.25 85 85
PCTK1 77.0 100 100 100
PCTK2 98.0 88 100 99
PCTK3 96.0 81 99 94
PDGFRA 15.0 9.7 91 88
PDGFRB 84.0 0.35 51 60
PDPK1 81.0 70 100 100
PFCDPK1(P.falciparum) 87.0 52 100 100
PFPK5(P.falciparum) 76.0 100 100 100
PFTAIRE2 97.0 90 100 99
PFTK1 97.0 100 100 96
PHKG1 13.0 11 2.3 1
PHKG2 14.0 5.2 3.6 9.3
PIK3C2B 89.0 91 75 75
PIK3C2G 99.0 72 96 86
PIK3CA 87.0 60 93 99
PIK3CA(C420R) 94.0 63 94 91
PIK3CA(E542K) 74.0 77 97 83
PIK3CA(E545A) 94.0 71 84 90
PIK3CA(E545K) 80.0 68 91 90
PIK3CA(H1047L) 100.0 70 95 88
PIK3CA(H1047Y) 100.0 62 85 96
PIK3CA(I800L) 100.0 0.1 90 72
PIK3CA(M1043I) 94.0 37 96 84
PIK3CA(Q546K) 75.0 85 88 87
PIK3CB 96.0 100 100 92
PIK3CD 99.0 9.4 86 78
PIK3CG 76.0 8.5 84 87
PIK4CB 61.0 60 71 99
PIKFYVE 73.0 65 100 100
PIM1 85.0 57 84 80
PIM2 78.0 63 100 100
PIM3 98.0 49 78 73
PIP5K1A 99.0 2.5 100 100
PIP5K1C 1.0 0 4.5 100
PIP5K2B 100.0 0.45 58 100
PIP5K2C 4.5 0 9.1 77
PKAC-alpha 100.0 100 100 100
PKAC-beta 89.0 95 100 100
PKMYT1 99.0 89 94 100
PKN1 100.0 67 96 95
PKN2 53.0 78 100 100
PKNB(M.tuberculosis) 90.0 1.1 82 83
PLK1 14.0 100 1.6 65
PLK2 81.0 93 36 100
PLK3 57.0 99 6.8 89
PLK4 17.0 0 1.1 1.7
PRKCD 100.0 81 100 100
PRKCE 100.0 100 100 100
PRKCH 93.0 100 100 100
PRKCI 96.0 89 67 53
PRKCQ 95.0 47 100 100
PRKD1 5.7 12 0.45 11
PRKD2 28.0 9.1 0 16
PRKD3 39.0 0.7 0 17
PRKG1 83.0 79 94 84
PRKG2 100.0 94 96 91
PRKR 95.0 42 93 85
PRKX 82.0 89 68 81
PRP4 100.0 19 83 89
PYK2 25.0 1.2 9.8 2.8
QSK 79.0 87 98 97
RAF1 95.0 100 100 100
RET 97.0 0 99 98
RET(M918T) 94.0 0 91 96
RET(V804L) 79.0 0 43 89
RET(V804M) 89.0 0 52 87
RIOK1 100.0 0.7 90 100
RIOK2 47.0 1.1 18 75
RIOK3 97.0 0.4 94 100
RIPK1 94.0 14 100 100
RIPK2 100.0 61 100 100
RIPK4 72.0 1.6 94 0.6
RIPK5 10.0 3.7 13 18
ROCK1 64.0 28 100 100
ROCK2 56.0 23 100 100
ROS1 56.0 23 31 22
RPS6KA4(Kin.Dom.1-N-terminal) 92.0 68 86 100
RPS6KA4(Kin.Dom.2-C-terminal) 0.2 2.2 0.05 18
RPS6KA5(Kin.Dom.1-N-terminal) 94.0 100 100 100
RPS6KA5(Kin.Dom.2-C-terminal) 12.0 24 33 83
RSK1(Kin.Dom.1-N-terminal) 98.0 2.4 88 89
RSK1(Kin.Dom.2-C-terminal) 59.0 52 61 61
RSK2(Kin.Dom.1-N-terminal) 68.0 0.55 99 100
RSK2(Kin.Dom.2-C-terminal) 66.0 100 63 71
RSK3(Kin.Dom.1-N-terminal) 90.0 4.3 96 100
RSK3(Kin.Dom.2-C-terminal) 23.0 28 33 66
RSK4(Kin.Dom.1-N-terminal) 79.0 7.1 95 95
RSK4(Kin.Dom.2-C-terminal) 77.0 75 91 97
S6K1 70.0 52 90 80
SBK1 72.0 21 100 100
SGK 48.0 18 100 100
SgK110 100.0 32 100 100
SGK2 82.0 74 100 100
SGK3 63.0 70 88 87
SIK 97.0 78 100 100
SIK2 100.0 33 100 100
SLK 100.0 13 98 97
SNARK 77.0 0.95 77 91
SNRK 64.0 7.6 54 69
SRC 90.0 4.6 100 100
SRMS 69.0 41 88 66
SRPK1 66.0 0.05 88 100
SRPK2 100.0 58 80 74
SRPK3 93.0 2.5 100 100
STK16 74.0 0.35 60 69
STK33 18.0 4 15 13
STK35 100.0 14 100 100
STK36 97.0 85 100 100
STK39 14.0 0 48 30
SYK 62.0 0.4 25 70
TAK1 52.0 0.05 19 100
TAOK1 73.0 6.5 98 85
TAOK2 78.0 40 100 87
TAOK3 81.0 8.6 97 81
TBK1 85.0 4.8 85 84
TEC 100.0 24 100 86
TESK1 100.0 65 98 100
TGFBR1 5.1 91 100 100
TGFBR2 82.0 100 84 96
TIE1 96.0 19 99 100
TIE2 92.0 46 100 100
TLK1 95.0 78 88 72
TLK2 95.0 42 100 93
TNIK 95.0 3.5 95 83
TNK1 85.0 18 47 16
TNK2 82.0 0.9 55 31
TNNI3K 99.0 93 100 100
TRKA 67.0 0.5 100 98
TRKB 61.0 7.5 100 100
TRKC 60.0 30 100 100
TRPM6 88.0 93 98 98
TSSK1B 22.0 0.6 0 0
TSSK3 74.0 72 66 100
TTK 12.0 0.25 0.85 1.4
TXK 100.0 40 100 100
TYK2(JH1domain-catalytic) 80.0 0 100 100
TYK2(JH2domain-pseudokinase) 66.0 7.2 100 100
TYRO3 100.0 45 91 100
ULK1 75.0 20 100 100
ULK2 75.0 15 100 100
ULK3 62.0 0.2 100 100
VEGFR2 63.0 3.7 78 73
VPS34 84.0 100 75 78
VRK2 71.0 100 100 100
WEE1 78.0 100 100 100
WEE2 100.0 100 100 100
WNK1 70.0 99 100 100
WNK2 52.0 56 85 100
WNK3 68.0 55 100 100
WNK4 81.0 100 100 100
YANK1 76.0 88 89 82
YANK2 85.0 100 100 100
YANK3 100.0 100 73 65
YES 100.0 10 100 100
YSK1 97.0 28 83 81
YSK4 12.0 0 22 94
ZAK 100.0 88 100 100
ZAP70 35.0 2.2 81 100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ABL1(E255K)-phosphorylated, ABL1(F317I)-nonphosphorylated, ABL1(F317I)-phosphorylated, ABL1(F317L)-nonphosphorylated, ABL1(F317L)-phosphorylated, ABL1(H396P)-nonphosphorylated, ABL1(H396P)-phosphorylated, ABL1(M351T)-phosphorylated, ABL1(Q252H)-nonphosphorylated, ABL1(Q252H)-phosphorylated, ABL1(T315I)-nonphosphorylated, ABL1(T315I)-phosphorylated, ABL1(Y253F)-phosphorylated, ABL1-nonphosphorylated, ABL1-phosphorylated, ABL2, AKT3, ALK, ALK(C1156Y), ALK(L1196M), AMPK-alpha1, AMPK-alpha2, ANKK1, ARK5, ASK1, ASK2, AURKA, AURKB, AURKC, AXL, BIKE, BLK, BMPR1B, BMPR2, BTK, BUB1, CAMK1, CAMK1B, CAMK1D, CAMK1G, CAMK2A, CAMK4, CAMKK1, CAMKK2, CDK7, CHEK1, CHEK2, CLK1, CLK2, CLK3, CLK4, CSF1R, CSF1R-autoinhibited, CSNK1A1, CSNK1A1L, CSNK1D, CSNK1E, CSNK1G1, CSNK1G2, CSNK1G3, CSNK2A1, CSNK2A2, DAPK1, DAPK2, DAPK3, DCAMKL1, DDR2, DLK, DMPK, DMPK2, DRAK1, DRAK2, DYRK1A, DYRK1B, DYRK2, EGFR, EGFR(L858R,T790M), EGFR(T790M), EPHA3, EPHA7, EPHB6, ERK5, ERN1, FAK, FER, FES, FGFR2, FGFR3, FGFR3(G697C), FGFR4, FGR, FLT1, FLT3, FLT3(D835H), FLT3(D835V), FLT3(D835Y), FLT3(ITD), FLT3(ITD,D835V), FLT3(ITD,F691L), FLT3(K663Q), FLT3(N841I), FLT3(R834Q), FLT3-autoinhibited, FLT4, FYN, GAK, GRK4, GSK3A, HCK, HIPK1, HIPK2, HIPK3, HPK1, HUNK, IGF1R, IKK-alpha, IKK-beta, IKK-epsilon, INSR, INSRR, IRAK1, IRAK3, IRAK4, ITK, JAK1(JH1domain-catalytic), JAK1(JH2domain-pseudokinase), JAK2(JH1domain-catalytic), JAK3(JH1domain-catalytic), JNK1, JNK2, JNK3, KIT, KIT(A829P), KIT(D816H), KIT(D816V), KIT(L576P), KIT(V559D), KIT(V559D,T670I), KIT(V559D,V654A), KIT-autoinhibited, LATS1, LATS2, LCK, LKB1, LRRK2, LRRK2(G2019S), LTK, LZK, MAP3K15, MAP3K2, MAP3K3, MAP4K2, MAP4K3, MAP4K4, MAP4K5, MAPKAPK2, MAPKAPK5, MARK2, MARK3, MEK1, MEK2, MEK3, MEK4, MEK5, MEK6, MELK, MERTK, MINK, MKK7, MKNK2, MLCK, MLK1, MLK2, MLK3, MST1, MST2, MST3, MST4, MYLK, MYO3A, MYO3B, NDR2, NEK10, NIK, OSR1, PAK3, PAK4, PAK6, PAK7, PDGFRA, PHKG1, PHKG2, PIK3CA(I800L), PIK3CD, PIK3CG, PIP5K1A, RIOK1, PIP5K1C, PIP5K2B, PIP5K2C, PKNB(M.tuberculosis), PLK1, PLK3, PLK4, PRKD1, PRKD2, PRKD3, PRP4, PYK2, RET, RET(M918T), RET(V804L), RET(V804M), RIOK2, RIOK3, RIPK1, RIPK4, RIPK5, ROCK1, ROCK2, ROS1, RPS6KA4(Kin.Dom.2-C-terminal), RPS6KA5(Kin.Dom.2-C-terminal), RSK1(Kin.Dom.1-N-terminal), RSK2(Kin.Dom.1-N-terminal), RSK3(Kin.Dom.1-N-terminal), RSK3(Kin.Dom.2-C-terminal), RSK4(Kin.Dom.1-N-terminal), SBK1, SGK, SgK110, SIK2, SLK, SNARK, SNRK, SRC, SRPK1, SRPK3, STK16, STK33, STK35, STK39, SYK, TAK1, TAOK1, TAOK3, TBK1, TEC, TIE1, TGFBR1, TNIK, TNK1, TNK2, TRKA, TRKB, TRKC, TSSK1B, TTK, TYK2(JH1domain-catalytic), TYK2(JH2domain-pseudokinase), ULK1, ULK2, ULK3, VEGFR2, YSK1, YSK4 또는 ZAP70 등의 키나아제에 대하여 조절 백분율 35% 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화합물이 상기 나열된 효소에 대하여 억제 활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로부터 상기 나열된 효소와 관련된 질환에 사용시 유용한 효과가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롤로 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은 ABL1(E255K)-phosphorylated, ABL1(F317I)-nonphosphorylated, ABL1(F317I)-phosphorylated, ABL1(F317L)-nonphosphorylated, ABL1(F317L)-phosphorylated, ABL1(H396P)-nonphosphorylated, ABL1(H396P)-phosphorylated, ABL1(M351T)-phosphorylated, ABL1(Q252H)-nonphosphorylated, ABL1(Q252H)-phosphorylated, ABL1(T315I)-nonphosphorylated, ABL1(T315I)-phosphorylated, ABL1(Y253F)-phosphorylated, ABL1-nonphosphorylated, ABL1-phosphorylated, ABL2, AKT3, ALK, ALK(C1156Y), ALK(L1196M), AMPK-alpha1, AMPK-alpha2, ANKK1, ARK5, ASK1, ASK2, AURKA, AURKB, AURKC, AXL, BIKE, BLK, BMPR1B, BMPR2, BTK, BUB1, CAMK1, CAMK1B, CAMK1D, CAMK1G, CAMK2A, CAMK4, CAMKK1, CAMKK2, CDK7, CHEK1, CHEK2, CLK1, CLK2, CLK3, CLK4, CSF1R, CSF1R-autoinhibited, CSNK1A1, CSNK1A1L, CSNK1D, CSNK1E, CSNK1G1, CSNK1G2, CSNK1G3, CSNK2A1, CSNK2A2, DAPK1, DAPK2, DAPK3, DCAMKL1, DDR2, DLK, DMPK, DMPK2, DRAK1, DRAK2, DYRK1A, DYRK1B, DYRK2, EGFR, EGFR(L858R,T790M), EGFR(T790M), EPHA3, EPHA7, EPHB6, ERK5, ERN1, FAK, FER, FES, FGFR2, FGFR3, FGFR3(G697C), FGFR4, FGR, FLT1, FLT3, FLT3(D835H), FLT3(D835V), FLT3(D835Y), FLT3(ITD), FLT3(ITD,D835V), FLT3(ITD,F691L), FLT3(K663Q), FLT3(N841I), FLT3(R834Q), FLT3-autoinhibited, FLT4, FYN, GAK, GRK4, GSK3A, HCK, HIPK1, HIPK2, HIPK3, HPK1, HUNK, IGF1R, IKK-alpha, IKK-beta, IKK-epsilon, INSR, INSRR, IRAK1, IRAK3, IRAK4, ITK, JAK1(JH1domain-catalytic), JAK1(JH2domain-pseudokinase), JAK2(JH1domain-catalytic), JAK3(JH1domain-catalytic), JNK1, JNK2, JNK3, KIT, KIT(A829P), KIT(D816H), KIT(D816V), KIT(L576P), KIT(V559D), KIT(V559D,T670I), KIT(V559D,V654A), KIT-autoinhibited, LATS1, LATS2, LCK, LKB1, LRRK2, LRRK2(G2019S), LTK, LZK, MAP3K15, MAP3K2, MAP3K3, MAP4K2, MAP4K3, MAP4K4, MAP4K5, MAPKAPK2, MAPKAPK5, MARK2, MARK3, MEK1, MEK2, MEK3, MEK4, MEK5, MEK6, MELK, MERTK, MINK, MKK7, MKNK2, MLCK, MLK1, MLK2, MLK3, MST1, MST2, MST3, MST4, MYLK, MYO3A, MYO3B, NDR2, NEK10, NIK, OSR1, PAK3, PAK4, PAK6, PAK7, PDGFRA, PHKG1, PHKG2, PIK3CA(I800L), PIK3CD, PIK3CG, PIP5K1A, RIOK1, PIP5K1C, PIP5K2B, PIP5K2C, PKNB(M.tuberculosis), PLK1, PLK3, PLK4, PRKD1, PRKD2, PRKD3, PRP4, PYK2, RET, RET(M918T), RET(V804L), RET(V804M), RIOK2, RIOK3, RIPK1, RIPK4, RIPK5, ROCK1, ROCK2, ROS1, RPS6KA4(Kin.Dom.2-C-terminal), RPS6KA5(Kin.Dom.2-C-terminal), RSK1(Kin.Dom.1-N-terminal), RSK2(Kin.Dom.1-N-terminal), RSK3(Kin.Dom.1-N-terminal), RSK3(Kin.Dom.2-C-terminal), RSK4(Kin.Dom.1-N-terminal), SBK1, SGK, SgK110, SIK2, SLK, SNARK, SNRK, SRC, SRPK1, SRPK3, STK16, STK33, STK35, STK39, SYK, TAK1, TAOK1, TAOK3, TBK1, TEC, TIE1, TGFBR1, TNIK, TNK1, TNK2, TRKA, TRKB, TRKC, TSSK1B, TTK, TYK2(JH1domain-catalytic), TYK2(JH2domain-pseudokinase), ULK1, ULK2, ULK3, VEGFR2, YSK1, YSK4 또는 ZAP70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1]
