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331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331B1
KR102413331B1 KR1020200062109A KR20200062109A KR102413331B1 KR 102413331 B1 KR102413331 B1 KR 102413331B1 KR 1020200062109 A KR1020200062109 A KR 1020200062109A KR 20200062109 A KR20200062109 A KR 20200062109A KR 102413331 B1 KR102413331 B1 KR 10241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duction
tub
ring case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5362A (ko
Inventor
정창욱
이장우
최동락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3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5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트밸런서를 이용하여 진동을 저감시키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웨이트밸런서 대신 TLCD의 원리를 이용한 저감부를 포함하여 드럼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교반식, 와류식 및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교반식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고, 와류식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모양의 회전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 수류와 세탁물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며,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한다.
드럼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세탁코스와 세탁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싸이클(cyc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세탁옵션은 상기 세탁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rpm), 수온, 수위, 스팀공급 등의 강도, 정도와, 상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횟수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행정의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수온 및 수위의 정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탈수행정의 경우에는 상기 세탁행정 또는 상기 헹굼행정보다 드럼의 회전속도가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특히 탈수행정의 경우, 드럼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의 편심 또는 드럼 자체의 회전모멘트에 의해 진동 또는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이에 관해,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06-0064311호(이하, 선행문헌으로 약칭함.)는 사용자의 체감 진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외부 구조물의 진동을 직접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수단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게시한다.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외장케이스를 이루는 외부구조물과, 상기 외조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세탁조와, 상기 세탁조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세탁조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상기 외부구조물에 전달되는 진동을 직접 저감하기 위한 동흡진기를 포함하여, 의류처리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상기 동흡진기가 설치된 영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은 저감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드럼 또는 터브(상기 선행문헌에서 세탁조)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의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아니라, 기 발생된 소음 또는 진동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므로 감쇄할 수 있는 진동 또는 소음의 양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드럼 또는 터브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원천적으로 감쇄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10-2006-006431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처리장치의 좌/우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래의 진동 저감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종래의 진동 저감부재의 재료비 및 무게 측면에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액체 출렁임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감시키는 개념인 동조액체기둥댐퍼(TLCD)를 이용하여 종래의 진동 저감부재의 단점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류처리장치에 쉽게 조립될 수 있는 원통형 형상의 저감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저감부에는 액체가 출렁일 수 있도록 경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감부의 구조가 변경되어 액체의 출렁임 주파수를 변경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좌/우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는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감부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저감케이스 및 유체(fluid)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감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저감부는 상기 터브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터브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터브의 전면에 형성되는 터브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저감부는 상기 터브투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감부는 상기 터브투입구와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감케이스는, 상기 터브투입구와 접촉되는 내륜케이스, 상기 내륜케이스와 이격되며 상기 내륜케이스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외륜케이스 및 상기 외륜케이스와 상기 내륜케이스를 연결하는 연장케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륜케이스는 상기 터브투입구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륜케이스는 상기 내륜케이스와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내륜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감케이스의 내부는 상기 저감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감유닛은, 상기 유로에서 제1부피를 차지하는 제1유체 및 상기 유로에서 제2부피를 차지하며 상기 제1유체와 다른 제2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피는 상기 제2부피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감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륜케이스와 상기 외륜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내륜케이스 및 상기 외륜케이스로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륜케이스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터브투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저감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저감케이스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는, 상기 내륜케이스 또는 상기 연장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통부 및 상기 외륜케이스에 구비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외륜케이스 및 상기 터브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유로와 상기 터브의 내부를 연결하는 서브유로 및 상기 외륜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와 상기 서브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의 좌/우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동흡진기를 대체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웨이트밸런서가 터브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터브에 결합된 저감부의 정면도,
도 4는 open-type의 저감부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closed-type의 저감부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제1가이드부가 구비된 저감부가 도시된 도면,
도 7은 제2가이드부아 구비된 저감부가 도시된 도면,
도 8은 연통부가 구비된 저감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는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 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 터브(1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 또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130), 드럼(130)에 토크를 인가하여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0)에는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투입구(141)가 구비되며, 투입구(141)는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 도어(14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120)는 일측이 개구되며 투입구(141)와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브(120)는 터브지지부(113)에 의해 캐비닛(11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터브지지부(113)를 터브(120)의 진동이나 떨림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이나 댐퍼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0) 및 상기 투입구(141) 및 상기 터브투입구(121)는 모두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터브투입구(121)와 투입구(141) 사이에는 가스켓(1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가스켓(111)은 터브(120)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수가 터브(12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11)은 터브(120)의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진동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브(120)는 급수부(170)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부(17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급수원(미도시)과 터브(120)를 연결하는 급수호스(171), 급수호스(171)를 개폐하는 급수밸브(173)를 포함하여 터브(12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호스(171)를 통해 유동하는 세탁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저장부(14)를 거쳐 터브(12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저장부(14)는 터브(12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세제가 저장되는 저장공간(161)과 저장공간(161)을 터브(120)와 연통시키는 공급관(143)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호스(171)가 저장공간(161)과 연결되는 경우, 급수원(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세탁수는 급수호스(171)를 통해 저장공간(161)을 유동하고, 저장공간(161)에 저장된 세제는 세탁수와 접촉되어 세탁수와 함께 터브(120)로 공급될 수 있다.
