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894B1 -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894B1
KR102089894B1 KR1020190073974A KR20190073974A KR102089894B1 KR 102089894 B1 KR102089894 B1 KR 102089894B1 KR 1020190073974 A KR1020190073974 A KR 1020190073974A KR 20190073974 A KR20190073974 A KR 20190073974A KR 102089894 B1 KR102089894 B1 KR 102089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consum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호
윤정호
Original Assignee
강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호 filed Critical 강재호
Priority to KR102019007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894B1/ko
Priority to PCT/KR2020/007478 priority patent/WO202025633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담배 판매시 소비자의 실명을 확인함으로서 미성년자의 담배 구입을 차단함은 물론 담배 고유의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식별태그를 담배에 구비하여 유통시 담배이력 관리서버에 소비자정보 및 담배식별정보를 등록 관리함으로서 흡연 후 길거리 등에 꽁초를 무단투기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며, 소비자가 꽁초를 무단투기시 발생할 수 있는 꽁초 소유자에 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어 과태료 부과가 용이하고, 담배의 무단투기시 적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여 꽁초 무단 투기를 예방함은 물론 불법투기된 꽁초처리로 인한 사회적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traceability management system of cigarette consumption using real-name system}
본 발명은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담배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실명을 확인함으로서 미성년자의 담배 구입을 차단함은 물론 담배를 무단 투기시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어 담배꽁초 무단 투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배는 담뱃잎 등의 연초를 궐련지로 감싸고, 궐련지와 연초를 태워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연기 내의 유해성분을 줄이고 연기의 맛을 개선하기 위해 흡입단에 필터부가 구비된다.
이때 궐련지(cigarette paper)는 연초를 마는 종이로 마(flax)나 목재펄프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필터부는 궐련지로 감싸진 연초의 뒷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필터부는 필터를 팁페이퍼로 감싼 구조로서, 필터는 아세테이트 토우(acetate tow)가 응집되어 형성된 아세테이트 필터, 아세테이트 필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 필터, 향기 캡슐이 내장된 캡슐형 필터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 중 복수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담배는 통상 제조회사와 도매상과 소매상 등을 거쳐 일반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것으로, 상기의 담배제품 불법유통 근절을 위한 담배의 유통 과정을 추적하기 위한 담배 유통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954304호(참고문헌 1)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블록체인을 통해 담배에 대한 유통 경로를 안전하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1에 제안된 블록체인 기반의 담배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담배 추적 서버만으로는 담배를 최종적으로 구매하는 소비자를 추적하는 것은 불가능한다.
이는 담배의 경우 19세 이상의 성인만 구입이 가능하며 미성년자가 구입하는 경우 해당 판매업소에 대한 영업정지 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판매를 금지하고는 있으나 위조 신분증을 이용한 담배 구매시 판매자에게만 과한 책임을 묻는 등의 문제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아울러 정상적으로 담배를 구입하더라도 흡연구역에서 흡연하지 않고 길거리에서 흡연 후 꽁초를 무단 투기시 길거리 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수거에도 많은 비용과 수고가 필요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1 : 등록특허 제10-1954304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담배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실명을 확인함으로서 미성년자의 담배 구입을 차단함은 물론 흡연 후 길거리 등에 꽁초를 무단투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꽁초를 무단투기시 발생할 수 있는 꽁초 소유자에 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어 과태료 부과가 용이하고 꽁초 무단투기를 예방하여 불법투기된 꽁초처리로 인한 사회적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담배의 필터부에 구비되어 고유한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식별태그와, 소매점에 구비되어 담배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의 인증정보와 상기 식별태그의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하여 소비자를 인증하고 담배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점포용 단말기와, 상기 점포용 단말기로부터 소비자정보와 담배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관리하는 담배이력 관리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담배가 담겨진 담배갑의 표면에는 상기 담배의 식별태그와 동일한 형태의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담배갑태그가 구비되며, 상기 점포용 단말기는 담배갑태그로부터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태그는 담배의 필터부의 팁페이퍼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필터부의 필터에 내장되는 NFC태그 또는 RFID태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점포용 단말기는 소비자의 신분증 또는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소비자정보를 수신하는 소비자정보 리더부와, 소비자가 구매하는 담배에 구비된 식별태그의 담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담배식별정보 리더부와, 상기 소비자정보 리더부를 통해 수신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인이 인증되면 상기 담배식별정보 리더부를 통해 