    Figure 112019099148555-pat00246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NH-이고;
    Z는 시아노(-CN);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이고;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6 알킬;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C6 사이클로 알킬; 또는 N 및 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3-8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이고; 및
    Figure 112019099148555-pat00247
    Figure 112019099148555-pat0024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49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0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1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2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3
    또는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4
    이고,

    이때, R2, R4, R6, R8, R11, R17, 및 R23은 각각 수소, 할로겐,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및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콕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고,
    R3, R5, R7 및 R9는 각각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콕시; 하이드록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콕시, 아미노카르복시기(-(C=O)NH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비치환 또는 할로겐 및 산소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5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이 하나 이상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또는 -(C=O)NR24R25이고,
    여기서, R24 및 R25는 각각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또는 산소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5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로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 또는 R24 및 R25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 또는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8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을 형성하고, 이때, 상기 치환된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은, 할로겐;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로 하나 이상 치환된 N 및 O의 헤테로 원자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3-6 원자의 헤테로 사이클로 알킬;로 하나 이상 치환되고,
    R10은 -CR26R27-CN이고, 여기서, 상기 R26 및 R27은 각각 수소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이고,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수소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이거나,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 중 동일한 탄소에 결합된 둘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와 함께 카보닐을 형성할 수 있고,
    R16 및 R22는 각각 수소 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3알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X는 -NH-이고;
    Z는 -CN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메틸이고;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비치환 또는 메틸이 하나 이상 치환된 C3-C5 사이클로 알킬; 또는 N 및 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6 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 알킬이고; 및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5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59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0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1
    또는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2
    이고,
    이때, R2, R4, R6, R8, R11, R17, 및 R23은 각각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메틸, 에틸, 메톡시 및 에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고,
    R3, R5, R7 및 R9는 각각 메틸; 이소프로필; 메톡시; 하이드록시, 메톡시, 메틸, 아미노카르복시기(-(C=O)NH2)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하나 이상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C3 알킬; 플루오로, 클로로, 옥세타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피페리디닐; 비치환 또는 메틸이 하나 이상 치환된 피페라디닐 또는 모폴리닐; 또는 -(C=O)NR24R25이고,
    여기서, R24 및 R25는 각각 수소; 메틸, 이소프로필 또는 옥세타닐로 치환된 피페리디닐; 또는 R24 및 R25는 이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비치환 또는 치환된 피페라지닐, 모폴리닐 또는 피페리디닐을 형성하고, 이때, 상기 치환된 피페라지닐, 모폴리닐 또는 피페리디닐은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 메틸, 옥세타닐, 피페라지닐 또는 모폴리닐로 치환되고,
    R10은 -CR26R27-CN이고, 여기서, 상기 R26 및 R27은 각각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고,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이거나,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 중 동일한 탄소에 결합된 둘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와 함께 카보닐을 형성할 수 있고,
    R16 및 R22는 각각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X는 -NH-이고;
