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35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350A
KR20220031350A KR1020200113174A KR20200113174A KR20220031350A KR 20220031350 A KR20220031350 A KR 20220031350A KR 1020200113174 A KR1020200113174 A KR 1020200113174A KR 20200113174 A KR20200113174 A KR 20200113174A KR 20220031350 A KR20220031350 A KR 20220031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ator
drum
shaft
rotation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철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3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1350A/ko
Priority to PCT/KR2021/009710 priority patent/WO2022050572A1/en
Priority to US17/393,942 priority patent/US11639574B2/en
Publication of KR2022003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2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one speed only
    • D06F37/34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one speed only in opposite directions, e.g. oscill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3/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ith agitators therein contacting the articles being wash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의류가 출입되는 개방면 및 상기 개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 및 상기 드럼,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A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드럼 내에 회전부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드럼 내부에는 회전부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는 드럼 내부에서 회전되어 수류를 형성할 수 있고, 회전부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상기 회전부에 포함된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에지테이터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입체적인 수류를 형성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등록번호 5,931,029 (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서 두 개의 모터를 이용하여 펄세이터와 에지테이터를 각각 회전시키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한 개의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 경쟁력이 하락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과제 중 하나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펄세이터 및 에지테이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펄세이터 및 에지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는 한 개의 구동모터와 각각 유성기어 방식으로 마련된 두 개의 기어부를 포함하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의류가 출입되는 개방면 및 상기 개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 및 상기 드럼,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드럼 회전축; 일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는 주동축; 일단은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의 개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주동축의 일단과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 및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1기어부;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 중심축을 구성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에지테이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테이터 회전축;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과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연결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분리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의 일단에 고정된 제1주동기어,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기어, 상기 제1주동기어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주동기어와 상기 제1연결기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 및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은 상기 제1케이지의 상부면과 상기 제2기어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된 제2주동기어,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연결기어, 상기 제2주동기어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주동기어와 상기 제2연결기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은 상기 제2케이지와 상기 에지테이터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주동기어는 상기 주동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은 각각 상기 주동축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제2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은 상기 제1주동기어를 중심축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케이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제2주동기어는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은 각각 상기 제2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펄세이터는 함께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은 상기 제2주동기어를 중심축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케이지,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는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회전축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은 각각 중공축(hollow shaft)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은 각각 중실축(solid shaft)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의류가 출입되는 개방면 및 상기 개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 및 상기 드럼,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며,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는 드럼 회전축; 일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는 주동축; 일단은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의 개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 중심축을 구성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는 제2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에지테이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테이터 회전축;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연결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분리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주동축의 일단과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 및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1기어부;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과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2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각각 주동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종동기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전달하고,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을 드럼 회전축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에 전달하고,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 및 상기 드럼,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입체적인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한 개의 구동모터와 각각 유성기어 방식으로 마련된 두 개의 기어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가격 경쟁력 또한 상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럼 및 회전부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기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2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 터브(20) 및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상기 터브(20)를 수용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고, 도 1은 상기 캐비닛(10)이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드럼(30)으로 의류를 공급하거나 상기 드럼(30)에 저장된 의류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의류개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의류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의 상면(11)에 의류개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11)에 상기 의류개구(12)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13)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의류개구(12) 및 의류도어(13)가 반드시 캐비닛(10)의 상면(11)에 마련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브(20)는 의류의 세탁에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상기 터브(20)에는 상기 의류개구(12)와 연통되는 터브개구(22)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0)는 일면이 개방되어 상기 터브개구(22)를 형성할 수 있고, 터브개구(22)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의류개구(12)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상기 의류개구(12)와 연통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탑 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도 1에는 터브(20)의 상면이 개방되어 터브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터브개구(22)는 