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048B1 -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048B1
KR101503048B1 KR20140090479A KR20140090479A KR101503048B1 KR 101503048 B1 KR101503048 B1 KR 101503048B1 KR 20140090479 A KR20140090479 A KR 20140090479A KR 20140090479 A KR20140090479 A KR 20140090479A KR 101503048 B1 KR101503048 B1 KR 101503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ront surface
base plate
light source
oil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규
김홍수
Original Assignee
(주) 목산산업
판암애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목산산업, 판암애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 목산산업
Priority to KR2014009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0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8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using both translucent and non-translucent 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안전 및 빛공해와 관련된 법규를 만족시킴으로써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눈부심이나 신호등과의 혼동을 유발하지 않고 빛 공해도 유발하지 않으며, 주간 및 야간에 시인성이 확실히 확보되어 알리고자 하는 유가 등 대상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원을 구성함에 있어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가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광함에 따라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세그먼트 단위로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전면에 배치되며 세그먼트 단위로 설치된 광원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전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통공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과; 상기 광확산판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통공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광투과창을 갖는 불투명시트와; 상기 불투명시트 전면에 설치되는 썬팅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Light emitting module for filling station and oil pric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유소의 가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따위의 연료용 휘발유나 경유를 넣어주는 주유소 혹은 가스 충전소 등에서 유가(油價) 및 가스 가격 등의 정보를 사람들에게 알림에 있어서 빛 공해를 방지하면서 대상 정보는 정확하고 선명하게 알릴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에 적용되는 발광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류를 판매하는 주유소에서는 금일 판매할 유류의 가격을 운전자 및 보행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주유소에서는 유가표시대를 도로변에 설치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가 용이하게 금일 유가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유가 변동시마다 유가표시판에 표시된 유가를 정정한다.
기존에 많이 쓰이고 있는 유가표시판은 유가를 표시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숫자판을 구성하여 유가에 해당하는 숫자가 조합되도록 상기 숫자판을 선택하여 표시판 상에 설치함으로써 유류의 판매가격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그 구성상 각 가격 단위별로 0에서 9까지 숫자판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매우 많은 수의 숫자판이 구비되어야 하며, 유가의 변동시마다 변동된 유가를 나타낼 수 있도록 작업자가 일일이 숫자판을 교체하여 표시판 상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기존의 유가표시판은 자체 발광수단이 없기 때문에, 어두운 야간에는 식별을 위해 상기 유가표시판 주위에 유가표시판의 숫자판을 비추는 조명을 설치하게 되는데, 단순히 외부 조명을 통해 숫자판을 밝히는 구조이므로, 야간에는 표시되는 유가에 대한 시인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숫자판을 교체하는 방식의 유가표시판이 갖는 숫자판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 및 식별력 저하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특허문헌 및 비특허문헌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유가 표시장치가 제안되거나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유가표시장치는 자체 발광할 수 있도록 형광등이나 백열등 혹은 LED 등의 광원을 설치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야간의 시인성을 높이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된 기존의 유가표시장치는 비록 자체 발광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 내부에 광원을 구비한 구조라고 하더라도, 시인성이 충분히 높지 못하며, 무엇보다도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배려가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의 자체 발광수단을 구비한 유가표시장치는, 광원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보행자나 차량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는 구조여서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유가표시장치는, 광원이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전술한 안전 문제와 더불어 빛공해를 유발함으로써, 생활 환경의 질을 떨어뜨리고 생태계에도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선행기술문헌으로서 제시된 특허문헌에는 유가표시기를 운전자의 눈에 잘 보일 수 있도록 고휘도 적색 LED를 조밀하게 배열하여 구성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비특허문헌에 개시된 유가표시판은 실제 제품으로 구현함에 있어서 적색 LED 및 녹색 LED를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바, 이러한 기존의 기술들은 오로지 눈에 잘 띄도록 시인성만을 고려했을 뿐 차량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에 대한 고려 및 관련 법규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선행기술문헌에 제시된 이들 기존 기술들은 하나같이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광원을 직접 노출되도록 하고 있어 이로 인한 눈부심 및 빛공해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통 신호등과 같은 적색 LED 및 녹색 LED를 사용함으로써 신호등 주변에 이러한 유가표시장치가 설치될 경우에 주간 및 야간에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혼동을 주어 사고를 유발하는 등 안전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기존에는 도트(Dot) 타입으로 구성하여 지나치게 많은 수의 고휘도 LED를 광원으로 삼음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도 있다.
