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315B1 -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 Google Patents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8315B1 KR102088315B1 KR1020170137769A KR20170137769A KR102088315B1 KR 102088315 B1 KR102088315 B1 KR 102088315B1 KR 1020170137769 A KR1020170137769 A KR 1020170137769A KR 20170137769 A KR20170137769 A KR 20170137769A KR 102088315 B1 KR102088315 B1 KR 1020883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teric
- capsule
- film
- coating
- od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83—Capsule finishing, e.g. dyeing, aromatising, pol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15—Organic compounds, e.g. fats, sug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향기를 발산하는 재료를 코팅하여 해당 장용성 캡슐의 장용성 필름으로부터 발산되는 이취가 마스킹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은 캡슐형의 제형에 장용성 필름을 코팅하여 장용성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과일의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오일이 도포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향기를 발산하는 재료를 코팅하여 해당 장용성 캡슐의 장용성 필름으로부터 발산되는 이취가 마스킹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에 관한 것이다.
장용성 제제란 정제, 경질캡슐, 연질캡슐, 환과 같은 제형의 표면에 장용성의 필름을 코팅하여 해당 제형의 유효성분(기능성분, 약물 등)이 위에서 방출되지 않고 장에서 방출되게 하는 약물전달시스템의 한 종류이다. 즉, 제형이 위를 통과하여 장에서 붕해되도록 함에 따라, 해당 제형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위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동시에 위벽에 영향을 주지 않고, 결과적으로 위산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성분들의 분해가 방지되어 생체이용률이 증대되는 동시에 위를 자극하는 성분으로부터 위가 보호되어 위장 장애가 개선될 수 있고, 또한 악취가 있는 성분의 역류(Belching)취가 개선될 수 있다.
장용성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제형을 감싸고 있는 필름이 위의 조건(pH 1.2)에서 견디고, 장의 조건(pH 6.8)에서 용해되는 특성이 있어야 한다. 장용성 필름에 사용되는 pH 의존형 소재로는 대표적으로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와 유드라짓(Eudragit)이 있으며, 천연물로 쉘락(Shella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CMC Na), 알긴산나트륨, 제인(Zein), 펙틴 등이 있으나 이들 천연물은 코팅이 매우 어렵고 장용성 특성이 적어서 많이 이용되지 않고 있다.
장용성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코팅이라는 불가피한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에 따라 생산 공정이 길어지며, 코팅에 사용되는 소재의 원가가 추가된다. 특히, 연질캡슐의 경우 정제나 경질캡슐에 비하여 생산 시간이 2배 이상 소요된다. 즉, 연질캡슐을 성형, 충전 및 건조 후 별도의 장용성 코팅 공정을 거쳐 제조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더하여 연질캡슐의 장점인 투명하고 반짝이는 외형이 장용성 코팅을 함에 따라 반투명해져 시각적인 이미지가 상실된다.
또한, 제형에 코팅되는 장용성 필름의 특성에 따라 일부 제품은 제조와 동시 또는 소정 기간 경과 후 초산 냄새, 비릿한 냄새 등 이취를 발산하고, 이는 해당 제품의 식음 후 이취가 역류되는 현상으로도 이어진다. 따라서, 장용성 필름의 코팅으로 인한 이취 현상은 해당 제품의 식음 전후에 거부감을 줄 수 있고, 이는 제품 기호도 및 그에 기반하는 제품 구매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장용성 필름의 조성 내지 성상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도 해당 장용성 필름이 코팅되는 제품의 이취가 억제될 수 있는 제품의 연구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향기를 발산하는 재료를 코팅하여 해당 장용성 캡슐의 장용성 필름으로부터 발산되는 이취가 마스킹 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장용성 필름의 이취가 발향 기능의 코팅막으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에 의해 마스킹 처리됨에 따라, 제조 직후는 물론 제조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장용성 필름으로 인한 이취를 주변에 발산하지 않고, 식음 후 이취의 역류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으며, 과일 향기를 발산하여 맛 개선 등 식음 기능이 향상될 수 있는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은 캡슐형의 제형에 장용성 필름을 코팅하여 장용성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과일의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오일이 도포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천연오렌지오일이 도포되는 단계 및 상기 천연오렌지오일이 외막에 도포된 상기 장용성 캡슐이 35∼45℃의 건조 조건에서 8∼12분의 시간 동안 