    Z는 -CN 또는 -CF3이고;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 1-메틸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라닐이고;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3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4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5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69
    또는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0
    이고,
    이때, R2, R4, R6, R8, R11, R17, 및 R23은 각각 수소, 클로로, 플루오로, 메틸 및 메톡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고;
    R3 및 R7는 각각 메톡시,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1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2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3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4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5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79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0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1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2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3
    또는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4
    이고; 및
    R5 및 R9는 각각 메틸, 이소프로필,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5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8
    또는
    Figure 112019099148555-pat00289
    이고,
    R10은 -CR26R27-CN이고, 여기서, 상기 R26 및 R27은 각각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수소 또는 메틸이거나, R12, R13, R14, R15, R18, R19, R20, 및 R21 중 동일한 탄소에 결합된 둘은 이들이 결합된 탄소와 함께 카보닐을 형성할 수 있고,
    R16 및 R22는 각각 수소 또는 메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X는 -NH-이고;
    Z는 -CN 또는 -CF3이고;
    R1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사이클로프로필, 1-메틸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히드로피란-4-일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3-일이고; 및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0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1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2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3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4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5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299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0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1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2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3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4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5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09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0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1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2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3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4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5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19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0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1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2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3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4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5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6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7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8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29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30
    ,
    Figure 112019099148555-pat00331
    또는
    Figure 112019099148555-pat0033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 4-(에틸아미노)-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 4-(에틸아미노)-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 4-(에틸아미노)-2-((1-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 릴;
    (5) 4-(에틸아미노)-2-((1-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6) 4-(에틸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 4-(에틸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 4-(에틸아미노)-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9) 2-((2-메톡시-4-(4-모르폴리닐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0)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 (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1) 2-((5-플루오로-2-메 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 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2)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3) 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4)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5) 