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643B1 -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643B1
KR102092643B1 KR1020190087295A KR20190087295A KR102092643B1 KR 102092643 B1 KR102092643 B1 KR 102092643B1 KR 1020190087295 A KR1020190087295 A KR 1020190087295A KR 20190087295 A KR20190087295 A KR 20190087295A KR 102092643 B1 KR102092643 B1 KR 10209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wind
slab
wind path
adjus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희
Original Assignee
장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희 filed Critical 장명희
Priority to KR1020190087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터널 환기용 풍도를 시공함에 있어서, 풍도 슬래브에 대한 조립 설치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그리고 상하 높이방향에 대한 수평도와 수직도(높이차) 등의 밸런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풍도 브라켓을 기준으로 전후진 하는 수평조절장치에 의해 풍도 슬래브의 설치 중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터널의 천정 중앙부로부터 연결된 상하 조절장치는 풍도 슬래브의 처짐 방지와 함께 종방향 슬라이딩 이송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이웃한 풍도 슬래브 간 수평, 수직 간격의 맞춤이 현저하게 개선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시공성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공기단축으로 인해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이에 시공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METHOD OF CONSTRUCTING VENTILATATION AIR PASSAGE STRUCTURE FOR TURNEL}
본 발명은 터널 환기용 풍도를 시공함에 있어서, 풍도 슬래브에 대한 조립 설치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그리고 상하 높이방향에 대한 수평도와 수직도(높이차) 등의 밸런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풍도 브라켓을 기준으로 전후진 하는 수평조절장치에 의해 풍도 슬래브의 설치 중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터널의 천정 중앙부로부터 연결된 상하 조절장치는 풍도 슬래브의 처짐 방지와 함께 종방향 슬라이딩 이송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이웃한 풍도 슬래브 간 수평, 수직 간격의 맞춤이 현저하게 개선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시공성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공기단축으로 인해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이에 시공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풍도 브라켓은 터널 내주벽에 대하여 'ㅁ'형강 체결철물에 의해 정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ㅁ'형강 체결철물은 다단 조립형 구조체로서, 체결볼트와 조립되는 사각 조인트의 일측에 시공편차 보상홀이 형성되어 소정의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원활한 체결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땅을 굴착하여 건설되는 터널 구조물은 터널 길이에 따라서 차이는 있겠지만, 터널내 매연, 유해가스, 먼지, 화재 등의 위급 상황으로부터 터널이용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교통량과 터널길이에 따라 효율성을 고려한 터널 환기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즉,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자동차들로부터 발생되는 배출가스는 터널 통행자 및 운전자의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환기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터널 내 주행차량의 배출가스는 매연(Smoke), 일산화탄소(CO), 질소 산화물(NOx) 등으로 이들 배출 가스의 허용농도를 적정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기설비가 필요로 되며, 이러한 환기설비방식으로는 터널 길이에 따라 500m 이하인 경우는 자연 환기방식, 500m 이상인 터널에서는 종류식(Longitudinal), 반횡류식(Semi-Transverse System), 횡류식(Transverse System) 등의 기계 환기방식이 있다.
이 중에서 효율이 좋은 것은 횡류 환기방식인데, 이러한 횡류 환기방식은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재시 대체가 용이하고, 종합적으로 볼 때 가장 신뢰성 있는 환기방식이며, 교통량이 많은 도심지에 적합하고, 덕트공간이 커서 내부 공간 단면적이 가장 크다.
