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40B1 -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 Google Patents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40B1
KR102091640B1 KR1020180100679A KR20180100679A KR102091640B1 KR 102091640 B1 KR102091640 B1 KR 102091640B1 KR 1020180100679 A KR1020180100679 A KR 1020180100679A KR 20180100679 A KR20180100679 A KR 20180100679A KR 102091640 B1 KR102091640 B1 KR 10209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leaning
transparent
driv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040A (ko
Inventor
최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0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B08B1/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에 관한 것이며,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지주 사이에 배치되되, 횡 방향으로 사이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상측에 길이 방향이 종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축에 대하여 감김(winding) 또는 풀림(unwinding)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는 차양막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막은, 상기 회동축에 대해 풀림이 진행될수록 그 하단이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상태에 놓이고, 상기 회동축에 대해 감김이 진행될수록 그 하단이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TRANSPARENT SOUNDPROOF WALL FOR NOISE REDUCTION AND LIGHT POLLUTION PREVENTIION}
본원은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택지 개발 지구 및 신도시 건설 등으로 인해 도심지 통과구간에 도로나 철도가 건설되면서 차량이나 철도 운영 시 사업계획단계에서부터 소음저감 대책으로 방음터널, 방음벽 설치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도심지 통과구간에 위치하는 아파트와 같은 건물은 수음원의 수음점이 높기 때문에 방음벽을 높게 설치해야 한다.
그런데, 방음벽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시야가 차단되는 등 조망권 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투명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
투명방음벽 설치 시 조망권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일몰 후 야간에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야간 조명)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수면방해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으로 인해 인근 농장에서 기르는 가축의 식욕이 감퇴하고 불임상태에 이를 수 있다. 실제로 고속도로의 소음과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인해 인근 농장에서 기르던 돼지가 식욕이 감퇴하고 불임상태에 이르렀다면, 도로공사가 손해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법원의 판결이 있었다.
또한, 야간의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은 단일성 식물에게 일장연장 또는 밤 조건을 주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개화지연, 수량감소 등의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다는 측면이 있었다.
또한, 투명방음벽이 비산먼지, 분진 및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오염되어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 및 이러한 문제로 인해 인력 또는 청소차량으로 투명방음벽 청소 시 안전상의 문제, 유지관리비용 증가에 따른 경제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는 측면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092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몰 후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면방해 피해와 가축 피해 및 농작물 피해를 해결할 수 있는 투명방음벽 장치(시스템)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산먼지, 분진 및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투명방음벽의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 및 투명방음벽 청소 시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 유지관리 비용 증가에 따른 경제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투명방음벽 장치(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는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지주 사이에 배치되되, 횡 방향으로 사이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상측에 길이 방향이 종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축에 대하여 감김(winding) 또는 풀림(unwinding)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는 차양막;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막은, 상기 회동축에 대해 풀림이 진행될수록 그 하단이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상태에 놓이고, 상기 회동축에 대해 감김이 진행될수록 그 하단이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는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중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외측면을 클리닝하도록 구비되는 클리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는 낙하하는 빗방울을 감지 가능하도록 압력 감지면이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의 감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클리닝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크기 및 빗방울 타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일출 시간 및 일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상기 차양막이 상기 차단 상태 또는 상기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중 하나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축과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밀대 축, 상기 밀대 축에 대하여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도록 상기 밀대 축과 연결되는 로프 부재, 상기 로프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중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청소 밀대 및 상기 청소 밀대의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2개의 지주 각각의 지주 외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청소 밀대와 레일 맞물림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 밀대는, 길이 방향이 종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밀대 몸체 및 상기 밀대 몸체로부터 상기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되,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면에 대하여 상기 하강 이동시에는 상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그 하면이 접촉되고 상기 상승 이동시에는 하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그 상면이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상승 