참고로,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 제3조 규정에 의한 석유류 가격표시제 등에 관한 실시요령(지식경제부고시 제2011-5호(2011년 1월 17일)」의 제4조(주유소 가격표시판의 표시내용 및 표시방법)에 따르면, 가격표시판의 조명 사용방법은, "첫째, 네온류 및 전광류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전광류 광원에 커버를 씌워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전광류 사용이 가능하다. 둘째, 가격표시판의 표시내용이 점멸하거나 동영상으로 표시되어서는 아니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서울특별시 빛공해 방지 및 도시조명관리 조례 시행규칙안」을 살펴보면, 주유시설 조명의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바, 광원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등기구로부터 표출되는 빛이 보행자나 차량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최소화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서울특별시 빛공해 방지 및 도시조명관리 조례 시행규칙안」은 발광광고물 조명의 설치기준(권고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바, 전자식전광판의 광원으로서 녹지 및 주거지에서는 광원으로서 원색의 설치가 불가하다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상업지에서도 최대 표면휘도가 1,500cd/㎡ 를 넘지 않도록 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 기존의 유가표시장치는 차량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에 대한 고려 및 상기와 같은 관련 법규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채 제작됨으로써, 광원을 그대로 외부에 노출시켜 보행자 및 차량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특히 적색 LED 등 신호등과 같은 광색 이용에 따라 보행자 및 차량운전자의 안전을 한층 더 위협하며, 직접적 광원 노출을 통해 빛공해를 유발함으로써 생활 환경의 질을 떨어뜨리고 생태계에도 나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술한 법률 및 시행규칙을 만족시킴으로써,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눈부심이나 신호등과의 혼동을 유발하지 않고, 빛 공해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주간 및 야간에 시인성이 확실히 확보되어 알리고자 하는 유가 등 대상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유가표시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특2002-0075666호(2002. 10. 05.)
주유소 가격표시LED유가표시 전광판/LED전광판/개발제품소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onyeseo&logNo=6018574329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 안전 및 빛공해와 관련된 법규를 만족시킴으로써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눈부심이나 신호등과의 혼동을 유발하지 않고 빛 공해도 유발하지 않으며, 주간 및 야간에 시인성이 확실히 확보되어 알리고자 하는 유가 등 대상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원을 구성함에 있어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유가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광함에 따라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세그먼트 단위로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전면에 배치되며 세그먼트 단위로 설치된 광원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전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통공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과; 상기 광확산판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통공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광투과창을 갖는 불투명시트와; 상기 불투명시트 전면에 설치되는 썬팅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술한 구성의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로 이루어진 유가표시부와, 상기 유가표시부가 전면에 구비되는 아웃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가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은 광원의 직접적 노출이 방지되므로, 주간 및 야간에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이나 신호등 불빛과의 혼동을 유발하지 않아,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광원이 직접 노출되고 않고 또한 광원으로서 원색을 사용하지 않아서, 빛 공해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생활 환경의 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주간 및 야간에 시인성이 확실히 확보되어 유가 등 알리고자 하는 대상 정보가 보다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광원을 구성함에 있어 세그먼트 단위로 발광하도록 함에 따라, 광원으로서 현재 고가인 LED의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유시설 조명과 관련하여, 도로 안전 및 빛공해와 관련된 법규를 만족시키면서도, 유가표시장치로서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합리화하고 전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가표시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가표시장치의 요부(즉, 발광모듈) 조립 형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가표시장치의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제어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모듈을 실제로 구현한 시제품의 참고사진으로서,
도 4는 썬팅필름 설치 전 상태에서의 발광모듈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썬팅필름 설치 후 상태에서의 발광모듈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발광모듈(100)은, 발광함에 따라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세그먼트(S; Segment) 단위로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106)과, 상기 기판(106) 전면에 배치되며 세그먼트 단위로 설치된 광원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105a)이 형성된 베이스판(105)과, 상기 베이스판(105) 전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판(105)의 통공(105a)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104)과, 상기 광확산판(104)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105)의 통공(105a)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광투과창(103a)을 갖는 불투명시트(103)와, 상기 불투명시트(103) 전면에 설치되는 썬팅필름(1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05)은 기판(106)에 설치된 광원의 높이를 고려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썬팅필름(102) 전면에는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보호판(101)으로서 고강도 투명아크릴판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불투명시트(103)는 광원이 필요 없는 부분, 즉 숫자를 이루는 세그먼트를 제외한 영역을 가리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접착성을 갖는 비닐시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광원으로는 백색 LED(111)가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백색 LED(111)를 설치한 기판(106)을 제작하여 발광모듈의 광원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106) 전면에 광원을 차단 및 반사하는 특징을 가진 성형 사출된 베이스판(105)을 조립한다.
