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664B1 -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664B1
KR101208664B1 KR1020090055417A KR20090055417A KR101208664B1 KR 101208664 B1 KR101208664 B1 KR 101208664B1 KR 1020090055417 A KR1020090055417 A KR 1020090055417A KR 20090055417 A KR20090055417 A KR 20090055417A KR 101208664 B1 KR101208664 B1 KR 101208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ight
information
main bod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141A (ko
Inventor
장진환
강원의
김성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6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간에 태양광의 영향으로 도로전광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교통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도로전광표시장치로서 전광판 본체부; 상기 전광판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상기 교통관련정보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정보표시부; 및 상기 전광판 본체부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표시부의 전방을 덮는 차광부로 구성된데 특징이 있다.
차광막, 휘도, 도로, 전광판, 조사, 태양광

Description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TRAFFIC INFORMATION SIGN BOARD APPARATUS HAVING BLIND}
본 발명은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간에 태양광의 영향으로 도로전광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표시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이나 교통상황 등을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로 표시장치는 초행길의 운전자에게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체구간에서 교통상황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근래에는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변정보표지판(VMS : Variable Message Sign Board)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변정보표지판은 발광소자인 컬러 LED나 소형 형광관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변정보표지판은 교통정보 센터로부터 비트맵으로 구성된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컬러 LED나 소형 형광관을 제어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발광소자를 이용한 가변정보표지판은 주변의 밝기에 따라 시 인성이 매우 달라진다. 즉, 주변이 매우 밝은 주간에는 상기 가변정보표지판의 발광소자의 밝기가 주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워지므로 희미하게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주변이 어두운 야간에는 상기 가변정보표지판의 밝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밝아 표시되는 글자들이 서로 번져보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간에는 상기 가변정보표지판의 발광소자의 휘도를 높여주고, 야간에는 발광소자의 휘도를 낮추는 기술이 기존에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를 들면, 가변정보표지판에 조도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가변정보표지판의 휘도를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조도센서의 조도검출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었을 경우 올바른 휘도 제어를 수행할 수 없으므로 관리자의 지속적인 조도센서관리가 필요하여 유지관리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조도센서를 통한 휘도 제어만으로는 주광 아래서 안정적인 휘도비를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간에 태양광의 영향으로 도로전광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되어 교통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도로전광표시장치로서, 전광판 본체부; 상기 전광판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상기 교통관련정보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정보표시부; 및 상기 전광판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표시부의 전방을 덮는 차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정보표시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부는 상기 조도검지센서의 검출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전광판 본체부의 상하에 장착된 상/하부 롤러, 상기 상/하부 롤러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하부 롤러를 연동시키는 제1벨트와 제2벨트, 상기 상/하부 롤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제1벨트와 상기 제2벨트에 양측이 고정되고 상기 정보표시부로 입사되는 조도를 감소 시키는 차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간에는 차양막이 도로전광판의 전면을 덮어 도로전광판의 휘도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로전광판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야간에는 차양막을 해체함으로써 챠양막으로 인해 도로전광판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전광표시장치는 전광판 본체부(10), 정보표시부(20), 및 차광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전광판 본체부(10)는 지지대(50; 도 3참조)에 의해 일정높이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한다.
상기 정보표시부(20)는 교통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근래에는 시인성이 높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LED 모듈이 주로 채용되고 있다.
상기 차광부(30)는 상/하부 롤러(32,34), 제1벨트(B1)와 제2벨트(B2), 모터(31), 및 차광막(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 롤러(32,34)는 전광판 본체부(10)의 상/하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하부 롤러(32,34)는 양측 회전축(32b,34b)과, 이 양측 회전축(32b,34b)의 양단에 형성되고 제1벨트(B1)와 제2벨트(B2)가 서로 연결되는 롤러부(32a,34a)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 롤러(32)의 일측 롤러부(32a)에는 모터(31)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제1벨트(B1)와 제2벨트(B2)의 사이에는 제1고정편(36)과 제2고정편(38)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고정편(36)과 제2고정편(38)에는 차광막(35)의 가장자리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벨트(B1)와 제2벨트(B2)의 회전방향을 따라 차광막(35)이 이송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벨트방식을 채용한 차광부(30)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인방식이나 기어방식과 같은 다양한 작동수단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전광판 본체부(10)는 지지대(50)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높이로 설치된다. 또한 전광판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조도센서(4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조도센서(40)는 도 3과 같이 전광판 본체부(1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정보표시부(20)로 입사되는 외부의 조도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도 4와 같이 정보표시부(20)의 곳곳에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도 좋다.
한편 차양막(35)은 정보표시부(20)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상기 차양막(35)의 투과율이 50%인 것을 예시한 것으로, 햇살이 강한 주간의 경우에는 차양막(35)이 정보표시부(2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부 롤러(32; 도 1)와 하부 롤러(34; 도 1)가 구동된다. 또한, 조도센서들(41,42,43)은 정보표시부(20)의 입사되는 외부 조도를 검출하여 제어부(미도시; 예컨데 PCB)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는 외부 조도가 정보표시부(20)에서 방출되는 휘도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모터(31)의 구동을 명령하여 상부롤러(32)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부롤러(32)와 하부롤러(34)를 연결하는 제1,2벨트(B1,B2)가 회전됨으로써 차양막(35)이 정보표시부(20)의 전면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차양막(35)이 정보표시부(2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면 외부에서 입사되는 태양광이 차양막(35)을 투과하면서 전체 입사량의 50% 감소된 상태로 입사하게 되고, 입사된 태양광은 정보표시부(20)에 반사되어 다시 차양막(35)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되는데, 이때 정보 표시부(20)의 휘도는 상기 차양막(35)에 의해 다시 절반으로 감소된 휘도를 갖는다.
즉, 차양막(35)이 없는 상태를 가정해보면 태양광이 정보표시부(20)에서 반사되어 조사되는 휘도는 입사되는 태양광의 100%이다. 반면, 차양막(35)이 정보표시부(20)의 전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태양광의 입사시 절반으로 감소하고, 다시 정보표시부(20)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은 다시 절반으로 감소하여 입사시 태양광의 25%에 해당되는 휘도를 갖는다.
반면, 정보표시부(20)에서 직접 조사되는 빛은 차양막(35)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50%로 감소된 휘도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양막(35)이 정보표시부(20)의 전방에 설치됨으로써 태양광에서 반사되어 전방으로 조사되는 휘도보다 정보표시부(20)에서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휘도가 크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아래에서도 도로전광판에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높은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태양광에서 반사되는 휘도보다 전광판에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한 빛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주광 아래서 운전자에 대한 도로전광판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야간과 같이 외부 조도가 정보표시부(20)의 조도 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모터(31)를 구동시켜 상기 차양막(35)이 정보표시부(20)의 뒷면에 위치되도록 차양막(35)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야간시 차양막(35)으로 인해 정보표시부(20)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간 태양광의 영향으로 인해 도로전광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광막(35)이 설치되고, 주간과 야간을 구분하여 차양막(35)을 개폐하기 위해 조도센서(40), 및 차광부(30; 도 1)가 전광판 본체 부(1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주간의 태양광에 의해 도로전광판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우 상기 차양막(35)이 정보표시부(20)의 전면을 덮고, 반대로 야간과 같이 태양광이 입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차양막(35)을 정보표시부(20)의 뒷면으로 거둬들임으로써 정보표시부(20)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및
도 4는 도 3의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전광판 본체부 20: 정보 표시부
30: 차광부 32: 상부롤러
34: 하부롤러 36: 제1고정편
38: 제2고정편 40: 조도센서