이동시 발생되는 상승시 정지 마찰력이 상기 하강 이동시 발생되는 하강시 정지 마찰력보다 크도록, 그 상면의 마찰계수가 그 하면의 마찰계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하강시 정지 마찰력이 상기 청소 밀대의 자중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밀대 축은 상기 회동축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축과 기어 결합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기어 결합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 결합은, 상기 회동축의 회동과 연동하도록 상기 회동축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밀대 축의 회동과 연동하도록 상기 밀대 축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2 기어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거리만큼 종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는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소음감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음감쇠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는 상기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소음감쇠기의 외면 상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판(Solar cells pane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구동 유닛의 구동에 따라 회동축에 대하여 감김(winding) 또는 풀림(unwinding) 가능하도록 회동축과 연결되는 차양막이 구비됨으로써,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으로 인한 수면방해 피해와 가축 피해 및 농작물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한 쌍의 투명방음판 중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외측면을 클리닝하도록 클리닝부가 구비됨으로써, 비산먼지, 분진 및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인한 투명방음벽의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 및 투명방음판 청소 시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 유지관리 비용 증가에 따른 경제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한 쌍의 투명방음판 사이의 사이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지주 및 한 쌍의 투명방음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한 쌍의 투명방음판 사이의 사이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지주 및 한 쌍의 투명방음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회동축과 밀대 축의 기어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청소 밀대(53)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소음감쇠기 및 태양 전지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있어서, 구성의 폭, 길이, 두께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종 방향, 횡 방향, 상측, 하측)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기준으로, 대략 2시-8시 방향이 종 방향일 수 있으며, 대략 4시-10시 방향이 횡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3을 기준으로, 9시-3시 방향이 종 방향일 수 있으며, 12시-6시 방향이 횡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을 기준으로,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일 수 있다. 참고로, 도로 선형이 진행되는 방향이 종 방향이고, 그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이 횡 방향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한 쌍의 투명방음판 사이의 사이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지주 및 한 쌍의 투명방음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입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한 쌍의 투명방음판 사이의 사이 공간을 설명하기 위해 지주 및 한 쌍의 투명방음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을 포함한다.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은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지주(7)(예를 들면, H-Bea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은 횡 방향으로 서로 사이 공간(12)(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은 각각의 내측면(사이 공간을 향한 면)이 서로 마주하며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이 각각의 내측면이 서로 마주하게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내측면 사이에 생기는 내부 공간이 사이 공간(12)일 수 있다. 후술하는 차양막(3)은 한 쌍의 투명방음판(1)으로 인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12)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이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주(7)에는 방음판 가이드(11)가 형성될 수 있다. 방음판 가이드(11)에는 종 방향 양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지주(7)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주(7)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방음판 가이드(11)의 각각의 홈에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이 끼워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음판 가이드(11)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만, 투명방음판(1)이 지주(7)에 대하여 설치되는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분해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4의 화살표는 분해된 구성들이 결합되는 방향을 나태는 것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구동부(2), 차양막(3)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부(2)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상측에 길이 방향(축 방향)이 종 방향(대략 2시-8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회동축(21) 및 회동축(21)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22)에 전원 등의 구동력이 공급되면, 구동 유닛(22)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21)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동축(21)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22)은 전동모터일 수 있다. 다만, 구동 유닛(22)은 전동모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유닛(22)에는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구동 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 차양막(3)은 구동 유닛(22)의 구동에 따라 회동축(21)에 대하여 감김(winding) 또는 풀림(unwinding) 가능하도록 회동축(21)과 연결될 수 있다. 