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008B1 -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008B1
KR102090008B1 KR1020190012302A KR20190012302A KR102090008B1 KR 102090008 B1 KR102090008 B1 KR 102090008B1 KR 1020190012302 A KR1020190012302 A KR 1020190012302A KR 20190012302 A KR20190012302 A KR 20190012302A KR 102090008 B1 KR102090008 B1 KR 102090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lum
weight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문명이
황문의
강태훈
장호희
장정은
조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주식회사 피토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주식회사 피토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스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9001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0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럼코트(Plumc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진행을 촉진시키는 효소인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탈모 방지, 모발 굵기 증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과실을 이용한 천연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Containing Plumcot Extract}
본 발명은 플럼코트(Plumc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alopecia)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두피에서 굵고 검은 머리털(성모)이 빠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색이 연하고 굵기가 가는 연모와 달리 성모가 빠질 경우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인들에게 미적, 심리적으로 큰 고통을 줄 수 있으며, 현대에는 각종 스트레스, 질병, 불규칙한 생활습관, 다이어트, 출산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탈모가 생기는 경우가 많아 탈모 예방 및 치료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서양인에 비해 모발 밀도가 낮은 편인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5만 개 내지 7만 개의 머리카락이 있으며 하루에 약 50 내지 70개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빠지는 머리카락의 수가 100개가 넘으면 병적인 원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탈모증은 경미한 머리카락의 가늘어짐부터 완전한 대머리까지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휴지기 탈모증(telogen effluvium), 약물 부작용, 의학적 질병의 증상, 머리백선증(두부백선, tinea capitis),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외상탈모증(traumatic alopecia), 유전성 대머리, 안드로겐성 탈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탈모를 일으키거나 발모를 촉진시키는 원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탈모와 관련된 정확한 생물학적인 기전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최근까지의 연구 결과들은 남성호르몬이 모낭의 모유두세포에서 탈모를 일으키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수소공여체로서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인산(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NADPH)과 더불어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불가역적으로 환원하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인 5α-리덕타아제(5α-reductase)의 활성이 탈모와 연관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생성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두피 모낭을 축소하여 두껍고 긴 건강한 모발을 가늘고 짧은 모발로 변환시켜 탈모를 진행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실제로 탈모 억제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5α-리덕타아제의 활성 억제 효과가 중요한 수단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플럼코트(plumcot)는 영어로 자두를 뜻하는 '플럼(plum)'과 살구를 뜻하는 '아프리코트(apricot)'의 합성어로, 유전적으로 자두와 살구의 비율이 각각 50:50으로 교잡된 과일을 일컫는다. 이는 살구와 자두의 장점만을 수용하여 자두의 강한 생명력과 살구의 고기능성을 두루 갖는 과일이며, 1980년대까지는 재배 및 수확이 어려웠으나 그 맛 자체가 뛰어나 개발이 꾸준하게 이어져 현재는 다양한 종류로 미국,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열매의 색은 품종에 따라 검은색,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등으로 다양하고 둥근 형태를 띠는데 국내산의 경우 80~120g 정도, 수입산의 경우 60~80g 정도의 중량이다. 플럼코트에는 비타민 A와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어 시력 보호 및 야맹증 예방, 감기 예방, 면역력 개선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일과 같은 열매 추출물의 탈모 방지 효과에 대한 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1309호에서는 자두, 복분자, 오디, 포도, 검정쌀 및 블루베리 등의 추출물이 발모 효과를 나타낸다는 내용을 밝힌 바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3493호에는 히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0333호에는 봉삼, 그라비올라 및 모링가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밝히고 있으나, 플럼코트 추출물의 발모 효과에 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플럼코트에 탈모 방지에 효과적인 에스트로겐 함량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탈모에 영향을 주는 효소인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시키고, 이로 인해 탈모의 원인이 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저해시키는 플럼코트(Plumcot)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해조류, 과일류 및 식물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감태 및 톳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태 및 톳 중 하나 이상은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태 및 톳은 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1 내지 0.5중량부, 살리실산(salicylic acid) 0.1 내지 0.5중량부, 코카마이드디이에이(cocamide DEA) 2 내지 4중량부, 디-판테놀(D-Panthenol) 0.3 내지 0.6중량부, 징크피리치온(zinc pyrithione) 1.5 내지 3.0중량부 및 L-멘톨(L-Menthol) 0.1 내지 