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603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603B1
KR102091603B1 KR1020130067878A KR20130067878A KR102091603B1 KR 102091603 B1 KR102091603 B1 KR 102091603B1 KR 1020130067878 A KR1020130067878 A KR 1020130067878A KR 20130067878 A KR20130067878 A KR 20130067878A KR 102091603 B1 KR102091603 B1 KR 102091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drum
supply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431A (ko
Inventor
김경환
김재현
장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603B1/ko
Priority to EP14811606.4A priority patent/EP3008235B1/en
Priority to PCT/KR2014/005190 priority patent/WO2014200297A1/en
Priority to US14/303,789 priority patent/US10011938B2/en
Priority to CN201480038853.2A priority patent/CN105358754B/zh
Publication of KR2014014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유닛, 상기 밸런싱유닛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밸런싱유닛이 접촉되는 하우징 전력선,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통해 상기 밸런싱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된 터브(Tub)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정하는 드럼(Drum)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이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드럼은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의 위치에 따라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dynamic balance)을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될 수 있다.
동적균형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원심력 또는 원심력이 만드는 모멘트가 회전축에 대해서 0이 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강체(rigid body)의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면 동적균형이 유지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동적균형은 세탁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할 경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탁물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드럼이 허용범위 내의 진동폭을 가진 채 회전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 Unbalance)는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로 이는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 발생된다.
언밸런스 상태로 회전되는 드럼은 회전과 함께 진동하고, 드럼의 진동은 터브나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낳는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드럼의 언밸런스를 해소시키기 위한 밸런서를 구비한 것이 있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밸런서들은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 볼(ball)이나 액체가 구비된 볼밸런서나 유체밸런서였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은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드럼회전궤적의 최하점을 지날 때 속도가 가장 빠르고,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드럼회전궤적의 최고점을 지날 때 속도가 가장 느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볼밸런서나 유체밸런서는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최고점을 향해 이동할 때 드럼회전궤적의 최하점을 향해 볼이나 유체가 이동함으로써 언밸런스를 제어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의 언밸런스 제어는 드럼의 진동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정상상태 진동에서는 유용한 반면 드럼의 진동이 정상상태(steady state)에 도달하기 전인 과도상태(과도진동, transient vibration)에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밸런싱유닛은 언밸런스가 발생된 경우 언밸런스를 즉시 해소(언밸런스를 능동적으로 해소)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의 불균형회전(언밸런스)을 능동적으로 해소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밸런싱유닛이 구비된 밸런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밸런싱유닛에 유선을 통한 전력공급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유닛, 상기 밸런싱유닛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밸런싱유닛이 접촉되는 하우징 전력선을 포함하는 밸런서,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통해 상기 밸런싱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공급부, 상기 드럼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고, 회전 시 상기 제1공급부와 접촉이 유지되는 제2공급부,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고정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상기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어 전원에 연결되는 제1공급부, 상기 로터 또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로터의 회전 시 상기 제1공급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제2공급부,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축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전원에 연결되는 제1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부는 상기 로터 또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선에 연결되며 상기 제1접촉부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는 상기 로터를 향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단차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단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된 홈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관통홀, 상기 하우징 관통홀 내부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 및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 내부에 고정되어 전원에 연결되되 상기 제1베어링과 상기 제2베어링 사이에 위치되는 제1공급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공급부에 접촉되는 제2공급부,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축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런싱유닛은 적어도 두 개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각 밸런싱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런싱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유닛바디, 상기 유닛바디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유닛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휠,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하여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닛 전력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밸런싱유닛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각 밸런싱유닛은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유닛통신부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유닛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및 유닛통신부를 통해 상기 밸런싱유닛이 상기 드럼에 발생된 언밸런스를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닛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는 전류량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돌출부 또는 절곡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의 불균형회전(언밸런스)을 능동적으로 해소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두 개의 밸런싱유닛이 구비된 밸런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두 개의 밸런싱유닛에 유선을 통한 전력공급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서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전력공급부의 일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밸런서유닛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전력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 상기 드럼에 구비되어 드럼의 언밸런스를 감쇠시키는 밸런서(51, 5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11),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2)는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21)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2)는 터브지지부(23)에 의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지지부(23)는 댐퍼나 스프링 등에 의해 상기 터브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입구(11)와 터브 투입구(21) 사이에는 가스켓(1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켓(13)은 터브(2) 내부의 세탁수가 캐비닛(1)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닛(1)에는 터브(2)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7),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캐비닛(1)에는 터브(2)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1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세제박스(15)는 캐비닛(1)의 전방면(투입구가 구비된 면)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15)는 급수관(17)을 통해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세제공급관(18)을 통해 터브(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관(17)을 통해 세탁수가 급수될 때 세제박스(15)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공급관(18)을 통해 터브(2)에 공급될 것이다.