의류개구(12)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의류개구(12)와 연통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터브(20)는 지지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터브(20)에 발생한 진동을 감쇠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급수부(60)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상기 급수부(60)는 급수원과 터브(20)를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제가 저장되고 터브(20)로 세제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세제공급장치를 경유한 물이 세제와 함께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개구(22)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60)는 상기 물 분사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물 분사장치를 통해 터브(20) 내부로 직접 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터브(20)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6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수부(65)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관, 상기 배수관에 구비된 배수펌프 및 상기 배수관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배수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기 위해, 단면이 원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에는 상기 터브개구(22)의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에 연통하는 드럼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은 후술할 내용과 같이 일면이 개방되어 개방면(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방면(31)이 상기 드럼개구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에는 드럼(30)의 내부와 외부, 즉 드럼(30)의 내부와 드럼(30)에 의해 구분되는 터브(2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드럼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0)로 공급된 물은 상기 드럼관통홀을 통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구동부(5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0)는 터브(20)의 외부에 고정되어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상기 터브(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30) 등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4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및 상기 로터는 함께 구동모터(5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40)은 상기 터브(20)의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의류개구(12)는 캐비닛(10)의 상면(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터브개구(22)는 터브(2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드럼개구는 드럼(30)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 내부의 일정영역에 의류가 집중된 상태로 드럼(30)이 회전할 경우, 상기 드럼(30)에 동적균형이 깨진 상태(언밸런스)가 발생한다. 언밸런스 상태의 드럼(30)이 회전하면,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드럼(30)은 진동하면서 회전하는데, 상기 드럼(30)의 진동은 터브(20)나 캐비닛(10)으로 전달되어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의류에 작용하는 원심력을 상쇄하거나 감쇠시키는 힘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럼(30)의 언밸런스를 제어하는 밸런서(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터브(2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의류가 출입되는 개방면(31) 및 상기 개방면(31)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바닥면(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0)의 상면이 상기 개방면(31)에 대응되고, 하면이 상기 바닥면(33)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면(31)은 캐비닛(10)의 의류개구(12) 및 터브(20)의 터브개구(22)를 거쳐 투입되는 의류가 통과되는 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급수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제공급장치 또는 물 분사장치 등과 같은 수단과 연결되어 터브(20)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탁과정 등에서 급수부(60)를 제어하여 급수량을 조절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세탁과정 또는 헹굼과정 등에서 터브(20)로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급수량은 캐비닛(10)에 마련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통해 조절될 수도 있고, 세탁물의 양 또는 구동부(50)의 부하 등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복수의 급수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세탁과정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명령 등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급수량 중 어느 하나에 따라 급수부(6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30)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33)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100)는 상기 드럼(30)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3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103) 및 상기 드럼(30)의 내부에서 상기 펄세이터(103)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방면(31)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펄세이터(103)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10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30) 및 회전부(100)의 회전으로 수류가 형성되고 세탁물과의 마찰 또는 충돌이 발생되어 세탁물의 세탁이나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30) 및 회전부(100)와 결합되는 회전축(4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드럼(30) 및 회전부(100)는 각각 회전축(40)을 통해 구동부(50)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30)은 상기 바닥면(33)에 드럼 회전축(41)이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전부(100)는 상기 바닥면(33)을 관통하며 상기 드럼 회전축(41)에 대해 별도로 회전되는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이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드럼 회전축(41)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하나의 구동부(5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될 수 있고, 구동부(50)는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으로 동력을 분배하고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제1기어부(45)와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부(50)의 구동축(55)은 상기 제1기어부(45)에 연결되어 상기 제1기어부(45)로 동력을 전달하고,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각각 상기 제1기어부(45)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드럼 회전축(41)은 중공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상기 드럼 회전축(41)의 내부에 배치되는 중실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구동부(50)를 통해 서로 나란한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에 효과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는 유성기어 방식의 제1기어부(45)가 도시되어 있고, 구동축(55),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이 각각 상기 제1기어부(45)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동축(55)은 유성기어 방식의 제1기어부(45)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주동축(55)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동축(55)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회전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50)의 주동축(55)은 유성기어 방식의 제1기어부(45)에서 중앙의 제1주동기어(451)에 연결될 수 있다. 주동축(55)이 회전되면 제1기어부(45)는 제1주동기어(451)의 회전에 의해 제1종동기어(453) 및 제1연결기어(45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어부(45)는, 상기 드럼 회전축(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55)의 일단에 고정된 제1주동기어(451), 상기 드럼 회전축(41)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기어(455), 상기 제1주동기어(451)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주동기어(451)와 상기 제1연결기어(455)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453), 및 상기 드럼 회전축(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453)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케이지(4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상기 제1케이지(457)의 상부면과 후술되는 제2기어부(49)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드럼(30)의 바닥면(33)에 결합되는 드럼 회전축(41)은 제1연결기어(455)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제1케이지(457)을 통해 제1종동기어(45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45)는 상기 주동축(55)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주동축(55)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을 드럼 회전축(41)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45)는 각 회전축(40)의 회전을 필요에 따라 제한할 수 있는 클러치(47) 및 브레이크(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부(45)는 터브(20)에 고정되는 기어하우징(48)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클러치(47)는 기어하우징(48)에 마련되어 제1연결기어(455)와 연결되는 드럼 회전축(41)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클러치(47)는 상기 구동모터(53)와 상기 드럼 회전축(41)을 연결하면 상기 구동모터(53)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41)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53)와 상기 드럼 회전축(41)을 분리하면 상기 구동모터(53)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레이크(46)는 주동축(55)과 제1연결기어(455)의 회전을 상호 구속시키거나 구속 해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연결기어(455)의 회전 또는 드럼 회전축(41)의 회전은 브레이크(46)에 의해 주동축(55)과 동기되거나 동기 해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53), 상기 터브(2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회전축(41), 상기 구동모터(53)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주동축(55), 상기 주동축(55)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드럼(30)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1펄세이터 회전축(42), 및 상기 드럼 회전축(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기어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회전축(41)의 일단은 상기 드럼(3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드럼 회전축(41)의 타단은 상기 터브(2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주동축(55)의 일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4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주동축(55)의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53)에 고정될 수 있다.