터브(120)의 내부로 유동한 세탁수는 배수부(180)를 통해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수부(180)는 터브(120)와 연통되어 터브(12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수를 캐비닛(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181)와, 세탁수의 유동을 유발하거나 돕는 배수펌프(18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투입구(121)와 연통되는 드럼 투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물 또는 의류는 도어(140), 투입구(141), 터브투입구(121) 및 드럼 투입구(131)를 순차적으로 거쳐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130)의 내부에 위치한 세탁물 또는 의류는 드럼(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33)에 의해 세탁수와 접촉할 수 있다. 즉, 터브(120)에 저장된 세탁수는 드럼(1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33)을 통해 드럼(13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드럼(130)은 터브(120)의 외부에 구비되는 구동부(15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50)는 터브(120)에 고정되며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151), 스테이터(151)의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1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50)는 로터(153)의 회전력을 드럼(130)에 전달하기 위해 로터(153)와 드럼(130)을 연결하는 회전축(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153)에는 로터(153)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로터(153) 및 스테이터(151)를 냉각시키는 로터관통홀(153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참조)
한편, 회전축(155)은 터브(1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130)과 연결됨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터브(120)의 배면에는 회전축(155)을 지지하는 베어링(12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153)는 스테이터(151)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아우터 타입(outer-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의류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세탁코스와 세탁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행정,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행정을 포함하여 형성하는 싸이클(cycle)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세탁옵션은 상기 세탁코스를 수행할 때 드럼의 회전속도(rpm), 수온, 수위, 스팀공급 등의 강도, 정도와, 상기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의 횟수 등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옵션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각 행정의 반복 횟수,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강도, 각 행정을 수행할 때의 드럼의 회전속도, 수온 및 수위의 정도,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행정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설정된 알고리즘 또는 제어방법일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저장된 코스라 함은 의류처리장치(100)의 자체에 저장된 복수 개의 행정들, 행정들로 이루어진 세탁코스들, 세탁코스들을 일부 또는 전부를 변경 가능한 세탁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탈수행정은 상기 헹굼행정 또는 상기 세탁행정과 대비 드럼(130)의 회전속도가 높은 rpm으로 설정된다. 달리 말해, 탈수행정에서 드럼(130)의 회전속도는 헹굼행정 및 세탁행정에서의 드럼(130)의 회전속도보다 크게 형성된다.
탈수행정이 진행되는 도중에 드럼(13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은 터브(120)로 전이되며, 터브(120)로 전이된 진동 또는 소음은 캐비닛(110)으로 전달되어 의류처리장치(100)의 외부로 누설된다.
따라서, 드럼(130)의 회전수가 탈수행정에서의 회전수와 같이 비교적 큰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한 모멘트(moment of rotation, 이하 회전모멘트로 약칭함.)를 상쇄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는 종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a)는 웨이트밸런서(200)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100)를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2(b)는 웨이트밸런서(200)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100)를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웨이트밸런서(200)는 터브(120)의 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터브투입구(12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터브투입구(121)에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밸런서(200)는 상기 터브(120)의 전방면 일측에 결합되는 제1웨이트밸런서(210) 및 상기 터브(120)의 전방면 타측에 결합되는 제2웨이트밸런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웨이트밸런서(210) 및 상기 제2웨이트밸런서(220)는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해, 제1웨이트밸런서(210)가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면, 제2웨이트밸런서(220)는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웨이트밸런서(210) 및 제2웨이트밸런서(220)는 각각 상기 터브투입구(121)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웨이트밸런서(20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서 생성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웨이트밸런서(200)는 그 자체의 하중을 이용하여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킨다.
