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373B1 -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 - Google Patents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373B1
KR102089373B1 KR1020190051205A KR20190051205A KR102089373B1 KR 102089373 B1 KR102089373 B1 KR 102089373B1 KR 1020190051205 A KR1020190051205 A KR 1020190051205A KR 20190051205 A KR20190051205 A KR 20190051205A KR 102089373 B1 KR102089373 B1 KR 102089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ld
movable pin
cor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장희
한창규
한정규
Original Assignee
신흥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흥화학(주) filed Critical 신흥화학(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이 형성된 제품을 사출할 때에 발생되는 웰드라인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지공급부의 구조를 블럭형으로 구성하여 블럭형 수지공급부를 금형과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므로 사출금형의 수지공급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금형부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수지공급부의 수지가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제1코어가 마련된 제1금형; 상기 제1금형과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코어와 함께 성형품이 생성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코어가 마련된 제2금형; 상기 제1코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품에 홀을 형성시키는 가동핀; 상기 제2코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핀이 인입되는 도피홀; 및 상기 도피홀의 내측에 구비되어 성형제품을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포함하는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Mold of Thermosetting Resin Prevening Weldline}
본 발명은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홀이 형성된 제품을 사출할 때에 발생되는 웰드라인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지공급부의 구조를 블럭형으로 구성하여 블럭형 수지공급부를 금형과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므로 사출금형의 수지공급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금형부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수지공급부의 수지가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에 관한 것이다.
열경화성 수지의 사출 성형시, 제품이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홀을 형성하기 위한 가동핀이 금형구조에 포함되어 있는데, 따라서 가동핀에 의하여 캐비티로 공급되는 수지가 가동핀의 양측으로 유동하고 가동핀을 통과한 후에 서로 합쳐지면서 경화되는데, 이렇게 합쳐진 수지의 경계면이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웰드라인으로서 제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웰드라인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428370호, 등록특허 제10-0964008호, 공개특허 제10-2017-0063291호 등과 같이, 웰드라인이 형성되는 부근의 열을 제어하는 방식, 또는 등록특허 제10-0852788호, 제10-1456999호와 같이, 구조적으로 웰드라인을 방지하는 방식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열을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웰드라인을 근본적으로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구조적으로 웰드라인을 방지하는 후자의 경우에도 제품의 복잡성이나, 구조적 개선에 따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여 실제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28370호가 등록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64008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홀이 형성된 제품을 사출할 때에 발생되는 웰드라인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수지공급부의 구조를 블럭형으로 구성하여 블럭형 수지공급부를 금형과 공간적으로 이격시키므로 사출금형의 수지공급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금형부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수지공급부의 수지가 열에 의하여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제1코어가 마련된 제1금형; 상기 제1금형과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코어와 함께 성형품이 생성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코어가 마련된 제2금형; 상기 제1코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품에 홀을 형성시키는 가동핀; 상기 제2코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핀이 인입되는 도피홀; 및 상기 도피홀의 내측에 구비되어 성형제품을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핀의 일단부에는 캐비티에 1차 주입된 수지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수지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침투돌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동핀의 일단부 외측 둘레에는 도피홀에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도피홀은, 상기 가동핀의 전진 이동 중에 상기 이젝터의 후진 이동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가동핀이 상기 이젝터에 근접하는 즉시 상기 이젝터가 상기 가동핀보다 빠른 속도로 후진 이동됨으로써 순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핀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티에는, 여유공간을 갖도록 수지가 가득 채워지지 않으며, 상기 제1금형의 일측는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수지공급수단은 상기 제1금형의 일측에 위치되며, 중심에 수지가 유입되는 수지유입구가 형성되어 수지를 노즐부로 유동시키는 런너블럭; 및 상기 런너블럭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로 수지를 공급해주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런너블럭은 내부에 수지유입구로 유입된 수지를 유동시키기 위한 수지이송라인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노즐부의 상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수지유로가 형성되는 노즐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몸체의 상단부에는 런너블럭의 분기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일정깊이 삽입 안착되어 연결 고정되는 노즐머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1차 사출시 가동핀의 일단이 캐비티의 일면을 정의하도록 하고, 2차 사출시에는 가동핀이 제품의 홀을 형성하기 위한 홀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웰드라인이 발생할 여지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동핀을 