상기 드럼(3)은 터브 투입구(2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 터브 투입구 및 드럼 투입구를 통해 드럼(3)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3) 내부의 세탁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드럼(3)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33)을 포함한다. 이는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가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에서 배출된 물이 터브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드럼(3)의 내주면에는 드럼의 회전 시 세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드럼(3)은 터브(2)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4)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4)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41),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3),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과 로터(43)를 연결하는 회전축(4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로터(43)의 회전력을 드럼(3)에 용이하게 전달시키기 위한 암(37)이 드럼(3)의 배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회전축(45)은 상기 암(37)에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터브(2)에는 회전축(4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25)에는 터브(2)의 내부와 터브의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해 베어링 하우징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하우징 관통홀(26), 상기 하우징 관통홀(26)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45)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베어링(27) 및 제2베어링(29)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베어링(27)은 하우징 관통홀(26) 중 드럼(3) 배면에 가까운 곳(드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베어링(29)은 하우징 관통홀(26) 중 구동부(4)에 가까운 곳(구동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3)에는 드럼에 발생된 진동을 제어하는 밸런서(51, 53)가 구비되는데 상기 밸런서는 드럼(3)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드럼의 전방면 및 후방면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드럼(3)의 전방면에 구비된 전방밸런서(51) 및 드럼(3)의 후방면(배면)에 구비된 후방밸런서(53)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전방밸런서(51) 및 후방밸런서(53)는 그 위치만 다를 뿐 내부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할 밸런서의 구조는 전방밸런서 및 후방밸런서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서는 드럼(3)에 고정되는 하우징(55), 상기 하우징(55)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유닛(5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5)은 드럼(3)에 고정되는 하우징 바디(551), 상기 하우징 바디(551) 내부에 위치하며 원형궤도를 형성하는 수용공간(553)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바디(551)는 드럼 투입구(31)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기만 하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도 2는 링형상으로 구비된 하우징 바디(55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553)의 형상은 반지름이 일정한 완전한 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밸런싱유닛(57)의 이동이 가능한 한 국부적으로 반지름을 달리하는 불완전한 원형궤도(타원궤도 등)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용공간(553)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전력공급부(6)에 연결되는 하우징 전력선(555)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에는 전류량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돌출부(557) 또는 절곡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57)은 하우징 전력선(555)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형상이면 어떤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절곡홈(미도시)은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의 표면에 각도변화를 유발시키는 형상이면 어떤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돌출부(557) 및 절곡홈은 제어부(미도시)가 밸런싱유닛(57)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싱유닛(57)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밸런싱유닛에 의해 드럼(3)에 언밸런스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각 밸런싱유닛(57)의 기본 구조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싱유닛(57)은 수용공간(55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유닛바디(571), 상기 유닛바디(571)에 구비된 모터(573), 상기 모터(573)에 의해 회전하는 휠(572), 상기 유닛바디(571)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으로 유입되는 전력(전기에너지)을 상기 모터(573)에 전달하는 유닛 전력선(576)을 포함한다.