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 페닐)아미노)-4-(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6)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7)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8)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19) 4-(시클로프로필아미노)-2-((5-플루오로-2-메톡시-4-(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0)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1) (S)-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2) 2-((4-((2R,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3) 2-((4-(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 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4) 2-((4-((2R,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25) (R)-4-(에틸아미노)-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6) (S)-4-(에틸아미노)-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7) 2-((4-(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28) 6-((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29) 6-((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 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30) 6-((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31) 6-((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1H-피롤로[2,3-b]피리미딘-3-카르보니트릴;
    (32) 2-((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3) 2-((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4) 4-(에틸아미노)-2-((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5) 4-(에틸아미노)-2-((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6) 2-((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7) 2-((5-플루오로-2-메톡시-4-(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8) 2-((1-이소프로필-5-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9) 2-((1-이소프로필-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0) 2-((1,3-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1) 2-((1,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2) (R)-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 -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3) (S)-2-((2-메톡시-4-(2-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4) 2-((4-((2R,6S)-2,6-디메틸모르폴린-4-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5) 2-((4-(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6) 2-(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판아미드;
    (47)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8) 4-(에틸아미노)-2-((3-메톡시-5-(모르폴린-4-카르보닐)피리딘-2-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9) 2-((1-(2-시아노프로판-2-일)-3-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0)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1) 2-((5-클로로-1-((3S, 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2) 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3) 4-(에틸아미노)-2-((1- (3S, 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4) 2-((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5)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56)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 (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57) 2-((2-메톡시-4-(옥세탄-3-일)피페라진-1-카르보닐)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8) 4-(에틸아미노)-2-((2-메톡시-4-(4-(옥세탄-3-일)피페라진-1-카르보닐)페닐)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59) 2-((5-클로로-1-(2-메톡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60)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질아미드;
    (61)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질아미드;
    (62) 2-((5-클로로-1-(2-메톡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63)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피롤리딘-1-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4)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피롤리딘-1-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5)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 -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6)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67) 4-((5-시아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68) 4-((5-시아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69) 2-((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0) 4-(에틸아미노)-2-((1-(2-히드록시에틸)-1H-피라졸-4-일)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1) 2-((3-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2) 2-((3-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3) 2-((5-클로로-1-(2-시아 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4) 2-((5-클로로-1-(2-시아노프로판-2-일)-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5)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6)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7) 2-((1-(2-시아노프로판-2-일)-3,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8) 2-((1-(2-시아노프로판-2-일)-3,5-디메틸-1H-피라졸-4-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79)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5-플루오로-2-메톡시페닐)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 [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0) (R)-2-((4-(2,4-디메틸피페라진-1-카르보닐)-5-플루오로-2-메톡시페닐)아미노)-4-(메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81)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82)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N-(1-이소프로필피페리딘-4-일)-5-메톡시벤즈아미드;
