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535A -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535A
KR20200104535A KR1020190022970A KR20190022970A KR20200104535A KR 20200104535 A KR20200104535 A KR 20200104535A KR 1020190022970 A KR1020190022970 A KR 1020190022970A KR 20190022970 A KR20190022970 A KR 20190022970A KR 20200104535 A KR20200104535 A KR 20200104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exterior material
fixing
compressio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0482B1 (ko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4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의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어 벽체에 결합되는 수직판, 상, 하부 수직 장공홀 사이에서 수직판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 받침판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에는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고 수평판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의 걸침턱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의 걸침턱에 상응하는 걸침홈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되어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Fixing apparatus for stone curtai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 외장재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의 위치 조절이 자유로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로 이루어진 건축물 벽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하여 대리석이나 화강암 또는 인조석 등과 같은 다양한 석재 외장재가 사용되고 있다. 석재 외장재는 대개 사각 평판형으로 가공 제작되어 건축물의 외벽과 나란한 상태로 커튼월을 형성하도록 외벽체로 마감 시공된다. 근래에는 석재 외장재의 틈새 줄눈에 실링재를 충진하지 않고 오픈시켜 외부 공기가 내부로 순환되는 오픈조인트(Open Joint) 공법이 단열효과를 인정받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오픈조인트 공법은 등압이론에 기초한 것으로 내부 공간의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시켜 기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 오픈조인트에 사용되는 앵커는 기존 앵커와는 달리 석재 배면 부위에 결합홈을 천공하여 여러 타입의 볼트로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0838404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패널고정장치'(특허문헌1)가 있다. 이 특허는 오픈조인트 공법용 석재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외벽의 외측에 상하로 분할된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이 외벽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석재패널 고정장치를 제안한다. 이 특허가 제안하는 석재패널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상하로 분할된 석재패널 각각의 간격을 조절하기가 용이하고 상하 분할된 석재패널의 외표면이 동일한 수직면을 이루도록 맞추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으나 석재패널고정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석재 배면 부위에 결합홈을 천공해야 하는 현장 시공이 수반되며 각각의 외장재 설치를 위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일일이 시공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며 이에 따라 공기가 길어지고 공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10-0838404호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조립으로 석재 외장재를 설치할 수 있어서 공기가 줄어들며 공사비용을 절감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석재 배면에 미리 천공된 결합홈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현장에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어 벽체에 결합되는 수직판, 상, 하부 수직 장공홀 사이에서 수직판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 받침판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에는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고 수평판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의 걸침턱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의 걸침턱에 상응하는 걸침홈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되어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압축 레일에는, 충분한 단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중공에 격판이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형 강관이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웨브에 수직장공홀이 천공된 접합채널의 플랜지가 각형 강관에 결합되며, 레일 받침부재의 수직장공홀과 레일 덮개고정부재의 수직장공홀 및 접합채널의 수직장공홀을 T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립달린 앵글부재의 웨브가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레일 받침부재의 수직장공홀과 레일 덮개고정부재의 수직장공홀 및 립달린 앵글부재의 립 사이에 T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은, (a)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어 벽체에 결합되는 수직판, 상, 하부 수직 장공홀 사이에서 수직판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 받침판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에는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고 수평판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의 걸침턱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의 걸침턱에 상응하는 걸침홈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되어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제작하고 석재 외장재(2) 배면에 앵커고정홈을 천공하는 단계; (b) 레일 받침부재의 수직판을 벽체에 결합하는 단계; (c) 압축 레일을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하는 단계; (d) 레일 덮개고정부재를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e)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f) 석재 외장재의 앵커고정홈에 이동식 앵커브라켓의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은, (a)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어 벽체에 결합되는 수직판, 상, 하부 수직 장공홀 사이에서 수직판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 받침판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에는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고 수평판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의 걸침턱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의 걸침턱에 상응하는 걸침홈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되어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장치와, 