차양막(3)은 한 쌍의 투명방음판(1)으로 인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12) 내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양막(3)의 한 끝단(상단)이 회동축(21)의 둘레에 고정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회동축(21)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21)에 연결된 차양막(3)이 회동축(21)의 둘레를 따라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는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는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구동부(2)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구동 유닛(22)에 포함되거나, 구동 유닛(22)과 이웃하는 위치에 구동 유닛(22)과는 별도로 구비되어 구동 유닛(22)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회동축(21)에 대해 차양막(3)의 풀림이 진행될수록 차양막(3)의 하단이 사이 공간(1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상태에 놓이고, 회동축(21)에 대해 차양막(3)의 감김이 진행될수록 차양막(3)의 하단이 사이 공간(1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차양막(3)의 하단이 이동된다는 것은 회동축(21)의 회동에 의해 회동축(21)에 연결된 차양막(3)이 감기거나 풀리면서 차양막(3)의 하단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차단 상태란, 차양막(3)이 회동축(21)에 대해 풀림 진행되어 차양막(3)의 하단이 사이 공간(12)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으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이 차양막(3)에 의해 소정 이상 차단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차단 해제 상태란 차양막(3)이 회동축(21)에 대해 감김 진행되어 차양막(3)의 하단이 사이 공간(12)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헤드라이트 불빛 및 가로등 불빛의 차단이 소정 이상 해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동축(21)이 도면 기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동 유닛(22)이 구동됨으로써, 회동축(21)에 연결된 차양막(3)의 풀림이 진행되어 차양막(3)의 하단이 점진적으로 하향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5를 참조하면, 회동축(21)이 도면 기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동 유닛(22)이 구동됨으로써, 회동축(21)에 연결된 차양막(3)의 감김이 진행되어 차양막(3)의 하단이 점진적으로 상향 이동될 수 있다.도 4를 참조하면,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외측면을 클리닝하도록 구비되는 클리닝부(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이 서로 마주보며 내부 사이 공간(12)을 향하는 면이 각각의 내측면, 그 반대편인 외측을 향하는 면이 각각의 외측면일 수 있다. 클리닝부(5)는 비산먼지, 분진 및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오염된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하나의 외측면을 클리닝할 수 있다. 클리닝부(5)가 구비됨으로써 비산먼지, 분진 및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인하여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클리닝부(5)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다른 하나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인력 또는 청소차량으로 투명방음벽 청소 시 안전상의 문제 및 유지관리비용 증가에 따른 경제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는 측면이 있었다.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클리닝부(5)가 구비됨으로써, 이러한 안정상의 문제 및 경제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낙하하는 빗방울을 감지 가능하도록 압력 감지면이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압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낙하하는 빗방울을 감지 가능하도록 압력 감지면이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연직 방향에서 아래를 향해 압력 감지면을 바라보았을 때 압력 감지면의 적어도 일부가 보이도록 압력 감지 센서가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압력 감지면이 상측을 향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압력 감지 센서에 마련된 압력 감지면의 법선이 지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0도를 초과, 바람직하게는 45도를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도인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또한, 압력 감지 센서는 그 상측에 낙하하는 빗방울을 차단하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압력 감지 센서는 비를 감지하는 비 센서(rain sensor)일 수 있다.
제어부는 압력 감지 센서의 감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클리닝부(5)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제어부의 클리닝부(5) 제어를 통해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을 자동으로 클리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는 클리닝 대상이 되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하나의 외측면에 클리닝부(5)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할 때,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이 소정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충분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판단되는 수준의 강수강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는 마찰로 인해 클리닝부(5) 및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이 손상되지 않는 정도의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는 강수강도일 수 있다. 여기서 강수란 비(우수) 뿐만 아니라 눈, 우박 등의 다양한 형태(입자)를 포괄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크기 및 빗방울(입자) 타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는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크기가 미리 설정된 압력 크기 값 이상인 경우 소정 이상의 강수강도를 갖는 강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빗방울이 굵은 비가 내리는 경우, 압력의 크기가 크다고 판단되어 제어부는 클리닝부(5)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빗방울 타격 횟수(시간당 횟수)가 미리 설정된 빗방울 타격 횟수 값 이상인 경우 소정 이상의 강수강도를 갖는 강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빗방울(입자)의 개수가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 제어부는 투명방음판(1)에 마찰 저감을 위한 충분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이 충족딘 것으로 보아 클리닝부(5)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압력 크기 및 빗방울 타격 횟수를 함께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클리닝부(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가 필요한 곳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에 포함되는 별도의 함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전술한 구동 유닛(22)이나 압력 감지 센서 구성 자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구동 유닛(22)의 구동 및 그에 따른 클리닝부(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과거의 클리닝부(5) 구동 이력을 고려하여, 위 조건(압력 크기 및 빗방울 타격 횟수)을 모두 만족하더라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였을 경우에만 클리닝부(5)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소정의 기간이란 과거에 클리닝부가 구동된 시간부터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이 비산먼지, 분진, 자동차 배기가스 등으로 다시 오염되어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시간까지의 기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제 폭우가 내린 것을 