달리 말해, 웨이트밸런서(200)를 터브(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의류처리장치(100)의 무게가 상당히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웨이트밸런서(200)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되어 있어 재료비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웨이트밸런서(200)가 하중을 이용하여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킴을 고려할 때, 전술한 탈수행정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적은 재료비로 웨이트밸런서(200)와 동일 또는 개선된 효과를 가지며 탈수행정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웨이트밸런서(200)를 대체할 수 있는 저감부(300)을 설명한다.
도 3은 터브(120)에 결합된 저감부(300)의 정면도가 도시된 도면이다.
저감부(300)는 드럼(12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동조액체기둥댐퍼(Tuned of Liquid Column Damper, 이하 TLCD로 약칭함)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TLCD는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물탱크에 액체를 담아 상기 액체의 출렁임을 이용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댐퍼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TLCD는 낮은 주파수의 진동을 제어하는 것에 용이하기 때문에 건물에 사용될 수 있고, 건물의 진동을 관성에 의해 상쇄하는 것이 그 원리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TLCD의 원리를 이용한 저감부(300)를 제공하여, 의류처리장치(1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저감부(300)는 저감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저감케이스(310) 및 저감케이스(3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저감유닛(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저감케이스(310)는 대략 'ㄷ'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저감케이스(310)는 내부에 빈 공간(311)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상기 저감유닛(320)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감케이스(310)가 형성하는 상기 공간(311)은 상기 저감유닛(320)의 유로(311)로 정의될 수 있다.
저감유닛(320)은 유체(fluid)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저감유닛(320)은 물로 형성되는 제1유체(321) 및 공기로 형성되는 제2유체(32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에 제한되지 않고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며, 섞이지 않는 유체면 제약이 없다.
저감부(30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통상의 TLCD가 건물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과 달리, 저감부(30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저감부(30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 중에서 터브(120)에 결합되어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투입구(141)가 의류처리장치(100)의 전방면에 형성되는 프론트 로딩(front-loading) 타입의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저감부(300)는 터브(120)의 전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터브(120)의 배면에는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50)가 설치됨을 고려할 때,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은 터브(120)의 전방쪽에서 극대화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터브투입구(12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저감부(300)는 터브투입구(1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저감케이스(310)가 'ㄷ'자 형상이나 'U'자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ㄷ'자 형상의 개구부 또는 'U'자 형상의 개구부에 터브투입구(121)가 안착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저감부(300)는 터브투입구(121)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은 터브(120)로 전달되며, 터브(12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소음은 전방에서 저감부(300)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다만, TLCD가 일반적으로 건물의 최상층에 위치하는 이유는 건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전달받기 위함이다. 따라서, 저감부(300)가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전달받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저감부(300)의 형상은 터브(1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터브(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저감부(300)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의 저감부(300)가 터브(120)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감케이스(310)는 터브투입구(121)과 접촉되는 내륜케이스(313), 내륜케이스(313)와 이격되며 내륜케이스(313)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외륜케이스(315) 및 외륜케이스(315)와 내륜케이스(313)를 연결하는 연장케이스(317)를 포함할 수 있다.
내륜케이스(313)는 터브투입구(1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브투입구(121)의 외주면(121a)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투입구(121)가 대략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인 경우, 내륜케이스(313)는 속이 빈 원 형상을 단면으로 가질 수 있다.