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일단은 상기 드럼(3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30)의 개방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으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타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기어부(45)는 상기 주동축(55)의 일단과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축(55)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41) 및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에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기초로 회전부(100)에 포함된 펄세이터(103)와 에지테이터(105) 각각의 구동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기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제2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펄세이터(103)와 에지테이터(105)로 각각 분배하고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제2기어부(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펄세이터(103)의 회전 중심축을 구성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일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펄세이터 회전축(44),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에지테이터(105)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테이터 회전축(499),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의 내부에서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일단과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499)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499)에 각각 전달하는 제2기어부(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펄세이터(103)는 상기 주동축(55), 상기 제1기어부(45),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 상기 제2기어부(49)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지테이터(105)는 상기 주동축(55), 상기 제1기어부(45),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 상기 제2기어부(49)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499)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지테이터(105)는 상기 구동모터(53)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펄세이터(103)는 상기 상기 구동모터(53)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서, 상기 펄세이터(103) 및 상기 에지테이터(10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기어부(49)는,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일단에 고정된 제2주동기어(491),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연결기어(495), 상기 제2주동기어(491)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주동기어(491)와 상기 제2연결기어(495)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493),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493)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케이지(49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499)은 상기 제2케이지(497)와 상기 에지테이터(105)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부(49)는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499)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에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모터(53)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은 주동축(55)을 통해 제1기어부(45)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후 제1기어부(45)를 통해 드럼 회전축(41)과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으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 회전축(41)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드럼(30)의 회전에 사용될 수 있으나, 클러치(47) 및/또는 브레이크(46)의 작동에 의해 드럼(30)의 회전이 강제되거나 혹은 드럼(30)의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제2기어부(49)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후 제2기어부(49)를 통해 제2펄세이터 회전축(44)과 에지테이터 회전축(499)으로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제1기어부(45)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동축(55)에 고정된 제1주동기어(451)는 상기 주동축(5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하, 제1방향이라 함)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453)은 각각 상기 주동축(55)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하, 제2방향이라 함)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제1 종동기어들(453)은 상기 제2방향으로 자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1주동기어(451)를 중심축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케이지(457),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 및 제2주동기어(491)가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에 고정된 제2주동기어(491)는 상기 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493)은 각각 상기 제2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44) 및 상기 펄세이터(103)가 함께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493)은 상기 제2방향으로 자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2주동기어(491)를 중심축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케이지(497),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499) 및 상기 에지테이터(105)가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펄세이터(103)는 상기 주동축(55)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인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반면에, 상기 에지테이터(105)는 상기 주동축(55)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러치(47)와 브레이크(46) 각각의 작동에 따른 드럼(30), 펄세이터(103) 및 에지테이터(105)의 회전 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클러치(47) 및 브레이크(46)가 해제 상태에 있게 되면, 제1기어부(45)에 포함된 기어들(451, 453, 455)의 회전 관계에 따라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30)과 펄세이터(103)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드럼(30)과 에지테이터(10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46)가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제1연결기어(455) 및 드럼 회전축(41)의 회전이 제한되고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회전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드럼(30)은 정지 상태에 있고 펄세이터(103)와 에지테이터(105)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펄세이터(103) 및 상기 에지테이터(10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클러치(47)가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주동축(55)과 드럼 회전축(41)간의 회전이 상호 구속되고, 제1기어부(45)에 포함된 기어들(451, 453, 455)에 따라 주동축(55),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의 회전이 서로 구속될 수 있다. 즉,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30)과 펄세이터(103)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드럼(30)과 에지테이터(105)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클러치(47) 및 브레이크(46)가 동시에 제한 상태에 있게 되면 주동축(55), 드럼 회전축(41) 및 제1펄세이터 회전축(42)이 모두 정지 상태에 있게 된다. 제어부(70)는 세탁과정, 헹굼과정 및 탈수과정 등에서 구동부(50), 클러치(47) 및 브레이크(47) 등을 적절히 제어하여 필요한 운전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펄세이터(103) 및 상기 에지테이터(105)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입체적인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는 한 개의 구동모터(53)와 각각 유성기어 방식으로 마련된 두 개의 기어부(45, 4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 비해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가격 경쟁력 또한 상승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12: 의류개구 13: 의류도어
20: 터브 22: 터브개구
30: 드럼 31: 개방면
33: 바닥면 39: 밸런서
40: 회전부 41: 드럼 회전축
42: 제1펄세이터 회전축 44: 제2펄세이터 회전축
45: 제1기어부 46: 브레이크
47: 클러치 48: 기어하우징
49: 제2기어부 50: 구동부
53: 구동모터 55: 주동축
60: 급수부 65: 배수부