1.0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제,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럼코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탈모 진행을 촉진시키는 효소인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우수한 탈모 방지, 모발 굵기 증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과실을 이용한 천연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의 단독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억제효능을 농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태, 톳 및 플럼코트의 복합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억제효능을 감태, 톳 및 플럼코트의 중량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의 단독 추출물과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의 억제효능을 종합하여 농도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b)는 본 발명의 탈모 방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샴푸를 2주 간 사용하기 전과 후의 모발 굵기 변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럼코트 추출물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플럼코트 단독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α-리덕타아제의 작용에 의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전환되며, 이로 인해 휴지기 모낭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탈모에 이르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탈모를 유발하는 5α-리덕타아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럼코트 추출물이 사람 모유두세포내에서 탈모를 촉진시키는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탈모의 원인이 되는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의 생성을 저해하여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플럼코트는 자두(Plum)와 살구(apricot)가 같은 비율로 종간 교잡된 과일을 의미하고, 자두와 살구의 장점만을 수용하여 자두의 강한 생명력과 살구의 고기능성을 갖는 과일로서 비타민 A와 C가 다량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두와 살구의 교잡 과일인 플럼코트 추출물이 자두와 살구 각각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탈모 방지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은 또한 해조류, 과일류 및 식물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해조류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탈모 방지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해조류는 감태 및 톳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감태(학명: Ecklonia cava)는 흔히 ‘김’이라고 불리는 한국의 남해안, 제주도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갈조류에 속한 미역과의 다년생 해초로서 전복의 주 먹이이면서 알긴산, 요오드 및 칼륨과 같은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후코이단 및 플로로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항암, 항염, 노화억제 및 고혈압 억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톳(학명: Hizikia fusiforme)은 ‘녹미채’라고도 불리는 남해안, 제주도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갈조류 모자반과에 속한 바닷말로서, 칼슘, 철, 요오드 및 섬유질이 풍부하여 창자의 소화운동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태와 톳을 플럼코트와 혼합한 복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감태와 톳이 플럼코트의 탈모 방지 효과를 증폭시켜 더 뛰어난 탈모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해조류로서 감태 및 톳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감태 및 톳은 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2: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감태는 100 내지 200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톳은 50 내지 100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의 해조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10 내지 50중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플럼코트 및 해조류를 3: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이 플럼코트 단독 추출물보다 월등히 향상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 또는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어떠한 방법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및 압착법 중 어느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플럼코트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물, 알코올(Alcohol),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중 1종 이상을 혼합한 용매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냉각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추출과정에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 또는 통상의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준비된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혼합물을 70%(v/v) 에탄올 1000ml를 이용하여 상기한 환류 냉각 추출법으로 1시간동안 추출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여과지 등을 이용하여 여과하고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 과정을 거쳐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추출물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 또는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의 부피에 대하여 50㎍/mL 이상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0㎍/mL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제,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장료 제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제형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은 또한,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플럼코트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1 내지 0.5중량부, 살리실산(salicylic acid) 0.1 내지 0.5중량부, 코카마이드디이에이(cocamide DEA) 2 내지 4중량부, 디-판테놀(D-Panthenol) 0.3 내지 0.6중량부, 징크피리치온(zinc pyrithione) 1.5 내지 3.0중량부 및 L-멘톨(L-Menthol) 0.1 내지 