담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제어부와, 상기 단말제어부로부터 소비자정보 및 담배식별정보를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는 상기 점포용 단말기로부터 소비자정보와 담배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는 흡역구역에 설치되어 흡연 후 담배를 수거하는 담배수거통과 연계 운영하되, 상기 담배수거통은 상기 담배의 수거시 식별태그의 담배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담배 인식부와, 상기 담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담배식별정보를 제2통신부를 통해 담배이력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수거통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는 상기 담배수거통으로부터 담배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칭되는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검색하여 담배를 구매한 소비자가 흡연후 정상적으로 담배꽁초를 처리하였음을 확인가능한 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는 청소관리인이 관리하는 관리용 단말기와 연계 운영하되,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는 상기 관리용 단말기를 통해 담배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칭되는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검색하여 담배를 구매한 소비자가 흡연후 비정상적으로 담배꽁초를 처리하였음을 확인가능한 비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등록하고 상기 비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정부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배 판매시 소비자의 실명을 확인함으로서 미성년자의 담배 구입을 차단함은 물론 담배 고유의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식별태그를 담배에 구비하여 유통시 담배이력 관리서버에 소비자정보 및 담배식별정보를 등록 관리함으로서 흡연 후 길거리 등에 꽁초를 무단투기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담배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꽁초를 무단투기시 발생할 수 있는 꽁초 소유자에 관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어 과태료 부과가 용이하고, 담배의 무단투기시 적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여 꽁초 무단 투기를 예방함은 물론 불법투기된 꽁초처리로 인한 사회적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담배 소비 이력을 상산에서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어 면세담배의 유통관리에도 유용할 뿐만 아니라, 흡역구역에 설치되는 담배수거통에 담배를 버리는 경우 자동으로 담배 고유의 담배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흡연자가 정상적인 담배꽁초의 처리를 진행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으며, 소비자정보 및 담배식별정보를 등록 관리함으로서 경찰청, 검찰청 등에서 과태료 부과, 화재나 각종 범죄 현장의 증거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건복지부 등에서 금연프로그램 등의 시행 및 연구 등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를 위한 담배에 구비되는 식별태그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담배수거통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해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은, 담배(10)의 유통 이력은 물론 최종적으로 담배(10)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실명을 확인하여 판매함으로서 미성년자의 담배(10) 구입을 차단함은 물론 흡연 후 길거리 등에 담배꽁초를 무단투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담배꽁초를 무단투기시 발생할 수 있는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어 경범죄 처벌이 용이하고 꽁초 무단투기를 예방하여 불법투기된 담배꽁초 처리로 인한 사회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담배(10)는 담배갑(또는 담배케이스)(1)에 통상 20개의 담배(10)가 구비되며, 이러한 각각의 개별 담배(10)의 필터부(12)에는 담배(10)의 고유한 담배식별정보를 가지는 식별태그(1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담배갑(1)에 설정개수가 포장되는 개별 담배(10)의 필터부(12)에 구비되며 담배갑(1)별로 고유한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식별태그(100)와, 소매점에 구비되어 담배(10)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의 인증정보와 상기 식별태그(100)의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하여 소비자를 인증하고 담배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점포용 단말기(200)와,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로부터 소비자정보와 담배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관리하는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담배(10)는 연초를 궐련지로 감싼 연초부(11)와, 그 연초부(11)의 후단에 필터를 팁페이퍼로 감싼 필터부(12)를 구비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필터는 아세테이트 토우(acetate tow)가 응집되어 형성된 아세테이트 필터, 아세테이트 필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형 필터, 향기 캡슐이 내장된 캡슐형 필터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식별태그(100)는 담배(10)의 필터부(12)의 팁페이퍼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이루어지거나, 필터부(12)의 필터에 내장되는 NFC태그 또는 RFID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태그(100)는 1개의 담배갑(1)에 담겨진 설정개수(예를 들어 20개)의 담배(10)에 공통되며 고유한 담배식별정보를 가진다. 즉 1개의 담배갑(1)를 소비자가 구매하는 경우 담배갑(1) 내부에 구비되는 모든 개별 담배(10)의 식별태그(100)에는 공통되며 유일한 담배식별정보가 구비되며, 종류가 같은 담배라도 동일한 담배갑(1)이 아니라면 서로 다른 담배갑(1)에 구비되는 개별 담배(10)의 식별태그(100)의 담배식별정보는 서로 다르게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식별태그(100)는 서로 다른 담배갑(1)에 구비되는 담배(10)의 필터부(12)를 이루는 팁페이퍼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는 서로 다른 문양의 담배식별정보가 인쇄되고, 필터부(12)의 필터에 내장되는 NFC태그 또는 RFID태그에는 서로 다른 데이터의 담배식별정보가 내장된다.
아울러 개별 담배(10)가 담겨진 담배갑(1)의 표면에는 상기 개별 담배(10)의 식별태그(100)와 동일한 형태의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담배갑태그(1a)가 인쇄 또는 부착된다.