특히, 저감부(300)가 터브투입구(1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내륜케이스(313)를 이루는 모든 영역은 터브투입구(121)와 접촉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내륜케이스(313)는 터브투입구(121)와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터브투입구(1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정 간격은 내륜케이스(313)의 형상과 터브투입구(121)의 외주면(121a)의 형상이 대응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외륜케이스(315)는 내륜케이스(313)에서 터브투입구(1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내륜케이스(313)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외륜케이스(315)는 내륜케이스(313)에 비해 터브투입구(121)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외륜케이스(315)가 내륜케이스(313)와 이격된 거리는 내륜케이스 또는 외륜케이스(315)의 둘레를 따라 유지될 수 있다. 즉, 외륜케이스(315)와 내륜케이스(313)가 이격된 거리는 일정한 거리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륜케이스(315) 또한 내륜케이스(3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결국, 외륜케이스(315)는 터브투입구(121)의 외주면(12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투입구(121)의 외주면(121a)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경우, 내륜케이스(313)의 직경은 터브투입구(121)의 외주면(121a)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외륜케이스(315)의 직경은 내륜케이스(313)의 직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연장케이스(317)는 내륜케이스(313)와 외륜케이스(315)를 연결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케이스(317)는 내륜케이스(313)에서 터브투입구(12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륜케이스(315)와 내륜케이스(313)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연장케이스(317)는 외륜케이스(315)에서 터브투입구(12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륜케이스(313)와 외륜케이스(315)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에는 저감유닛(220)이 유동 가능한 유로(3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저감케이스(310)는 원반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저감케이스(310)는 터브투입구(121)와 접촉되지 않고, 터브투입구(121)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내륜케이스(313)는 터브투입구(121)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저감케이스(310)와 다르게, 저감케이스(310)가 터브투입구(121)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우, 저감케이스(310)는 보다 큰 직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311)의 부피가 커질 수 있고, 드럼(130)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유동하는 저감유닛(220)의 부피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저감케이스(310)는 보다 효율적으로 드럼(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TLCD는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저주파(<1Hz)의 진동을 저감하는데 효율적이다. 그러나,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저주파보다 큰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저감부(300)는 저감유닛(220)이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조절하여 목표 주파수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유체(321)와 제2유체(323)가 저감부(300)에서 차지하는 부피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유체(321)가 물이고 제2유체(323)가 공기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유체(321)가 유로(311)에서 형성하는 부피(V1)는 상기 제2유체(323)가 유로(311)에서 형성하는 부피(V2)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유체(321)가 유로(311)에서 형성하는 부피(V1)는 제2유체(323)가 유로(311)에서 형성하는 부피(V2)보다 클 수 있다.
특히, 제1유체(321)가 형성하는 부피(V1)와 제2유체(323)가 형성하는 부피(V2)의 비율은 8 : 3 일 수 있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1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주파수 중 10Hz ~ 24Hz에 해당되는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저감부(300)는 저감케이스(310)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감케이스(310)는 터브투입구(121)를 둘러싸도록 폐곡선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개구부(330)를 포함하여 폐곡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구부(330)는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감유닛(320)은 개구부(330)를 통해 저감케이스(310)의 내부(311)로 유동하거나, 저감케이스(310)의 내부(31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open type)
그러나, 도 5를 참조하면, 저감부(300)는 개구부(33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closed type의 저감부(300)가 도시된 도면이다.
저감부(300)가 개구부(3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저감케이스(310)는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내륜케이스(313)는 터브투입구(121)를 둘러싸게 구비되어 폐곡선을 형성하고, 외륜케이스(315) 또한 내륜케이스(3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케이스(317)는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311)를 저감케이스(310)의 외부와 차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저감유닛(320)가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유동성이 보다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저감유닛(321)이 유동하는 경우, 제2저감유닛(323)이 차지하는 부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제2저감유닛(323)이 차지하는 부피가 축소되거나 감소되는 현상은 제1저감유닛(321)과 제2저감유닛(323)이 각각 차지하는 부피(V1, V2)를 보다 빠르게 회복하도록 도울 수 있다.
다만, 저감부(300)가 개구부(330)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에 위치한 저감유닛(320)을 저감케이스(310)의 외부로 연통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8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이로써, closed type의 저감부(300)는 저감유닛(320)의 유동을 압력으로 전환시켜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 또는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저감부(300)가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 또는 소음을 저감하는 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성이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100)가 좌측으로 진동하면, 저감유닛(320)은 저감케이스(310)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고, 의류처리장치(100)가 우측으로 진동하면, 저감유닛(320)은 저감케이스(310)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저감케이스(310)의 형상이 터브투입구(121)의 형상과 대응되어 폐곡선을 형성하는 경우 저감유닛(220)의 이동이 효율적이지 못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체(321)가 자치하는 부피(V1)는 제2유체(323)가 차지하는 부피(V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곧, 제1유체(321)는 터브투입구(121)의 절반 높이 이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해, 저감유닛(320)이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저감유닛(320)은 저감케이스(310)의 내면과 많은 접촉면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100)가 좌측으로 진동하는 경우 저감유닛(320)은 우측 및 상측으로 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저감유닛(320)의 우측 및 상측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성은 외륜케이스(315)이며, 내륜케이스(313)의 경우에는 저감유닛(32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 저감부(300)는 저감유닛(3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감부(300)는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저감유닛(3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가이드부(340)를 설명한다.