수용하기 위한 도피홀을 제2코어측에 형성함으로써, 가동핀에 의한 제품 표면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도피홀에 이젝터를 설치함으로써, 가동핀에 의해 도피홀로 밀려난 여분의 수지에 의하여 경화된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런너블럭의 내부에 냉각수가 유동되는 복수의 냉각라인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지이송라인을 통하여 유동되는 수지가 경화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런너블럭이 단일한 블럭에 드릴가공에 의하여 제조됨으로써, 냉각 라인으로부터의 누수가 근복적으로 방지되어 청소의 필요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가 제1금형과 제1코어와 접촉되지 않도록 제1금형과 제1코어에 노즐부의 외경보다 큰 장착홀을 각각 형성시킴으로써,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어 블럭형 수지공급장치와 노즐부 내의 수지의 대부분이 경화되지 않고 형개 후에 이루어지는 다음 사출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a 내지 e는 가동핀과 이젝터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동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품에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가동핀을 적용시킬 경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지공급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런너블럭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a)는 런너블럭의 내부에 수지이송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런너블럭의 내부에 냉각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c)는 런너블럭의 내부에 수지이송라인과 냉각라인이 모두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a 내지 e는 가동핀과 이젝터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가동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제품에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가동핀을 적용시킬 경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수지공급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런너블럭의 내부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a)는 런너블럭의 내부에 수지이송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b)는 런너블럭의 내부에 냉각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c)는 런너블럭의 내부에 수지이송라인과 냉각라인이 모두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1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홀이 형성된 제품을 사출할 때에 발생되는 웰드라인을 방지할 수 있는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10)은 제1코어(110)가 마련된 제1금형(100)과, 상기 제1금형(100)과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코어(110)와 함께 성형품이 생성되는 공간인 캐비티(C)를 형성하는 제2코어(210)가 마련된 제2금형(200)과, 상기 제1코어(11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품에 홀을 형성시키는 가동핀(300)과, 상기 제2코어(210)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핀(300)이 인입되는 도피홀(400) 및 상기 도피홀(400)의 내측에 구비되어 성형제품을 캐비티(C)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가동핀(300)의 일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돌부(310)가 끝단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캐비티(c)에 1차 주입된 수지에 홀 가공을 위해 가동핀(300)이 침투할 경우 가동핀(300)의 전체 넓은 면적이 갑자기 침투하게 되면 저항이 높아져 수지가 요동을 일으키기 때문에 수지의 비틀림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끝단이 뾰족하게 돌출되어 테이퍼지게 형성된 침투돌부(310)가 침투되어 좁은 면적에서 점차 점진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침투되어 저항을 낮춰줌으로써 수지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가동핀(300)의 일단부 외측 둘레는 도피홀(400)에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경사면(320)이 형성된다.
한편, 도피홀(400)은 가동핀(300)의 진입방향부터 길이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가동핀(300)이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10)은 도 2b와 같은 상태에서 도 2c와 같이 캐비티(C)에 수지가 모두 채워지면 즉시 도 2d와 같이 가동핀(300)이 전진 이동하여 도피홀(400)에 일정깊이 삽입되면서 제품(11)에 홀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피홀(400)로 여분의 수지(12)를 도피홀(400)로 밀어넣는다. 이때, 도피홀(400)의 내측에 구비된 이젝터(500)가 후진 이동되면서 여분의 수지(12)를 수용할 수 있는 도피홀(400)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이후, 도 2 e와 같이 전진 이동된 가동핀(300)이 후진 이동됨과 동시에 이젝터(500)가 전진 이동하므로 도피홀(400)에 수용되어 경화된 여분의 수지(12)를 제거해준다.
한편, 이젝터(500)의 이동속도는 가동핀(300)의 이동속도 보다 빠르게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젝터(500)가 캐비티(c)에 채워진 수지가 도피홀(40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고 있다가 순간적으로 가동핀(300)의 단부가 캐비티(c)를 관통하여 이젝터(500)에 근접하는 즉시 후진 이동되어 가동핀(300)이 삽입될 수 있는 도피홀(400)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품에 홀을 많이 형성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가동핀(300)이 캐비티(c) 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c) 내에 수지를 가득 채우지 않고 여유공간(s)을 갖도록 하고 가동핀(300)이 캐비티(c)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여유공간(s)에 수지를 보충시킨다. 그 이유는 캐비티(c) 내에 수지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복수 개의 가동핀(300)이 동시에 캐비티(c)에 삽입되면 캐비티(c)가 채워진 수지의 부피가 늘어남에 따라 캐비티(c)에서 수지가 누출되어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품 표면에 웰드라인이 발생하는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피홀로 밀려난 여분의 수지에 의하여 경화된 잔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가동핀이 제품에 홀을 형성하는 경우 수지의 비틀림이 발생하여 불량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금형(100)의 일측에는 수지를 공급해주는 수지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공급수단(600)은 중심에 수지가 유입되는 수지유입구(611)가 형성되어 수지를 노즐부로 유동시키는 런너블럭(610) 및 이 런너블럭(610)에 고정 설치되어 캐비티(C)로 수지를 공급해주는 노즐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런너블럭(610)은 방사방향으로 복수의 분기부(612)가 형성되고, 이 분기부(612)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는 수지유입구(611)로 유입되는 수지를 노즐부(620)로 유동시키기 위한 수지이송라인(613)이 형성된다.