상기 베이스판(105) 전면에는 상기 기판(106)에서 나오는 광원을 확산하며 균일한 밝기를 내도록 하는 광확산판(104)을 견고하게 부착한다.
상기 광확산판(104) 전면에 표시정보를 정확하게 나누면 광원이 필요 없는 부분을 가리는 기능을 하는 불투명시트(103)을 부착한다. 상기 불투명시트(103) 위에 썬팅필름(102)을 결합하여 태양 빛의 간섭으로부터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썬팅필름(102) 바깥에는 썬팅필름(102), 불투명시트(103), 광확산 판(104)을 자외선 및 기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고강도 투명아크릴(101)을 마감 부착하며, 이러한 조립 과정을 통해 발광모듈(100)을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기판(106)상에 세그먼트 단위로 설치된 광원인 백색 LED(111)로부터 발광이 이루어지면, 백색 LED(111)에서 나온 빛은 베이스판(105)의 통공(105a)을 지나 광확산판(104)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광확산판(104)은 개별 LED(111)에서 나온 빛을 확산시킴으로써 개별 LED(111)에서 나온 빛이 도트(Dot) 형태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광확산판(104)으로 인해 개별 LED(111)에서 나온 빛은 세그먼트 단위로 시인된다.
한편, 상기 광확산판(104)으로 유입된 빛은 판 내부에서 확산되어 외부로 출사되는데, 상기 광확산판(104) 전면에는 세그먼트 단위로 광투과창(103a)이 형성된 불투명시트(103)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불투명시트(103)의 광투과창(103a)을 통해 빛이 나오게 된다. 즉, 상기 불투명시트(103)는 광원이 필요 없는 부분을 가리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불투명시트(103)의 광투과창(103a)을 통과한 빛은 상기 불투명시트(103) 전면에 설치된 썬팅필름(102)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썬팅필름(102)은 광원의 발광이 이루어진 해당 세그먼트 영역과, 상기 해당 세그먼트 영역 외측으로서 광학산판 내에서 확산된 빛이 통과하는 세그먼트 영역이 대비되도록 작용한다.
이는 썬팅필름(102)의 투과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광원의 발광이 이루어지는 해당 세그먼트 영역에서는 빛이 충분히 투과하지만, 상대적으로 해당 세그먼트를 제외한 영역의 약한 빛은 투과하지 못하므로 어둡게 보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모듈(100)은 표시하고자 하는 숫자에 대응하는 세그먼트가 백색으로 밝게 빛나는 대신, 모듈의 나머지 영역이 흑색으로 대비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은 썬팅필름(102)으로 인해 태양 빛이 모듈 내측으로 들어가는 것이 차단되므로, 태양 빛의 간섭으로 인해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낮에도 태양 빛으로 인한 간섭이 썬팅필름(102)에 의해 배제된 상태에서 발광 영역을 이루는 세그먼트와 그 외측 영역의 흑백 대비가 확실히 이루어짐으로 인해 표시하고자 하는 숫자가 깨끗하고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다.