그리고 통상의 횡류 환기방식은 터널 구조물에 대하여 라이닝을 설치한 후, 터널 라이닝의 중,상단에 풍도를 형성하돌고 콘키리트 바닥 패널(슬라브)을 설치하고, 바닥 패널의 중간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지지용 행거를 설치하여 바닥 패널을 천장부에 연결하도록 하며, 이에 콘크리트 바닥 패널의 양단은 터널 라이닝의 양측 내벽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고정 브라켓 걸리도록 지지되게 하여 환기용 풍도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횡류 환기방식에서 콘크리트 바닥 패널은 기 설치된 브라켓에 그 양단이 지지되는데 콘크리트 바닥 패널의 위치에 따라 지지용 행거이 높낮이를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앙 정위치를 향한 간격 조절이 까다로워 작업성 저하를 야기하고 이는 공기 지연 및 생산성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은 지지용 행거의 장공을 통하여 콘크리트 바닥 패널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들로 하여금 높낮이 조절 작업에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5379호(2011.02.10. 등록)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풍도 슬래브에 대한 조립 설치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그리고 상하 높이방향에 대한 수평도와 수직도(높이차) 등의 밸런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풍도 브라켓을 기준으로 전후진 하는 수평조절장치에 의해 풍도 슬래브의 설치 중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터널의 천정 중앙부로부터 연결된 상하 조절장치는 풍도 슬래브의 처짐 방지와 함께 종방향 슬라이딩 이송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이웃한 풍도 슬래브 간 수평, 수직 간격의 맞춤이 현저하게 개선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시공성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공기단축으로 인해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이에 시공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풍도 브라켓은 터널 내주벽에 대하여 'ㅁ'형강 체결철물에 의해 정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ㅁ'형강 체결철물은 다단 조립형 구조체로서, 체결볼트와 조립되는 사각 조인트의 일측에 시공편차 보상홀이 형성되어 소정의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원활한 체결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편차 보상홀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된 체결볼트와의 결합축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하고 원활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도 브라켓에 있어서, 몰탈 주입홀이 복수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풍도 브라켓의 배면에는 복수의 몰탈 주입홀들을 직교방향으로 연결하는 연통 주입홀이 더 형성되어 몰탈이 브릿지 형태로 더 충진되어 합성력과 접합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널(10) 내 천정부 좌우측에 풍도 브라켓(1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풍도 브라켓(100)의 일측에는 단턱(110)이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길이방향 단부를 거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턱(110)과 직교된 지지면(120)에는 수평조절장치(200)가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시공 정위치에 대한 전후진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턱(110)의 하부측에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40)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140)는 삽입측 단부가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 시공편차 보상홀(320)을 통해 삽입된 후 조립너트(330)로 하여금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각 조인트(310)는 후방에 고정나사(340)가 형성되어 터널(10)의 내주벽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350)에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되며, 터널(10) 내 천정 중앙부에는 상하 조절장치(400)가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중심점과 연결시 처짐방지 및 수평도를 확보하도록 하면서 풍도 슬래브(20)의 종방향 조립시 이송 구간 내 슬라이딩 조립을 보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풍도 브라켓(100)은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가 배치된 후면 측에 몰탈 주입홀(150)이 형성되어 몰탈이 충진된 후 양생되면 구조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조절장치(200)는 지지면(120) 내측에 고정너트(210)가 매입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너트(210)의 개구된 나사홈(211)에는 간격조절볼트(220)의 나사부(221)가 체결되면서 나사 조임 또는 풀림에 따라 풍도 슬래브(20)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는 일방향 개구공(360)이 형성되어 조립너트(330)의 조임, 풀림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개구공(360)은 수직방향으로 개구되어 몰탈 주입홀(150)을 통해 몰탈 채움시 합성공간을 이루면서 양생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하 