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782B1 -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 Google Patents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782B1
KR100883782B1 KR1020080080951A KR20080080951A KR100883782B1 KR 100883782 B1 KR100883782 B1 KR 100883782B1 KR 1020080080951 A KR1020080080951 A KR 1020080080951A KR 20080080951 A KR20080080951 A KR 20080080951A KR 100883782 B1 KR100883782 B1 KR 100883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ll
soundproof
tunnel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메리츠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리츠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리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5/00Means or methods for preventing, binding, depositing, or removing dust; Preventing explosions or f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단가 구비된 방음터널에 관한 것으로, 방음터널의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된 빗물을 방음터널의 벽체로 흘려보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방음터널의 투명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방음터널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주며, 운전자의 시야확보 및 방음터널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가 구비된 방음터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두 벽체부와,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터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지붕부로 이루어진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우천시 지붕부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저장된 물을 벽체부의 내벽면으로 흘려보내어 벽체부의 내벽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방음터널, 세척수단, 수차, 배수문, 마그네틱부재, 세척수 회수수단, 투명방음판

Description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The soundproof tunnel with apparatus for washing}
본 발명은 세척수단가 구비된 방음터널에 관한 것으로, 방음터널의 벽체에 세척수단를 설치하여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저장 한 후 벽체의 내벽면으로 한번에 흘려보내 벽체를 세척하는 세척수단가 구비된 방음터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로나 고가도로, 교량 등의 도로변에는 차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 경적소리 등의 소음을 감쇄시켜 주변지역의 전반적인 소음분포를 저감시켜줄 수 있도록 방음벽이 설치된다.
또한 대규모 고층아파트 밀집지역이나 대단위 주상복합건물 밀집단지 등을 지나는 도로 혹은 고가도로 등에는 터널형의 방음시설이 설치되는바, 이를 통상적으로 방음터널이라 칭하는데, 상기의 방음터널에는 일정길이를 갖는 아치형의 구조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와 상기 벽체를 연결하는 아치형태의 지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방음터널은 도로의 외관이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답 답함을 느낄 수 있고 도로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주변의 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벽체와 지붕을 투명방음판을 조립하여 많이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투명방음판을 이용한 방음터널은 소음에 대한 대책만을 강구할 뿐, 방음터널 내부의 방음판에 대한 청결 문제와 운전자의 편의 부분에 대해서는 마땅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즉, 차량의 소통으로 인해 발생되는 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이 방음터널의 투명방음판에 부착됨으로써 투명방음판 본래의 투명성을 잃어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며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방음터널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차량 통행을 일부 통제시키면서 세척차량을 이용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함으로써 차량 통행에 지장을 주고, 별도의 장비나 인력이 동원되어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터널의 지붕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의 수압에 의해 작동되어 저장된 빗물을 방음터널의 벽체로 흘려보내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방음터널의 투명성을 항상 유지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방음터널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주며, 운전자의 시야확보 및 방음터널의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단가 구비된 방음터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두 벽체부와,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터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지붕부로 이루어진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우천시 지붕부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저장된 물을 벽체부의 내벽면으로 흘려보내어 벽체부의 내벽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체부와 지붕부는, 방음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외측면에 오목한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설치되되 지붕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판 사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진 수차부; 상기 회전판의 설치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설치부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가압하여 저장공간에 채워지는 물의 수압에 의해 수차부가 일정각도 만큼씩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해주고 타측단은 벽체부에 고정되는 수차회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을 따라 등간격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차회전조절부는, 상기 설치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축과, 세척수단이 벽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바형태의 고정바와, 상기 지지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삽입홀과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설치부의 삽입홀에 끼워지는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작용하면 수압에 의해 고정핀이 삽입홀에서 빠져 회전판이 회전함으로써 벽체부로 물을 흘려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의 끝단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차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세척수단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면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배수문; 상기 본체 의 내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문에 연결되어 개방된 배수문이 닫혀지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배수문에 설치되어 배수문이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문이 설정된 물의 압력이 