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327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327B1
KR102314327B1 KR1020200057717A KR20200057717A KR102314327B1 KR 102314327 B1 KR102314327 B1 KR 102314327B1 KR 1020200057717 A KR1020200057717 A KR 1020200057717A KR 20200057717 A KR20200057717 A KR 20200057717A KR 102314327 B1 KR102314327 B1 KR 102314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unit
flying wheel
tub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정창욱
최동락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327B1/ko
Priority to PCT/KR2021/002950 priority patent/WO202123047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2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one speed only
    • D06F37/34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one speed only in opposite directions, e.g. oscil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 상태에서 드럼의 회전 모멘트를 저감시키면서 과도 상태에서도 드럼으로부터 발생하는 편심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과도감쇄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A 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 모멘트를 저감하기 위한 플라잉휠에 드럼의 편심 모멘트를 상쇄하는 구성을 구비하여 의류처리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교반식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세탁코스와 세탁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싸이클(cyc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세탁옵션은 상기 세탁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rpm), 수온, 수위, 스팀공급 등의 강도, 정도와, 상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횟수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행정의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수온 및 수위의 정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탈수행정의 경우에는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헹굼행정보다 드럼의 회전속도가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특히 탈수행정의 경우, 드럼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의 편심 또는 드럼 자체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진동 또는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관해,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13-0052377호(이하, 선행문헌으로 약칭함.)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을 게시한다.
상기 선행문헌은 세탁물이 드럼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불균형 상태에서 드럼을 회전시키게 되면 드럼의 회전축으로 편중된 힘이 가해져 드럼이 편심 운동하여 터브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게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의해 게시되며 드럼의 편심 운동을 억제하는 구성은 드럼의 회전축과 정렬되기 어려우며 드럼에 의해 생성되는 회전모멘트를 충분하게 상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드럼에서 발생하는 편심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성을 드럼의 회전축과 일치 또는 정렬시켜 드럼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필요가 있다.
더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작동되는 특정 구간에서 특히 발생하는 편심 모멘트 또한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13-005237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탈수 행정 시 발생하는 과도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탈수 행정에서 정상 상태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저감시키는 진동량을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볼 밸런서를 포함하는 플라잉휠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플라잉휠에는 상기 볼 밸런서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밸런서는 불평형 질량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밸런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 모멘트(moment of rotation)을 상쇄하는 감쇄부을 포함하며, 상기 감쇄부는,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플라잉휠, 상기 플라잉휠 및 상기 구동부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플라잉휠을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마찰차 및 상기 플라잉휠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편심 모멘트(eccentric moment)를 상쇄하는 과도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전방에는 상기 드럼 또는 상기 터브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웨이트밸런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과도감쇄부는, 상기 드럼의 편심 모멘트를 상쇄하도록 상기 플라잉휠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과도감쇄유닛 및 상기 플라잉휠의 내부에서 상기 과도감쇄유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도감쇄유닛은 복수 개의 구체(球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쇄부는 상기 마찰차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차에게 상기 터브의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접촉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쇄부는 상기 마찰차를 관통하여 상기 마찰차를 회전 지지하는 마찰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유지부는, 상기 마찰회전축에 결합되되 상기 마찰차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접촉고정부 및 상기 접촉고정부와 상기 마찰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접촉고정부와 상기 마찰차에 각각 척력(repulsion force)를 제공하는 접촉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유지부는 상기 마찰차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차가 상기 터브의 배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마찰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쇄부는 상기 터브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잉휠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터브의 배면에 고정되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터브의 배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는 가이더결합부 및 상기 가이더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잉휠과 접촉되는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플라잉휠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플라잉휠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구동부와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가이드면에서 상기 공간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를 수용하는 가이더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가이더수용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더 및 상기 플라잉휠을 회전 지지하는 수용부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더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구동부와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이드면 및 상기 가이드면을 둘러싸게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면과 이격되는 외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 또는 상기 외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공간부와 상기 플라잉휠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편심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심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면 또는 상기 외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공간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와 상기 플라잉휠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수 행정 시 발생하는 과도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탈수 행정 중 정상상태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감시키는 진동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감쇄부의 단면도,