이에 일예로 개별 담배(10)의 식별태그(100)에 구비되는 담배식별정보가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이루어지는 경우 동일한 문양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담배갑(1) 표면에도 동일한 형태로 인쇄하여 담배갑태그(1a)를 형성하거나, 개별 담배(10)의 식별태그(100)에 구비되는 담배식별정보가 NFC태그 또는 RFID태그에 내장되는 경우 동일한 NFC태그 또는 RFID태그를 담배갑(1)에 부착하거나 NFC태그 또는 RFID태그에 저장된 담배식별정보와 동일한 데이터를 의미하는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담배갑(1) 표면에도 동일하게 인쇄하여 유통한다.
이러한 담배식별정보에는 담배(10)의 생산자와 생산일자 등의 생산 유통관계를 알 수 있는 생산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는 소비자가 담배(10)를 구매시 소비자를 인증하고 판매하는 담배식별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2)의 신분증(20) 또는 소비자 단말기(22)로부터 소비자정보를 수신하는 소비자정보 리더부(210)와, 소비자가 구매하는 담배(10)에 구비된 식별태그(100)의 담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와, 상기 소비자정보 리더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인이 인증되면 상기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를 통해 담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제어부(230)와, 상기 단말제어부(230)로부터 소비자정보 및 담배식별정보를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2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식별태그(100)가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 동일한 담배식별정보의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담배갑()에 동일하게 인쇄하는 방식으로 담배갑태그(1a)를 구비함으로서, 소비자정보 리더부(210)와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는 하나의 바코드 리더 등의 광학스캐너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식별태그(100)가 NFC태그 또는 RFID태그로 이루어진 경우 소비자정보 리더부(210)는 광학스캐너로 구성하고,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는 NFC태그 또는 RFID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공지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NFC태그 또는 RFID태그는 담배식별정보가 칩(chip)에 저장되며 안테나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이러한 소비자정보 리더부(210)와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는 하나의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독립하는 두개의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는 담배갑태그(1a)로부터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함이 바람직하나, 식별태그(100)가 NFC태그 또는 RFID태그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담배갑태그(1a)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도의 설계변경 역시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상기 소비자정보 리더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소비자정보를 분석하여 성인 인증을 수행한다. 이때 소비자정보 리더부(210)를 통해 소비자의 신분증(예를 들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20)을 스캔하는 경우 이미지 형태의 소비자정보를 수집하여 이미지프로세싱을 통해 주민번호를 비교하여 성인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개인 휴대통신기기인 스마트폰 등의 소비자 단말기(22)로부터 소비자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휴대폰번호 또는 QR코드 등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소비자(2)의 성인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상기 소비자정보 리더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소비자정보를 분석하여 성인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를 통해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하고 제1통신부(240)를 통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원격지의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
물론 상기 단말제어부(230)는 수집된 소비자정보에서 필요한 소비자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등 일부 소비자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담배식별정보와 함께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로부터 소비자정보와 담배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관리한다.
이때, 식별태그(100)가 구비된 담배(10)를 생산하는 생산자는 생산자 단말기(30)를 담배이력 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담배(10)의 식별태그(100)에 내장된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하여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등록관리한다.
이와 같이 생산자 단말기(30)를 통해 수신되는 담배식별정보는 시간 순으로 담배이력 관리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된다.
아울러 상기 담배(10)는 생산자로부터 도매상과 소매상을 거치게 되면서 도매상과 소매상에 구비되는 단말기를 통해 담배의 유통과정에서의 발생하는 유통이력정보를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이에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된 담배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유통이력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추가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유통이력정보는 담배의 납품자, 납품일자 및 납품단가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로부터 소비자정보와 담배식별정보를 수신하면 기등록된 담배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추가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는 담배를 구매한 소비자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담배의 유통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담배식별정보, 유통이력정보,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관리하는데,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등이 이러한 과정 등을 허용 등급에 따라 접근 가능한 홈페이지(320)를 운영함으로서 생산자, 도매상, 소매상, 소비자 등이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담배이력 관리서버(300)에 네트워크를 통해 방문해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흡역구역에 설치되어 담배를 피워 꽁초 상태로 수거하는 담배수거통(400)과 네트워크로 연계 운영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담배수거통(400)에는 상기 담배(10)의 수거시 식별태그(100)의 담배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담배 인식부(410)와, 상기 담배 인식부(410)를 통해 인식된 담배식별정보를 제2통신부(420)를 통해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수거통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담배 인식부(410)는 식별태그(100)가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이루어진 경우 광학스캐너로 구성하고, NFC태그 또는 RFID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근거리무선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인식의 편의성과 많은 담배 꽁초를 쉽게 인식하기에는 NFC태그 또는 RFID태그로 식별태그(100)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담배수거통(400)은 수거된 많은 양의 담배 꽁초를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는 압축기가 구비되는 압축기형 담배수거통을 사용하거나 압축하지 않고 꽁초 상태 그대로 수거하는 일반형 담배수거통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거통 제어부(430)는 담배수거통(400)을 통해 수거된 담배의 식별태그(100)에 표시 또는 내장된 담배식별정보를 원격지의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이에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310)에서 매칭되는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검색하여 담배를 구매한 소비자가 흡연후 정상적으로 담배꽁초를 처리하였음을 확인가능한 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더 등록한다.