압력 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클리닝부(5)가 구동되었다면, 오늘 또다시 폭우가 내리고 이를 압력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강우강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하더라도, 클리닝부(5)에 의한 투명방음판(1)의 청소가 이루어진지 하루밖에 경과되지 않았음을 고려하여 클리닝부(5)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력 감지 센서가 미리 설정된 강우강도 이상의 강우를 감지하더라도 클리닝부(5)가 구동되지 않는 소정의 기간은 60일과 같은 일 단위, 6개월과 같은 개월 단위, 또는 2년과 같은 연 단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리닝부(5)가 구동된 최근의 일시로부터 소정의 기간 이내에는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청소가 또다시 요구되는 상태에 이르지 않은 것으로 보아 클리닝부(5)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는 일출 시간 및 일몰 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차양막(3)이 차단 상태 또는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는 일몰 시간에 맞추어 차양막(3)이 차단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일몰 시간 기준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또는 이전에 차양막(3)이 차단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출 시간에 맞추어 차양막(3)이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는 일출 시간 기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전 또는 이후에 차양막(3)이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차양막(3)이 동작(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는 시간 설정과 관련하여 일출 시간 및 일몰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인한 불편 초래가 차양막(3)을 통해 보다 개선될 수 있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양막(3)이 차단 상태에 놓이는 시간은 사람들의 일반적인 취침 시간(예를 들면, 21시 내지 24시, 또는 일몰 시간으로부터 1시간 내지 4시간 이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면상태에 접어드는 평균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일몰 시간 이후의 수면 시작 시간에는 차양막(3)이 회동축(21)에 대하여 풀림 구동되어 차단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면상태에서 벗어나는 평균적인 시간을 고려하여, 일출 시간 이후의 활동 시작 시간 전에 차양막(3)이 회동축(21)에 대하여 감김 구동되어 차단 해제 상태로 변환될 수 있다.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과 관련한 데이터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어부로 전송될 수도 있고,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 자체적으로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이처럼 일출시간 및 일몰시간을 고려한 차양막(3) 구동을 통해 계절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밤 시간대에 초래될 수 있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인한 피해가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광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광감지 센서가 감지하는 소정의 광 변동 여부에 기초하여 차양막(3)이 차단 상태 또는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광 변동 여부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에 의한 도로의 밝기 변화 여부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깜깜한 곳에 차량이 진입함으로써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인한 도로의 밝기 변화를 광감지 센서가 감지하여 차양막(3)이 차단 상태 또는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제어부가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광감지 센서는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인한 도로의 밝기 변화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것을 감지하여, 차양막(3)이 차단 상태 또는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제어부가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횟수라는 것은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인해 수면이 방해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횟수일 수 있다. 이때 광감지 센서는 도로 측의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광감지 센서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도로를 향한 투명방음판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광감지 센서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가 설치된 도로 구간에 대응하는 일몰 시간 이후의 교통량 정보와 연동하여 차양막(3)이 차단 상태 또는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소정 이상의 교통량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차양막(3)이 차단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량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교통량 정보는 외부의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 교통량 정보는 투명방음벽 장치(100)에 구비되는 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도로 상의 차량 주행 속도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속도센서는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의 이동 속도(주행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속도센서에는 기알려지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속도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예를 들면 시속 20 km 내지 40 km) 미만 또는 이하인 경우, 제어부는 해당 도로에서 교통이 정체되고 있어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소정 이상의 교통량이 발생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양막(3)이 차단 상태에 놓이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속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 주행 속도가 기 설정된 기준속도 이상 또는 초과인 경우, 제어부는 해당 도로의 교통량이 소정 이하(미만)로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차양막(3)의 차단이 해제되도록 구동부(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준속도와 대비되는 차량 주행 속도는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도로를 주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을 대상으로 감지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주행 속도에 다양한 통계적 처리를 적용하여 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속도에 비교되는 차량 주행 속도는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 동안 도로를 주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각각의 차량 주행 속도의 평균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회동축과 밀대 축의 기어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청소 밀대(53)의 승하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클리닝부(5)는 밀대 축(51), 로프 부재(52), 청소 밀대(53) 및 가이드 레일(54)을 포함할 수 있다.