도 3은 감쇄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웨이트밸런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감쇄부의 개념도,
도 6은 과도감쇄부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과도감쇄부가 드럼의 편심 모멘트를 저감시키는 원리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접촉유지부가 도시된 도면,
도 9는 가이드부가 플라잉휠의 회전을 지지하는 모습이 도시된 도면,
도 10은 편심조절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는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 또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130), 드럼(130)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0)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투입구(141)가 구비되며, 투입구(141)는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 도어(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120)는 일측이 개구되며 투입구(141)와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12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브(120)는 터브지지부(113)에 의해 캐비닛(1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터브지지부(113)를 터브(120)의 진동이나 떨림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이나 댐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0) 및 상기 투입구(141) 및 상기 터브투입구(121)는 모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터브 투입구(120a)와 투입구(141) 사이에는 가스켓(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스켓(111)은 터브(12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수가 터브(1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11)은 터브(120)의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진동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브(120)는 급수부(17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부(17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급수원(미도시)과 터브(12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171), 급수호스(171)를 개폐하는 급수밸브(173)를 포함하여 터브(12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호스(171)를 통해 유동하는 세탁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14)를 거쳐 터브(12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저장부(14)는 터브(1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61)과 저장공간(161)을 터브(120)와 연통시키는 공급관(143)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호스(171)가 저장공간(161)과 연결되는 경우, 급수원(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는 급수호스(171)를 통해 저장공간(161)을 유동하고, 저장공간(161)에 저장된 세제는 세탁수와 접촉되어 세탁수와 함께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20)의 내부로 유동한 세탁수는 배수부(180)를 통해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부(180)는 터브(120)와 연통되어 터브(12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수를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181)와, 세탁수의 유동을 유발하거나 돕는 배수펌프(18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 투입구(120a)와 연통되는 드럼 투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물 또는 의류는 도어(140), 투입구(141), 터브투입구(121) 및 드럼 투입구(131)를 순차적으로 거쳐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는 드럼(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33)에 의해 세탁수와 접촉할 수 있다. 즉, 터브(120)에 저장된 세탁수는 드럼(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33)을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120)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부(1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50)는 터브(120)에 고정되며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151), 스테이터(151)의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0)는 로터(153)의 회전력을 드럼(130)에 전달하기 위해 로터(153)와 드럼(130)을 연결하는 회전축(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153)에는 로터(153)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로터(153) 및 스테이터(151)를 냉각시키는 로터관통홀(153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참조)
한편, 회전축(155)은 터브(1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13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터브(120)의 배면에는 회전축(155)을 지지하는 베어링(12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153)는 스테이터(151)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아우터 타입(outer-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세탁코스와 세탁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싸이클(cyc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세탁옵션은 상기 세탁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rpm), 수온, 수위, 스팀공급 등의 강도, 정도와, 상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횟수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행정의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수온 및 수위의 정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저장된 코스라 함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자체에 저장된 복수 개의 행정들, 행정들로 이루어진 세탁코스들, 세탁코스들을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 가능한 세탁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탈수행정은 상기 헹굼행정 또는 상기 세탁행정과 대비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높은 rpm으로 설정된다. 달리 말해, 탈수행정에서 드럼(130)의 회전속도는 헹굼행정 및 세탁행정에서의 드럼(130)의 회전속도보다 크게 형성된다.
탈수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드럼(13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은 터브(120)로 전이되며, 터브(120)로 전이된 진동 또는 소음은 캐비닛(110)으로 전달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누설된다.
따라서, 드럼(130)의 회전수가 탈수행정에서의 회전수와 같이 비교적 큰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한 모멘트(moment of rotation, 이하 회전모멘트로 약칭함.)를 상쇄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드럼(130)의 회전모멘트를 상쇄하는 감쇄부(200)를 설명한다.