건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은 캡슐형의 제형에 장용성 필름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캡슐 본체 및 상기 캡슐 본체의 외막에 형성되는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막은 과일의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오일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장용성 필름의 이취가 발향 기능의 코팅막으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에 의해 마스킹 처리되고, 이에 따라 장용성 캡슐의 제조 직후는 물론 제조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장용성 필름으로 인한 이취가 주변에 발산되지 않고, 식음 후 이취의 역류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며, 과일 향기를 발산하여 맛 개선 등 식음 기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에서 일부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에서 일부 과정의 세부적인 흐름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캡슐형의 제형에 장용성 필름을 코팅하여 장용성 캡슐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캡슐형의 제형이 연질캡슐인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캡슐형의 제형은 장용성 필름이 코팅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캡슐형 제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연질캡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연질캡슐의 한 종류를 예시하는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의 장용성 캡슐로 연질캡슐을 이용 시에 해당 연질캡슐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장용성 캡슐로 연질캡슐을 이용 시, 이러한 연질캡슐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연질캡슐 이외에도 장용성 필름이 코팅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연질캡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캡슐형 제형인 연질캡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연질캡슐은 정제어유를 함유하는 형태로 제조되며, 여기서, 연질캡슐 내용액으로 사용되는 정제어유는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용도로 제조 또는 수입된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즉 HIDHA25N (Nu Mega Ingredients Pty Ltd, 호주산), Omevital 1812TG (BASF, 독일), Vivomega 1812TG (GC Rieber, 노르웨이) 등에서 시판하고 있는 원료를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고 어느 한 원료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만, 본 실시 예의 정제어유는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유지로 식용 가능한 어류 등을 원재료로 하여 가열, 압착, 헥산 또는 이산화탄소(초임계추출)를 이용하여 유지를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한 것으로써 이중 기능성분 또는 지표성분의 함량이 에이코사펜타엔산(EPA)와 도코사헥사엔산(DHA)의 합으로서 180 mg/g이상 함유되어 있는 식용 가능한 어류 유래 원료를 사용한다.
연질캡슐에 사용되는 피막 물질은 캡슐 피막 기제로 젤라틴을 주로 사용할 수 있고, 젤라틴 중에서도 돼지 유래 젤라틴, 소 유래 젤라틴, 어류 유래 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 처리하여 제조한 젤라틴, 알칼리 처리하여 제조한 젤라틴, 호박산 첨가하여 제조한 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밖의 피막 물질에 첨가되는 가소제로는 글리세린, 농축 글리세린, D-소르비톨, 소르비톨 복합물 및 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질캡슐 피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틸바닐린 등의 착향제와 천연색소 및 합성색소 등의 착색제, 이산화티타늄 등의 차광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연질캡슐의 성형은 로타리 방식의 자동 연질캡슐 성형기를 이용하고, OBLONG 20 type 에 내용물 1,000mg과 피막이 건조 후에 340mg 되도록 작업한다.
연질캡슐의 건조는 일반적인 연질캡슐의 제조 공정에 따라 텀블러(tumbler)에서의 강제 건조로 하여 피막 수분 함량이 7∼11 중량%가 되도록 한다.
이때의 피막 수분함량이 7 중량% 이하로 되면 연질캡슐 피막이 하드(hard)하게 되어 코팅중에 코팅팬 안에서 깨짐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서 정제어유가 누액되어 목적하는 코팅을 원활하게 할 수 없게 된다.
반면에 피막 수분함량이 11% 이상으로 되면 피막이 소프트(soft)하게 되어 코팅 중에 코팅팬 안에서 캡슐끼리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서 목적하는 코팅을 원활하게 할 수 없게 된다.
다음은 연질캡슐 장용성 코팅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한 정제어유 함유 연질캡슐에 장용성 코팅 작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장용성 코팅제에 사용한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ylmethyl cellulose phthalate)는 기존에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ydroxyproylmethyl cellulose)에 프탈레이트기를 붙여서 제조한다.