이와 같은 운영을 통해 길거리에 담배꽁초를 무단투기시에는 청소관리인이 수거하여 관리용 단말기(500)로 수거된 담배의 담배식별정보를 식별태그(100)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관리용 단말기(500)를 통해 추출한 담배식별정보는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데이터베이스(310)에서 매칭되는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검색하여 담배를 구매한 소비자가 흡연후 비정상적으로 담배꽁초를 처리하였음을 확인가능한 비정상흡연완료 데이터로 등록한다.
이 경우 상기 관리용 단말기(500)는 담배수거통(400)의 담배 인식부(410)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그와 동일한 기능을 갖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담배가 수거된 위치에 관해 알 수 있는 좌표값 등의 담배수거위치 데이터를 담배식별정보에 포함하여 담배이력 관리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310)의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에 추가 등록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로 경찰청,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는 정부기관 서버(600)와 연계 운영한다.
따라서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600)는 소비자가 흡연후 비정상적으로 담배꽁초를 처리하였음을 알리는 비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등록 즉시 또는 주기적(예를 들어 1일 단위 또는 1주일 단위)으로 경찰청 등의 정부기관 서버(600)로 전송하여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정상흡연완료 데이터는 담배 수거위치는 물론 소비자 성명 및 주소, 전화번호 등의 소비자정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소비자의 흡연정도 등에 관한 일련의 정보를 보건복지부 등의 정부기관 서버(600)에서 요청시 전송하여 금연 프로그램의 운영 또는 연구 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담배갑 2: 소비자
10: 담배 12: 필터부
20: 소비자 신분증 22: 소비자 단말기
100: 식별태그 200: 점포용 단말기
210: 소비자정보 리더부 220: 담배식별정보 리더부
230: 단말제어부 240: 제1통신부
300: 담배이력 관리서버 310: 데이터베이스
320: 홈페이지 400: 담배수거통
410: 담배 인식부 420: 제2통신부
430: 수거통 제어부 500: 관리용 단말기
600: 정부기관 서버

Claims (6)

  1. 담배(10)의 필터부(12)에 구비되어 고유한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식별태그(100)와, 소매점에 구비되어 담배(10)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의 인증정보와 상기 식별태그(100)의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하여 소비자를 인증하고 담배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점포용 단말기(200)와,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로부터 소비자정보와 담배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관리하는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구성되고;
    상기 식별태그(100)는 담배(10)의 필터부(12)의 팁페이퍼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담배(10)가 담겨진 담배갑(1)의 표면에는 상기 담배(10)의 식별태그(100)와 동일한 형태의 담배식별정보를 갖는 담배갑태그(1a)가 구비되고, 상기 담배갑태그(1a)는 담배갑(1)의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 또는 QR코드로 이루어져,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는 담배갑태그(1a)로부터 담배식별정보를 리딩하며;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는 소비자(2)의 신분증(20) 또는 소비자 단말기(22)로부터 소비자정보를 수신하는 소비자정보 리더부(210)와, 소비자가 구매하는 담배(10)에 구비된 식별태그(100)의 담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와, 상기 소비자정보 리더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소비자 정보를 분석하여 성인이 인증되면 상기 담배식별정보 리더부(220)를 통해 담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말제어부(230)와, 상기 단말제어부(230)로부터 소비자정보 및 담배식별정보를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제1통신부(240)로 구성되며,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상기 점포용 단말기(200)로부터 소비자정보와 담배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로 데이터베이스(310)에 등록하고,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흡역구역에 설치되어 흡연 후 담배를 수거하는 담배수거통(400)과 연계 운영하되, 상기 담배수거통(400)은 상기 담배(10)의 수거시 식별태그(100)의 담배식별정보를 인식하는 담배 인식부(410)와, 상기 담배 인식부(410)를 통해 인식된 담배식별정보를 제2통신부(420)를 통해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수거통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상기 담배수거통(400)으로부터 담배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310)에서 매칭되는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검색하여 담배를 구매한 소비자가 흡연후 정상적으로 담배꽁초를 처리하였음을 확인가능한 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청소관리인이 관리하는 관리용 단말기(500)와 연계 운영하되, 상기 담배이력 관리서버(300)는 상기 관리용 단말기(500)를 통해 담배식별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310)에서 매칭되는 소비자별 담배구매정보를 검색하여 담배를 구매한 소비자가 흡연후 비정상적으로 담배꽁초를 처리하였음을 확인가능한 비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등록하고 상기 비정상흡연완료 데이터를 정부기관 서버(6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73974A 2019-06-21 2019-06-21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KR102089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74A KR102089894B1 (ko) 2019-06-21 2019-06-21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PCT/KR2020/007478 WO2020256333A1 (ko) 2019-06-21 2020-06-10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974A KR102089894B1 (ko) 2019-06-21 2019-06-21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894B1 true KR102089894B1 (ko) 2020-03-16