초과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마그네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배수문이 본체의 하면에 부착될 경우 배수문과 하면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수단을 통해 흘려보내지는 물을 투명방음판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두 벽체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 벽체부의 외측으로 배수시켜주는 세척수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붕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세척수단을 통해 모아서 투명방음판의 내측면으로 흘려보내 줌으로써 별도로 방음터널의 내부를 세척할 필요 없이 방음터널 내부의 투명성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해주며, 세척수단이 수압을 통해 자동으로 작동됨으로써 별도의 구동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방음터널 내부의 배수 시설이 원활하게 작용하지 않을 경우 세척수 회수수단을 통해 투명방음판을 세척한 물을 다시 방음터널 내부로 배수시켜 방음터널 내부의 도로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세척수단이 설치된 방음터널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세척수단이 설치된 방음터널을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단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도 5 의 A-A의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두 벽체부(10)와, 상기 두 벽체부(10)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터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지붕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부(10)와 지붕부(20)는 방음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11)와 상기 지지부재(1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1)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방음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1)는 강한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H형강으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방음판(12)은 방음판고정브래킷(13)을 통해 지지부재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30)은 상기 두 벽체부(1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우천시 지붕부(20)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벽체부(10)의 내벽면, 즉 투명방음판(12)으로 흘려보내어 투명방음판(12)을 세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고 다수의 저장공간(60)을 구비하여 지붕부(2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투명방음판(12)으로 물을 흘려보내 투명방음판(12)이 세척되도록 하는 수차부(31)와, 상기 수차부(31)의 측면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벽체부(10)에 고정되어 수차부(31)가 벽체부(10)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수차부(31)의 저장공간(60)에 채워지는 물의 수압이 설정된 수압만큼 작용하면 수차부(31)가 일정한 각도만큼씩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수차회전조절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차부(31)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외측면에 오목한 형상의 설치부(33)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판(32)과, 상기 회전판(32) 사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지붕부(2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60)을 형성하는 다수의 날개부(3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부(33)의 내주면으로는 후술되는 수차회전조절부(40)의 고정핀(45)이 끼워질 수 있도록 방사상을 따라 등간격으로 삽입홀(3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차회전조절부(40)는 상기 설치부(33)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 축(42)과, 상기 세척수단(30)이 벽체부(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42)에 일체로 연결되는 바형태의 고정바(41)와, 상기 지지축(42)의 둘레를 따라 상기 삽입홀(34)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설치홀(43)과, 상기 설치홀(43)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44)와, 상기 스프링(44)에 의해 상기 설치홀(43) 상에서 상하로 작동됨으로써 수차부(31)의 설치부(33) 형성된 삽입홀(34)에 끼워지는 고정핀(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고정핀(45)은 삽입홀(34)에 끼워지는 끝단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차부(31)의 회전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수차부(3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차부(31)에 저장된 물이 방음터널의 외측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세척수단(30)은 벽체부(10)의 지지부재(11)에 브래킷(70)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70)에 수차회전조절부(40)의 고정바(41)가 고정됨으로써 벽체부(10)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척수단(30)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을 투명방음판(12)의 내측면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단(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11)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판(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14)은 단면이'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세척수단(30)에서 쏟아지는 물이 누수되지 않고 투명방음판(12)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일측단이 투명방음판(12)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 에서와 같이 지붕부(2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세척수 단(30)으로 유도해줄 수 있도록 벽체부(10)의 지지부재(11) 상단에 물홈통(15)을 설치한다.
상기 물홈통(15)은 세척수단(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붕부(20)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세척수단(30)의 저장공간(60)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것이다.
또한 지붕부(20)의 물이 물홈통(15)을 통해 세척수단(30)으로 흘러가지 않고 이웃하는 세척수단(30)들의 사이 공간으로 흘러가 지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수단(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물홈통(15)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플레이트(16)를 설치함으로써 세척수단(30)의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많은 량의 물을 세척수단(30)에 저장한 후 투명방음판(12)으로 흘려보내 투명방음판(12)을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30)은, 우기시에 지붕부(20)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물홈통(15)을 통해 유도되어 벽체부(10)의 상단에 위치한 세척수단(30)의 저장공간(60)에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공간(60)에 저장되는 물의 압력이 스프링(44)가 고정핀(45)을 밀어주는 압력보다 크게 되면 고정핀(45)이 삽입홀(34)에서 빠지게 되고 이로 인해 수차부(31)가 수차회전조절부(40)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저장공간(60)에 저장된 물이 벽체부(10)의 투명방음판(12)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투명방음판(12)의 내측면을 세척해주게 되는 것 이다.
