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911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911B1
KR102218911B1 KR1020140076732A KR20140076732A KR102218911B1 KR 102218911 B1 KR102218911 B1 KR 102218911B1 KR 1020140076732 A KR1020140076732 A KR 1020140076732A KR 20140076732 A KR20140076732 A KR 20140076732A KR 102218911 B1 KR102218911 B1 KR 10221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wer
leg
connector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306A (ko
Inventor
권오신
김경환
문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911B1/ko
Priority to US14/745,068 priority patent/US9951455B2/en
Priority to US14/746,307 priority patent/US9617676B2/en
Priority to JP2016573736A priority patent/JP6396509B2/ja
Priority to AU2015280864A priority patent/AU2015280864B2/en
Priority to CN201580033882.4A priority patent/CN106460286B/zh
Priority to EP15811825.7A priority patent/EP3158121B1/en
Priority to BR112016030087-4A priority patent/BR112016030087B1/pt
Priority to PCT/KR2015/006349 priority patent/WO2015199405A1/en
Priority to EP15811721.8A priority patent/EP3158120B1/en
Priority to CN201580033771.3A priority patent/CN106661804B/zh
Priority to RU2017101815A priority patent/RU2654451C1/ru
Priority to PCT/KR2015/006352 priority patent/WO2015199408A1/en
Publication of KR2015014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폐루프를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 유닛,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런싱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하우징 전력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유닛바디, 상기 유닛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설치된 터브(Tub)와, 상기 터브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정하는 드럼(Drum)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이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드럼은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의 위치에 따라 동적균형(dynamic equribrium, dynamic balance)을 유지하지 못하고 회전될 수 있다.
동적균형은 '회전체가 회전할 때 원심력 또는 원심력이 만드는 모멘트가 회전축에 대해서 0이 되는 상태'를 의미하는데 강체(rigid body)의 경우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면 동적균형이 유지된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에 있어 동적균형은 세탁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드럼이 회전할 경우,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세탁물의 질량분포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경우(드럼이 허용범위 내의 진동폭을 가진 채 회전하는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반면,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 Unbalance)는 드럼의 회전 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질량분포가 일정하지 않은 상태로 이는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은 경우 발생된다.
언밸런스 상태로 회전되는 드럼은 회전과 함께 진동하고, 드럼의 진동은 터브나 캐비닛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낳는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드럼의 언밸런스를 해소시키기 위한 밸런서를 구비한 것이 있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밸런서들은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 볼(ball)이나 액체가 구비된 볼밸런서나 유체밸런서였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은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드럼회전궤적의 최하점을 지날 때 속도가 가장 빠르고,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드럼회전궤적의 최고점을 지날 때 속도가 가장 느린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볼밸런서나 유체밸런서는 언밸런스를 유발하는 세탁물이 최고점을 향해 이동할 때 드럼회전궤적의 최하점을 향해 볼이나 유체가 이동함으로써 언밸런스를 제어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의 언밸런스 제어는 드럼의 진동이 일정한 범위 내에 있는 정상상태 진동에서는 유용한 반면 드럼의 진동이 정상상태(steady state)에 도달하기 전인 과도상태(과도진동, transient vibration)에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밸런싱유닛은 언밸런스가 발생된 경우 언밸런스를 즉시 해소(언밸런스를 능동적으로 해소)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또한, 종래 밸런싱유닛의 브러쉬는 하우징에 구비된 전력선과 접촉시 브러쉬의 형태 변형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밸런싱유닛의 브러쉬는 모터 전원 케이블에 직접 납땜처리하여 연결함으로 인해 내구성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형태 변형이 감소되는 브러쉬를 구비한 밸런싱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브러쉬를 구비한 밸런싱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폐루프를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 유닛,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런싱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하우징 전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유닛바디, 상기 유닛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브러쉬, 상기 브러쉬가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브러쉬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다리, 상기 브러쉬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다리, 상기 제1다리와 상기 제2다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다리는 상기 