1.0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 이외에 플럼코트 추출물에 의한 탈모 방지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도에서 종래부터 사용되어오던 양모제 또는 육모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유효성분 추출물의 제조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를 각각 100g씩 준비하여 70%(v/v) 에탄올 1,000ml를 첨가해 1시간 동안 환류 냉각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을 여과지(Whatman, Dassel)로 여과하고 농축기(EYELA)를 사용해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상기 추출물 분말을 정량하여 디메틸설폭시드(dimethyl sulfoxide)에 녹여 아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유효성분 추출물에 따른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시험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추출물들의 5α-리덕타아제 억제 효과를 사람 모유두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사람 모유두세포를 60ml 배양접시에 각각 4x105개씩 분주하고 C02 인큐베이터에서 온도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 추출물을 각각 50㎍/mL 및 100㎍/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같은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인산화 완충용액(phosphate buffersaline; PBS)으로 씻어내고 RNA 추출 키트를 이용해 전체 RNA를 추출한 후 역전사효소를 이용해 cDNA(complementary DNA)를 합성하여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실험(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상기 자두, 살구 및 플럼코트 추출물에 의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변화를 나타낸다. 자두 추출물의 경우, 50㎍/mL의 농도에서는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100을 기준으로 98까지 미미한 억제 효과를 보였고, 100㎍/mL의 농도를 사용했을 때는 87까지의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살구 추출물은 50㎍/mL의 농도에서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100을 기준으로 했을 때 94까지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100㎍/mL의 농도를 사용해야 74까지의 억제 효과를 보여 자두 추출물에 비해서 조금 더 우수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플럼코트 추출물의 경우에는 50㎍/mL의 농도에서도 74까지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100㎍/mL의 농도에서는 57까지 5α-리덕타아제 활성을 억제하여 현저히 우수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수치는 자두 및 살구 각각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수치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의 단순 합과 비교하여도 현저히 우수한 수치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플럼코트 추출물이 자두 및 살구의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현저히 우수한 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뛰어난 탈모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예 2: 플럼코트, 감태 및 톳 복합 추출물의 제조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하기 위하여,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을 각각 아래 표 1의 함량으로 혼합한 후,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감태
(g)

(g)
플럼코트
(g)
중량비
실시예 1 25 50 25 1:2:1
실시예 2 20 40 40 1:2:2
실시예 3 16.7 33.3 50 1:2:3
실험예 2: 플럼코트, 감태 및 톳 복합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시험
사람 모유두세포를 이용하여 제조예 2에서 제조된 복합 추출물들의 5α-리덕타아제 억제 효과를 비교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 모유두세포를 60ml 배양접시에 각각 4x105개씩 분주하였고 C02 인큐베이터에서 온도 37℃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2 및 3에서 얻어진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 추출물을 각각 처리한 후 같은 배양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RT-PCR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 추출물에 의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변화를 나타낸다. 감태, 톳 및 플럼코트를 1: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한 100mL 추출물의 경우 100을 기준으로 53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동일 함량의 플럼코트 추출물과 비교할 때도 더 우수한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플럼코트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감태 및 톳과 복합 추출물의 형태로서 사용하는 경우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더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복합혼합물 내에서 플럼코트의 비율을 증가시킨 경우 5α-리덕타아제 활성이 1:2:2 중량비의 경우 35까지 감소하였고, 1:2:3 중량비의 경우 10까지 감소하여 플럼코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는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 및 2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자두 및 살구의 추출물에 비하여 플럼코트의 단독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이 현저히 높으며, 플럼코트 단독추출물보다 플럼코트, 감태 및 톳의 복합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이 더욱 우수하여 감태 및 톳이 플럼코트 추출물의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을 증폭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모발 굵기 변화 간이 임상실험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의 탈모 방지 효과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으로 플럼코트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헤어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함량(중량%)
수상성분 62.00
EDTA-2NA 0.05
Allantoin 0.05
PQ10 J3000 0.20
Esaflor EC4 0.20
Glycerin 5.00
주성분 Niacinamide 0.30
Salicylic acid 0.20
D-Panthenol 0.30
유상 성분 Miconate LES 10.00
Micolin ES-430 7.00
Mitaine CA 5.00
Mipearl GS 0.50
MICOPOL CIP 3.00
S-490 6.00
효능 성분 실시예 3의 플럼코트, 감태 및 톳 복합 추출물 0.10
방부제 CS-BION 0.10
합계 100
실험은 탈모가 진행중인 피실험자 2명을 대상으로 상기 샴푸를 사용하기 전의 모발 굵기를 측정하고, 상기 샴푸를 2주간 매일 사용한 후 다시 모발의 굵기를 측정하였다.