70: 제어부 100: 회전부
103: 펄세이터 105: 에지테이터
451: 제1주동기어 453: 제1종동기어
455: 제1연결기어 457: 제1케이지
491: 제2주동기어 493: 제2종동기어
495: 제2연결기어 497: 제2케이지
499: 에지테이터 연결부

Claims (15)

  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의류가 출입되는 개방면 및 상기 개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 및
    상기 드럼,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드럼 회전축;
    일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는 주동축;
    일단은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의 개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주동축의 일단과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 및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1기어부;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 중심축을 구성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에지테이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테이터 회전축;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과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2기어부;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연결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분리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의 일단에 고정된 제1주동기어,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1연결기어, 상기 제1주동기어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1주동기어와 상기 제1연결기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 및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케이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은 상기 제1케이지의 상부면과 상기 제2기어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된 제2주동기어,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되는 제2연결기어, 상기 제2주동기어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주동기어와 상기 제2연결기어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케이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은 상기 제2케이지와 상기 에지테이터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동기어는 상기 주동축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은 각각 상기 주동축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제2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종동기어들은 상기 제1주동기어를 중심축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1케이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제2주동기어는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은 각각 상기 제2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펄세이터는 함께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종동기어들은 상기 제2주동기어를 중심축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공전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제2케이지,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는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자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회전축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은 각각 중공축(hollow shaft)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은 각각 중실축(solid shaft)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
  11.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의류가 출입되는 개방면 및 상기 개방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
    상기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펄세이터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개방면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에지테이터; 및
    상기 드럼,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펄세이터 및 상기 에지테이터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터브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드럼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터브의 외부에 위치하며,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는 드럼 회전축;
    일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고정되는 주동축;
    일단은 상기 드럼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의 개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 중심축을 구성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는 제2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에지테이터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 위치하는 에지테이터 회전축; 및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연결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드럼 회전축을 분리하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제공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주동축의 일단과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드럼 회전축 및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1기어부;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의 내부에서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의 일단과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의 타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에 각각 전달하는 제2기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펄세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에지테이터는 상기 주동축, 상기 제1기어부,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 상기 제2기어부 및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는 각각 주동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종동기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전달하며, 상기 주동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을 드럼 회전축에 전달하고, 그리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에지테이터 회전축에 전달하며, 상기 제1펄세이터 회전축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의 회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회전력을 상기 제2펄세이터 회전축에 전달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113174A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KR20220031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174A KR20220031350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PCT/KR2021/009710 WO2022050572A1 (en) 2020-09-04 2021-07-27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393,942 US11639574B2 (en) 2020-09-04 2021-08-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174A KR20220031350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350A true KR20220031350A (ko) 2022-03-11

Family

ID=80469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174A KR20220031350A (ko) 2020-09-04 2020-09-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39574B2 (ko)
KR (1) KR20220031350A (ko)
WO (1) WO20220505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3095A (en) * 1986-12-15 1987-09-15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mover agitator for automatic washer
KR0128401Y1 (ko) * 1995-03-14 1998-12-15 배순훈 수류봉을 갖는 펄세이터가 취부된 세탁기
CN201003115Y (zh) * 2007-01-05 2008-01-09 傅亚科 同轴心双波轮洗衣机
KR102629966B1 (ko) * 2016-01-06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클러치 어셈블리
CN110804842A (zh) * 2018-08-03 2020-02-18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洗衣机的驱动系统及具有其的滚筒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74102A1 (en) 2022-03-10
US11639574B2 (en) 2023-05-02
WO2022050572A1 (en)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7257A (ko) 드럼세탁기
KR20150072169A (ko) 세탁기
US11242631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US10683600B2 (en) Washing machine
KR101921181B1 (ko) 의류처리장치
EP3279387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KR20220031350A (ko) 의류처리장치
US10208421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20190048505A1 (en) Washing machine
KR102351658B1 (ko) 세탁기
KR102316359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2421544B1 (ko) 세탁기
KR102304189B1 (ko) 의류처리장치
US1010045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0419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26862A (ko) 의류처리장치
CN105937133A (zh) 滚筒型洗衣机
WO2019120138A1 (zh) 洗衣机
US20210207310A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102578446B1 (ko) 세탁기
KR2022002171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248075B1 (ko)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31349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432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7001125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