상기 휠(572)은 상기 유닛바디(57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모터(573)는 전방 휠과 후방 휠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유닛바디(571)의 상부면과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유닛바디(571)의 외주면이 수용공간(553)의 표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 (b)는 상기 간격유지부가 유닛바디(571)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1보조휠(574) 및 유닛바디(571)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2보조휠(575)이 모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은 상기 유닛바디(57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수용공간(553)에 고정될 수도 있고, 유닛바디(571)의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수용공간(553)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보조휠(574) 및 제2보조휠(575)은 상기 유닛바디(57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닛 전력선(576)은 상기 유닛바디(571)에 고정되어 하우징 전력선(555)에 접촉되고, 밸런싱유닛(57)이 수용공간(553) 내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밸런싱 유닛이 수용공간 내부를 따라 이동하더라도) 하우징 전력선(555)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하우징(55)의 수용공간(553) 내부에서 이동하는 상기 밸런싱유닛(57)은 상기 유닛 전력선(576)을 통해 하우징 전력선(555)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싱유닛(57)은 모터(573)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닛제어부(미도시)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유닛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부(4)의 제어나 세탁수의 급배수를 제어(급수관의 개폐나 배수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상기 유닛통신부(미도시)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3)에 언밸런스가 발생되면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언밸런스를 감쇠시키는 위치로 밸런싱유닛(57)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유닛통신부에 전송하고, 유닛제어부는 유닛통신부가 수신한 제어데이터에 근거하여 밸런싱유닛(57)을 특정된 위치(언밸런스를 감쇠시키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드럼에 발생된 언밸런스를 감쇠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6)는 전원(전력공급원)에 연결되는 제1공급부(61), 드럼(3)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1공급부(61)와 접촉을 유지하는 제2공급부(63), 상기 제2공급부(63)와 하우징 전력선(555)을 연결하는 연결선(67)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부(61)는 드럼(3)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 한 캐비닛(1) 내부 어느 곳에나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공급부(63)는 드럼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1공급부(61)에 접촉될 수 있는 한 캐비닛 내부 어느 곳에나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제2공급부(63)는 로터(43) 또는 회전축(45)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3)과 함께 회전하고, 제1공급부(61)는 베어링 하우징(25)에 고정되어 상기 제2공급부(63)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급부(61)는 전원선(65)을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미도시)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공급부(63)와 하우징 전력선(555)을 연결하는 연결선(67)은 회전축(45)에 구비된 축관통홀(451,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됨)을 통해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게 된다.
축관통홀(451)을 통해 터브(2)의 배면을 통과한 연결선(67)은 드럼의 내주면 또는 드럼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55)에 구비된 하우징 전력선(555)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전방밸런서(51)로 연장되는 연결선(67)은 드럼(3)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후방밸런서(53)로 연장되는 연결선(67)은 드럼의 외주면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어느 경우에나 연결선(67)은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므로 상기 드럼(3)에는 상기 연결선(67)과 세탁수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절연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45)에는 터브(2) 내부의 세탁수가 축관통홀(45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453)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회전축(45) 및 로터(43)가 드럼(3)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제2공급부(63)가 로터(43)와 함께 회전하더라도 연결선(67)이 꼬일(twisted, entangled) 염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드럼(3)과 함께 회전하는 밸런서의 내부를 이동하는 밸런싱유닛(57)에 유선(연결선, 67)을 통한 전력공급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는 세탁물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100)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세탁물의 건조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라면 상술한 터브(2)는 생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공급부(63)는 로터(43)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1공급부(61)는 캐비닛(1)에 고정되어 상기 제2공급부(63)와 접촉을 유지한다면 상술한 바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된 전력공급부(6)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급부(61)는 베어링 하우징(25)에 고정되는 제1바디(611)와 상기 제1바디(611)에 구비되되 전원선(65)에 연결되는 제1접촉부(613,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부(63)는 로터(43) 또는 회전축(45)에 고정되는 제2바디(631)와 상기 제2바디(631)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촉부(613)에 접촉하는 제2접촉부(633, 도체)를 포함한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611)는 회전축(45)이 위치된 방향에서 스테이터(4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다수의 단차(611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제1접촉부(613)는 상기 제1바디(611)에서 상기 제2접촉부(633)를 향해 회전축(45)과 나란하게 돌출되며, 각 접촉부(613)는 각 단차(6115)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다만, 상기 제1접촉부(613)는 왼쪽 끝단이 제1바디(611)에 고정(오른쪽 끝단이 자유단)된 정방향 접촉부(613a)와 오른쪽 끝단이 제1바디(611)에 고정(왼쪽 끝단은 자유단)된 역 접촉부(613b)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로터(43)의 회전방향이 바뀌더라도 제1접촉부(613)와 제2접촉부(633)가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도 4 (b)는 정방향 접촉부(613a)와 역방향 접촉부(613b)가 교번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바디(631)는 중심을 관통하는 바디 관통홀이 구비된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45)은 제2바디에 구비된 바디 관통홀에 삽입되고, 제2바디(631)는 로터(43)와 회전축(4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2바디(631)에는 회전축(45)이 위치된 방향에서 스테이터(41)가 위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다수의 단차(631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바디(631)는 상기 제1바디(611)에 구비된 단차(6115)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구비된 단차(63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접촉부(633)는 연결선(67)에 연결되되 각 단차(6311)에 의해 서로 구분된다.