웨브에 수직장공홀이 천공되는 접합채널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각형강관을 제작하고 석재 외장재 배면에 앵커고정홈을 천공하는 단계; (b) 각형 강관을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하고, T볼트(T)를 사용하여 레일 받침부재의 수직판을 결합하는 단계; (c) 압축 레일을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하는 단계; (d) 레일 덮개고정부재를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e)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f) 석재 외장재의 앵커고정홈에 이동식 앵커브라켓의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은, (a)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어 벽체에 결합되는 수직판, 상, 하부 수직 장공홀 사이에서 수직판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 받침판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되며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에는 수직 장공홀이 천공되고 수평판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의 걸침턱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의 걸침턱에 상응하는 걸침홈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되어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제작하고, 립달린 앵글부재를 준비하고 석재 외장재 배면에 앵커고정홈을 천공하는 단계; (b) 립달린 앵글부재의 웨브를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하고, T볼트(T)를 사용하여 레일 받침부재의 수직판을 결합하는 단계; (c) 압축 레일을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에 안착하는 단계; (d) 레일 덮개고정부재를 압축 레일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e) 이동식 앵커브라켓을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축 레일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f) 석재 외장재의 앵커고정홈에 이동식 앵커브라켓의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장착된 앵커브라켓이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의 위치 조절이 자유로워지므로 현장에서 석재 외장재를 탄력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 외장재를 벽체에 직접 설치하지 않아 벽체에 직접 설치하는 연결철물이 최소화되며 필요한 자재는 미리 공장제작하고 현장에서는 간단한 조립으로 석재 외장재를 설치할 수 있어서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는,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벽체에 고정되는 레일 받침부재(10),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되는 압축 레일(20),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30)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압축 레일(20)에 끼움 결합되어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 받침부재(10)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111,112)이 천공된 수직판(11), 상, 하부 수직 장공홀(111,112) 사이에서 수직판(11)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12), 받침판(12)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레일 받침부재(10)는 압출 레일(20)이 안착되기 위한 받침 수단으로 수직판(11), 받침판(12), 탈락방지턱(13)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압축 레일(20)이 안착된다. 레일 받침부재(10)는 벽면에 묻힌 세트앵커(A)에 상, 하부 수직 장공홀(111,112)이 삽입되어 세트앵커(A)에 와셔(W)와 너트(N)가 체결되는 공지의 방법으로 벽면에 고정된다.
압축 레일(20)은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된다. 압축 레일(20)은 알루미늄 소재의 압출 길이재가 사용될 수 있다. 압축 레일(20)의 정면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된다. 압축 레일(20)의 중공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23)이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격판(23)은 압축 레일(20)의 석재 외장재(2)의 하중을 벽체로 전달하기 위한 충분한 단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레일 덮개고정부재(30)는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31)에는 수직 장공홀(311)이 천공되며 수평판(32)의 단부에는 결합홈(33)이 형성된다. 결합홈(33)은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을 수용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레일 덮개고정부재(30)는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된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수단이다. 고정 방법은 벽면에 묻힌 세트앵커(A)에 수직 장공홀(311)이 삽입되어 세트앵커(A)에 와셔(W)와 너트(N)가 체결되는 공지의 방법을 따르면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앵커의 나사결합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피스(P) 고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은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에 상응하는 걸침홈(42)이 상단부에 형성되어 압축 레일(20)에 끼움 결합되고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앵커브라켓(40)이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은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의 현장에서 위치 조절이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한다.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는 오픈조인트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앵커가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독일의 Fischer werke사의 FZP 앵커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석재 외장재(2)에는 미리 배면에 Under-cut hole drilling의 앵커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FZP 앵커의 잠김 고정 작용(앵커 바닥부의 확장 링이 벌어져 펴짐)으로 판재에 고정되어 석재와 구조체를 연결하는 공지의 방식을 따르면 된다.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하단에는 하향 돌출되는 돌기(43)가 더 형성되어 압축 레일(20)의 끼움홈(22)에 2차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걸침홈(42)과 돌기(43)는 각각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과 끼움홈(22)에 상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벽체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단열재(1)를 두고 설치되어 석재 외장재(2)의 하중을 벽체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석재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일 받침부재(10)의 수직판(11)을 벽체에 결합한다. 결합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면에 묻힌 세트앵커(A)에 하부 수직 장공홀(112)을 삽입하여 세트앵커(A)에 와셔(W)와 너트(N)를 체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벽면에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축 레일(20)을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한다.