조절장치(400)는 슬라이딩 철물(410)이 매입 고정장치(420)에 의해 터널(10) 천정부에 정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철물(410)은 하부가 개구된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하단 걸림턱(411)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 걸림턱(411)을 기준으로 유입된 슬라이딩 고정장치(440)는 슬라이딩 철물의 공간부(412)를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고정장치(440)는 상면 지지판(441)을 기준으로 하부가 개구되면서 좌우측으로 안착턱(442)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판(441)에는 결합공(443)이 형성되어 락볼트(430)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락볼트(430)는 풍도 슬래브(20)의 달대(30)와 체결된 텀버클(450)의 상단과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철물의 걸림턱(411)에는 고정너트(413)가 체결되어 공간부(412)를 통한 슬라이딩 고정장치(440)의 조립 정위치가 확인되면 고정너트(413)의 나사 조임을 통해 유동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널 환기용 풍도를 시공함에 있어서, 풍도 슬래브에 대한 조립 설치시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그리고 상하 높이방향에 대한 수평도와 수직도(높이차) 등의 밸런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풍도 브라켓을 기준으로 전후진 하는 수평조절장치에 의해 풍도 슬래브의 설치 중심점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터널의 천정 중앙부로부터 연결된 상하 조절장치는 풍도 슬래브의 처짐 방지와 함께 종방향 슬라이딩 이송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서, 이웃한 풍도 슬래브 간 수평, 수직 간격의 맞춤이 현저하게 개선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자로 하여금 시공성과 작업성이 크게 향상됨은 물론 공기단축으로 인해 공사비용이 절감되며, 이에 시공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풍도 브라켓은 터널 내주벽에 대하여 'ㅁ'형강 체결철물에 의해 정착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ㅁ'형강 체결철물은 다단 조립형 구조체로서, 체결볼트와 조립되는 사각 조인트의 일측에 시공편차 보상홀이 형성되어 소정의 조립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원활한 체결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편차 보상홀이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된 체결볼트와의 결합축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신속하고 원활한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도 브라켓에 있어서, 몰탈 주입홀이 복수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풍도 브라켓의 배면에는 복수의 몰탈 주입홀들을 직교방향으로 연결하는 연통 주입홀이 더 형성되어 몰탈이 브릿지 형태로 더 충진되어 합성력과 접합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도 브라켓 및 수평조절장치를 나타낸 설치 예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ㅁ'형강 체결철물을 나타낸 설치 예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조절장치를 나타낸 설치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풍도 브라켓(100), 수평조절장치(200), 'ㅁ'형강 체결철물(300) 및 상하 조절장치(4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터널(10) 내 천정부 좌우측에 풍도 브라켓(1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풍도 브라켓(100)의 일측에는 단턱(110)이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길이방향 단부를 거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풍도 브라켓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형성된 것으로, 다수개의 단위식 모듈이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되면서 시공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단턱(110)과 직교된 지지면(120)에는 수평조절장치(200)가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시공 정위치에 대한 전후진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조절장치(200)는 지지면(120) 내측에 고정너트(210)가 매입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너트(210)의 개구된 나사홈(211)에는 간격조절볼트(220)의 나사부(221)가 체결되면서 나사 조임 또는 풀림에 따라 풍도 슬래브(20)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헤드부가 나사 조임 풀림에 따라 풍도 슬래브의 단부 양측을 밀어 내면서 정위치 세팅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110)의 하부측에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40)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140)는 삽입측 단부가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 시공편차 보상홀(320)을 통해 삽입된 후 조립너트(330)로 하여금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사각 조인트(310)는 후방에 고정나사(340)가 형성되어 터널(10)의 내주벽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350)에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터널(10) 