이때, 수지이송라인(613)은 드릴 가공에 의하여 홀 형성되는데, 중심에는 런너블럭(610)의 일정 깊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중심수직홀(613a)이 형성되고, 각 분기부의 측면으로부터 중심수직홀(613a)의 끝단으로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수평홀(613b)이 형성되며, 각 분기부(612)의 끝단의 하면으로부터 수평홀(613b)까지 외각수직홀(613c)이 형성되어 서로 관통되도록 하고, 수평홀(613b)의 끝단을 밀봉함으로써 런너블럭(610) 내부의 수직이송라인(61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유입구(611)로 유입되는 수지가 각 분기부(612)의 끝단 하부를 통하여 분기 공급된다.
또한, 각 분기부(612)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복수의 냉각라인(6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냉각라인(614)도 수지이송라인(613)과 동일하게 드릴가공에 의하여 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분기부 사이에 연통되도록 라인이 형성되고, 복수의 냉각라인(614)이 수지이송라인(613)의 주의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수지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기부(612)의 하단부에는 노즐부(620)의 노즐머리(622)가 일정깊이 삽입 안착된 상태로 연결 고정되도록 고정홈(615)이 형성된다.
노즐부(620)는 길이방향으로 노즐몸체(621)가 형성되고, 이 노즐몸체(621)의 상단부에는 분기부(612)에 형성된 고정홈(615)에 일정깊이 삽입 안착되어 연결 고정되는 노즐머리(622)가 형성된다. 이때, 노즐몸체(621)와 노즐머리(622)의 중앙에는 수지가 공급되는 수지공급로(623)가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런너블럭(610)의 상부에는 런너블럭(610)을 지지해주는 고정지지부(700)가 고정되고, 이 고정지지부(700)와 제1금형(100)의 사이에는 런너블럭(610)이 제1금형(100)과 비접촉 상태로 이격되도록 고정지지부(700)를 받쳐주는 이격블럭(80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고온의 제1금형(100)으로부터 열전달을 최소화하여 런너블럭(610)을 통하여 유동되는 수지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한편, 고정지지부(700)의 중앙에는 수지유입구(611)와 연통되어 수지유입구(611)로 수지를 유입시키기 위한 개구홀(71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금형(100)과 제1코어(110)에는 노즐부(620)의 노즐몸체(621)가 관통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홀(101)(11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각 장착홈(101)(111)은 노즐몸체(621)의 외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지를 공급하는 노즐몸체(621)가 고온의 제1금형(100)과 제1코어(110)와의 접촉에 의한 열의 전도를 방지하여 성형제품의 사출이 완료되어 형개시 즉시 다음 사출 사이클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 :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
100 : 제1금형
110 : 제1코어
111 : 장착홀
200 : 제2금형
210 : 제2코어
300 : 가동핀 : 310 : 침투돌부 320 : 가이드경사면
400 : 도피홀
500 : 이젝터
600 : 수지공급수단
610 : 런너블럭 611 : 수지유입구 612 : 분기부
613 : 수지이송라인 614 : 냉각라인 615 : 고정홈
620 : 노즐부 621 : 노즐몸체 622 : 노즐머리 623 : 수지공급로
700 : 고정지지부
710 : 개구홀
800 : 이격블럭

Claims (6)

  1. 제1코어가 마련된 제1금형;
    상기 제1금형과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코어와 함께 성형품이 생성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2코어가 마련된 제2금형;
    상기 제1코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품에 홀을 형성시키는 가동핀;
    상기 제2코어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핀이 인입되는 도피홀; 및
    상기 도피홀의 내측에 구비되어 성형제품을 캐비티에서 분리시키는 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핀의 일단부에는 캐비티에 1차 주입된 수지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수지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침투돌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가동핀의 일단부 외측 둘레에는 도피홀에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도피홀은, 상기 가동핀의 전진 이동 중에 상기 이젝터의 후진 이동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가동핀이 상기 이젝터에 근접하는 즉시 상기 이젝터가 상기 가동핀보다 빠른 속도로 후진 이동됨으로써 순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핀은,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캐비티에는, 여유공간을 갖도록 수지가 가득 채워지지 않으며,
    상기 제1금형의 일측는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수지공급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수지공급수단은 상기 제1금형의 일측에 위치되며, 중심에 수지가 유입되는 수지유입구가 형성되어 수지를 노즐부로 유동시키는 런너블럭; 및