도 6은 제1가이드부(341)가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40)는 내륜케이스(313)와 외륜케이스(315)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가이드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41)은 내륜케이스(313)와 이격되고, 외륜케이스(315)와도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이드부(341)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41)는 연장케이스(317)의 전면과 하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341)는 2개의 연장케이스(317, 전방에 위치하는 일면과 후방에 위치하는 타면)를 전후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341)는 저감케이스(310)의 상단에서 내륜케이스(31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제1가이드부(341)는 저감유닛(320)의 이동 여부와 무관하게 저감유닛(320)과 항상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가이드부(341)가 내륜케이스(313)와 이격된 거리는 제1가이드부(341)가 외륜케이스(315)와 이격된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1가이드부(341)는 내륜케이스(313) 및 외륜케이스(315)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저감부(300)가 저감하고자 하는 목표 진동수에 맞추어, 제1가이드부(341)는 내륜케이스(313) 쪽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거나 외륜케이스(3151) 쪽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1가이드부(341)가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제1가이드부(341)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을 상쇄하도록 관성에 따라 움직이는 저감유닛(320)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저감유닛(320)은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와 접촉면을 형성할 뿐 아니라, 가이드부(340)와도 접촉면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340)는 내륜케이스(313)와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제2가이드부(343)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제2가이드부(343)는 내륜케이스(313)와 결합되되, 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륜케이스(315)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제2가이드부(343)는 외륜케이스(315)와 이격 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로써, 제2가이드부(343)는 저감유닛(320)이 이동하는 동안 내륜케이스(313)에 의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한 접촉면을 저감유닛(32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저감유닛(320)이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을 상쇄하기 위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보다 원활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제2가이드부(343)는 제1유체(321)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서 내륜케이스(313)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가이드부(343)는 내륜케이스(313)에 결합되되 터브투입구(1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2가이드부(343)는 내륜케이스(313)에서 터브투입구(31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저감부(300)에 의해 상쇄하려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주파수가 비교적 높은(TLCD과 비교할 때) 주파수임을 고려할 때, 제2가이드부(343)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진동을 상쇄하기 위해 이동하는 저감유닛(32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closed type 의 저감부(300)는 저감유닛(320)의 부피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저감부(300)는 저감케이스(310)에 결합되어 저감케이스(310)의 내부(311)와 저감케이스(310)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연통부(350)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면, 연통부(350)는 내륜케이스(313), 외륜케이스(315) 및 연장케이스(3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저감케이스(310)의 외부와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통부(350)는 내륜케이스(313) 또는 연장케이스(3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통부(351) 및 외륜케이스(315)에 구비되는 제2연통부(3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통부(351)는 내륜케이스(313)의 일부 또는 연장케이스(317)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통부(351)가 내륜케이스(313) 또는 연장케이스(317)로부터 분리되면 유로(311)는 저감케이스(310)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제1연통부(351)가 내륜케이스(313) 또는 연장케이스(317)와 결합되면 유로(311)는 저감케이스(310)의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통부(351)를 통해 제1유체(321)가 유로(311)에서 차지하는 부피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연통부(353)는 외륜케이스(353)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제1유체(321)가 액체로 구비되는 경우, 제1유체(321)를 유로(311)에서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쉽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연통부(350)를 통해 저감유닛(320)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고, 제1연통부(351)는 특히 저감유닛(320)을 유로(311)의 내부에 삽입하기 원활하며, 제2연통부(353)는 특히 저감유닛(320)을 유로(311)로부터 인출하기 원활할 수 있다.