도 2(a)는 감쇄부(200)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감쇄부(200)를 배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감쇄부(200)는 드럼(1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회전모멘트를 상쇄시킨다.
이를 위해, 감쇄부(200)는 드럼(1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플라잉휠(210) 및 상기 플라잉휠(2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마찰차(220)를 포함한다.
플라잉휠(210)은 로터(153)의 외주면과 이격되되, 로터(15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플라잉휠(210)이 드럼(13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드럼(130)에 의해 발생하는 과도한 회전모멘트를 충분히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플라잉휠(210)은 대략적으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잉휠(210)의 내주면은 로터(153)의 외주면을 바라보게 구비되고, 플라잉휠(210)의 외주면은 플라잉휠(201)의 내주면에서 로터(153)의 외주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마찰차(220)는 플라잉휠(210)에 로터(153)의 동력을 전달하되, 플라잉휠(210)이 로터(153)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로터(153) 및 플라잉휠(210)에 각각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달리 말해, 마찰차(220)의 일측은 로터(153)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타측은 플라잉휠(210)과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마찰차(220)의 타측은 플라잉휠(210)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또한, 상기 마찰차(22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로터(153)의 외주면과 플라잉휠(210)의 사이에 위치한 마찰차(220)는 구름운동을 통해 로터(153)의 회전력을 플라잉휠(21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마찰차(220)의 회전방향은 로터(153)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형성되고, 마찰차(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플라잉휠(210)은 로터(153)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감쇄부는 상기 마찰차(220)를 관통하여 상기 마찰차(220)를 회전 지지하는 마찰회전축(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회전축(221)은 터브(120)의 배면(129) 및 캐비닛(110)의 배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찰회전축(221)은 터브(120)의 배면(129) 및 캐비닛(110)의 배면에 각각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감쇄부(2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감쇄부(2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b)는 감쇄부(200)가 조립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상기 플라잉휠(210)은 플라잉휠(2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대략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드럼(130)의 회전모멘트를 상쇄하는 가이드커버(211) 및 상기 가이드커버(2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커버(211)의 회전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라잉휠(210)은 상기 가이드커버(211)의 내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마찰차(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커버(21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커버(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커버(215)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커버(211)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커버(215)는 상기 가이드커버(211)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커버(211)가 회전할 때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력전달커버(215)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커버(211)에 고정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동력전달커버(215)의 타측은 상기 마찰차(220)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마찰차(220)는 로터(153)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휠(21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커버(215)에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커버(215)는 상기 가이드커버(211)가 회전하는 것을 보조해줄 수 있다.
감쇄부(200)는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잉휠(210)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230)는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에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150)를 수용하는 플레이트(231), 상기 플레이트(231)에서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150)를 둘러싸는 가이더결합부(233) 및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잉휠(210)과 접촉되는 가이더(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31)는 구동부(1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50)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공간은 상기 플레이트(23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결합부(233)는 상기 플레이트(231)에서 상기 플레이트(231)에서 캐비닛(110)의 배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더결합부(233)는 상기 플레이트(23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이더결합부(233)는 상기 플라잉휠(210)과 상기 로터(15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와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가이드롤러(213)와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롤러(213)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에서 상기 플라잉휠(210)을 향해 결합되거나 상기 플라잉휠(210)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부(230)는 상기 플라잉휠(21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감쇄부(200)를 포함하여 드럼(130)의 회전모멘트를 상쇄할 수 있으나, 별도의 구성을 통해 발생된 진동 또는 소음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발생한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웨이트밸런서(300)를 설명한다.
도 4(a)는 웨이트밸런서(300)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100)를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b)는 웨이트밸런서(300)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100)를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웨이트밸런서(300)는 터브(120)의 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브투입구(12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브투입구(121)에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밸런서(300)는 상기 터브(120)의 전방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1웨이트밸런서(310) 및 상기 터브(120)의 전방면 타측에 결합되는 제2웨이트밸런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웨이트밸런서(310) 및 상기 제2웨이트밸런서(320)는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제1웨이트밸런서(310)가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면, 제2웨이트밸런서(320)는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웨이트밸런서(310) 및 제2웨이트밸런서(320)는 각각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웨이트밸런서(3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감쇄부(200)는 상기 웨이트밸런서(300)와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다른 구성이다. 즉, 상기 감쇄부(200)는 터브(120)의 배면(129)에 위치하여 드럼(130)의 회전모멘트를 저감시켜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할 진동 또는 소음을 사전에 저감시키는 구성이다.