    (83) 4-((5-시아노-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메틸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02) N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N4-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03) 2-(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 판니트릴;
    (104)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모르폴리노피페리딘-1-일)메탄온;
    (105)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06) (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107)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08) (R)-(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2-메틸모르폴리노)메탄온;
    (109) ((2R,6S)-2,6-디메틸모르 폴리노)((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 미딘-2-일)아미노)-3-메 톡시페닐)메탄온;
    (110) (4,4-디플루오로피페리딘-1-일)(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 페닐)메탄온;
    (111) (S)-(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2-메틸모르폴리노)메탄온;
    (112) (3-메톡시-4-((4-(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13) 2-(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틸-1H-피라졸-1-일)-2-메틸프로 판아미드;
    (114) N4-에틸-N2-(2-메톡시-4-(4-메틸피페라진-1-일)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15) N4-에틸-N2-(2-메톡시-4-모르폴리노페닐)-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 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16) 4-((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플루오로-5-메톡시-N-(1-(옥세탄피페리딘-4-일)벤즈아미드;
    (117) N2-(5-클로로-1-((3S,4S)-3-플루오로-1-(옥세탄-3-일)피페리딘-4-일)-1H-피라졸-4-일)-N4-시클로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4-디아민;
    (118)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 리미딘-2-일)아미노)-3-메 톡시페닐)(모르폴리노)메탄온;
    (119)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 미딘-2-일)아미노)-3-메톡 시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20) (4-((4-(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3-메톡시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온;
    (121) (3-메톡시-4-((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메틸피페라진-1-일)메탄온;
    (122) (3-메톡시-4-((4-((1-메틸시클로프로필)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4-(4-메틸피페라진-1-일)피페리딘-1-일)메탄올;
    (123) (R)-(2,4-디메틸피페라진-1-일)(2-플루오로-5-메톡시-4-((4-(메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페닐)메탄온;
    (128) 2-((6-클로로-2-메틸-1- 옥소이소인돌-5-일)아미노)-4-(에틸아미노)-7H-피롤로[2,3-d]피리 미딘-5-카보니트릴;
    (129) 4-(에틸아미노)-2-((2-메틸-1-옥소이소인돌-5-일)아미노)-7H-피롤 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0) 4-(에틸아미노)-2-((6- 메톡시-2-메틸-1-옥소 이소인돌-5-일)아미노)-7H-피롤로[2,3-d] 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1) 4-(에틸아미노)-2-((6- 메톡시-2,2,4-트리메틸-3-옥소-3,4-디히드로-2H-벤조[b][1,4]옥사진-7-일)아미노)-7H-피 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2) 2-((2-(2-시아노프로판 -2-일)-4-메틸싸이아졸 -5-일)아미노)-4-(에틸 아미노)-7H-피롤로[2,3-d]피리미딘-5-카보니트릴;
    (133) 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2-메틸이소인돌린-1-온;
    (134) 6-((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5-메톡시-2-메틸이소인돌린-1-온;
    (135) 6-클로로-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 이소인돌린-1-온;
    (136) 5-((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2-메틸이소인돌린-1-온; 및
    (137) 7-((4-(에틸아미노)-5-(트리플루오로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2-일)아미노)-6-메톡시-2,2,4-트리메틸-2H-벤조[1,4]옥사진-3(4H)-온.
  6.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산 조건에서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8119134664-pat00333

    (상기 반응식 1에서,
    X, Z, R1
    Figure 112018119134664-pat00334
    는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은 할로겐이고; 및
    PG는 (2-(트리메틸실릴)메톡시)메틸(SEM), p-메톡시벤질(PMB), t-부틸옥시카보닐(BOC), 카보벤질옥시(Cbz), 9-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Fmoc), 아세틸(Ac), 벤조일(Bz), 벤질(Bn), 3,4-다이메톡시벤질(DMPM), p-메톡시페닐(PMP), 토실(Ts),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보닐(Troc),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Teoc), 아릴옥시카보닐(Alloc) 또는 p-메톡시벤질(PMB)이다).