다만, 제2연통부(353)를 통해 누설되는 저감유닛(320)은 터브(120)의 내부로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저감유닛(320)이 의류처리장치(100)의 내부에서 전장부와 같은 구성과 연통되는 경우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제2연통부(353)는 외륜케이스(315) 및 터브(120)에 결합되어 유로(311)와 터브(12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서브유로(3531) 및 외륜케이스(315)에 구비되어 유로(311)와 서브유로(3531)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부(3533)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유로(3531)의 일단은 외륜케이스(315)에 형성되고 타단은 터브(120)의 외주면 또는 터브(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밸브부(3533)는 유로(311)와 서브유로(3531)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형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예컨대, 밸브부(3533)는 회전을 통해 유로(311)와 서브유로(3531)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고, 외륜케이스(3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로(311)와 서브유로(3531)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로써, 연통부(350)는 저감케이스(3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저감유닛(320)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고, 저감유닛(320)의 부피가 조정됨은 저감부(300)가 목표하는 진동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연통부(350)는 closed type의 저감부(300)에서 설명했으나, open type의 저감부(300)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써, 저감부(300)는 종래의 웨이트밸런서(200)를 대체하면서도, 의류처리장치(1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밸런서(200)에 상응하는 제조비용이 절감되어 보다 경제적으로 의류처리장치(10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드럼(130)의 회전수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는 탈수행정에서 생성되는 특정 주파수의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의류처리장치 : 100 캐비닛 : 110
터브 : 120 터브투입구 : 121
드럼 : 130 도어 : 140
구동부 : 150 세제저장부 : 160
급수부 : 170 배수부 : 180
웨이트밸런서 : 200 제1웨이트밸런서 : 210
제2웨이트밸런서 : 220 저감부 : 300
저감케이스 : 310 유로 : 311
내륜케이스 : 313 외륜케이스 : 315
연장케이스 : 317 저감유닛 : 320
제1유체 : 321 제2유체 : 323
개구부 : 330 가이드부 : 340
제1가이드부 : 341 제2가이드부 : 343
연통부 : 350 제1연통부 : 351
제2연통부 : 353

Claims (16)

  1.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수용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는 저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감부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저감케이스;
    유체(fluid)로 형성되며 상기 유로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감유닛; 및
    상기 저감케이스의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어 저감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터브의 전면에 형성되는 터브투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저감부는 상기 터브투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가 상기 저감부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기 터브투입구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형성되며,
    상기 저감부는 상기 터브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부는 상기 터브투입구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케이스는,
    상기 터브투입구와 접촉되는 내륜케이스;
    상기 내륜케이스와 이격되며 상기 내륜케이스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외륜케이스; 및
    상기 외륜케이스와 상기 내륜케이스를 연결하는 연장케이스;를 포함하여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케이스는 상기 터브투입구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케이스는 상기 내륜케이스와 이격된 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내륜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케이스의 내부는 상기 저감케이스의 외부로부터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유닛은,
    상기 유로에서 제1부피를 차지하는 제1유체; 및
    상기 유로에서 제2부피를 차지하며 상기 제1유체와 다른 제2유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피는 상기 제2부피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감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륜케이스와 상기 외륜케이스의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내륜케이스 및 상기 외륜케이스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내륜케이스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터브투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부는 상기 저감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저감케이스의 내부와 상기 저감케이스의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기 내륜케이스 또는 상기 연장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연통부; 및
    상기 외륜케이스에 구비되는 제2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통부는,
    상기 외륜케이스 및 상기 터브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유로와 상기 터브의 내부를 연결하는 서브유로; 및
    상기 외륜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와 상기 서브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62109A 2020-05-25 2020-05-25 의류처리장치 KR10241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09A KR102413331B1 (ko) 2020-05-25 2020-05-2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2109A KR102413331B1 (ko) 2020-05-25 2020-05-2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362A KR20210145362A (ko) 2021-12-02
KR102413331B1 true KR102413331B1 (ko) 2022-06-27

Family

ID=7886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2109A KR102413331B1 (ko) 2020-05-25 2020-05-2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3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9418A (ja) * 2012-02-22 2013-09-02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878A (ko) * 1995-09-15 1997-04-28 구자홍 드럼 세탁기의 복합 유체 밸런스장치
JP2901913B2 (ja) * 1996-03-12 1999-06-07 株式会社東芝 脱水槽のバランサ
KR101050098B1 (ko) * 2004-12-03 2011-07-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터브의 밸런스 웨이트 결합구조
KR20060064311A (ko) 2004-12-08 2006-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동흡진기를 구비하는 세탁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9418A (ja) * 2012-02-22 2013-09-02 Sharp Corp ドラム式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5362A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109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8033145B2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30009351A (ko) 세탁기
JP3530062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41333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8097B1 (ko) 세탁장치
KR102304189B1 (ko) 의류처리장치
CN111593528B (zh) 衣物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0419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4327B1 (ko) 의류처리장치
JP575577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2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3093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2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2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5221319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70011253A (ko) 의류처리장치
JP575578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139251B1 (ko) 드럼세탁기
JP575284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755773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5314747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22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2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4871428B2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