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762B1 -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762B1
KR101649762B1 KR1020140057431A KR20140057431A KR101649762B1 KR 101649762 B1 KR101649762 B1 KR 101649762B1 KR 1020140057431 A KR1020140057431 A KR 1020140057431A KR 20140057431 A KR20140057431 A KR 20140057431A KR 101649762 B1 KR101649762 B1 KR 10164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s
blind
delete delete
power gener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180A (ko
Inventor
유지희
Original Assignee
유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희 filed Critical 유지희
Priority to KR1020140057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7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7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hotovoltaic cell covered by group H10F10/00, e.g. photovoltaic mo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외벽에 설치되어 선택적 차광 및 태양광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태양광패널(115)이 외면에 구비되고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블라인드(100)와,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블라인드(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라인드(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을 기존 건축물의 입면에 적용할 수 있어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회전가능한 블라인드(100)를 통해 태양광의 입사각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발전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Blind system for sunlight generation and sunlight generation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양을 위한 블라인드 형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의 자동제어를 통한 태양광 발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권장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 중에서 태양광 발전은 상대적으로 설치의 용이성과 외부에 보이는 전시효과, 그리고 태양광이라는 무한하고 무료의 원료 특성으로 인하여 선호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을 하기 위하여 창문이 설치된 장소에 태양광 창호를 설치할 수 있는데,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창호 자체를 태양전지로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기존건물에 적용시는 설치된 창문를 뜯어내고 일체화된 태양광 창호을 설치해야 하며, 창호를 전부 막을수 없어 일부 전지와 전지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빛이 들어와 내부 거주자에게 눈부심을 주어 불쾌감과 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지를 더욱 미세하게 쪼개어 태양광전지 창호를 개발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태양광 전체 중 일부만을 실내로 끌어 들여 내부거주자에게 흐린날씨를 연상하게 하고 조망권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중 창 내에 고정된 블라인드 슬랫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기술도 제시되었으나, 이 또한 내부 거주자가 원하는 때에 밖을 보고자 하지만 블라인드 슬랫이 고정되어 있어 조망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을 건물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얇고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블라인드의 구조상 눈, 비, 바람 등 외부환경요소에 상대적으로 더욱 큰 영향을 받게 되어 안정적인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 KR10-2013-0099458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스템(BIPV)을 기존 건축물의 입면에 적용하여 태양광 발전효율 및 구조안정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외벽에 설치되어 선택적 차광 및 태양광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패널이 외면에 구비되고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블라인드와,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블라인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라인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를 연결하고 상기 블라인드의 적층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가이드포스트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에는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은 각도조절부에 연결되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일률적으로 각도조절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블라인드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의 각도가 변경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포스트를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연장되는 제2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는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의 상대승강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일률적으로 각도조절된다.
상기 블라인드의 일단은 상기 블라인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가장 외측의 블라인드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블록으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블록이 상승하면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적층되면서 순차적으로 상승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블라인드를 승강시키는 승강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의 일측에 각각 연결되는 승강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와이어의 일단은 승강조절부에 연결되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순차적으로 승강된다.
상기 다수개의 블라이드 중에서 가장 외측의 블라인드와 인접한 위치에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밀착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다.