Claims (4)

  1. 도로에 설치되어 교통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도로전광표시장치로서,
    전광판 본체부;
    상기 전광판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상기 교통관련정보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정보표시부; 및
    상기 전광판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정보표시부의 전방을 덮는 차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부는, 상기 전광판 본체부의 상하에 장착된 상/하부 롤러, 상기 상/하부 롤러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상/하부 롤러를 연동시키는 제1벨트와 제2벨트, 상기 상/하부 롤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및 상기 제1벨트와 상기 제2벨트에 양측이 고정되고 상기 정보표시부로 입사되는 조도를 감소시키는 차광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상기 조도검지센서의 검출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4. 삭제
KR1020090055417A 2009-06-22 2009-06-22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KR101208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417A KR101208664B1 (ko) 2009-06-22 2009-06-22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417A KR101208664B1 (ko) 2009-06-22 2009-06-22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141A KR20100137141A (ko) 2010-12-30
KR101208664B1 true KR101208664B1 (ko) 2012-12-17

Family

ID=4351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417A KR101208664B1 (ko) 2009-06-22 2009-06-22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640B1 (ko) * 2018-08-27 2020-03-20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소음감쇠 및 광해방지용 투명방음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141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0523B2 (ja) 制御可能なマスキング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透明なディスプレイ
CN104885002B (zh) 透明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US9343004B2 (en) LCD TFT sign for on-board use in public transportation
WO2020121779A1 (ja) 透明ディスプレイを備える透明ガラス
CN108463766B (zh) 平视显示器装置
US20180052321A1 (en) Light-sensing heads-up display with reflective and emissive modes
US20110007046A1 (en) Smart display devices
CN105469749A (zh) 一种液晶显示器及显示装置
CN114994977A (zh) 显示屏和挡光屏
WO2011065068A1 (ja) 映像表示装置
KR101970997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부착/삽입형 난간 광고 장치
KR101208664B1 (ko) 차광막이 마련된 도로전광표시장치
CN106627369A (zh) 一种车辆车窗显示系统
CN106739995A (zh) 遮阳板
KR101503048B1 (ko)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KR102328840B1 (ko) 교통신호등
KR102395593B1 (ko)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실시간 동작 반응 제어기술형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19473A (ko) 유리형 전광판 구조
WO2013012243A2 (ko) 차량 이동로용 광고표시 장치
KR101605190B1 (ko) 절전형 led 표지 장치
KR101955385B1 (ko) 엘이디 트라이 비전
KR20130135577A (ko) 오엘이디의 면광원을 마련한 도로표지판
KR200272724Y1 (ko) 휘도 제어장치
JP2021059150A (ja) 車両用表示装置
EP4270370A1 (en) Signage panel with rear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