밀대 축(51)은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하나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회동축(21)과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6을 참조하면, 밀대 축(51)이 한 쌍의 투명방음판(1) 각각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경우, 각각의 밀대 축(51)은 구동부(2)의 회동축(21)을 중간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회동축(2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로프 부재(52)는 밀대 축(51)에 대하여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도록 밀대 축(51)과 연결될 수 있다. 로프 부재(52)의 한쪽 끝(상단)이 밀대 축(51)의 둘레에 고정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밀대 축(51)의 회동에 대하여 밀대 축(51)에 연결된 로프 부재(52)가 밀대 축(51)의 둘레를 따라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청소 밀대(53)는 로프 부재(52)와 연결되어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프 부재(52) 중 밀대 축(51)이 연결된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하단) 부분에 청소 밀대(53)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밀대 축(51)의 회동에 의해 밀대 축(51)에 연결된 로프 부재(52)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로프 부재(52)와 연결된 청소 밀대(53)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청소 밀대(53)는 유리창 밀대일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청소 밀대(53)는 밀대 몸체(531) 및 접촉 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밀대 몸체(531)는 길이 방향이 종 방향(도 5 기준 대략 2시-8시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밀대 몸체(531)에는 지주(7)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54)과 레일 맞물림 결합되도록 지주(7)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레일 결합 돌출부(531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54)은 청소 밀대(53)의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2개의 지주(7) 각각의 지주 외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되고 청소 밀대(53)와 레일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54)에는 중앙에 상하 방향을 따라 레일 홈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밀대 몸체(531)는 그 내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결합 돌출부(531a)가 가이드 레일(54)에 형성된 레일 홈에 끼워지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일 결합 돌출부(531a)와 레일 홈 사이의 레일 맞물림 결합은, 레일 결합 돌출부(531a)가 레일 홈을 따라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레일 홈과 결합되되, 레일 결합 돌출부(531a)가 레일 홈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벗어나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레일 결합 돌출부(531a)는 알파벳 T 형태의 단면을 갖는 돌출 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레일 홈은 이러한 돌출 부재가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알파벳 T 형태로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레일(54)은 밀대 몸체(531)가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시 밀대 몸체(531)의 레일 결합 돌출부가 가이드 레일(54)에 형성된 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일 맞물림 결합에 따라, 밀대 축(51)의 회동에 의해 밀대 축(51)에 대한 로프 부재(52)의 풀림이 이루어지면, 밀대 몸체(531)는 가이드 레일(54)의 레일 홈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밀대 축(51)의 회동에 의해 밀대 축(51)에 대한 로프 부재(52)의 감김이 이루어지면, 밀대 몸체(531)는 가이드 레일(54)의 레일 홈을 따라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 부재(532)는 밀대 몸체(531)로부터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하나의 외측면(1a)을 향해 돌출되되,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어 외측면에 대하여 하강 이동시에는 상측으로 휘어진 상태(도 7의 (a) 참조)로 그 하면(532a)이 접촉되고 상승 이동시에는 하측으로 휘어진 상태(도 7의 (b) 참조)로 그 상면(532b)이 접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촉 부재(532)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어 상향 이동시 또는 하향 이동시 소정 이상 휘어질 수 있도록, 접촉 부재(532)의 내측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는 투명방음판(1)의 외측면(1a)과 밀대 몸체(53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거리)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밀대(53)의 접촉 부재(532)의 재질은 고무, 합성수지 등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촉 부재(532)에는 유리창 밀대의 유리창 접촉 부분에 적용되는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532)를 갖는 청소 밀대(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 부재(52)와 연결되어 로프 부재(52)의 감김 또는 풀림에 따라 가이드 레일(54)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청소 밀대(53)는 밀대 축(51)에 감김 가능한 플렉서블한 로프 부재(52)에 의해 그 이동이 제어되기 때문에, 청소 밀대(53)를 당겨 청소 밀대(53)가 상향 이동되는 구동의 경우 로프 부재(52)가 밀대 축(51)에 감기면서 로프 부재(52)에 인장력이 작용되고 그에 따라 청소 밀대(53)에 상향으로 당김 힘이 작용되어 용이하게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7의 (b) 참조). 반면, 청소 밀대(53)가 하향 이동되는 구동의 경우, 플렉서블한 로프 부재(52)에 의해서는 청소 밀대(53)가 하향으로 푸쉬(push)될 수 없으므로, 청소 밀대(53), 로프 부재(52)의 일부 등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방식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클리닝부(5)는 하강시 정지 마찰력(청소 밀대(53)의 하강시 발생되는 정지 마찰력)이 청소 밀대(53), 로프 부재(52)의 일부 등의 자중(바람직하게는 청소 밀대(53)의 자중)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정지 마찰력은 접촉 부재(532)와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중 하나의 외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지 마찰력 및 가이드 레일(54)과 밀대 몸체(531)의 돌출부 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지 마찰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정지 마찰력은 청소 밀대(53)가 하강할 때 클리닝부(5)가 타 구성과 접촉되거나 클리닝부(5) 구성 내에서 접촉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정지 마찰력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하강시 정지 마찰력이 청소 밀대(53), 로프 부재(52)의 일부 등의 자중(바람직하게는 청소 밀대(53)의 자중)보다 작지 않으면 접촉 부재(532)는 로프 부재(52)의 풀림에 대응하여 충분히 하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청소 밀대(53)의 하향 이동시 발생되는 정지 마찰력 중 접촉 부재(532)와 투명방음판(1)의 외측면(1a) 사이에서 발생되는 정지 마찰력이 보다 저감되도록 접촉 부재(532)의 