반면, 상기 웨이트밸런서(3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이미 발생한 진동 또는 소음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저감시키는 구성이다.
도 5는 감쇄부(200)를 간략히 도시한 감쇄부(200)의 개념도이다.
상기 감쇄부(200)는 드럼(12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드럼(120)의 회전 모멘트를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감쇄부(200)가 드럼(12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감쇄부(200)가 충분한 크기로 상기 드럼(120)의 회전 모멘트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터(153)의 회전수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감쇄부(200)는 상기 로터(153)가 충분한 회전수에 이르기 전까지는 드럼(120)의 회전 모멘트를 충분히 상쇄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 감쇄부(200)가 상기 드럼(120)의 회전 모멘트를 상쇄하는 원리를 고려하면 드럼(120)의 내부에 발생하는 편심 모멘트(eccentric moment)를 상쇄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상태(steady state)에서 드럼(120)의 회전 모멘트를 저감시킬 뿐 아니라, 과도 상태(transient state)에서 드럼(120)의 편심 모멘트를 저감시키는 구성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정상 상태란, 특정 행정(예컨대, 탈수 행정)에서 드럼(130)이 목표하는 회전수에 도달한 경우를 의미할 수 있고, 과도 상태란 드럼(130)이 목표하는 회전수에 도달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과도 상태는 드럼(130)이 목표하는 회전수에 도달하도록 드럼(130)의 회전수가 증가되거나, 이미 목표하는 회전수에서 작동 된 후 회전수가 낮아지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과도감쇄부(400)가 형성된 플라잉휠(210)을 설명한다.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도감쇄부(400)의 단면도이다.
상기 과도감쇄부(400)는 상기 플라잉휠(210)에 결합되어 드럼(130)의 편심 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과도감쇄부(400)는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과도감쇄부(400)는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한 과도감쇄유닛(410) 및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이 강기 플라잉휠(21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간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130)에서 발생한 편심을 저감시키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부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형상이기만 하면 형상의 제약 없이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구체(球體)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체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유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의 종류 또한 다양할 수 있고, 물과 같이 비교적 밀도가 높은 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부(420)는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부에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라잉휠(210)이 대략 링(ring) 형상으로 구비됨을 고려할 때, 상기 공간부(420) 또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420)는 플라잉휠(2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잉휠(210)의 회전 중심은 상기 공간부(420)의 회전 중심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부(420)의 회전 중심은 상기 회전축(155)과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이 구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420)의 폭은 상기 구체의 직경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대응된다는 것은 상기 공간부(420)의 폭이 상기 구체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아, 상기 구체가 상기 공간부(420)를 보다 적은 저항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드럼(130)에서 발생하는 편심 모멘트를 상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도감쇄부(400)가 드럼(130)의 편심 모멘트를 저감시키는 원리를 설명한다. 도 7(a)는 드럼(130)의 회전수가 변경되기 시작된 때의 과도감쇄부(400)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7(b)는 드럼(130)의 회전수가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지 못한 과도 상태의 과도감쇄부(40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드럼(130)이 회전하기 시작하여 회전수가 점차 오르는 동안에는 상기 과도감쇄부(400)에 의해 드럼(130)의 편심 모멘트가 저감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과도감쇄부(400)가 드럼(130)의 편심 모멘트를 저감하는 원리는 관성에 의한 것으로, 드럼(130)의 회전수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도감쇄유닛(410)이 공간부(420)에 치우치게 위치하는 것으로 인한 힘(B)은 드럼(130)의 내부에 형성된 편심력(U)의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며, 특히 드럼(130)의 회전수가 비교적 낮게 형성되는 구간에만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은 비교적 적다.