한편, 제2접촉부(6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선(67)은 로터(43)에 구비된 로터관통홀(431, 방열홀 등)을 통해 로터(43)의 외부로 인출된 뒤 축관통홀(451)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바디(611)와 제2바디(631)에 단차(6115, 6311)를 두고, 각 단차에 제1접촉부(613) 및 제2접촉부(633)를 구비시킨 것은 드럼(3)의 진동 시 제1접촉부(613)와 제2접촉부(633)의 접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1접촉부(613)가 제1바디(611)에서 돌출되어 제2접촉부(633)에 접촉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지만 이와 달리 제2접촉부(633)가 제2바디(631)에서 돌출되어 제1접촉부(613)에 접촉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전력공급부(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전력공급부(6)가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1접촉부(613)가 회전축(45)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된다는 점이다.
즉, 제1바디(611)는 베어링 하우징(25)에 고정되어 로터(43)를 향해 돌출되고, 제1접촉부(613)는 상기 제1바디(611)에서 회전축(45)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제1접촉부(613)는 정방향 접촉부와 역방향 접촉부가 교번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4 (b)구조 참고).
상기 제2바디(631)는 회전축(45)과 로터(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바디(631)에는 베어링 하우징(25) 방향에서 로터(43)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접촉부(633)는 상기 단차에 의해 서로 구분되도록 상기 제1바디(631)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접촉부(613)는 제1바디(611)의 표면에 고정되어 구비되고, 제2접촉부(633)는 제2바디(63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접촉부(61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구비된 전력공급부(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2공급부(63)는 하나의 제2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제2접촉부 사이에 위치하여 드럼의 진동 시 제1접촉부(613)가 제2접촉부(633)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리어(635)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제2접촉부(633)가 제2바디(631)의 원주면을 따라 제2바디(631)의 표면에 고정되어 구비될 경우, 상기 베리어(635)는 하나의 제2접촉부(633)와 다른 하나의 제2접촉부(633)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바디(631)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바디(631)의 원주면에 제2접촉부(633)가 수용되는 홈(639)이 구비될 경우, 상기 베리어(635)는 하나의 수용홈(639)과 다른 하나의 수용홈(639) 사이에 위치한 제2바디(631)로 구비될 것이다.
상기 제1접촉부(613)는 도 4 (b)의 구조를 가지는 정방향 접촉부 및 역방향 접촉부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6 (b)와 같은 형태의 정방향 접촉부 및 역방향 접촉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접촉부(613)는 정방향 접촉부(613a)와 역방향 접촉부(613b)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4와 도 5의 제1접촉부도 도 6 (b)의 구조로 구비될 수 있음).
도 7은 전력공급부(6)가 베어링 하우징(25) 내부에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공급부(61)는 하우징 관통홀(26) 내부에 고정되고, 제2공급부(63)는 회전축(45)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공급부(61)와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바디(611)는 제1베어링(27)과 제2베어링(2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고정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접촉부(613)는 제1바디(611)에 고정되어 전원선(65)에 연결되되 회전축(45)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45)에 고정된 제2바디(631)에는 제1접촉부(613)가 접촉되며 연결선(67)이 연결되는 제2접촉부(633), 하나의 제2접촉부와 다른 하나의 제2접촉부 사이에 위치하여 제1접촉부(613)가 수용되는 베리어(6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제1공급부(61)는 터브(2)에 고정되고 제2공급부(63)는 로터(43)나 회전축(45)에 고정된 경우를 설명한 것이지만, 제1공급부(61)는 로터(43)나 회전축(45)에 고정되고 제2공급부(63)는 터브(2)에 고정되도록 전력공급부(6)의 구조를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제1공급부(61)는 로터(43)나 회전축(45)에 고정되고 제2공급부(63)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될 경우, 전원선(65)은 제2접촉부에 연결되어야 하고 연결선(67)은 제1접촉부에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도 8은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의 언밸런스 제어(진동제어)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드럼(3) 내주면에 세탁물(L)이 골고루 분산되지 못하고 드럼(3)의 일부 영역에 세탁물이 집중돼있으면 드럼(3)은 허용 진동범위를 초과한 진동을 하면서 회전하는 언밸런스 상태가 된다.