다수개의 블라인드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블라인드를 구획하는 구획하우징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선택적 차광 및 태양광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실내온도 및 실내온도의 조절을 위한 전력소비량이 측정되는 실내조건측정단계와, 일조량에 의해 실내온도가 가변되는 정도 및 일조량에 따른 전력발생량이 측정되는 외부조건측정단계와,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력소비량, 일조량에 따른 실내온도의 가변량 및 전력발생량이 비교되어 상기 블라인드 시스템의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비교제어단계와, 상기 블라인드의 작동 또는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블라인드작동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라인드시스템은 태양광패널이 외면에 구비되고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블라인드와,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블라인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라인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조건측정단계에서, 건물 외부의 풍량 및 풍향을 포함하는 외부조건이 측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조건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하우징에 수납시키는 발전중지단계가 이어진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을 기존 건축물의 입면에 적용할 수 있어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회전가능한 블라인드를 통해 태양광의 입사각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발전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태양광발전과 함께 블라인드의 각도조절을 통해 태양광의 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어 채광성이 확보되고, 설치후 개방감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블라인드가 가이드포스트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고, 제어부는 외부의 풍량 및 풍향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따라 블라인드 시스템의 구동을 적절하게 제어하므로, 외부환경 변화에 의해 블라인드가 손상되거나 유실될 염려가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력소비량, 일조량에 따른 실내온도의 가변량 및 전력발생량이 비교되어 블라인드 시스템을 능동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라인드가 하우징 내부에 수납된 모습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각각 보인 요부사시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각각 보인 요부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의 구성이 예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건물외벽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선택적 차광 및 태양광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추적식 블라인드(100)를 채용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도 1에서 보듯이 도시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건물외벽과 통일성 있는 구조를 갖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보듯이,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는 하우징(1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후술할 블라인드(1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12)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건물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블라인드(100)의 외형 및 골격은 대략 일방향으로 길고 얇은 판상의 몸체부(110)로 구성되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함과 동시에, 건물을 선택적으로 차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블라인드(100)의 외면에는 태양광패널(115)이 구비된다. 즉, 상기 블라인드(100)는 외면의 태양광패널(115)을 이용하여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며, 이러한 블라인드(100)는 다수개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는 태양광센서부가 구비된다. 상기 태양광센서부는 태양광의 크기 또는 조사방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어부에 태양광의 조사방향 및 크기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조사방향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의 회전각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러한 블라인드(100)의 각도조절은 각도조절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블라인드(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라인드(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는 가이드포스트(130)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가이드포스트(130)는 상기 블라인드(100)의 적층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바(bar)형태로, 건물의 외측에 구비되는 블라인드(100)가 다양한 외부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와이어(140) 및 각도조절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와이어(140)는 자유롭게 접히거나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신축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140)의 일단은 각도조절부에 연결되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가 일률적으로 각도조절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재질의 제1와이어(140)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블라인드(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100)의 각도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에는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도 2를 기준으로, (i)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가 상승하면서 적층되고, 결과적으로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거나(상승), (ii)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가 하강하면서 서로 일정간격으로 멀어지도록 하여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하강). 물론 다수개의 상기 제1와이어(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승강수단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 전체에 연속적으로 구비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블라인드(100)를 구획하는 구획하우징(10')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하우징(10')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별도의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이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 외벽을 다수개의 부분으로 구획하고, 이들 각각에 별도의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각각 요부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도조절수단은 가이드포스트(130)를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어 연장되는 제2와이어(36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360)는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360)의 상대승강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가 일률적으로 각도조절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360)의 사이에는 상부연결부(365)와 하부연결부(367)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연결부(365) 및 하부연결부(367)가 각각 상기 블라인드(100)의 상면 및 저면을 가로질러 구비됨으로써 상기 블라인드(1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한 쌍의 제2와이어(360)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승하고, 다른 하나가 하강할 경우 상기 상부연결부(365) 및 하부연결부(367)를 통해 상기 제2와이어(360)와 연결된 블라인드(100)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100)의 회전중심은 상기 가이드포스트(130)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b)에서 보듯이, 상기 가장 외측(하단)의 블라인드(100)의 일측에는 승강블록(2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승강블록(200)은 상기 가이드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승강블록(200)이 상승하면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가 적층되면서 순차적으로 상승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10)에 수납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블록(200)의 승강은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승강블록(200)에 연결된 승강용 와이어(미도시)가 상승/하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블라인드(100)의 일단은 상기 블라인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120)은 가이드포스트(13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포스트(130)는 상기 회전축(120)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가이드포스트(130)와 회전축(120)은 별도의 링크(미도시)나 연결고리(미도시)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120)은 상기 블라인드(100)의 일측에 구비된 경첩부(118)와 연결되어, 상기 경첩부(118)의 회전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블라인드(100)에는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제3와이어(160)로 구성되고, 각각의 블라인드(100)에 연결되어 블라인드(100)가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블라인드(100)의 승강은 상기 회전축(120)이 상기 가이드포스트(130)를 따라 승강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 가장 하단의 블라인드(100) 하방에는 승강블록(20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블록(200)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승강되거나, 승강와이어(19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별도의 승강와이어(190)가 상기 블라인드(100)에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승강와이어(190)의 일단은 승강조절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가 순차적으로 승강되는데, 상기 승강조절부는 상기 승강와이어(190)를 권취하는 와인더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와이어(190)는 각각의 블라인드(100)에 걸어져 상기 블라인드(100)의 높이를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수단은 하나의 승강블록(200)으로 구성되지 않고,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100)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블라인드(100)를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블록(20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은 태양광패널(115)이 외면에 구비되고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블라인드(100)와,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을 측정하는 태양광센서부, 상기 블라인드(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라인드(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실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건물의 실내온도 및 실내온도의 조절을 위한 전력소비량이 측정되는 실내조건측정단계가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조건측정단계에서는 건물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실내센서가 상기 내부공간의 온도와, 상기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동중인 공기조화기, 에어콘 등의 전력소비량을 측정한다.