다음으로, 레일 덮개고정부재(30)를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한다. 즉, 레일 덮개고정부재(30)의 결합홈(33)에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을 삽입하도록 레일 덮개고정부재(30)를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고 레일 덮개고정부재(30)의 수직판(31)을 벽체에 고정한다. 고정 방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벽면에 묻힌 세트앵커(A)에 하부 수직 장공홀(311)을 삽입하여 세트앵커(A)에 와셔(W)와 너트(N)를 체결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벽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앵커의 나사결합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피스(P) 고정을 추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축 레일(20)에 끼움 결합한다. 즉,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걸침홈(42)에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을 끼움 결합하고 압축 레일(20)의 끼움홈(22)에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돌기(43)를 끼움 결합한다. 끼움 결합 후에는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압축 레일(20)을 따라 자유롭게 수평 이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석재 외장재(2)의 앵커고정홈에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를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결합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장치가 벽체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각형 강관(50)과 접합채널(60)을 매개로 벽체에 고정된다. 즉, 벽체에 각형 강관(50)을 수직하게 설치하고 각형 강관(50)에 접합채널(60)의 플랜지가 결합되며 본 발명의 고정장치가 접합채널(60)의 웨브(61)에 결합된다. 결합을 위해 접합채널(60)의 웨브(61)에는 수직장공홀(611)이 미리 천공되어 있으며 수직장공홀(611)은 레일 받침부재(10)의 수직장공홀(111,112) 및 레일 덮개고정부재(30)의 수직장공홀(311)과 상응하도록 구성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고정장치가 벽면에 묻힌 세트앵커(A)에 직접 설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볼트(T)로 설치된다.
접합채널(60)은 자재 준비 단계에서 미리 각형 강관(50)에 용접 등의 임의의 방법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트앵커가 미리 매립되어야 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고 현장에서는 수직장공홀과 T볼트를 이용한 간단한 볼트 결합만이 이루어지므로 공기가 짧아지고 시공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장치가 벽체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립달린 앵글부재(70)를 매개로 벽체에 고정된다. 즉, 립달린 앵글부재(70)의 웨브가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본 발명의 고정장치가 립달린 앵글부재(70)의 립(71) 사이에 T볼트(T)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가 장착된 앵커브라켓이 압축 레일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의 위치 조절이 자유로워지므로 현장에서 석재 외장재를 탄력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석재 외장재를 벽체에 직접 설치하지 않아 벽체에 직접 설치하는 연결철물이 최소화되며 필요한 자재는 미리 공장제작하고 현장에서는 간단한 조립으로 석재 외장재를 설치할 수 있어서 공기가 단축되고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레일 받침부재 11: 레일 받침부재 수직판
12: 받침판 13: 탈락방지턱
20: 압축 레일 21: 걸침턱
22: 끼움홈 23: 격판
30: 레일 덮개고정부재 31: 레일 덮개고정부재 수직판
32: 레일 덮개고정부재 수평판 33: 결합홈
40: 이동식 앵커브라켓 41: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
42: 걸침홈 43: 돌기
50: 각형강관 60: 접합채널
70: 립달린 앵글부재

Claims (7)

  1.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111,112)이 천공되어 벽체에 결합되는 수직판(11), 상, 하부 수직 장공홀(111,112) 사이에서 수직판(11)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12), 받침판(12)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13)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10);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되며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20);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31)에는 수직 장공홀(311)이 천공되고 수평판(32)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33)이 형성되어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30);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에 상응하는 걸침홈(42)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43)가 형성되어, 압축 레일(20)에 끼움 결합되어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압축 레일(20)에는,