이때 세척수단(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가이드판(14)을 통해 투명방음판(12)으로 유도되어 투명방음판(12)을 세척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세척수단(30)을 통해 지붕부(2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 벽체부(10)에 설치되는 투명방음판(12)의 내측면을 세척해줌으로써 주기적으로 방음터널 내부를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주며, 운전자의 시야확보 및 방음터널의 청결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세척수단(30)의 저장공간(60)에 물을 일정량만큼 저장한 후 투명방음판(12)으로 많은 량의 물을 흘려보내줌으로써 세척력이 강해져 투명방음판(12)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음판 세척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50)은 상기 두 벽체부(10)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지지부재(11)의 사이에 설치되어 우천시 지붕부(20)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벽체부(10)의 내벽면, 즉 투명방음판(12)의 내측면으로 흘려보내어 투명방음판(12)을 세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세척수단(50)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지붕부(20)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저장공간(60)이 구비되고 하면(52) 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본체(51)와, 상기 저장공간(60)에 저장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하면(52)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배수문(53)과, 상기 배수문(53)에 설치되어 배수문(53)이 본체(51)의 하면(52)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문(53)이 설정된 물의 압력이 초과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마그네틱부재(55)와, 상기 본체(51)의 내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문(53)에 연결되어 개방된 배수문(53)이 닫혀지도록 하는 탄성부재(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1)는 하면(52)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본체(51)의 저장공간(60)에 채워지는 물의 압력이 본체(51)의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게 되어 하면(52)에 설치되는 배수문(53)이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문(53)은 본체(51)의 하면(52)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수압에 의해 열려진 상태에서 탄성부재(56)의 탄성에 의해 다시 닫혀지게 되고, 마그네틱부재(54)에 의해 본체(51)의 하면이 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부재(54)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방수부재(55)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하여, 배수문(53)이 하면(52)에 부착될 경우 배수문(54)과 하면(52)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세척수단(50)은 저장공간(60)에 채워지는 물의 압력이 중력에 의해 하면(52)으로 작용하게 되고, 저장공간(60)에 물이 설정된 높이까지 채워지게 되어 하면(52)으로 작용하는 물의 압력이 마그네틱부재(54)를 통해 배수문(53)이 본체(51)의 하면(52)에 부착되는 부착력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배수문(53)이 하면(52)에서 분리되어 열려지게 되고 열려진 배수문(53)을 통해 저장공 간(60)의 물이 세척수단(50)의 하부에 위치한 투명방음판(12)의 내측면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투명방음판(12)을 세척해 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저장공간(60)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면 배수문(53)은 상기 탄성부재(56)에 의해 작동하게 되고, 마그네틱부재(54)에 의해 본체(51)의 하면(52)에 다시 부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세척수단(50)은 상기에 설명된 세척수단(30)과 같이 저장공간(60)에 물을 일정량만큼 저장한 후 투명방음판(12)으로 많은 량의 물을 흘려보내줌으로써 투명방음판(12)을 보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50)의 하부에도 세척수단(50)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을 투명방음판(12)의 내측면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11)의 사이에 가이드판(14)을 더 설치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1 에서와 같이 상기 두 벽체부(1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단(30)(50)을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 벽체부(10)의 외측으로 배수시켜주는 세척수 회수수단(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세척수 회수수단(80)은 지지부재(11)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투명방음판(12)을 세척한 물을 방음터널의 외부로 배수시킴으로써 방음터널 내부의 배수시설이 원활하게 작용하지 않을 경우 방음터널 내부의 도로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수 회수수단(80)은 지지부재의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얇은 판재 형태로서 벽체부(10)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투명방음판(12)을 세척한 물 모두를 방음터널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투명방음판(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세척수단이 설치된 방음터널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세척수단이 설치된 방음터널을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세척수단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세척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세척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도 5 의 A-A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지붕부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을 세척수단으로 유도하는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척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세척수 회수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체부 (11) : 지지부재
(12) : 투명방음판 (13) : 방음판고정브래킷
(14) : 가이드판 (15) : 물홈통
(16) : 고정플레이트 (20) : 지붕부
(30)(50) : 세척수단 (31) : 수차부
(32) : 회전판 (33) : 설치부
(34) : 삽입홀 (35) : 날개부
(40) : 수차회전조절부 (41) : 고정바
(42) : 지지축 (43) : 설치홀
(44) : 스프링 (45) : 고정핀
(51) : 본체 (52) : 하면
(53) : 배수문 (54) : 마그네틱부재
(55) : 방수부재 (56) : 탄성부재
(60) : 저장공간 (70)(71) : 브래킷
(80) : 세척수 회수수단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두 벽체부와,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터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지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부와 지붕부는 방음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우천시 지붕부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저장된 물을 벽체부의 내벽면으로 흘려보내어 벽체부의 내벽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세척수단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외측면에 오목한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 사이에 설치되되 지붕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판 사이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로 이루어진 수차부;
