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017B1 -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017B1
KR102088017B1 KR1020130133248A KR20130133248A KR102088017B1 KR 102088017 B1 KR102088017 B1 KR 102088017B1 KR 1020130133248 A KR1020130133248 A KR 1020130133248A KR 20130133248 A KR20130133248 A KR 20130133248A KR 102088017 B1 KR102088017 B1 KR 10208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s
call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424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133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0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소지중인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중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은, (a) 단말 별로 해당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상기 단계 (a)에서 설정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의 사용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인증의 성공 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 호를 상기 제1 단말에서 처리하기 위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상기 단계 (b)에서 인증의 성공 시 상기 단계 (c)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내용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로 안내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Server, Termina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Multi-Number One-Dev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멀티-넘버 원-디바이스(Multi-Number One-Device)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소지중인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가정이 유선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또한 대부분의 개인이 이동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대부분 1개 이상의 전화기(또는 단말이라 칭함)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단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각 단말을 사용자가 모두 소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2002-0009999호(2002.02.0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는, 단말 별로 해당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인증 설정부;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상기 인증 설정부에 설정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의 사용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의 성공 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 호를 상기 제1 단말에서 처리하기 위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서비스 활성화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의 성공 시 상기 서비스 활성화부의 서비스 활성화 내용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로 안내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활성화부는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 시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제2 단말이 다수의 단말일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예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A)로서, 이용할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등록하기 위한 번호 등록부;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호 수신 시, 수신 대상 번호(B, C 등)를 표시하기 위한 호 수신부; 및 호 발신 시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번호를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하기 위한 호 발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해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설정부를 및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기 위한 UI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일 예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은,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단말 별로 해당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상기 단계 (a)에서 설정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의 사용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인증의 성공 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 호를 상기 제1 단말에서 처리하기 위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상기 단계 (b)에서 인증의 성공 시 상기 단계 (c)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내용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로 안내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일 예로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 시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예로 상기 제2 단말이 다수의 단말일 경우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A)에서 수행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이용할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호 수신 시, 수신 대상 번호(B, C 등)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c) 호 발신 시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번호를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해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e)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기 위한 단계(UI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에서는 수신된 호에 대한 회신 시 수신 대상 번호를 이용(해당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할 수 있다.
상기 단계 (d)에서는, 일 예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A, B, C 등)을 사용자가 모두 소지하지 않고 선택된 하나의 단말(A)만 소지하여도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이용하여 메시지/통화/데이터 호의 수발신을 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 통신 서버(20), 및 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통신 서버(20), 단말(30), 및 타 단말(미도시)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메시지, 통화, 또는 데이터와 관련된 호를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통신 서버(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등 중 하나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는 다수의 단말로서 휴대폰 A, 휴대폰 B, 인터넷 전화기 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통신 서버(2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설정부(21), 인증 수행부(23), 서비스 활성화부(25), 및 서비스 안내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설정부(21)는 단말(30) 별로 해당 단말(30)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폰 A, 휴대폰 B, 또는 인터넷전화 C 등의 단말(30)과 각각 통신하여 휴대폰 A에 대한 전화번호 A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인증 정보 AAA를 등록하거나, 휴대폰 B에 대한 전화번호 B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인증 정보 BBB를 등록하거나, 인터넷전화 C에 대한 전화번호 C와 연계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인증 정보 CCC를 등록할 수 있다.
인증 수행부(23)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인증 설정부(21)에 설정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제2 단말의 전화번호의 사용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 중인 다수의 단말(30) 중 제1 단말로서의 휴대폰 A를 통하여 제2 단말로서의 휴대폰 B의 전화번호 B 또는 인터넷전화 C의 전화번호 C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인증 설정부(21)에 설정 등록된 해당 인증 정보 BBB 또는 CCC에 대한 입력을 휴대폰 A로 요청하고, 그 요청한 인증정보에 대해 올바른 인증정보가 휴대폰 A로부터 전달되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활성화부(25)는, 인증 수행부(23)에서 제1 단말로서의 휴대폰 A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휴대폰 B 또는 인터넷전화 C 등)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해당 단말(휴대폰 B 또는 인터넷전화 C 등)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 호를 휴대폰 A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를 통신망(10)을 통하여 활성화하기 위한 것이다.