드럼(3)이 언밸런스 상태에 있는지 여부는 다양한 형태로 판단될 수 있는데, 제어부(미도시)가 로터(43)의 회전속도를 감지(제어부가 회전속도 감지수단(미도시)으로부터 로터의 회전속도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드럼의 언밸런스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은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드럼회전궤적의 최하점을 지날 때 속도가 가장 빠르고,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드럼회전궤적의 최고점을 지날 때 속도가 가장 느리다.
따라서, 로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통해 드럼의 언밸런스 여부를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언밸런스를 유발시키는 세탁물의 위치도 판단 가능하다.
한편, 드럼의 언밸런스 여부 및 언밸런스를 유발시키는 세탁물의 위치가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미도시) 및 유닛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언밸런스를 감쇠시킬 수 있는 위치로 밸런싱유닛(57)을 이동시키는 제어데이터(제어명령)를 밸런싱유닛(57)에 전송(무선전송이 바람직함)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제어부(미도시)는 각 밸런싱유닛(57)의 무게에 의해 생성되는 힘의 합이 세탁물에 의해 유발된 힘을 감쇠(상쇄)시킬 수 있도록 각 밸런싱유닛(57)을 이동시킨다(각 밸런싱유닛(57)의 무게에 의해 생성되는 힘의 방향이 언밸런스를 유발시키는 세탁물이 위치와 정반대가 되도록 각 밸런싱유닛을 이동).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밸런싱유닛(57)의 이동을 위한 전력은 전력공급부(6), 하우징 전력선(555) 및 유닛 전력선(576)에 의해 공급된다.
즉, 전원선(65)은 제1공급부에 구비된 제1접촉부(613)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1접촉부(613)는 드럼(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제2공급부의 제2접촉부(633)에 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접촉부(633)는 연결선(67)을 통해 밸런서의 수용공간(553) 내부에 구비된 하우징 전력선(555)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밸런싱유닛(57)들은 유닛 전력선(576)을 통해 이동 중에도 하우징 전력선(555)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본 발명은 각 밸런싱유닛(57)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제1공급부는 정방향 접촉부와 역방향 접촉부가 구비되고, 제2공급부(63)에는 제1접촉부(613)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리어(635)가 구비되어 있어 언밸런스에 의해 드럼(3)이 진동하더라도 각 밸런싱유닛(57)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미도시, 또는 유닛제어부)가 밸런싱유닛(57)의 이동 거리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밸런싱유닛(57)의 현재 위치를 제어부(또는 유닛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하우징 전력선(555)에 구비된 돌출부(557) 또는 절곡홈(미도시)을 통해 제어부(미도시)가 밸런싱유닛(57)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체를 따라 흐르는 전류는 도체의 형상이 변화되는 부분에서 크기(전류의 크기)가 변화된다. 따라서, 유닛제어부(미도시)가 모터(573)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미도시)는 각 밸런싱유닛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 전력선(555)에 구비된 돌출부(557, 또는 절곡홈)가 두 개로 구비(서로 180도 이격)될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언밸런스 상황이 종료될 때마다(드럼의 회전이 중단될 때마다) 각 밸런싱유닛(57)을 각 돌출부(557)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밸런싱유닛(57)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1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각 밸런싱유닛(57)은 각 돌출부(557)에 위치하게 될 것이므로 드럼의 회전 중 언밸런스 발생 시 제어부(미도시)는 언밸런스 감쇠를 위해 밸런싱유닛(57)이 이동해야 할 방향과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언밸런스 상황이 종료(드럼의 회전이 중단)된 뒤 드럼이 다시 회전할 때 밸런싱유닛(57)에 의해 언밸런스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미도시)는 언밸런스 상황이 종료된 뒤 각 밸런싱유닛(57)을 초기위치(돌출부(557)가 구비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한 번의 언밸런스 상황이 종료된 뒤 드럼의 회전이 재개되어 언밸런스가 재발생하더라도 제어부(미도시)는 밸런싱유닛(57)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의 산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하우징 전력선(555)에 구비된 돌출부(557, 또는 절곡홈)는 다수 개로 구비되고, 각 돌출부(557)마다 전류의 크기가 다르도록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언밸런스의 제어가 완료될 때마다(드럼의 회전이 중단될 때마다) 각 밸런싱유닛(57)을 초기위치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지만 각 밸런싱유닛(57)이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각 밸런싱유닛(57)을 이동시켜야 한다.