상기에서, 광원에서 나온 빛이 상기 불투명시트(103)까지 통과한 상태에서는 비록 발광이 이루어진 해당 세그먼트 영역이 더 밝게 보이긴 하지만, 광확산판(104)을 통해 빛이 그 주변으로 확산되어 다른 광투과창(103a)을 통과하므로, 썬팅필름(102)이 없다면 시인성이 극히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도 4 참조).
하지만, 썬팅필름(102)이 부가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은 발광 영역을 이루는 세그먼트가 백색으로 밝게 빛나는 대신 그 외측 영역은 흑색으로 어둡게 나타나, 흑백의 명암 대비가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야간은 물론 밝은 주간에도 표시하고자 하는 숫자가 깨끗하고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는 것이다(도 5 참조).
즉, 도 4 및 도 5를 통해 대비되는 바와 같이, 썬팅필름(102)이 부가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은 표시하고자 하는 숫자가 깨끗하고 선명하게 시인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썬팅필름(102) 전면에는 전면보호판(101)으로서 고강도 투명아크릴판이 구비되는데, 이 고강도 투명아크릴판은 빛은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그 내측의 모듈 구성품을 보호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가표시장치(1)는 상기한 구성 및 작용의 발광모듈(100)이, 각종 오일의 가격을 종류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아웃케이스(500) 전면에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유가표시장치는, 전술한 구성의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100)로 이루어진 유가표시부(300)와, 상기 유가표시부(300)가 전면에 구비되는 아웃케이스(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가표시장치(1)를 구성하는 기판(106)에는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210)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210)에는 적외선 수신부(230)가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 수신부(230)와 통신하는 적외선 리모컨(250)이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 및 이에 따른 유가표시장치(1)는, 광원의 직접적 노출이 방지되므로, 주간 및 야간에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이나 신호등 불빛과의 혼동을 유발하지 않아,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 및 이에 따른 유가표시장치(1)는, 광원이 직접 노출되고 않고 또한 광원으로서 원색을 사용하지 않아, 빛 공해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생활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게 되며, 생태계에 미치는 빛으로 인한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발광모듈(100) 및 이에 따른 유가표시장치(1)는, 주간 및 야간에 시인성이 확실히 확보되어 오일 가격 등 알리고자 하는 대상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발광모듈(100) 및 이에 따른 유가표시장치(1)는, 세그먼트 단위로 발광하도록 함에 따라, 광원을 구성함에 있어 사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유시설 조명과 관련하여, 도로 안전 및 빛공해와 관련된 법규를 만족시키면서도, 유가표시장치로서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합리화하고 전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썬팅필름(102) 대신 동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판재(예: 빛 차단 아크릴판)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통상 주유소는 휘발유나 경유 등의 오일(oil)을 넣는 곳으로 인식되지만, 미국에서는 주유소를 Gas station, Filling station, Service station 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만큼, 본 발명의 명칭 등에서 여러 구체적 적용 대상을 한꺼번에 언급함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해석상의 오해를 피하기 위하여 '유가표시장치'로 단순화하여 표기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 범주는 오일을 취급하는 주유소뿐만 아니라 가스충전소를 포함하며, 그외에 운전자 및 보행자를 대상으로 하는 각종 정보의 표시장치도 포함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는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 안전 및 빛공해와 관련된 법규를 만족시키면서도, 유가표시장치로서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합리화하고 전력 소모를 줄임으로써 에너지 및 운용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이다.