이때 사용된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PMC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HPMCP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상기 HPMCP(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는 분자량 20,000∼100,000, 식품용, 의약품용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점도 32∼48mm2/s를 유지하는 것으로 삼성정밀화학 상품 규격 HP-55를 사용하였다.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한 코팅액 제조는 주정용 에탄올과 정제수를 일정 비율 혼합한 용매에 트리아세틴 또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를 0.4∼3 중량%와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2∼15중량%를 넣어 30℃ 이하 온도에서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균질화 용해를 시킨후 코팅액으로 사용한다.
다음은 상기에서 제조된 정제어유 연질캡슐을 일정량을 칭량하여 코팅팬에 넣고 20∼30rpm으로 회전하고 더운 바람을 불어 주면서 팬 안에 연질캡슐 온도가 45℃ 이하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에 제조된 프탈산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코팅액을 노즐을 통하여 분사시키면서 코팅하여 장용성 연질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단계(S120)에서, 상술한 단계(S110)을 통해 형성된 장용성 캡슐에 이취 방지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한다. 즉, 단계(S120)에서는 단계(S110)을 통해 형성된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계(S120)은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과일의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오일이 도포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천연오일로써 천연오렌지오일이 사용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단계(S120)은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천연오렌지오일이 도포되는 단계(S121), 그리고 상기 천연오렌지오일이 외막에 도포된 상기 장용성 캡슐이 35∼45℃의 건조 조건에서 8∼12분의 시간 동안 건조되는 단계(S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도포되는 천연오렌지오일의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한 공정에 해당된다. 즉, 장용성 캡슐이 그 외막에 도포되는 천연오렌지오일로 인해 표면의 점도가 높아지면서 동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주변의 다른 장용성 캡슐과 지나치게 들러붙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의 완화를 위해 상술한 조건으로 건조시켜 천연오렌지오일에 의한 장용성 캡슐의 표면 점도를 낮추는 것이다.
또한, 단계(S120)에는 상술한 단계(S122) 이후 해당 장용성 캡슐을 상온에서 하루, 다시 말해 23∼25시간 추가로 건조하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장용성 캡슐은 장용성 필름의 이취가 발향 기능의 코팅막으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에 의해 마스킹 처리되며, 이에 따라 장용성 캡슐은 제조 직후는 물론 제조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장용성 필름으로 인한 이취를 주변에 발산하지 않게 되고, 또한, 식음 후 이취의 역류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장용성 캡슐은 과일 향기를 발산할 수 있으므로, 맛 개선 등 식음 기능이 향상된다.
도 3은 이를 예시한 것으로서, 즉,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10: 이하 “장용성 캡슐”이라 약칭함)은 캡슐 본체(11) 및 코팅막(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캡슐 본체(11)는 캡슐형의 제형(11a)에 장용성 필름(11b)이 코팅되어 형성된다.
코팅막(12)은 코팅 본체(11)의 외막에 형성되며, 이러한 코팅막(12)은 발향 기능을 갖는다.