커넥터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단자에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다리는 상기 전력단자에 접촉되게 구비되기 위하여 상기 제2다리보다 길이가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력단자와 상기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유닛전력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변곡면 및 제3변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 제2변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변곡면 및 제3변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전력단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제2변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단자는 상기 커넥터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력단자와 상기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유닛전력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형태 변형이 감소되는 브러쉬를 구비한 밸런싱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에 착탈 가능한 브러쉬를 구비한 밸런싱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서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서 유닛이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종래 밸런서 유닛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구비된 브러쉬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3), 상기 드럼에 구비되어 드럼의 언밸런스를 감쇠시키는 밸런서(51, 53)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투입구(11),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2)는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21)를 포함한다. 상기 터브(2)는 터브지지부(23)에 의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지지부(23)는 댐퍼나 스프링 등에 의해 상기 터브에서 발생된 진동을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입구(11)와 터브 투입구(21) 사이에는 가스켓(13)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켓(13)은 터브(2) 내부의 세탁수가 캐비닛(1)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터브(2)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재질의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캐비닛(1)에는 터브(2)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7), 상기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1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캐비닛(1)에는 터브(2)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박스(1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세제박스(15)는 캐비닛(1)의 전방면(투입구가 구비된 면)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15)는 급수관(17)을 통해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고, 세제공급관(18)을 통해 터브(2)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관(17)을 통해 세탁수가 급수될 때 세제박스(15)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공급관(18)을 통해 터브(2)에 공급될 것이다.
상기 드럼(3)은 터브 투입구(2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31)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입구, 터브 투입구 및 드럼 투입구를 통해 드럼(3)에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드럼(3) 내부의 세탁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드럼(3)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관통홀(33)을 포함한다. 이는 터브(2)에 저장된 세탁수가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세탁물에서 배출된 물이 터브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드럼(3)의 내주면에는 드럼의 회전 시 세탁물을 교반시키기 위한 리프터(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드럼(3)은 터브(2)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4)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4)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41), 스테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43),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과 로터(43)를 연결하는 회전축(45)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로터(43)의 회전력을 드럼(3)에 용이하게 전달시키기 위한 암(37)이 드럼(3)의 배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회전축(45)은 상기 암(37)에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터브(2)에는 회전축(4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하우징(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25)에는 터브(2)의 내부와 터브의 외부를 연통시키기 위해 베어링 하우징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하우징 관통홀(26), 상기 하우징 관통홀(26)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축(45)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은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베어링(27) 및 제2베어링(29)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베어링(27)은 하우징 관통홀(26) 중 드럼(3) 배면에 가까운 곳(드럼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베어링(29)은 하우징 관통홀(26) 중 구동부(4)에 가까운 곳(구동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3)에는 드럼에 발생된 진동을 제어하는 밸런서(51, 53)가 구비되는데 상기 밸런서는 드럼(3)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드럼의 전방면 및 후방면 각각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드럼(3)의 전방면에 구비된 전방밸런서(51) 및 드럼(3)의 후방면(배면)에 구비된 후방밸런서(53)가 모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전방밸런서(51) 및 후방밸런서(53)는 그 위치만 다를 뿐 