도 7(b)를 참조하면, 드럼(130)이 회전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나 드럼(130)이 아직 목표 회전수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일정 수준의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공간부(420) 내부에서 편심력(U)을 저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정상 상태 이전의 과도 상태의 경우, 드럼(130)의 내부에 형성된 편심력(U)의 방향과 과도감쇄유닛(410)이 공간부(420)에 치우치게 위치하는 것으로 인한 힘(B)은 서로 상반된다.
이 때, 과도감쇄유닛(410)은 드럼(130)의 내부에서 발생한 편심 모멘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드럼(130)의 회전수가 과도 상태를 지나 정상 상태로 돌입하더라도, 도 7(b)에 나타난 모습처럼,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의 드럼(130)의 내부에서 발생한 편심 모멘트를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상기 과도감쇄부(400)를 포함하는 감쇄부(200)는 정상 상태뿐만 아니라, 정상 상태에 돌입하기 전의 과도 상태에서도 드럼(13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쇄부(200) 및 과도감쇄부(400)가 비교적 높은 회전수에서 형성되는 탈수 행정에서 필요한 구성임을 고려할 때, 상기 과도감쇄부(400)를 포함하는 감쇄부(200)는 탈수 행정의 대부분 구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쇄부(200)가 상기 과도감쇄부(40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마찰차(220)는 상기 로터(153)의 동력 또는 회전력을 상기 플라잉휠(210)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과도감쇄부(400) 자체의 중량이 있을뿐더러, 도 3에서 전술한 가이드커버(211)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상기 공간부(420)를 확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쇄부(200)는 상기 로터(153)의 동력 또는 회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플라잉휠(21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마찰차(220)를 상기 플라잉휠(210)에 밀착시킬 수 있는 접촉유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유지부(24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유지부(240)는 상기 마찰차(220)에 결합되는 마찰캡(241), 상기 마찰차(220)에 힘을 제공하는 접촉탄성부재(243) 및 상기 접촉탄성부재(243)가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접촉탄성부재(243)에 결합되는 접촉고정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고정부(245)는 상기 마찰회전축(221)에 결합되되, 상기 마찰차(22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찰회전축(221)은 상기 마찰차(220) 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고정부(245)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접촉고정부(245)는 상기 마찰차(220)에서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접촉탄성부재(243)는 상기 접촉고정부(245) 및 상기 마찰차(2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접촉고정부(245) 및 상기 마찰차(220) 각각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촉탄성부재(243)는 스프링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탄성부재(243)는 상기 접촉고정부(245) 및 상기 마찰차(220)에 압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탄성부재(243)는 상기 접촉고정부(245) 및 상기 마찰차(220) 각각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탄성부재(243)는 상기 접촉고정부(245) 및 상기 마찰차(220) 각각에 척력(repulsion force)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촉고정부(245)가 상기 마찰회전축(22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 움직임이 고정(슬라이딩이 방지)됨에 따라, 상기 접촉탄성부재(243)는 상기 마찰차(220)에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을 향하는 방향의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마찰차(220)가 지나치게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유지부(240)는 상기 마찰차(220)의 이동을 방지하는 마찰캡(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캡(241)은 상기 마찰차(220)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차(220)가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마찰캡(241)은 상기 마찰차(22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마찰캡(241)은 상기 마찰차(2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찰캡(241)은 상기 마찰차(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캡(241)은 상기 플라잉휠(210)에서 상기 캐비닛(110)의 배면을 바라보는 일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캡(241)은 상기 마찰차(220)의 외경을 확대시켜, 상기 마찰차(220)가 상기 캐비닛(110)의 배면과 지나치게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촉유지부(240)가 상기 마찰차(220)에 터브(120)의 배면(129)을 향해 밀착시키는 힘을 제공함에 따라, 상기 플라잉휠(210)의 회전이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다. 상기 플라잉휠(210) 중 상기 접촉유지부(240)가 구비된 부분에만 터브(120)의 배면(129)을 향하는 힘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쇄부(200)는 상기 플라잉휠(21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는 구성이 요구된다.