하면(532a)에 마찰계수를 감소 시키는 코팅층(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용 코팅제의 도포에 의해 형성되는 코팅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부재(532)의 하면은 정지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처리 등이 이루어지는 것이 청소 밀대(53)의 하향 구동에 있어 바람직하므로, 투명방음판(1)의 외측면(1a)에 대한 청소는 청소 밀대(53)의 상향 이동시 접촉 부재(532)의 상면(532b)과 투명방음판(1)의 외측면(1a)의 접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 부재(532)는, 상승 이동시 발생되는 상승시 정지 마찰력이 하강 이동시 발생되는 하강시 정지 마찰력보다 크도록, 그 상면(532b)의 마찰계수가 그 하면(532a)의 마찰계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접촉 부재(532)의 상면(532b) 또는 하면(532a)에 특정 마찰계수를 갖는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면(532b)의 마찰계수가 하면(532a)의 마찰계수보다 크도록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접촉 부재(532) 자체를 투명방음판(1)의 외측면(1a)에 대한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의 이동시 충분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비하고, 접촉 부재(532)의 하면(532a) 측에는 접촉 부재(532) 자체의 마찰계수가 보다 낮은 마찰계수가 부여되는 코팅층(저마찰을 유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고무용 코팅제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접촉 부재(532)의 상면(532a) 측에는 투명방음판(1)의 외측면(1a)에 대한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의 이동시 충분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코팅층(정 마찰계수가 높은 PVC폼으로 형성되는 코팅층)을 형성하고, 접촉 부재(532)의 하면(532a) 측에는 접촉 부재(532) 자체의 마찰계수가 보다 낮은 마찰계수가 부여되는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밀대 축(51)은 회동축(21)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축(21)과 기어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밀대 축(51)과 회동축(21)의 기어 결합은, 회동축(21)의 회동과 연동하도록 회동축(2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기어(211) 및 밀대 축(51)의 회동과 연동하도록 밀대 축(51)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2 기어(511)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제1 기어(211)는 회동축(21)에 배치되어 구동 유닛(22)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밀대 축(5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2 기어(511)는 밀대 축(51)에 제1 기어(211)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제1 기어(21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기어와 제2 기어가 맞물림으로써 회동축(21)의 회동과 밀대 축(51)의 회동이 연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 유닛(22)에 전원 등의 구동력이 공급되면, 구동 유닛(22)의 구동에 의해 회동축(21)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밀대 축(51)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밀대 축(51)과 회동축(21)의 기어 결합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대 축(51)과 회동축(21)의 기어 결합에 있어서, 제1 기어(211) 및 제2 기어(511) 중 적어도 하나는, 기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거리만큼 종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종 방향 시프트에 의해, 밀대 축(51)과 회동축(21)의 기어 결합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할 수 있다. 회동축(21)과 밀대 축(51)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이 종 방향(도 6 기준 3시-9시 방향)으로 시프트(이동)됨으로써, 회동축(21)과 밀대 축(51)의 결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양 기어(211, 511)가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축(21)이 종 방향으로 시프트되거나 한 쌍의 투명방음판(1) 각각에 대응되는 밀대 축(21)이 종 방향으로 시프트됨으로써 기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 기준으로 회동축(21)이 3시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밀대 축(51)과 회동축(21)의 기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동부(2)는 제1 기어(211) 또는 제2 기어(511)의 종 방향에 대한 위치를 기어 결합 또는 기어 결합 해제 가능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종 방향을 따라 회동축(21) 또는 밀대 축(51)을 소정의 거리만큼 시프트시킬 수 있는 시프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프트 유닛에는 기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선형 구동 유닛(리니어 모터, 선형 액츄에이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회동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 유닛(22)은 회동축(21)이 종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도록 회동축(21)의 종 방향 자유도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구속하지 않도록 회동축(21)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의 상측에 배치되는 소음감쇠기(8)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부(2)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의 상측에 형성되는 소음감쇠기(8)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투명방음판(1)의 상측에 소음감쇠기(8)가 배치됨으로써,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별도의 보호캡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소음감쇠기(8)의 내부 공간에 구동 유닛(22) 등의 구동부(2)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소음감쇠기(8)가 구비됨으로써, 차양막(3)이 회동축(21)에 대해 감김이 이루어져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일 때 회동축(21)에 감긴 차양막(3) 또한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상측에 배치되는 소음감쇠기(8)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가 소음감쇠기(8)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호캡(보호 하우징)이 양 지주(7) 사이의 상측 구간(한 쌍의 투명방음판 상측 구간)에 구동부(2)의 배치공간을 확보하면서 외부 환경에 대해 구동부(2)의 보호 또한 이루어질 수 있게 구동부(2)를 덮어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호캡은 한 쌍의 투명방음판(1) 상측에서 지붕 역할을 하도록 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의 소음감쇠기 및 태양 전지판을 도시한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구동 유닛(2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소음감쇠기(8)의 외면 상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판(Solar cells panel)(9)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소음감쇠기(8)의 외면은 소음감쇠기(8)의 상면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 전지판(9)의 전력 생산 효율이 소정 이상 확보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본 투명방음벽 장치(100)는 태양 전지판(9)을 포함함으로써, 외부 전원 공급 없이 태양 전지판(9) 자체의 전원으로 구동 유닛(22)을 구동시킬 수 있다. 태양 전지판(9)은 태양 전지판(9)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를 의미한다. 다만, 태양전지 장치는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알려져 있는 자명한 구성에 해당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1: 투명방음판