Family

ID=6994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974A KR102089894B1 (ko) 2019-06-21 2019-06-21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9894B1 (ko)
WO (1) WO20202563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26657A (zh) * 2020-04-10 2020-09-04 南京优物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香烟溯源和健康关爱智慧系统
WO2020256333A1 (ko) * 2019-06-21 2020-12-24 강재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WO2022010329A1 (ko) * 2020-07-10 2022-01-13 양준호 꽁초낱개포장지를 활용한 꽁초 수거 및 재활용 보상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69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포스시스템 및 그 상품판매 제어방법
JP2008192121A (ja) * 2007-01-12 2008-08-21 Fujitsu Ltd 廃棄物管理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廃棄物収納容器
KR101732006B1 (ko) * 2015-11-10 2017-05-02 정순열 담배꽁초 수거 및 포인트 관리 시스템
KR101954304B1 (ko) 2017-11-02 2019-05-23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기반의 담배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담배 추적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894B1 (ko) * 2019-06-21 2020-03-16 강재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269A (ko) * 2004-09-09 2006-03-14 주식회사 씨엔피테크 포스시스템 및 그 상품판매 제어방법
JP2008192121A (ja) * 2007-01-12 2008-08-21 Fujitsu Ltd 廃棄物管理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廃棄物収納容器
KR101732006B1 (ko) * 2015-11-10 2017-05-02 정순열 담배꽁초 수거 및 포인트 관리 시스템
KR101954304B1 (ko) 2017-11-02 2019-05-23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기반의 담배 추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담배 추적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33A1 (ko) * 2019-06-21 2020-12-24 강재호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CN111626657A (zh) * 2020-04-10 2020-09-04 南京优物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香烟溯源和健康关爱智慧系统
WO2022010329A1 (ko) * 2020-07-10 2022-01-13 양준호 꽁초낱개포장지를 활용한 꽁초 수거 및 재활용 보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6333A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894B1 (ko) 실명제를 이용한 담배소비 이력 추적 관리 시스템
US20200334689A1 (en) Centralized databases storing digital fingerprints of objects for collaborative authentication
US11048894B2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7016783A (zh) 自助售卖方法及装置
JP4941860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
CN110060413B (zh) 物品的出售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02651089A (zh) 烟草管理系统和烟草销售控制方法
KR102002759B1 (ko) 담배꽁초 관리 시스템
CN102054249A (zh) 识别窜货的方法及其装置
US11706034B2 (en) Point-of-sale system and method
CN104809621A (zh) 产品售卖的监管系统、终端监管方法和中心监管方法
CN104598653A (zh) 电子收据管理装置及方法
US20100305958A1 (en) Data processing system, computer program used therefor, and data processing method
KR101628977B1 (ko) 자동 haccp 관리 시스템
CN102737325A (zh) 一种基于电子标签的条烟防伪系统
WO2021078053A1 (zh) 电子烟回收方法、售卖回收机、回收系统、存储介质及设备
FR2915606A1 (fr) Procede et systeme de controle d'acces a un evenement ou a un service
CN112529105A (zh) 一种基于ai图像识别的行为检测分析系统及方法
CN114073340A (zh) 雾化式电子烟系统、信息处理方法及设备
KR102011593B1 (ko) 담배꽁초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192121A (ja) 廃棄物管理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廃棄物収納容器
JP4134948B2 (ja) 物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物品販売方法
JP2008077260A (ja) タバコに組み込んだicチップ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CN1862589A (zh) 一种使用手机等装置查询鉴别产品真伪的系统及方法
US20020039432A1 (en) Legal age limit and fingerprint verif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