특히, 감쇄부(200)가 과도감쇄부(400)를 포함함에 따라, 도 3에서 전술한 가이드롤러(213)는 플라잉휠(210)에서 생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30)가 플라잉휠(2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플라잉휠(210)은 상기 구동부(150)를 마주하는 가이드면(217) 및 상기 가이드면(217)과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면(217)을 바라보는 외륜면(2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륜면(219)은 상기 가이드면(217)을 둘러싸게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가이드면(217)은 상기 플라잉휠(210) 중 상기 회전축(155)에 가장 인접한 일면을 칭하며, 상기 외륜면(219)은 상기 플라잉휠(210) 중 상기 회전축(155)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타면을 칭한다.
상기 플라잉휠(210)은 상기 가이드면(217)에서 상기 로터(15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가이더수용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수용부(430)는 상기 가이드면(217)에서 상기 공간부(420)를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더수용부(430)는 상기 가이드면(217)에서 상기 공간부(420)를 향해 함몰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420)와 이격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가이더수용부(430)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상기 플라잉휠(210)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플라잉휠(21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더(235)와 상기 플라잉휠(210)이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더(235)는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에서 멀어질수록 폭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이더(235)가 상기 플라잉휠(2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동안 상기 가이더(235)와 상기 플라잉휠(210)이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더(235)와 상기 플라잉휠(210)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플라잉휠(210)은 상기 가이더(235) 및 상기 플라잉휠(210)을 회전지지하는 수용부휠(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휠(440)은 상기 가이더수용부(430)에 위치하여 상기 플라잉휠(210) 및 상기 가이더(235)를 회전지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용부휠(440)이 포함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가이더(23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더수용부(43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휠(440)은 상기 가이더(235)와 상기 가이더수용부(430)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용부휠(440)은 상기 가이더(235)에서 터브(120)의 배면(129)을 향하는 공간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가이더(235)에서 상기 터브(120)의 배면(129)과 멀어지는 방향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용부휠(440)은 상기 가이더(235)에서 상기 가이더결합부(233)와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휠(440)은 상기 가이더수용부(430)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용부축(441) 및 상기 수용부축(441)에 결합되어 구름운동하는 서브휠(4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유지부(240)가 구비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플라잉휠(210)은 안정적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은 경우에 따라 상기 플라잉휠(210)에서 인출되거나, 새롭게 상기 플라잉휠(210)의 내부로 유입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플라잉휠(210)에는 상기 공간부(420)와 상기 플라잉휠(410)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편심조절부(4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조절부(45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편심조절부(450)는 상기 가이드면(217) 또는 상기 외륜면(2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공간부(420)를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420)와 연통되는 연통부(451) 및 상기 연통부(451)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420)와 상기 플라잉휠(210)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도감쇄유닛(410)이 구체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편심조절부(450)는 상기 구체의 직경보다 같거나 큰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구체가 선택적으로 상기 공간부(420)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폐부(453)는 상기 가이드면(217) 또는 상기 외륜면(219)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형상 및 상기 공간부(420)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과도감쇄부(400)를 포함하는 플라잉휠(210)은 탈수 행정에서의 정상 상태 뿐만이 아니라 탈수 행정에서의 과도 상태에서도 드럼(13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도감쇄부(400)를 포함하는 플라잉휠(210)은 마찰차(220)로부터 로터(153)의 회전력 또는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으면서도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과도감쇄부(400)가 저감할 수 있는 드럼(130)의 편심 모멘트 양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의류처리장치 : 100 캐비닛 : 110
터브 : 120 터브개구부 : 120a
드럼 : 130 도어 : 140 구동부 : 150 세제저장부 : 160
급수부 : 170 배수부 : 180
감쇄부 : 200 플라잉휠 : 210
가이드커버 : 211 가이드롤러 : 213
동력전달커버 : 215 마찰차 : 220
마찰회전축 : 221 가이드부 : 230
플레이트 : 231 가이더결합부 : 233
가이더 : 235 접촉유지부 : 240
웨이트밸런서 : 300 과도감쇄부 : 400
과도감쇄유닛 : 410 공간부 : 420
가이더수용부 : 430 수용부휠 : 440
편심조절부 : 450

Claims (16)

  1.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 모멘트(moment of rotation)을 상쇄하는 감쇄부;을 포함하며,
    상기 감쇄부는,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와 이격되어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플라잉휠;
    상기 플라잉휠 및 상기 구동부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플라잉휠을 상기 드럼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마찰차; 및
    상기 플라잉휠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편심 모멘트(eccentric moment)를 상쇄하는 과도감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전방에는 상기 드럼 또는 상기 터브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웨이트밸런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감쇄부는,
    상기 드럼의 편심 모멘트를 상쇄하도록 상기 플라잉휠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과도감쇄유닛; 및