  7. 제1항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광학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퇴행성 뇌질환 및 염증질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키나아제는 ABL1(E255K)-phosphorylated, ABL1(F317I)-nonphosphorylated, ABL1(F317I)-phosphorylated, ABL1(F317L)-nonphosphorylated, ABL1(F317L)-phosphorylated, ABL1(H396P)-nonphosphorylated, ABL1(H396P)-phosphorylated, ABL1(M351T)-phosphorylated, ABL1(Q252H)-nonphosphorylated, ABL1(Q252H)-phosphorylated, ABL1(T315I)-nonphosphorylated, ABL1(T315I)-phosphorylated, ABL1(Y253F)-phosphorylated, ABL1-nonphosphorylated, ABL1-phosphorylated, ABL2, AKT3, ALK, ALK(C1156Y), ALK(L1196M), AMPK-alpha1, AMPK-alpha2, ANKK1, ARK5, ASK1, ASK2, AURKA, AURKB, AURKC, AXL, BIKE, BLK, BMPR1B, BMPR2, BTK, BUB1, CAMK1, CAMK1B, CAMK1D, CAMK1G, CAMK2A, CAMK4, CAMKK1, CAMKK2, CDK7, CHEK1, CHEK2, CLK1, CLK2, CLK3, CLK4, CSF1R, CSF1R-autoinhibited, CSNK1A1, CSNK1A1L, CSNK1D, CSNK1E, CSNK1G1, CSNK1G2, CSNK1G3, CSNK2A1, CSNK2A2, DAPK1, DAPK2, DAPK3, DCAMKL1, DDR2, DLK, DMPK, DMPK2, DRAK1, DRAK2, DYRK1A, DYRK1B, DYRK2, EGFR, EGFR(L858R,T790M), EGFR(T790M), EPHA3, EPHA7, EPHB6, ERK5, ERN1, FAK, FER, FES, FGFR2, FGFR3, FGFR3(G697C), FGFR4, FGR, FLT1, FLT3, FLT3(D835H), FLT3(D835V), FLT3(D835Y), FLT3(ITD), FLT3(ITD,D835V), FLT3(ITD,F691L), FLT3(K663Q), FLT3(N841I), FLT3(R834Q), FLT3-autoinhibited, FLT4, FYN, GAK, GRK4, GSK3A, HCK, HIPK1, HIPK2, HIPK3, HPK1, HUNK, IGF1R, IKK-alpha, IKK-beta, IKK-epsilon, INSR, INSRR, IRAK1, IRAK3, IRAK4, ITK, JAK1(JH1domain-catalytic), JAK1(JH2domain-pseudokinase), JAK2(JH1domain-catalytic), JAK3(JH1domain-catalytic), JNK1, JNK2, JNK3, KIT, KIT(A829P), KIT(D816H), KIT(D816V), KIT(L576P), KIT(V559D), KIT(V559D,T670I), KIT(V559D,V654A), KIT-autoinhibited, LATS1, LATS2, LCK, LKB1, LRRK2, LRRK2(G2019S), LTK, LZK, MAP3K15, MAP3K2, MAP3K3, MAP4K2, MAP4K3, MAP4K4, MAP4K5, MAPKAPK2, MAPKAPK5, MARK2, MARK3, MEK1, MEK2, MEK3, MEK4, MEK5, MEK6, MELK, MERTK, MINK, MKK7, MKNK2, MLCK, MLK1, MLK2, MLK3, MST1, MST2, MST3, MST4, MYLK, MYO3A, MYO3B, NDR2, NEK10, NIK, OSR1, PAK3, PAK4, PAK6, PAK7, PDGFRA, PHKG1, PHKG2, PIK3CA(I800L), PIK3CD, PIK3CG, PIP5K1A, RIOK1, PIP5K1C, PIP5K2B, PIP5K2C, PKNB(M.tuberculosis), PLK1, PLK3, PLK4, PRKD1, PRKD2, PRKD3, PRP4, PYK2, RET, RET(M918T), RET(V804L), RET(V804M), RIOK2, RIOK3, RIPK1, RIPK4, RIPK5, ROCK1, ROCK2, ROS1, RPS6KA4(Kin.Dom.2-C-terminal), RPS6KA5(Kin.Dom.2-C-terminal), RSK1(Kin.Dom.1-N-terminal), RSK2(Kin.Dom.1-N-terminal), RSK3(Kin.Dom.1-N-terminal), RSK3(Kin.Dom.2-C-terminal), RSK4(Kin.Dom.1-N-terminal), SBK1, SGK, SgK110, SIK2, SLK, SNARK, SNRK, SRC, SRPK1, SRPK3, STK16, STK33, STK35, STK39, SYK, TAK1, TAOK1, TAOK3, TBK1, TEC, TIE1, TGFBR1, TNIK, TNK1, TNK2, TRKA, TRKB, TRKC, TSSK1B, TTK, TYK2(JH1domain-catalytic), TYK2(JH2domain-pseudokinase), ULK1, ULK2, ULK3, VEGFR2, YSK1, YSK4 및 ZAP7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루게릭병, 치매, 헌팅턴 질환, 다발성 경화증, 근위측성 측삭 경화증, 중풍, 뇌졸중 및 경도 인지장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은 피부염, 알레르기,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간염, 식도염, 위염, 장염, 췌장염, 대장염, 신장염, 전신부종, 국소부종, 관절염, 각막염, 기관지염, 흉막염, 복막염, 척추염, 염증성 통증, 요도염, 방광염, 치주염 및 치은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150052A 2017-02-22 2018-11-28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92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23393 2017-02-22
KR1020170023393 2017-02-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255A Division KR20180097162A (ko) 2017-02-22 2018-02-22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575A KR20180132575A (ko) 2018-12-12
KR102092812B1 true KR102092812B1 (ko) 2020-03-25

Family

ID=632539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255A KR20180097162A (ko) 2017-02-22 2018-02-22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80150052A KR102092812B1 (ko) 2017-02-22 2018-11-28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255A KR20180097162A (ko) 2017-02-22 2018-02-22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08412B2 (ko)
EP (1) EP3587422A4 (ko)
KR (2) KR20180097162A (ko)
WO (1) WO20181559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3604304T3 (fi) * 2017-03-23 2022-12-15 Pyrrolopyridiinijohdannaisyhdiste,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ja sitä vaikuttavana ainesosana sisältävä farmaseuttinen koostumus proteiinikinaasiin liittyvien tautien ehkäisemiseksi tai hoitamiseksi
US11370796B2 (en) * 2017-12-05 2022-06-28 Oscotec Inc. Substituted pyrazoles as LRRK2 inhibitors
KR20200029144A (ko) 2018-09-10 2020-03-18 김성우 확장용 블록놀이 받침판이 장착된 블록놀이용 탈것
KR20200090636A (ko) * 2019-01-18 2020-07-29 보로노이바이오 주식회사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662295B (zh) * 2019-03-05 2021-09-10 珠海宇繁生物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irak4激酶抑制剂及其制备方法
CN113574057A (zh) * 2019-03-13 2021-10-29 株式会社沃若诺伊 杂芳基衍生物及包含其作为活性成分的药物组合物