도 4(a) 및 (b)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상기 샴푸를 2주간 사용한 비실험자 모두 모발의 두께가 0.03 내지 0.05cm 증가하여, 본 발명의 플럼코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샴푸가 모발의 두께를 증가시켜 궁극적으로는 탈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플럼코트(Plumcot)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이 해조류, 과일류 및 식물류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럼코트 추출물이 감태 및 톳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태 및 톳 중 하나 이상이 플럼코트의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태 및 톳이 1:1 내지 4:1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1 내지 0.5중량부, 살리실산(salicylic acid) 0.1 내지 0.5중량부, 코카마이드디이에이(cocamide DEA) 2 내지 4중량부, 디-판테놀(D-Panthenol) 0.3 내지 0.6중량부, 징크피리치온(zinc pyrithione) 1.5 내지 3.0중량부 및 L-멘톨(L-Menthol) 0.1 내지 1.0중량부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제,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 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또는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12302A 2019-01-30 2019-01-30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0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302A KR102090008B1 (ko) 2019-01-30 2019-01-30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302A KR102090008B1 (ko) 2019-01-30 2019-01-30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0008B1 true KR102090008B1 (ko) 2020-03-18

Family

ID=6999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302A KR102090008B1 (ko) 2019-01-30 2019-01-30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0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5055A1 (ko) * 2020-07-14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458A (ko) * 2007-02-06 2008-08-11 주식회사 글란트 토끼풀,살구씨 및 홍삼추추물을 함유하는 모발개선용조성물
JP2009518455A (ja) * 2005-12-12 2009-05-07 ジョン・ヒュン・ナム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31040A (ko) * 2008-09-11 2010-03-19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114290A (ja) *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20160040151A (ko) * 2016-03-17 2016-04-12 장복현 기능성 발효 탄산음료, 발효 술, 화장품 원료, 발효 및 제조방법
KR20170037381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8455A (ja) * 2005-12-12 2009-05-07 ジョン・ヒュン・ナム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73458A (ko) * 2007-02-06 2008-08-11 주식회사 글란트 토끼풀,살구씨 및 홍삼추추물을 함유하는 모발개선용조성물
KR20100031040A (ko) * 2008-09-11 2010-03-19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4114290A (ja) * 2013-12-13 2014-06-26 Showa Denko Kk 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KR20170037381A (ko) * 2015-09-25 2017-04-04 (주)프로스테믹스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40151A (ko) * 2016-03-17 2016-04-12 장복현 기능성 발효 탄산음료, 발효 술, 화장품 원료, 발효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5055A1 (ko) * 2020-07-14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430B1 (ko) 1종이상의진세노사이드계사포닌을함유하는화장료또는피부용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3407935B2 (ja) 皮膚外用剤
KR20190094913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두피 강화용 조성물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070056207A (ko) 포도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2175249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53378B1 (ko) 백급 추출물 등을 이용한 발모 촉진 또는 탈모 억제용 조성물
KR102090008B1 (ko)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49A (ko) 징크피리치온 및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100013439A (ko) 생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20120105922A (ko)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 개선용 외용제조성물
KR102324672B1 (ko) 맥문동 추출물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92414B1 (ko) 무화과나무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5570744B2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2171472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개선조성물
KR20210083236A (ko) 탈모 방지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70062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2517B1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H1087440A (ja) 養毛化粧料
KR20120046564A (ko)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102174309B1 (ko) 참나무겨우살이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1685B1 (ko) 피지 생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