또한, 코팅막(12)은 과일의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오일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코팅막(12)이 천연오렌지오일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장용성 캡슐(1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이취가 발향 기능의 코팅막(12)으로부터 발산되는 향기에 의해 마스킹 처리되고, 따라서 제조 직후는 물론 제조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장용성 필름(11b)으로 인한 이취를 주변에 발산하지 않게 되며, 식음 후 이취의 역류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된다. 이에 더하여, 장용성 캡슐(10)은 과일 향기를 발산할 수 있으므로, 맛 개선 등 식음 기능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장용성 캡슐 11 : 캡슐 본체
11a : 제형 11b : 장용성 필름
12 : 코팅막
11a : 제형 11b : 장용성 필름
12 : 코팅막
Claims (5)
- 코팅 중 코팅팬 안에서 깨짐 현상 및 코팅팬 안에서 캡슐끼리 들러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슐형의 제형에 장용성 필름을 피막 수분 함량이 7 ~ 11 중량%가 되도록 코팅하여 장용성 캡슐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되,
상기 장용성 캡슐의 이취 방지를 위해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S120)는,
상기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천연오렌지오일이 도포되는 단계(S121);
장용성 캡슐의 외막에 도포된 천연오렌지 오일의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하여, 상기 천연오렌지오일이 외막에 도포된 상기 장용성 캡슐이 35∼45℃의 건조 조건에서 8∼12분의 시간 동안 건조되는 단계(S122) 및
상온에서 23 ~ 25시간 추가로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제조 직후는 물론 제조 후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장용성 필름으로 인한 이취를 주변에 발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캡슐형의 제형에 장용성 필름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캡슐 본체; 및
상기 캡슐 본체의 외막에 형성되는 발향 기능의 코팅막을 포함하는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막은 과일의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오일을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769A KR102088315B1 (ko) | 2017-10-23 | 2017-10-23 |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7769A KR102088315B1 (ko) | 2017-10-23 | 2017-10-23 |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5017A KR20190045017A (ko) | 2019-05-02 |
KR102088315B1 true KR102088315B1 (ko) | 2020-03-13 |
Family
ID=6658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7769A KR102088315B1 (ko) | 2017-10-23 | 2017-10-23 |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831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652B1 (ko) * | 2012-06-29 | 2014-04-02 | 주식회사 서흥캅셀 | 정제어유를 함유한 장용성 연질캡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40341B1 (en) * | 1998-11-25 | 2004-05-25 | Cima Labs Inc. | Taste masking rapid release coating system |
ES2219360T3 (es) | 1999-07-09 | 2004-12-01 | Ortho-Mcneil Pharmaceutical, Inc. | Formulaciones liquidas farmaceuticas de sabor enmascarado. |
KR20150079282A (ko) | 2013-12-31 | 2015-07-08 |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 장용성 코팅 조성물, 장용성 코팅막 및 식품 제제 |
-
2017
- 2017-10-23 KR KR1020170137769A patent/KR1020883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0652B1 (ko) * | 2012-06-29 | 2014-04-02 | 주식회사 서흥캅셀 | 정제어유를 함유한 장용성 연질캡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45017A (ko) | 2019-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48151C (zh) | 玻璃状大珠粒 | |
US10015984B2 (en) | Disintegrable capsule,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smoking device containing said disintegrable capsule | |
KR100720638B1 (ko) | 오메가-3 식품 및 관련 제조방법 | |
KR101862091B1 (ko) | 장용성 연질 캡슐의 제조 방법 | |
US20050089548A1 (en) | Edible film | |
JP5795585B2 (ja) | 固体粉末化合物からの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組成物 | |
KR101928749B1 (ko) | 기호성이 개선된 반려견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연질 캡슐 | |
CA3010861A1 (en) | Food based delivery of cannabinoids | |
JP6312689B2 (ja) | 植物性シームレスカプセル、及びその利用 | |
KR102088315B1 (ko) | 장용성 캡슐의 이취 마스킹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취의 마스킹 처리가 이루어진 장용성 캡슐 | |
JP2000044465A (ja) | 軟カプセル剤 | |
KR20220147132A (ko) | 불안정 및 식품-상극인 활성 성분을 식품에 운반하기 위한 안정적 식품 등급 마이크로캡슐 | |
JP4732408B2 (ja) | 徐放性乾燥物 | |
KR101380652B1 (ko) | 정제어유를 함유한 장용성 연질캡슐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4364869B2 (ja) | 咀嚼性カプセルの製造方法 | |
US20130108745A1 (en) | Coated effervescent tablet | |
JP2012240755A (ja) | 味覚強化伝達をもたらす容器 | |
JP6160098B2 (ja) | ガレート型カテキンとタンパク質との複合体を用いた不快味のマスキング剤の製造方法 | |
JP2019216714A (ja) | 錠剤 | |
JP2001238611A (ja) | 水溶性物質を内容物とする糖衣シームレスカプセル | |
JP4388607B2 (ja) | カゼイン硬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24063877A (ja) | 被覆固形製剤 | |
JP2008035730A (ja) | 被覆粒子含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7079712A (ja) | クリルオイル組成物 | |
WO2023018461A1 (en) | Sleep produ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