    상기 런너블럭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비티로 수지를 공급해주는 노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런너블럭은 내부에 수지유입구로 유입된 수지를 유동시키기 위한 수지이송라인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노즐부의 상단부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수지유로가 형성되는 노즐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몸체의 상단부에는 런너블럭의 분기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일정깊이 삽입 안착되어 연결 고정되는 노즐머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51205A 2019-01-21 2019-05-02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 KR1020893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28 2019-01-21
KR20190007328 2019-01-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373B1 true KR102089373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05A KR102089373B1 (ko) 2019-01-21 2019-05-02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3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17U (ja) * 1992-10-13 1994-05-10 チェストプレミックス株式会社 樹脂の圧縮成形装置
JPH07241881A (ja) * 1994-03-02 1995-09-19 Asahi Glass Co Ltd 多孔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3039494A (ja) * 2001-07-31 2003-02-13 Toppan Printing Co Ltd 非熱可塑性材料よりなる成形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金型
KR100428370B1 (ko) 2001-06-12 2004-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웰드라인 온도 제어장치
JP2004188871A (ja) * 2002-12-12 2004-07-08 Seiki Corp 熱硬化性樹脂およびゴムなどのランナーレス成形装置における可動ランナーブッシュ駆動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8265026A (ja) * 2007-04-16 2008-11-06 Ricoh Co Ltd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100964008B1 (ko) 2008-03-21 2010-06-15 (주) 천복금형 웰드라인 방지용 코어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917U (ja) * 1992-10-13 1994-05-10 チェストプレミックス株式会社 樹脂の圧縮成形装置
JPH07241881A (ja) * 1994-03-02 1995-09-19 Asahi Glass Co Ltd 多孔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0428370B1 (ko) 2001-06-12 2004-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출 금형의 웰드라인 온도 제어장치
JP2003039494A (ja) * 2001-07-31 2003-02-13 Toppan Printing Co Ltd 非熱可塑性材料よりなる成形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金型
JP2004188871A (ja) * 2002-12-12 2004-07-08 Seiki Corp 熱硬化性樹脂およびゴムなどのランナーレス成形装置における可動ランナーブッシュ駆動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08265026A (ja) * 2007-04-16 2008-11-06 Ricoh Co Ltd プラスチック射出成形金型及びプラスチック成形品
KR100964008B1 (ko) 2008-03-21 2010-06-15 (주) 천복금형 웰드라인 방지용 코어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사출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9276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uter tube of injector
KR100841032B1 (ko) 사출성형방법 및 사출성형장치
KR102089373B1 (ko) 웰드라인 방지를 위한 열경화성 수지 금형
JP2859505B2 (ja) 射出成形方法
JP2816280B2 (ja) ガス注入成形法およびガス注入装置
KR101252574B1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이중밸브핀 노즐장치
GB2330791A (en) Controlling injection into mould cavities for moulding toothbrush bodies
JPH10286844A (ja) 成形品の一部に小孔を射出成形する方法及びこの成形方法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用金型
CN109689334B (zh) 局部增强注塑构件
KR20220101222A (ko) 치수 정밀도가 뛰어난 보스 구조를 가지는 성형물의 사출방법
US200700297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n injection molded part made of plastic
KR20170028122A (ko) 렌즈 제작용 사출장치
KR20170001463A (ko) 열경화성 수지 사출 성형용 밸브 노즐장치
KR101945982B1 (ko) 히트 스프레더를 적용한 핫 런너 시스템
JP2597030B2 (ja) ニードル弁ノズル
JP3650742B2 (ja) 射出ノズル
JP4163318B2 (ja) 成形装置
KR20180001817U (ko) 원료연결유닛이 구비된 신발금형
KR102315776B1 (ko) 냉각기능을 가지는 스프루 부시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 금형
KR200151954Y1 (ko) 웰드라인을 방지하는 금형
JPH05261761A (ja) 射出成形用マニホールド装置
JPH07178778A (ja) 成形用金型
KR101972614B1 (ko)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사출 제어방법
JP2005297384A (ja) 射出成形装置と、射出条件設定方法と、射出成形方法
JP3643308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金型及びインサート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