이어서, 일조량에 의해 실내온도가 가변되는 정도가 측정되는 외부조건측정단계가 이어진다. 이때, 외부조건측정은 상기 태양광센서부에의 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시험을 통해서 축적된 데이터를 통하여 특정 일조량에 의한 실내온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외부조건측정단계에서 일조량에 의한 전력발생량이 함께 측정된다. 상기 전력발생량은 태양광센서부에 의해 현재 일조량이 측정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전력발생량이 제어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거나, 일조량과 전력발생량의 상관관계에 대한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예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력소비량, 일조량에 따른 실내온도의 가변량 및 전력발생량이 비교되어 상기 블라인드 시스템의 작동여부가 결정되는 비교제어단계가 이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앞서 측정된 전력소비량, 일조량에 따른 실내온도의 가변량 및 전력발생량이 비교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i) 먼저 특정 실내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소비되는 전력소비량이 측정(또는 예측)되고, (ii) 일조량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추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전력소비량이 측정(예측)되고, (iii) 일조량에 따라 발생되는 태양광발전의 전력발생량을 측정(예측)하며, 마지막으로 (ii)단계의 전력소비량과 (iii)단계의 전력발생량을 비교한다.
여기서, (ii) 일조량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추가되거나 또는 감소되는 전력소비량의 측정(예측) 및 (iii) 일조량에 따라 발생되는 태양광발전의 전력발생량의 측정(예측)은 상기 블라인드(100)를 완전히 상승시켜 하우징(10)에 수납할 경우 및 블라인드(100)의 각도별 일조량에 따라 단계적으로 측정(예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100)의 작동 또는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만약 일조량에 따른 실내온도변화에 의해 추가되는 전력소비량이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 의한 전력발생량 보다 더 클 경우에는 블라인드(100)를 가동하여 차광을 실시하는 것이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여름철에는 주로 실내에서 냉방이 이루어지고 일조량에 의해 실내온도가 상승하여 전력소비량이 더 많아지므로 제어부에 의해 블라인드(100)가 가동되어 차광량을 높이는 경우가 많아지며,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난방이 이루어지고 일조량에 의해 실내온도가 상승하여 전력소비량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제어부는 블라인드(100)를 통한 차광량을 줄이는 경우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앞서 외부조건측정단계에서, 건물 외부의 풍량 및 풍향을 포함하는 외부조건이 측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조건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하우징(10)에 수납시키는 발전중지단계가 이루어진다.
이는 건물 외부의 풍량 및 풍향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100)에 가해지는 외력이 커지고, 그 정도가 블라인드(100)의 피로한도나 피로강도를 넘어서는 경우에,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의 보호를 위해 블라인드(100)의 가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외부의 조건은 풍량, 풍향, 강설량과 같이 블라인드(100)에 하중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하우징 100: 블라인드
115: 태양광패널 130: 가이드포스트

Claims (14)

  1. 건물외벽에 설치되어 선택적 차광 및 태양광 발전을 가능하게 하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패널이 외면에 구비되고 다수개가 나란히 구비되는 블라인드와;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을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블라인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블라인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직사일광의 크기 또는 방향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제어부와;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의 건물 외벽측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블라인드의 적층방향으로 고정되는 가이드포스트; 그리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의 외측을 연결하는 제1와이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와이어의 일단은 각도조절부에 연결되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블라인드가 일률적으로 각도조절되며:
    상기 블라인드의 건물 외벽측 단부는 상기 블라인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승강수단은,
    기 설정된 개수의 다수 블라인드 사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블라인드를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건물의 실내온도 및 실내온도의 조절을 위한 전력소비량을 포함하는 실내조건과, 일조량에 따라 증감되는 전력발생량이 포함되는 외부조건을 측정하여, 상기 실내조건과 외부조건의 비교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수단 및 승강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블라인드들의 최상부에 구비되어, 다수 블라인드가 상승하여 밀착되면서 수납되는 하우징과;
    기 설정된 개수의 다수 블라인드 사이마다 설치벽면에 고정되어 상기 블라인드들을 구획하는 구획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조건은 건물 외부의 풍량 및 풍향을 포함하는 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건물 외부의 풍량 및 풍향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하우징에 수납시키켜 발전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057431A 2014-05-13 2014-05-13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Active KR10164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31A KR101649762B1 (ko) 2014-05-13 2014-05-13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31A KR101649762B1 (ko) 2014-05-13 2014-05-13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180A KR20150130180A (ko) 2015-11-23