내부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설명할 밸런서의 구조는 전방밸런서 및 후방밸런서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서는 드럼(3)에 고정되는 하우징(55), 상기 하우징(55)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유닛(5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5)은 드럼(3)에 고정되는 하우징 바디(551), 상기 하우징 바디(551) 내부에 위치하며 원형궤도를 형성하는 수용공간(553)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바디(551)는 드럼 투입구(31)가 관통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기만 하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도 2는 링형상으로 구비된 하우징 바디(551)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공간(553)의 형상은 반지름이 일정한 완전한 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밸런싱유닛(57)의 이동이 가능한 한 국부적으로 반지름을 달리하는 불완전한 원형궤도(타원궤도 등)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용공간(553)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전력공급부(6)에 연결되는 하우징 전력선(555)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에는 전류량의 변화를 유발시키는 돌출부(557) 또는 절곡홈(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57)는 하우징 전력선(555)의 단면적을 변화시키는 형상이면 어떤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절곡홈(미도시)은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의 표면에 각도변화를 유발시키는 형상이면 어떤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돌출부(557) 및 절곡홈은 제어부(미도시)가 밸런싱유닛(57)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구비된 밸런싱유닛(57)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밸런싱유닛에 의해 드럼(3)에 언밸런스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각 밸런싱유닛(57)의 기본 구조는 서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싱유닛(57)은 수용공간(55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되는 유닛바디(571), 상기 유닛바디(571)에 구비된 모터(573), 상기 유닛바디(571)를 지지하며 모터(573)에 의해 회전하는 휠(572), 상기 유닛바디(571)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으로 유입되는 전력(전기에너지)을 상기 모터(573)에 전달하는 유닛 전력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휠(572)은 상기 유닛바디(57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모터(573)는 전방 휠과 후방 휠 중 어느 하나만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유닛바디(571)의 상부면과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유닛바디(571)의 외주면이 수용공간(553)의 표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유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런싱유닛(57)은 수용공간(553)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하우징 전력선(555)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하우징 바디(551)는 수용공간(553)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552)에 밸런싱유닛(57)이 구비된다.
밸런싱유닛(57)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휠 또는 후방휠(572)에 구비된 모터(573)가 회전함으로 인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수용공간(553)의 내주면에 구비된 하우징 전력선(555)은 밸런싱유닛(57)에 구비된 모터(573)에 전력을 공급하여 전방휠 또는 후방휠(572)을 회전시켜 상기 수용공간(553)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전원을 공급하는 하우징 전력선(555)과 밸런싱유닛(57)을 구동시키는 모터(573)사이에 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싱유닛(57)의 유닛바디(571)에 브러쉬(700)가 구비된다.
종래의 브러쉬(700)는 U자 모양으로,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과 양끝단에서 접촉하게 구비되었다.
밸런싱유닛(57)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553)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700)는 하우징 전력선(555)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원심력(Centrifugal force)에 의한 수직항력(Normal force)으로 인하여 브러쉬(700)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하 서술할 본 발명과는 달리 브러쉬(700)는 상기 모터(573)을 연결하는 유닛전력선(576)에 직접 납땜처리되어 구비되어, 상기 밸런싱유닛(57)이 상기 수용공간(553)내부를 이동하는 도중 생기는 진동으로 인하여 납땜처리한 부분이 피로파괴(Fatigue fracture)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브러쉬(700)형태와 상기 브러쉬(700)와 유닛전력선(576)의 전기적 접촉(Electrical contact)을 개선 하였는바 이하 자세히 서술한다.
도 6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러쉬와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브러쉬(700)는 M자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밸런싱유닛(57)은 수용공간(553)내에서 이동하면서 밸런싱유닛(57)의 브러쉬(700)는 하우징전력선(555)과 접촉한 상태로 운동을 하기 때문에, 브러쉬(700)의 형태가 M자 모양으로 구비되어 있으면 브러쉬의 형태변형이 감소되며 신뢰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브러쉬(700)는 양 끝단에 제1다리(711) 및 제2다리(712)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다리(711) 및 제2다리(712)사이에 변곡면(72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다리(711)는 상기 제2다리(712)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커넥터(800)의 제1다리(711)가 수용되는 제1소켓(811)에 상기 제1다리(711)가 전력단자(801)에 접촉되게 하기 위함이다.
커넥터(800)는 상기 유닛바디(800)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70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800)의 내부에는 상기 브러쉬(700)가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모터(573)로 전달하기 위한 유닛 전력선(576)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전력단자(801)가 구비된다.