즉, 두 개의 밸런싱유닛(57)이 구비된 밸런서의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언밸런스의 제어가 완료될 때마다 두 개의 밸런싱유닛(57)이 180도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각 밸런싱유닛(57)을 이동시켜야 하고, 세 개의 밸런싱유닛(57)이 구비된 경우라면 언밸런스 상황이 종료된 뒤 각 밸런싱유닛(57)이 120도 이격된 위치에 잇도록 각 밸런싱유닛(57)을 이동시켜야 할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전력공급부(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6)는 터브(2) 및 로터(43)와의 조립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도 9에 도시된 전력공급부(6)는 제1공급부(61)와 제2공급부(63)를 체결하는 결합판(62, 가조립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제1공급부(61) 및 결합판(62)은 제1볼트(C1)를 통해 터브(2)의 배면(또는 베어링 하우징(25))에 고정되고, 상기 제2공급부(63)는 제2볼트(C2)를 통해 결합판(62)에 고정된다.
상기 제1공급부(61)에는 제1바디(61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볼트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볼트(C1)는 제1볼트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1공급부(61) 및 결합판(62)을 터브(2)의 배면에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제2공급부(63)에는 제2바디(63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2볼트 관통홀 및 제3볼트 관통홀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볼트(C2)는 제2볼트 관통홀에 삽입되어 제2공급부(63)를 결합판(62)에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로터(43)에는 제2볼트 관통홀에 연통하며 로터를 관통하는 제1홀(433), 상기 제3볼트 관통홀에 연통하며 로터를 관통하는 제2홀(435)이 구비된다.
상기 제2볼트 관통홀과 상기 제3볼트 관통홀은 교번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1홀(433)과 제2홀(435) 역시 교번적으로 구비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전력공급부(6)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볼트 관통홀에 삽입된 제1볼트(C1)를 통해 전력공급부(6)를 터브의 배면에 고정한 뒤 작업자는 축고정부(455)를 통해 회전축(45)에 로터(43)를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는 제2홀(435)에 제3볼트(C3)를 체결함과 동시에 제1홀(433)을 통해 제2볼트(C2)를 회전시켜 제2공급부(63)와 결합판(62)을 분리시킨다. 따라서, 제1공급부(61)는 제1볼트(C1)를 통해 터브의 배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반면 제2공급부(63)는 제3볼트(C3)에 의해 로터(43)에 고정될 것이다.
도 10은 제1공급부(61)는 제1바디(611)를 관통하는 제1볼트 관통홀(6117) 및 체결홈(615)을 더 포함하고, 제2공급부(63)는 제2바디(631)를 관통하는 제2볼트 관통홀(6313) 및 상기 체결홈(615)에 삽입되는 체결돌기(637)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로터(43)에는 제2볼트 관통홀(6313)에 연통하며 로터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홀(433)이 더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전력공급부(6)는 체결돌기(637)가 체결홈(615)에 삽입됨으로써 제1공급부(61)와 제2공급부(63)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공급부(61)와 제2공급부(63)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볼트(C1)를 제1볼트 관통홀(6117)에 삽입하여 전력공급부(6)를 터브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력공급부(6)가 터브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축고정부(455)를 통해 회전축(45)에 로터(43)를 고정시키며, 로터(43)가 고정되면 작업자는 제1홀(433) 및 제2볼트 관통홀(6313)에 제2볼트(C2)를 삽입하여 제2공급부(63)를 로터(43)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돌기(637) 및 체결홈(615)은 제2공급부(63)가 로터(43)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제2공급부(63)의 이동을 안내하므로 제1접촉부(613)와 제2접촉부(633)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1접촉부(613)와 제2접촉부(633)의 접촉면적을 조절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1의 전원공급부(6)는 터브(2)의 배면에 구비되어 제1공급부(61)가 수용되는 바디지지부(64), 상기 바디지지부(64)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공급부(61)를 상기 제2공급부(63)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디이송부(66)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바디지지부(64)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되되 제2공급부(6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바디지지부(64)에는 제1공급부(61)의 제1바디(611)가 수용되는 지지부 관통홀(641)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 관통홀(641)에는 제1바디(611)의 외주면에 구비된 수용홈(6113)에 결합되는 바디 고정돌기(643)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이송부(66)는 지지부 관통홀(641)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바디(6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송부 바디(661), 상기 이송부 바디(661)를 상기 바디지지부(64)에 연결시키는 탄성지지부(665)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 바디(661)에는 제1바디(611)의 경사면(6111)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진 경사면(663)이 구비된다.