    상기 회전판의 설치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설치부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가압하여 저장공간에 채워지는 물의 수압에 의해 수차부가 일정각도 만큼씩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해주고 타측단은 벽체부에 고정되는 수차회전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내주면에는 방사상을 따라 등간격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차회전조절부는, 상기 설치부에 끼워지는 한 쌍의 지지축과, 세척수단이 벽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에 일체로 연결되는 바형태의 고정바와, 상기 지지축의 둘레를 따라 상기 삽입홀과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설치부의 삽입홀에 끼워지는 다수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작용하면 수압에 의해 고정핀이 삽입홀에서 빠져 회전판이 회전함으로써 벽체부로 물을 흘려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의 끝단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차부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6.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고정되는 두 벽체부와,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터널형의 구조를 형성하는 지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벽체부와 지붕부는 방음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투명방음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음터널에 있어서,
    상기 두 벽체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우천시 지붕부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저장공간 내부에 저장된 물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할 경우 저장된 물을 벽체부의 내벽면으로 흘려보내어 벽체부의 내벽면을 세척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세척수단은,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면에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배수문;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배수문에 연결되어 개방된 배수문이 닫혀지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배수문에 설치되어 배수문이 본체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배수문이 설정된 물의 압력이 초과될 경우에만 개방되도록 하는 마그네틱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배수문이 본체의 하면에 부 착될 경우 배수문과 하면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8.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세척수단을 통해 흘려보내지는 물을 투명방음판으로 유도하는 가이드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9. 제 3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벽체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단을 통해 흘러내리는 빗물을 받아 벽체부의 외측으로 배수시켜주는 세척수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KR1020080080951A 2008-08-19 2008-08-19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KR100883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951A KR100883782B1 (ko) 2008-08-19 2008-08-19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951A KR100883782B1 (ko) 2008-08-19 2008-08-19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782B1 true KR100883782B1 (ko) 2009-02-18

Family

ID=4068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951A KR100883782B1 (ko) 2008-08-19 2008-08-19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7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40B1 (ko) 2011-05-04 2013-05-28 박현숙 터널형 방음시설
KR101604997B1 (ko) * 2014-08-13 2016-03-21 매크로드 주식회사 친환경 방음 터널 시스템
KR102039020B1 (ko) * 2019-04-26 2019-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을 이용한 유리창 청소 장치
KR20200125177A (ko) * 2019-04-26 2020-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323A (ja) 1996-11-25 1998-06-09 Fujita Corp 高速道路上の汚染空気の浄化方法
JP2000262864A (ja) 1999-03-23 2000-09-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NOx浄化用遮音壁
KR200313379Y1 (ko) * 2002-12-07 2003-05-14 메리츠산업주식회사 방음벽 패널
KR100746977B1 (ko) * 2006-10-11 2007-08-07 안승철 자동회전 투명 방음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1323A (ja) 1996-11-25 1998-06-09 Fujita Corp 高速道路上の汚染空気の浄化方法
JP2000262864A (ja) 1999-03-23 2000-09-2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NOx浄化用遮音壁
KR200313379Y1 (ko) * 2002-12-07 2003-05-14 메리츠산업주식회사 방음벽 패널
KR100746977B1 (ko) * 2006-10-11 2007-08-07 안승철 자동회전 투명 방음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440B1 (ko) 2011-05-04 2013-05-28 박현숙 터널형 방음시설
KR101604997B1 (ko) * 2014-08-13 2016-03-21 매크로드 주식회사 친환경 방음 터널 시스템
KR102039020B1 (ko) * 2019-04-26 2019-11-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을 이용한 유리창 청소 장치
KR20200125177A (ko) * 2019-04-26 2020-1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KR102658710B1 (ko) 2019-04-26 2024-04-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782B1 (ko) 세척수단이 구비된 방음터널
US9752342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20060285926A1 (en) Impulse-responsive rotary actuator for storm drain barrier not disabled by immersion
KR101128069B1 (ko) 노면 우수배수용 친환경 구조물
CN113411048A (zh) 一种用于光伏太阳能的保护装置
US10435908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US9797126B2 (en) Multifunctional enclosure
KR200443808Y1 (ko) 개폐형 아케이드
KR101066644B1 (ko) 창호개방 시 외부소음 저감형 창호시스템
CN116565712B (zh) 一种防潮式高低压开关柜
KR102354746B1 (ko) 청소차에 의해 청소가 가능한 맨홀 악취 차단 장치
KR200387077Y1 (ko) 제설기능을 갖는 가드레일이 입설된 도로구조
KR102149487B1 (ko) 태양열을 이용한 방음벽
KR20100107120A (ko) 아케이드 전동 스크린 시스템
KR101312288B1 (ko) 버스 승강장
CN112727241B (zh) 一种环保型道路桥梁施工用防护栏
KR100661303B1 (ko) 케이블보호기능이 구비된 화단식용 도로의 중앙분리대
KR100746977B1 (ko) 자동회전 투명 방음판
CN113423220A (zh) 一种应用于设施农业环境数据综合监测装置
KR100836715B1 (ko) 배수 기능을 갖는 스틸 그레이팅
CN105649181A (zh) 一种中央型排水沟组件
KR102620743B1 (ko) 조립식 다기능 펜스 시스템
KR200194520Y1 (ko) 천막 회전터널형 지상주차장치
RU2162035C1 (ru) Укрытие для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CN115126399B (zh) 一种医院病房降噪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