도 6에서는 상기 전력단자(801)가 하나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곡면(720)은 U자 모양의 제2변곡면(722)과 n자 모양의 제1변곡면(721) 및 제3변곡면(7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러쉬(70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곡면(720)을 포함한 M자 형태로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브러쉬(700)가 하우징 전력선(555)과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원심력(Centrifugal force)에 의한 수직항력(Normal force)으로 인한 브러쉬(700)의 형태변형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 에서는, 제1변곡면(721) 및 제3변곡면(723)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전력단자(801)의 일단은 상기 제1다리(711)과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전력단자(801)의 타단은 상기 유닛 전력선(576)에 접촉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변곡면(721) 및 제3변곡면(723)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은 상기 제1다리(711)을 통하여 상기 전력단자(801)로 전달되고, 상기 유닛 전력선(576)을 통하여 상기 모터(573)으로 전달된다.
또한 제1변곡면(721)과 제3변곡면(723)을 연결하며 사이에 구비되는 제2변곡면(722)은 상기 커넥터(800)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는데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700)는 커넥터(800)의 하부면과 제2변곡면(722)의 사이에 여유공간이 구비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밸런싱 유닛(57)이 진동 하면서 상기 수용공간(553)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2변곡면(722)과 커넥터(800)의 하부면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다리(711) 및 상기 제2다리(712)의 끝단은 고정훅(Fixing hook)(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상기 브러쉬(700)로부터 상기 모터(573)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브러쉬(700)의 끝단과 상기 모터(573)의 전원 케이블을 직접 납땜처리하여 연결한 것과 달리, 상기 고정훅(Fixing hook)(730)이 상기 커넥터(800)의 소켓(8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기 위함이다.
밸런싱 유닛(57)은 수용공간(553)내에서 진동하며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납땜처리하여 연결한 연결부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납땜처리하여 연결하는 대신 상기 브러쉬(700)의 끝단에 구비된 고정훅(730)이 각각 상기 커넥터(800)의 제1소켓(811) 및 제2소켓(812)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진동에 의한 피로파괴(Fatigue fracture) 위험을 감소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다리(711)의 끝단에 구비된 제1고정훅(The first fixing hook)(731)은 상기 커넥터(800)의 제1소켓(811)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다리(712)의 끝단에 구비된 제2고정훅(The second fixing hook) (732)은 상기 커넥터(800)의 제2소켓(812)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브러쉬(700)는 탄성재질(Elastic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다리(711) 및 상기 제2다리(712)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커넥터(800)에 삽입하면, 상기 제1고정훅(The first fixing hook)(731)은 상기 커넥터(800)의 제1소켓(811)에 삽입되고, 상기 제2고정훅(The second fixing hook) (732)은 상기 커넥터(800)의 제2소켓(812)에 삽입되게 된다. 이후에 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브러쉬(700)는 탄성재질(Elastic material)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복원력에 의해 상기 커넥터(8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7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브러쉬와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브러쉬(700)는 M자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러쉬(700)는 양 끝에 제1다리(711) 및 제2다리(712)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다리(711) 및 제2다리(712)사이에 변곡면(720)을 구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다리(711)은 상기 제2다리(712)와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곡면(720)은 U자 모양의 제2변곡면(722)와 n자 모양의 제1변곡면(721) 및 제3변곡면(72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에서는, 제1변곡면(721) 및 제3변곡면(723)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전력단자(801)의 일단은 상기 제2변곡면(722)과 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전력단자(801)의 타단은 상기 유닛 전력선(576)에 접촉되게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력단자(801)은 상기 커넥터(80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변곡면(722)와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변곡면(721) 및 제3변곡면(723)이 상기 하우징 전력선(555)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은 상기 제2변곡면(722)을 통하여 상기 전력단자(801)로 전달되고, 상기 유닛 전력선(576)을 통하여 상기 모터(573)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1다리(711) 및 상기 제2다리(712)의 끝단은 고정훅(fixing hook)(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상기 브러쉬(700)로부터 상기 모터(573)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브러쉬(700)의 끝단과 상기 보터(573)의 전원 케이블을 직접 납땜처리하여 연결한 것과 달리, 상기 고정훅(fixing hook)(730)이 상기 커넥터(800)의 소켓(8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기 위함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1다리(711)의 끝단에 구비된 제1고정훅(The first fixing hook)(731)은 상기 커넥터(800)의 제1소켓(811)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다리(712)의 끝단에 구비된 제2고정훅(732)(The second fixing hook)은 상기 커넥터(800)의 제2소켓(812)으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캐비닛 2 : 터브 3 : 드럼
57 : 밸런싱유닛 571 : 유닛바디 576 : 유닛전력선
700 : 브러쉬 720 : 변곡면 730 : 고정훅(fixing hook)