    상기 플라잉휠의 내부에서 상기 과도감쇄유닛이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도감쇄유닛은 복수 개의 구체(球體)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마찰차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차에게 상기 터브의 배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접촉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마찰차를 관통하여 상기 마찰차를 회전 지지하는 마찰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유지부는,
    상기 마찰회전축에 결합되되 상기 마찰차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접촉고정부; 및
    상기 접촉고정부와 상기 마찰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접촉고정부와 상기 마찰차에 각각 척력(repulsion force)를 제공하는 접촉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유지부는 상기 마찰차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찰차가 상기 터브의 배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마찰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부는 상기 터브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잉휠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터브의 배면에 고정되되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서 상기 터브의 배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는 가이더결합부; 및
    상기 가이더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플라잉휠과 접촉되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플라잉휠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플라잉휠의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구동부와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며,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가이드면에서 상기 공간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더를 수용하는 가이더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가이더수용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더 및 상기 플라잉휠을 회전 지지하는 수용부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더수용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잉휠은,
    상기 구동부와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이드면; 및
    상기 가이드면을 둘러싸게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면과 이격되는 외륜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면 또는 상기 외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공간부와 상기 플라잉휠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편심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조절부는,
    상기 가이드면 또는 상기 외륜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공간부를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통부; 및
    상기 연통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와 상기 플라잉휠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57717A 2020-05-14 2020-05-14 의류처리장치 KR102314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17A KR102314327B1 (ko) 2020-05-14 2020-05-14 의류처리장치
PCT/KR2021/002950 WO2021230479A1 (ko) 2020-05-14 2021-03-10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17A KR102314327B1 (ko) 2020-05-14 2020-05-1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327B1 true KR102314327B1 (ko) 2021-10-19

Family

ID=78228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717A KR102314327B1 (ko) 2020-05-14 2020-05-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4327B1 (ko)
WO (1) WO202123047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070B1 (ko) * 2005-09-06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저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20130052377A (ko)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저감 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진동 저감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02B1 (ko) *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20130077981A (ko) * 2011-12-30 2013-07-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536814A (zh) * 2014-06-18 2017-03-22 欧文斯科宁知识产权资产有限公司 振动阻尼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070B1 (ko) * 2005-09-06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저감형 모터의 고정자 및 이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KR20130052377A (ko)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진동 저감 장치를 갖춘 세탁기 및 그 진동 저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79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3880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1330732B1 (ko) 세탁기와 그 밸런서
EP1881099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30017196A (ko) 세탁기
KR20150098390A (ko) 의류처리장치
KR100224450B1 (ko) 드럼세탁기의 밸런싱장치
KR10221890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432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418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92422B1 (ko) 드럼세탁기
KR10230419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2942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33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78446B1 (ko) 세탁기
KR1023305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68151B1 (ko) 세탁장치
KR20080037424A (ko) 드럼세탁기
KR20170011253A (ko) 의류처리장치
JP487142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2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31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10105767A (ko) 세탁물처리장치
KR20220031350A (ko) 의류처리장치
JP2014111227A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52840B2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