상술한 전력공급부(6)의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1공급부(61) 및 바디이송부(66)가 지지부 관통홀(6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바디지지부(64)를 터브의 배면에 고정시킨다(도 11 (a)).
이후 작업자는 로터(43)에 제2공급부(63)를 고정시킨 뒤 회전축(45)에 로터(43)를 고정시키며, 로터(43)와 회전축(45)이 고정되면 작업자는 바디이송부(66)를 이동시켜 제1공급부(61)를 제2공급부(63)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공급부(61)가 지지부 관통홀(641)을 통해 바디지지부(64)에서 인출되면, 바디 고정돌기(643)는 제1바디에 구비된 수용홈(6113)에 삽입되므로 제1공급부(61)의 위치가 고정된다(도 11 (b)).
한편, 제1바디(61)의 위치가 고정되면 제1접촉부(613)는 제2접촉부(633)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바디이송부(66)는 탄성지지부(665)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도 11 (a)).
상기 바디이송부(66)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공급부(61)의 경사면(6111)이 로터(43)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바디이송부의 경사면이 로터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상기 바디이송부(66)는 로터(43)를 향해 이동해야만 제1공급부(61)를 제2공급부(6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경우 상기 바디이송부(66)에는 이송부 바디(661)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로터관통홀(431)을 통해 상기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이송부 바디(661)를 로터(43)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제1공급부(61)의 경사면(6111)이 로터(43)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미도시), 상기 바디이송부(66)는 터브의 배면을 향해 이동해야만 제1공급부(61)를 제2공급부(6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경우 작업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바(bar)를 로터관통홀(431)에 삽입한 뒤 이송부 바디(661)를 터브의 배면을 향해 밀어줌으로써 제1공급부(61)를 제2공급부(63)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투입구
13: 가스켓 15: 세제박스 17: 급수관
18: 세제공급관 19: 배수관 2: 터브
21: 터브 투입구 23: 터브지지부 25: 베어링하우징
26: 하우징 관통홀 27: 제1베어링 29: 제2베어링
3: 드럼 31: 드럼 투입구 33: 관통홀
35: 리프터 37: 암 4: 구동부
41: 스테이터 43: 로터 431: 로터관통홀
45: 회전축 451: 축관통홀 453: 실링부
51: 전방밸런서 53: 후방밸런서 55: 하우징
551: 하우징 바디 553: 수용공간 555: 하우징 전력선
557: 돌출부 57: 밸런싱유닛 571: 유닛바디
572: 휠 573: 모터 576: 유닛 전력선
6: 전력공급부 61: 제1공급부 611: 제1바디
613: 제1접촉부 615: 체결홈 63:제2공급부
631: 제2바디 633: 제2접촉부 635: 베리어
639: 홈 65: 전원선 67: 연결선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유닛, 상기 밸런싱유닛의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밸런싱유닛이 접촉되는 하우징 전력선을 포함하는 밸런서;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통해 상기 밸런싱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공급부는
    전원이 연결되는 제1공급부;
    상기 드럼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는 제2공급부;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급부와 제2공급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접촉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고정된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상기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며, 상기 제2공급부는 상기 로터 또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축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터브에 고정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에 구비되며 전원에 연결되는 제1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급부는 상기 로터 또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선에 연결되며 상기 제1접촉부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바디에서 상기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에는 상기 로터를 향할수록 지름이 증가하는 적어도 두 개의 단차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단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원기둥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2바디의 원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구비된 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베어링 하우징, 상기 베어링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 관통홀, 상기 하우징 관통홀 내부에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베어링 및 제2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하우징 관통홀 내부에 고정되어 전원에 연결되되 상기 제1베어링과 상기 제2베어링 사이에 위치되는 제1공급부;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1공급부에 접촉되는 제2공급부;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축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선은 상기 축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2공급부와 상기 하우징 전력선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유닛은 적어도 두 개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고, 각 밸런싱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 밸런싱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유닛바디;
    상기 유닛바디에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유닛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휠;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하여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유닛 전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밸런싱유닛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각 밸런싱유닛은 상기 통신부와 통신하는 유닛통신부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유닛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및 유닛통신부를 통해 상기 밸런싱유닛이 상기 드럼에 발생된 언밸런스를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유닛제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는 전류량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돌출부 또는 절곡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30067878A 2013-06-13 2013-06-13 의류처리장치 KR102091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78A KR102091603B1 (ko) 2013-06-13 2013-06-13 의류처리장치