내 천정 중앙부에는 상하 조절장치(400)가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중심점과 연결시 처짐방지 및 수평도를 확보하도록 하면서 풍도 슬래브(20)의 종방향 조립시 이송 구간 내 슬라이딩 조립을 보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풍도 브라켓(100)은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가 배치된 후면 측에 몰탈 주입홀(150)이 형성되어 몰탈이 충진된 후 양생되면 구조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풍도 브라켓은 몰탈 주입홀(150)이 복수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풍도 브라켓의 배면에는 복수의 몰탈 주입홀들을 직교방향으로 연결하는 연통 주입홀(160)이 더 형성되어 몰탈이 브릿지 형태로 더 충진되어 합성력과 접합성이 더욱 강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는 일방향 개구공(360)이 형성되어 조립너트(330)의 조임, 풀림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개구공(360)은 수직방향으로 개구되어 몰탈 주입홀(150)을 통해 몰탈 채움시 합성공간을 이루면서 양생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상하 조절장치(400)는 슬라이딩 철물(410)이 매입 고정장치(420)에 의해 터널(10) 천정부에 정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철물(410)은 하부가 개구된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하단 걸림턱(411)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 걸림턱(411)을 기준으로 유입된 슬라이딩 고정장치(440)는 슬라이딩 철물의 공간부(412)를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 고정장치(440)는 상면 지지판(441)을 기준으로 하부가 개구되면서 좌우측으로 안착턱(442)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판(441)에는 결합공(443)이 형성되어 락볼트(43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락볼트(430)는 풍도 슬래브(20)의 달대(30)와 체결된 텀버클(450)의 상단과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 철물의 걸림턱(411)에는 고정너트(413)가 체결되어 공간부(412)를 통한 슬라이딩 고정장치(440)의 조립 정위치가 확인되면 고정너트(413)의 나사 조임을 통해 유동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락볼트가 관통된 최상단에는 마감 캡(444)이 형성되어 상단 돌출부를 마감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터널 20 ... 풍도 슬래브
30 ... 달대
100 ... 풍도 브라켓 110 ... 단턱
120 ... 지지면 130 ... 관통공
140 ... 체결볼트 150 ... 몰탈 주입홀
200 ... 수평조절장치 210 ... 고정너트
211 ... 나사홈 220 ... 간격조절볼트
221 ... 나사부 300 ... 'ㅁ'형강 체결철물
310 ... 사각 조인트 320 ... 시공편차 보상홀
330 ... 조립너트 340 ... 고정나사
350 ... 인서트 너트 360 ... 개구공
400 ... 상하 조절장치 410 ... 슬라이딩 철물
411 ... 걸림턱 412 ... 공간부
413 ... 고정너트 420 ... 매입 고정장치
430 ... 락볼트 440 ... 슬라이딩 고정장치
441 ... 지지판 442 ... 안착턱
443 ... 결합공 430 ... 락볼트
450 ... 텀버클

Claims (4)

  1. 터널(10) 내 천정부 좌우측에 풍도 브라켓(100)이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풍도 브라켓(100)의 일측에는 단턱(110)이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길이방향 단부를 거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턱(110)과 직교된 지지면(120)에는 수평조절장치(200)가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시공 정위치에 대한 전후진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턱(110)의 하부측에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40)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볼트(140)는 삽입측 단부가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 시공편차 보상홀(320)을 통해 삽입된 후 조립너트(330)로 하여금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각 조인트(310)는 후방에 고정나사(340)가 형성되어 터널(10)의 내주벽에 매립된 인서트 너트(350)에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되며, 터널(10) 내 천정 중앙부에는 상하 조절장치(400)가 형성되어 풍도 슬래브(20)의 중심점과 연결시 처짐방지 및 수평도를 확보하도록 하면서 풍도 슬래브(20)의 종방향 조립시 이송 구간 내 슬라이딩 조립을 보장하도록 하는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풍도 브라켓(100)은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가 배치된 후면 측에 몰탈 주입홀(150)이 형성되어 몰탈이 충진된 후 양생되면 구조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풍도 브라켓(100)은 몰탈 주입홀(150)이 복수 이상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하되, 풍도 브라켓(100)의 배면에는 복수의 몰탈 주입홀(150)들을 직교방향으로 연결하는 연통 주입홀(160)이 더 형성되며, 상기 'ㅁ'형강 체결철물(300)의 사각 조인트(310)는 일방향 개구공(360)이 형성되어 조립너트(330)의 조임, 풀림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개구공(360)은 수직방향으로 개구되어 몰탈 주입홀(150)을 통해 몰탈 채움시 합성공간을 이루면서 양생 일체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장치(200)는 