KR101649762B1 true KR101649762B1 (ko) 2016-08-22

Family

ID=5484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431A Active KR101649762B1 (ko) 2014-05-13 2014-05-13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9873A (ja) * 2019-02-07 2020-08-27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542B1 (ko) 2016-04-06 2018-04-19 주식회사 솔그리드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추적식 블라인드 장치
KR102164582B1 (ko) * 2017-06-01 2020-10-12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KR102206065B1 (ko) * 2017-06-01 2021-01-21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
KR102286248B1 (ko) * 2018-05-08 2021-08-05 (주)엘엑스하우시스 태양광 블라인드
CN109057677B (zh) * 2018-09-26 2024-06-18 郑州大学 利用太阳能发电储能的叶片自调节百叶窗
KR102435657B1 (ko) * 2019-03-11 2022-08-24 신진 건물 외벽용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20210082656A (ko) 2019-12-26 2021-07-06 이유호 태양광 패널 블라인드
KR102586124B1 (ko) * 2021-06-09 2023-10-06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각도 조절과 적층 수납이 가능한 IoT 연동 태양광 패널 구조체
CN114552466A (zh) * 2022-01-12 2022-05-27 山东广域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箱式变电站临时用电工程施工的通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661A (ja) * 2002-06-26 2004-01-2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ブラインド
JP2010258023A (ja) * 2009-04-21 2010-11-11 Toyota Motor Corp 発電ブラインド装置
JP2013508589A (ja) * 2010-01-14 2013-03-07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太陽光ブラインド・ウィンド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202A (ko) * 2010-01-25 2011-08-02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및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가 구비된 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661A (ja) * 2002-06-26 2004-01-29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太陽電池ブラインド
JP2010258023A (ja) * 2009-04-21 2010-11-11 Toyota Motor Corp 発電ブラインド装置
JP2013508589A (ja) * 2010-01-14 2013-03-07 エルジー・ハウシス・リミテッド 太陽光ブラインド・ウィンド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29873A (ja) * 2019-02-07 2020-08-27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装置
JP7308044B2 (ja) 2019-02-07 2023-07-13 京セラ株式会社 太陽電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180A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762B1 (ko)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KR101174212B1 (ko) 차양겸용 pv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ang et al. Techno-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of the smart solar photovoltaic blinds considering the photovoltaic panel type and the solar tracking method
Bellia et al. An overview on solar shading systems for buildings
KR101529678B1 (ko) 태양광 발전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복합식 태양광 추미 방법, 이를 이용한 태양광 추미 장치 및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시스템
CN210947351U (zh) 一种装配式建筑屋顶结构
KR100980688B1 (ko) 발전과 차양을 겸하는 건축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12027B1 (ko) 자바라 타입의 접이식 태양광 발전 장치
CN205490346U (zh) 一种光伏太阳能装置自动防护装置
CN107208423A (zh) 高层建筑物用大型外部遮阳装置
KR20110011152A (ko) 태양광의 집광 및 태양광의 실내 유입 조절 기능을 하는 차양시스템
CN117406795A (zh) 一种太阳能光伏板倾角及高度智能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10121016A (ko) 태양 추적식 태양광 발전장치
CN203654538U (zh) 多参数控制智能热通道光伏幕墙
CN105220840A (zh) 一种百叶遮阳棚
EP2336479B1 (en) Screening system with movable sun louvers
CN203772118U (zh) 冷却水塔幕帘式防结冰自动控制系统
CN109586660A (zh) 一种建筑立面用光伏板
Hachem et al. Design of curtain wall facades for improved solar potential and daylight distribution
CN103184828A (zh) 一种有滑块的固定支架百叶窗帘
CN210714383U (zh) 一种太阳能智能百叶窗
CN106978869A (zh) 利用风能和太阳能的超高层建筑产能幕墙
CN201024600Y (zh) 可调式太阳能光电遮阳装置
JP5318154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制御装置
CN207486947U (zh) 一种建筑供暖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