EP14811606.4A EP3008235B1 (en) 2013-06-13 2014-06-1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CT/KR2014/005190 WO2014200297A1 (en) 2013-06-13 2014-06-1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303,789 US10011938B2 (en) 2013-06-13 2014-06-1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480038853.2A CN105358754B (zh) 2013-06-13 2014-06-13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878A KR102091603B1 (ko) 2013-06-13 2013-06-1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431A KR20140145431A (ko) 2014-12-23
KR102091603B1 true KR102091603B1 (ko) 2020-03-20

Family

ID=5201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878A KR102091603B1 (ko) 2013-06-13 2013-06-1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11938B2 (ko)
EP (1) EP3008235B1 (ko)
KR (1) KR102091603B1 (ko)
CN (1) CN105358754B (ko)
WO (1) WO2014200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909B1 (ko) * 2014-06-23 2021-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70002889A (ko)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DE102016220112A1 (de) * 2015-11-12 2017-05-18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mit einer Unwuchtausgleichsvorrichtung mit azimutal veränderbarem Magnetfeld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erartigen Haushaltsgeräts
CN110857523A (zh) * 2018-08-09 2020-03-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KR20200096047A (ko)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112111932B (zh) * 2019-06-19 2023-03-31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洗衣机平衡装置和洗衣机
EP3795738B1 (en) 2019-09-18 2022-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bination washing and drying apparatuses including cooled water condensers
EP3862478A1 (en) * 2020-02-10 2021-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ynamic balancing assemblies and laundry apparatuses having one or more clocksprings
EP3862479A1 (en) 2020-02-10 2021-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spensionless laundry apparatuses and methods of balancing a laundry apparatus
EP3862477A1 (en) 2020-02-10 2021-08-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apparatuses having dynamic balancing assemblies
CN114808374B (zh) * 2021-01-28 2023-10-2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导电件组件、供电系统和衣物处理设备
CN114808377B (zh) * 2021-01-28 2024-01-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平衡器和衣物处理设备
CN114808375A (zh) * 2021-01-28 2022-07-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N114808378B (zh) * 2021-01-28 2023-11-24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导电环、平衡器和衣物处理设备
CN115874403A (zh) * 2022-12-14 2023-03-31 深圳一目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滚筒洗衣机桶体内部供电的装置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339U (zh) * 1989-11-22 1990-08-29 无锡市滑导电器厂 安全滑接输电装置
CN2198690Y (zh) * 1994-08-28 1995-05-24 张铭勇 无中间接头安全滑接输电装置
CN2854871Y (zh) * 2005-12-02 2007-01-03 刘永利 安全滑触电缆
CN102782201B (zh) 2010-03-15 2015-10-07 Lg电子株式会社 洗涤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806836B1 (ko) * 2011-05-04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55897B1 (ko) * 2011-07-27 2015-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모터와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847931B1 (ko) * 2011-08-10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2671995B1 (en) 2012-06-07 2015-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lancer, balancer housing,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8235B1 (en) 2018-08-08
US10011938B2 (en) 2018-07-03
CN105358754A (zh) 2016-02-24
US20140366591A1 (en) 2014-12-18
EP3008235A4 (en) 2017-03-29
WO2014200297A1 (en) 2014-12-18
EP3008235A1 (en) 2016-04-20
KR20140145431A (ko) 2014-12-23
CN105358754B (zh)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60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18909B1 (ko) 의류처리장치
JP6396509B2 (ja) 衣類処理装置
US20160230328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801152B2 (en) Clothes processing device
CN114846194B (zh) 具有动态平衡组件的洗衣设备
CN114846193B (zh) 无悬架式洗衣设备和平衡洗衣设备的方法
KR102534478B1 (ko) 의류처리장치
CN114846192B (zh) 具有一个或多个发条的动态平衡组件和洗衣设备
KR102329421B1 (ko) 의류처리장치
US11427949B2 (en) Washing machine
KR10221891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197221B (zh) 衣物处理机及其控制方法
EP3504371B1 (en) Washing machine
KR1023305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2189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419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8446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