지지면(120) 내측에 고정너트(210)가 매입되도록 하되, 상기 고정너트(210)의 개구된 나사홈(211)에는 간격조절볼트(220)의 나사부(221)가 체결되면서 나사 조임 또는 풀림에 따라 풍도 슬래브(20)의 수평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조절장치(400)는 슬라이딩 철물(410)이 매입 고정장치(420)에 의해 터널(10) 천정부에 정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철물(410)은 하부가 개구된 역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하단 걸림턱(411)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 걸림턱(411)을 기준으로 유입된 슬라이딩 고정장치(440)는 슬라이딩 철물의 공간부(412)를 통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KR1020190087295A 2019-07-19 2019-07-19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KR102092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95A KR102092643B1 (ko) 2019-07-19 2019-07-19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95A KR102092643B1 (ko) 2019-07-19 2019-07-19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643B1 true KR102092643B1 (ko) 2020-03-24

Family

ID=7000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295A KR102092643B1 (ko) 2019-07-19 2019-07-19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2067A (zh) * 2022-03-15 2022-05-31 华工匠建筑装配工程(深圳)有限公司 一种装配式保温节能建筑t字模墙体及其拼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79B1 (ko) 2010-04-21 2011-02-2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KR101478561B1 (ko) * 2014-01-09 2015-01-02 (주) 대한이엔지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KR101968934B1 (ko) * 2018-05-25 2019-04-16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강재합성 슬래브를 이용한 터널 풍도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79B1 (ko) 2010-04-21 2011-02-22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아치형태의 풍도 바닥 슬래브를 구비한 터널 풍도 및 그 형성방법
KR101478561B1 (ko) * 2014-01-09 2015-01-02 (주) 대한이엔지 터널용 프리캐스트 풍도 슬래브 시공을 위한 모노레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공법
KR101968934B1 (ko) * 2018-05-25 2019-04-16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강재합성 슬래브를 이용한 터널 풍도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62067A (zh) * 2022-03-15 2022-05-31 华工匠建筑装配工程(深圳)有限公司 一种装配式保温节能建筑t字模墙体及其拼装方法
CN114562067B (zh) * 2022-03-15 2023-08-29 新疆澳地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装配式保温节能建筑t字模墙体及其拼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606B1 (ko) 실드 터널의 풍도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22504B1 (ko) 터널 풍도슬래브의 시공방법
KR101152419B1 (ko) 터널과 지하차도를 포함하는 지중 도로 구조물의 풍도 및 이 시공 방법
KR102092643B1 (ko) 풍도 슬래브용 밸런스(전후,좌우,상하) 조절장치가 구비된 터널 풍도 시공방법
KR100886349B1 (ko) 건식 풍도 슬래브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94649A (ko) 터널 환기용 풍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U2010214742B2 (en) Expansion joints
KR20150024119A (ko) 풍도용 격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20060248823A1 (en) Window subassembly for use with insulated concrete forms
JP4896645B2 (ja) コークス炉用仮設上家およびこれを備えたコークス炉設備
JP2009121077A (ja) 鋼製壁高欄
JP3708074B2 (ja) 道路用幅員拡張材とその設置方法
KR102126491B1 (ko) 터널의 분절형 풍도 슬래브 설치구조
KR20200104535A (ko)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2321341B1 (ko) 터널내 환기를 위한 다양하고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JP2000144641A (ja) 高架構造物足場兼用裏面板の施工方法
JP3876429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内の隔壁築造方法
CN211777484U (zh) 一种预制轨顶风道结构
KR101421787B1 (ko) 경사진 풍도 슬래브에 급배기 덕트 면적확보를 위한 터널의 중앙 풍도 격벽 및 그 시공방법
JP200104062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防音壁及びその施工法
JP7488044B2 (ja) 可動式ホーム柵設置構造および可動式ホーム柵設置方法
JP2006022509A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4415838B2 (ja) トンネル内部の構築工法
KR102058711B1 (ko) 터널의 분절형 풍도 슬래브 설치구조
KR102453405B1 (ko) 태양광 방음터널용 태양광 패널 소손 방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