1a: 투명방음판의 외측면
11: 방음판 가이드
12: 사이 공간
2: 구동부
21: 회동축
211: 제1 기어
22: 구동 유닛
3: 차양막
4: 제어부
5: 클리닝부
51: 밀대 축
511: 제2 기어
52: 로프 부재
53: 청소 밀대
531: 밀대 몸체
531a: 레일 결합 돌출부
532: 접촉 부재
532a: 접촉 부재의 하면
532b: 접촉 부재의 상면
54: 가이드 레일
6: 압력 감지 센서
7: 지주
8: 소음감쇠기
9: 태양 전지판

Claims (12)

  1.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지주 사이에 배치되되, 횡 방향으로 사이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투명방음판을 포함하는 투명방음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상측에 길이 방향이 종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 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축에 대하여 감김(winding) 또는 풀림(unwinding)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고, 상기 사이 공간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감김 또는 풀림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차양막;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중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 상기 외측면을 클리닝하도록 구비되는 클리닝부;
    낙하하는 빗방울을 감지 가능하도록 압력 감지면이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압력 감지 센서;
    도로 측의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헤드라이트 불빛으로 인한 도로의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광감지 센서; 및
    도로를 따라 주행하는 차량의 주행 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속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차양막은, 상기 회동축에 대해 풀림이 진행될수록 그 하단이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상태에 놓이고, 상기 회동축에 대해 감김이 진행될수록 그 하단이 상기 사이 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차단 해제 상태에 놓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감지 센서가 감지한 도로의 밝기 변화가 소정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양막이 차단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투명방음벽 장치가 설치된 도로 구간에 대응하는 일몰 시간 이후의 교통량 정보와 연동하여 소정 이상의 교통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차양막이 차단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되,
    상기 교통량 정보는 상기 속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의 감지를 통해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클리닝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상기 클리닝부가 구동된 최근의 일시로부터 소정의 기간을 경과하였을 경우에만 상기 클리닝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의 기간은 상기 클리닝부가 구동된 최근의 일시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에 대한 청소가 다시 요구되는 상태에 이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기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중 하나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축과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밀대 축;
    상기 밀대 축에 대하여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도록 상기 밀대 축과 연결되는 로프 부재;
    상기 로프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 중 하나의 외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청소 밀대; 및
    상기 청소 밀대의 상하 방향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2개의 지주 각각의 지주 외측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청소 밀대와 레일 맞물림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밀대 축은 상기 회동축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동 축과 기어 결합을 통해 연결되되, 상기 기어 결합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 결합은, 상기 회동축의 회동과 연동하도록 상기 회동축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밀대 축의 회동과 연동하도록 상기 밀대 축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제2 기어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어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거리만큼 종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밀대 축과 상기 회동 축이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이 구동되면, 상기 회동축의 회동 및 상기 밀대 축의 회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밀대 축과 상기 회동 축이 기어 결합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유닛이 구동되면, 상기 회동축의 회동만이 이루어지는 것인 투명방음벽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크기 및 빗방울 타격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강수강도 이상의 강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투명방음벽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밀대는,
    길이 방향이 종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는 막대 형상의 밀대 몸체; 및
    상기 밀대 몸체로부터 상기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되,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외측면에 대하여 상기 하강 이동시에는 상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그 하면이 접촉되고 상기 상승 이동시에는 하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그 상면이 접촉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상승 이동시 발생되는 상승시 정지 마찰력이 상기 하강 이동시 발생되는 하강시 정지 마찰력보다 크도록, 그 상면의 마찰계수가 그 하면의 마찰계수보다 크게 구비되는 것인, 투명방음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는, 상기 하강시 정지 마찰력이 상기 청소 밀대의 자중보다 작도록 구비되는 것인, 투명방음벽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의 상측에 배치되는 소음감쇠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투명방음판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기 소음감쇠기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인 투명방음벽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소음감쇠기의 외면 상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판(Solar cells panel)을 더 포함하는 투명방음벽 장치.