800 : 커넥터 801 : 전력단자 810 : 소켓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며 폐루프를 형성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밸런싱 유닛;및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밸런싱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하우징 전력선;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 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유닛바디;
    상기 유닛바디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송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브러쉬;상기 유닛바디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상기 브러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는 상기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다리; 상기 커넥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다리; 상기 제1다리와 상기 제2다리를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다리와 상기 제2다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변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다리는 상기 전력단자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는 상기 제2다리보다 길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력단자와 상기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유닛전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곡면은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되게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변곡면 및 제3변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곡면은,
    상기 커넥터 내부에 삽입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변곡면과 제3변곡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변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곡면은 상기 하우징 전력선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전력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제1변곡면 및 제3변곡면, 및 상기 제1변곡면과 상기 제3변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단자에 접촉되는 제2변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력단자와 상기 모터를 연결하여 상기 모터로 전력을 전달하는 유닛전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076732A 2014-06-23 2014-06-23 의류처리장치 KR10221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732A KR102218911B1 (ko) 2014-06-23 2014-06-23 의류처리장치
US14/745,068 US9951455B2 (en) 2014-06-23 2015-06-19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4/746,307 US9617676B2 (en) 2014-06-23 2015-06-22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U2015280864A AU2015280864B2 (en) 2014-06-23 2015-06-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580033882.4A CN106460286B (zh) 2014-06-23 2015-06-23 衣物处理设备
EP15811825.7A EP3158121B1 (en) 2014-06-23 2015-06-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2016573736A JP6396509B2 (ja) 2014-06-23 2015-06-23 衣類処理装置
BR112016030087-4A BR112016030087B1 (pt) 2014-06-23 2015-06-23 Aparelho para tratamento de vestuário
PCT/KR2015/006349 WO2015199405A1 (en) 2014-06-23 2015-06-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15811721.8A EP3158120B1 (en) 2014-06-23 2015-06-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1580033771.3A CN106661804B (zh) 2014-06-23 2015-06-23 衣物处理设备
RU2017101815A RU2654451C1 (ru) 2014-06-23 2015-06-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PCT/KR2015/006352 WO2015199408A1 (en) 2014-06-23 2015-06-23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732A KR102218911B1 (ko) 2014-06-23 2014-06-23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06A KR20150146306A (ko) 2015-12-31
KR102218911B1 true KR102218911B1 (ko) 2021-02-23

Family

ID=5512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732A KR102218911B1 (ko) 2014-06-23 2014-06-23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56B1 (ko) * 2018-10-17 2023-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런싱 유닛 및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536B1 (ko) * 2012-06-07 2020-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싱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06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1603B1 (ko) 의류처리장치
JP6396509B2 (ja) 衣類処理装置
US10801152B2 (en) Clothes processing device
US10087564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60230328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009186B1 (ko) 드럼 세탁기
KR102464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16536B1 (ko) 밸런싱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221891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2942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418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305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419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8446B1 (ko) 세탁기
KR1022189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432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90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77512B1 (ko) 드럼식 세탁기의 방진 구조
KR10239003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00007673U (ko) 세탁기의 방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