    충분한 단면 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중공에 격판(23)이 하나 이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각형 강관(50)이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웨브(61)에 수직장공홀(611)이 천공된 접합채널(60)의 플랜지가 각형 강관(50)에 결합되며, 레일 받침부재(10)의 수직장공홀(111,112)과 레일 덮개고정부재(30)의 수직장공홀(311) 및 접합채널(60)의 수직장공홀(611)을 T볼트(T)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립달린 앵글부재(70)의 웨브가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레일 받침부재(10)의 수직장공홀(111,112)과 레일 덮개고정부재(30)의 수직장공홀(311) 및 립달린 앵글부재(70)의 립(71) 사이에 T볼트(T)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5. (a)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111,112)이 천공되는 수직판(11), 상, 하부 수직 장공홀(111,112) 사이에서 수직판(11)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12), 받침판(12)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13)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10);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20);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31)에는 수직 장공홀(311)이 천공되고 수평판(32)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33)이 형성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30);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에 상응하는 걸침홈(42)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43)가 형성되는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포함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작하고 석재 외장재(2) 배면에 앵커고정홈을 천공하는 단계;
    (b) 레일 받침부재(10)의 수직판(11)을 벽체에 결합하는 단계;
    (c) 압축 레일(20)을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하는 단계;
    (d) 레일 덮개고정부재(30)를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e)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축 레일(20)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f) 석재 외장재(2)의 앵커고정홈에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6. (a)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111,112)이 천공되는 수직판(11), 상, 하부 수직 장공홀(111,112) 사이에서 수직판(11)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12), 받침판(12)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13)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10);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20);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31)에는 수직 장공홀(311)이 천공되고 수평판(32)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33)이 형성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30);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에 상응하는 걸침홈(42)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43)가 형성되는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포함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와, 웨브(61)에 수직장공홀(611)이 천공되는 접합채널(60)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각형강관(50)을 제작하고 석재 외장재(2) 배면에 앵커고정홈을 천공하는 단계;
    (b) 각형 강관(50)을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하고, T볼트(T)를 사용하여 레일 받침부재(10)의 수직판(11)을 결합하는 단계;
    (c) 압축 레일(20)을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하는 단계;
    (d) 레일 덮개고정부재(30)를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e)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축 레일(20)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f) 석재 외장재(2)의 앵커고정홈에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7. (a)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 하부에 수직 장공홀(111,112)이 천공되는 수직판(11), 상, 하부 수직 장공홀(111,112) 사이에서 수직판(11)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판(12), 받침판(12)의 돌출단에서 상향 돌출되는 탈락방지턱(13)을 포함하는 레일 받침부재(10); 중공을 갖는 사각단면 길이재로 상단에는 상향 돌출되는 걸침턱(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끼움홈(22)이 형성되는 압축 레일(20); ㄴ자 단면의 앵글부재로 수직판(31)에는 수직 장공홀(311)이 천공되고 수평판(32)의 단부에는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을 수용하는 형상의 결합홈(33)이 형성되는 레일 덮개고정부재(30); 및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가 수평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상단에 압축 레일(20)의 걸침턱(21)에 상응하는 걸침홈(42)이 형성되며 하단에 하향 돌출되는 돌기(43)가 형성되는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포함하는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를 제작하고, 립달린 앵글부재(70)를 준비하고 석재 외장재(2) 배면에 앵커고정홈을 천공하는 단계;
    (b) 립달린 앵글부재(70)의 웨브를 벽체에 수직하게 설치하고, T볼트(T)를 사용하여 레일 받침부재(10)의 수직판(11)을 결합하는 단계;