KR1020180100679A 2018-08-27 2018-08-27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KR102091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679A KR102091640B1 (ko) 2018-08-27 2018-08-27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679A KR102091640B1 (ko) 2018-08-27 2018-08-27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040A KR20200024040A (ko) 2020-03-06
KR102091640B1 true KR102091640B1 (ko) 2020-03-20

Family

ID=6980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679A KR102091640B1 (ko) 2018-08-27 2018-08-27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9248A (zh) * 2021-06-11 2021-08-27 广州灏源环保有限公司 一种光污染防治系统
CN116949963B (zh) * 2023-09-18 2024-01-02 山西军昊实业有限公司 一种圆柱型集成化全封闭声屏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395A (ja) * 2002-07-31 2004-02-26 Tokai Rubber Ind Ltd 遮音壁用自動清掃装置
KR101205114B1 (ko) * 2011-10-31 2012-11-26 신성산건 주식회사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소음감소기
KR101511635B1 (ko) * 2014-06-16 2015-04-10 주식회사 에코프랜 투명판의 파손 방지와 유지보수성을 향상한 투명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설 시공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8336A (ja) * 1995-02-13 1996-08-27 Mitsubishi Heavy Ind Ltd 壁面清掃装置
KR101208664B1 (ko) * 2009-06-22 2012-12-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395A (ja) * 2002-07-31 2004-02-26 Tokai Rubber Ind Ltd 遮音壁用自動清掃装置
KR101205114B1 (ko) * 2011-10-31 2012-11-26 신성산건 주식회사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소음감소기
KR101511635B1 (ko) * 2014-06-16 2015-04-10 주식회사 에코프랜 투명판의 파손 방지와 유지보수성을 향상한 투명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설 시공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040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366B1 (ko) 가변형 온실구조물
JP4970580B2 (ja) 太陽光発電機能を有する防音壁
JP7202583B2 (ja) スマート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110374B1 (ko) 친환경 파고라
KR102091640B1 (ko)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KR100954149B1 (ko) 가변 높이 방음벽
KR101649762B1 (ko)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KR20150119600A (ko) 태양광을 이용하는 각도 가변형 방풍벽
US11473257B2 (en) Fog removal apparatus and multipurpose fog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937043B1 (ko) 신도시 도로의 온도저감장치
KR20090088664A (ko) 이동 차양막판을 구비한 케노피 구조물
KR20210022450A (ko) 일부가 자동 개폐되는 지붕 구조체
CN208527650U (zh) 砂石材料防尘堆放罩
KR20100107120A (ko) 아케이드 전동 스크린 시스템
KR101187669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WO2010054970A1 (en) Device for covering a surface
KR100883782B1 (ko)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KR101963590B1 (ko) 기후대응형 차양장치
CN114793684B (zh) 一种房屋建筑外立面模块式景观智能垂直绿化系统
KR101125347B1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JP2017160677A (ja) 建物
WO2002061849A1 (en) Solar energy systems
JP2014173391A (ja) 建築物の雪降ろし方法及びその装置
CN116695965B (zh) 一种遮阳棚顶部结构及其太阳能遮阳棚
CN108678306A (zh) 一种市政工程用的智能节能遮雨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