WO2020232332A1 (en) * 2019-05-16 2020-11-19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Pyrrolopyrimidine inhibitors of wild-type and mutant forms of lrrk2
KR20200135743A (ko) * 2019-05-22 2020-12-03 보로노이 주식회사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피롤로-피리딘 유도체 화합물의 신규 용도
WO2021224320A1 (en) 2020-05-06 2021-11-11 Les Laboratoires Servier New macrocyclic lrrk2 kinase inhibitors
CN111620878A (zh) * 2020-06-10 2020-09-04 中国药科大学 吡咯并嘧啶类衍生物作为蛋白激酶抑制剂及其应用
KR20230091150A (ko) * 2020-10-29 2023-06-22 수저우 야바오 파마슈티걸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치환된 디아릴아민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조성물, 제조 방법과 용도
EP4308570A1 (en) 2021-03-18 2024-01-24 Les Laboratoires Servier Macrocyclic lrrk2 kinase inhibitors
WO2022203466A1 (ko) * 2021-03-26 2022-09-29 주식회사 스탠다임 Lrrk2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페닐아미노피리미딘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20240021910A (ko) 2021-06-15 2024-02-19 사노피 치환된 피롤로[2,3-d]피리미딘, 이의 제조 및 이의 치료적 용도
EP4105218A1 (en) * 2021-06-15 2022-12-21 Sanofi Substituted pyrrolo[2,3-d] pyrimidine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
BR112023012947A2 (pt) 2021-10-27 2024-04-30 H Lundbeck As Inibidores de lrrk2
WO2024035771A2 (en) * 2022-08-09 2024-02-15 H. Lee Moffitt Cancer Center And Research Institute, Inc. Ulk3 inhibitors and uses thereof
WO2024035194A1 (ko) * 2022-08-11 2024-02-15 환인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헤테로아릴 치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암,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1320B1 (ko) * 2022-08-11 2024-03-28 환인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헤테로아릴 치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 암,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958865B1 (en) 2022-09-15 2024-04-16 H. Lundbeck A/S Leucine-rich repeat kinase 2 (LRRK2)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2298A1 (en) 2005-10-13 2007-04-19 Glaxo Group Limited Pyrrolopyrimidine derivatives as syk inhibitors
BRPI0808651A2 (pt) 2007-03-09 2014-08-19 Green Cross Corp Pró-medicamentos oralmente biodisponíveis de (+)-3-hidroximorfinano para a prevenção ou o tratamento da doença de parkinson.
WO2009131687A2 (en) 2008-04-22 2009-10-29 Portola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protein kinases
UA110259C2 (uk) * 2011-09-22 2015-12-10 Пфайзер Інк. Похідні піролопіримідину і пурину
UA118369C2 (uk) * 2014-01-29 2019-01-10 Глаксосмітклайн Інтеллектьюел Проперті Девелопмент Лімітед Сполуки, що інгібують активність lrrk2 кінази
KR20160106623A (ko) * 2014-01-29 2016-09-12 글락소스미스클라인 인털렉츄얼 프로퍼티 디벨로프먼트 리미티드 화합물
WO2015113451A1 (en) * 2014-01-29 2015-08-06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Limited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87422A4 (en) 2020-05-06
WO2018155916A3 (ko) 2018-12-06
US11208412B2 (en) 2021-12-28
KR20180132575A (ko) 2018-12-12
EP3587422A2 (en) 2020-01-01
KR20180097162A (ko) 2018-08-30
US20200239474A1 (en) 2020-07-30
WO2018155916A2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812B1 (ko)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10115055A1 (en) Lrrk2 inhibi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787461B2 (en) Pyrimido-diazepinone compounds and methods of treating disorders
RU2730849C1 (ru) Производное пирроло-пиридин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его в качестве активного ингредиент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связанных с протеинкиназой
KR102297587B1 (ko) 치환된 n-헤테로아릴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0622A (ko) 치환된 헤테로아릴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08079A (ko) 2,4,5-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108080A (ko) 2,4,5-치환된 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1155556B2 (en) Pyrimido-diazepinone kinase scaffold compounds and methods for treating PI3K-mediated disorders
KR102328435B1 (ko) 신규 피리도-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06495A (ko) N-(3-(이미다조[1,2-b]피리다진-3-일에티닐)-4-메틸페닐)-5-페닐-4,5-다이하이드로-1H-피라졸-1-카복사마이드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93980B1 (ko) 디하이드로피라노[3,2-g]크로멘-2-온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28423B1 (ko) 신규 트리아졸로-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86701B1 (ko) 피리도[2,3-d]피리미딘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88945A (ko) 벤조[b][1,4]옥사제핀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키나아제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05592A (ko) 4-((1h-피라졸-3-일)아미노)프탈라진-1(2h)-온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