    (c) 압축 레일(20)을 벽체와 나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레일 받침부재(10)에 안착하는 단계;
    (d) 레일 덮개고정부재(30)를 압축 레일(20)의 상면을 덮어서 벽체에 고정하는 단계;
    (e)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을 압축 레일(20)을 따라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압축 레일(20)에 끼움 결합하는 단계; 및
    (f) 석재 외장재(2)의 앵커고정홈에 이동식 앵커브라켓(40)의 석재 외장재 고정용 앵커(41)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20190022970A 2019-02-27 2019-02-27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2270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70A KR102270482B1 (ko) 2019-02-27 2019-02-27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970A KR102270482B1 (ko) 2019-02-27 2019-02-27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35A true KR20200104535A (ko) 2020-09-04
KR102270482B1 KR102270482B1 (ko) 2021-06-28

Family

ID=7247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970A KR102270482B1 (ko) 2019-02-27 2019-02-27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8421A1 (en) * 2019-10-14 2021-04-15 Russell Matson Siding panel installation
GB2607356A (en) * 2021-03-31 2022-12-07 George Edscer William Building reinforcement and cladd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98Y1 (ko) * 2002-02-08 2002-05-03 노순희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KR20080019864A (ko) * 2006-08-29 200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물의 마감패널용 조립유닛
KR100838404B1 (ko) 2007-02-21 2008-06-13 (주)석촌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20100117796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일신석재 건축물의 외장패널용 고정장치
KR20150144561A (ko) * 2014-06-17 2015-12-28 (주)윈플랜 건축물 벽체의 단열재와 외장패널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598Y1 (ko) * 2002-02-08 2002-05-03 노순희 건축용 장식판 부착장치
KR20080019864A (ko) * 2006-08-29 2008-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건축물의 마감패널용 조립유닛
KR100838404B1 (ko) 2007-02-21 2008-06-13 (주)석촌 오픈조인트공법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20100117796A (ko) * 2009-04-27 2010-11-04 주식회사 일신석재 건축물의 외장패널용 고정장치
KR20150144561A (ko) * 2014-06-17 2015-12-28 (주)윈플랜 건축물 벽체의 단열재와 외장패널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8421A1 (en) * 2019-10-14 2021-04-15 Russell Matson Siding panel installation
GB2607356A (en) * 2021-03-31 2022-12-07 George Edscer William Building reinforcement and clad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482B1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763B2 (en) Perimeter wall
US8601762B2 (en) Adjustable attachment system
US6715248B2 (en) Building curtain wall with sill anchor assembly
US6591562B2 (en) Apparatus for securing curtain wall supports
KR20200104535A (ko) 석재 외장재 시공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재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1448097B1 (ko)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US20090049776A1 (en) Stable and efficient building system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379055Y1 (ko) 건축용 외장단열패널 결합구조
KR101275932B1 (ko) 에이엘씨 패널을 종방향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설치하는 방법
US20210172169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locking unitized curtainwall building façade
EP3725969A1 (en) Perimeter fire barrier system
KR100376097B1 (ko) 칸막이판용 상부 채널 지지체
JP3980391B2 (ja) 木造建築物
JP7005870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2020084492A (ja) 簡易建物
JP2002349001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壁式構造の外断熱建築物に於ける帳壁取付方法及び取付金具
JP2020084493A (ja) 簡易建物
JP6857039B2 (ja) 簡易構造物の現地製造方法
KR200480623Y1 (ko) 건축물의 외부단열 시공구조
KR101273087B1 (ko) 종벽 록킹구법에 의한 에이엘씨 패널 설치방법
JPH01318654A (ja) 壁体の断熱施工法およびその断熱壁構造体
JP2010203040A (ja) 天井パネル固定装置
KR102126921B1 (ko) 외장판넬 설치용 브라켓장치
KR200183468Y1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