10: 유가표시장치 100: 발광모듈
101: 전면보호판 102: 썬팅필름
103: 불투명시트 103a: 광투과창
104: 광확산판 105: 베이스판
105a: 통공 106: 기판
111:백색 LED 210: 컨트롤러
230: 적외선 수신부 250: 적외선 리모컨
300: 유가표시부 500: 아웃케이스

Claims (5)

  1. 발광함에 따라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숫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세그먼트 단위로 광원이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 전면에 배치되며 세그먼트 단위로 설치된 광원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빛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전면에 설치되며 베이스판의 통공을 통과한 빛을 확산시키는 광확산판과;
    상기 광확산판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의 통공에 대응하여 세그먼트 단위로 광투과창을 갖는 불투명시트와;
    상기 불투명시트 전면에 설치되는 썬팅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썬팅필름 전면에는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전면보호판으로서 고강도 투명아크릴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백색 LED 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적외선 수신부가 연결되며, 상기 적외선 수신부와 통신하는 적외선 리모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5. 유가를 표시하는 유가표시부와, 상기 유가표시부가 전면에 구비되는 아웃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성의 발광모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표시장치.
KR20140090479A 2014-07-17 2014-07-17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KR101503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479A KR101503048B1 (ko) 2014-07-17 2014-07-17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479A KR101503048B1 (ko) 2014-07-17 2014-07-17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048B1 true KR101503048B1 (ko) 2015-03-18

Family

ID=53027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0479A KR101503048B1 (ko) 2014-07-17 2014-07-17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0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9440A (zh) * 2015-12-31 2016-05-04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油价牌系统的智能控制方法
KR20190090464A (ko) 2018-01-25 2019-08-02 (주) 목산산업 유가 자동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유가 자동 관리 시스템
EP4057265A1 (de) * 2021-03-11 2022-09-14 LightnTec GmbH Leuchtanordnung sowie betriebsverfahren und herstellverfahren hierfü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80U (ko) * 1990-04-25 1992-01-13
JPH06149164A (ja) * 1992-11-13 1994-05-27 Pulse:Kk 車体価格表示板
KR20030018379A (ko) * 2001-08-28 2003-03-06 이정섭 디지털 유가표시장치
KR20070070600A (ko) * 2005-12-29 2007-07-04 남 영 김 칩led 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80U (ko) * 1990-04-25 1992-01-13
JPH06149164A (ja) * 1992-11-13 1994-05-27 Pulse:Kk 車体価格表示板
KR20030018379A (ko) * 2001-08-28 2003-03-06 이정섭 디지털 유가표시장치
KR20070070600A (ko) * 2005-12-29 2007-07-04 남 영 김 칩led 유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9440A (zh) * 2015-12-31 2016-05-04 西安诺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油价牌系统的智能控制方法
KR20190090464A (ko) 2018-01-25 2019-08-02 (주) 목산산업 유가 자동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유가 자동 관리 시스템
EP4057265A1 (de) * 2021-03-11 2022-09-14 LightnTec GmbH Leuchtanordnung sowie betriebsverfahren und herstellverfahren hierfü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6776A1 (en) Window structure body
JPH11219125A (ja) 複合表示装置
KR101503048B1 (ko) 주유시설 조명용 발광모듈 및 이를 이용한 유가표시장치
KR101775576B1 (ko) 발광, 반사 겸용 표지판
WO2014168067A1 (ja) 表示装置
KR100948639B1 (ko) 교통표지판
JP6798266B2 (ja) 表示装置
KR101313039B1 (ko) 광변환시트를 이용한 조명식 표지판
CN111399302A (zh) 用于交通运输工具的显示装置
US9885903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pixel group and a second pixel group each including at least three contiguously arranged pixels
KR101471389B1 (ko) 표지판의 면광원 장치
KR20060096833A (ko) 후측광을 구비한 광고 간판
JP2019192432A (ja) 車両用照明装置、車両用灯具、車両用灯具付きウィンドウパネル、車載ディスプレイ
US20060080874A1 (en) Dynamic message sign
JP6343440B2 (ja) 発光式ナンバープレート
EP1771317B1 (en) Sign plates
JP2015055797A (ja) 内部照明式標識装置
RU2015156553A (ru)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на ветровом стекле
JPH07296294A (ja) 交通信号機の信号灯器
JP2019036399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4093754A (ja) 表示装置
JP4975604B2 (ja) 自光式標識構体
AU2008100928A4 (en) Illuminated Sign Construction
KR101541757B1 (ko) 안내표시가 발광되는 안내표지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16001208A (ja) 情報表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