서비스 안내부(27)는, 인증 수행부(23)에서 제1 단말로서의 휴대폰 A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휴대폰 B 또는 인터넷전화 C 등)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서비스 활성화부(25)의 서비스 활성화 내용을 제1 단말로서의 휴대폰 A 및 제2 단말로서의 휴대폰 B 또는 인터넷전화 C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폰 B 또는 인터넷전화 C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 호를 휴대폰 A에서 수신 또는 발신 처리할 수 있도록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가 활성화 되었음을 알리는 서비스 활성화 내용을 해당 단말로 통지하여 안내할 수 있다.
서비스 활성화부(25)는 다른 예로 전술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의 활성화 시 제1 단말로서의 휴대폰 A를 통해 제2 단말로서의 휴대폰 B 및/또는 인터넷전화 C의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활성화부(25)는 또 다른 예로 휴대폰 A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단말의 전화번호가 휴대폰 B의 전화번호 B및 인터넷전화 C의 전화번호 C와 같이 다수일 경우 휴대폰 A를 통해 각 단말(휴대폰 B, 인터넷전화 C)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용 우선 순위는 가용 데이터 패킷이 많은 순서 또는 지정된 번호 순서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활성화부(25)는 또 다른 예로 휴대폰 A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단말의 전화번호가 휴대폰 B의 전화번호 B및 인터넷전화 C의 전화번호 C와 같이 다수일 경우 휴대폰 A를 통해 각 단말(휴대폰 B, 인터넷전화 C)에 대한 총 데이터 패킷 중 휴대폰 A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이용 한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설정된 해당 이용 한계에 도달할 경우 자동으로 다음 순위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각 단말(30)에 포함되는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 등록부(31), 호 수신부(33), 호 발신부(35), 데이터 설정부(37), 및 UI 제공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의 단말(30)은 사용자가 이용중인 다수의 단말(예컨대, 휴대폰 A, 휴대폰 B, 인터넷전화 C 등)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단말로서의 휴대폰 A라 가정하고, 본 실시예는 휴대폰 A를 통해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예컨대, 휴대폰 B의 전화번호 B, 인터넷전화 C의 전화번호 C 등)를 휴대폰 A의 전화번호와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 A를 구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휴대폰 A의 번호 등록부(31)는 이용할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통신 서버(20)에 전화번호 A의 가상번호로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휴대폰 B의 전화번호 B를 휴대폰 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전화번호 B와 그 전화번호 B의 인증 정보 BBB를 통신 서버(20)로 전달하여 전화번호 B를 전화번호 A의 가상번호로 등록할 수 있고, 인터넷전화 C의 전화번호 C를 휴대폰 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 전화번호 C와 그 전화번호 C의 인증 정보 CCC를 통신 서버(20)로 전달하여 전화번호 C를 전화번호 A의 가상번호로 등록할 수 있다.
휴대폰 A의 호 수신부(33)는 번호 등록부(31)를 통해 통신 서버(20)에 등록된 가상 번호로서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착신 호를 통신망(10)을 통해 수신하고, 해당 착신 호의 해당 수신 대상 번호(B, C 등)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휴대폰 A의 호 발신부(35)는 휴대폰 A에서 호의 발신 시 등록된 가상 번호(B, C 등)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가상 번호를 발신 번호로서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할 수 있으며, 또한 수신된 호에 대한 회신 시 수신 대상 번호(예컨대 전화번호 B, C 등)를 발신 번호로서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할 수 있다.
휴대폰 A의 데이터 설정부(37)는 번호 등록부(31)를 통해 통신 서버(20)에 등록된 가상 번호로서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해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통신 서버(20)와의 통신으로 휴대폰 A에서 휴대폰 B 및 인터넷전화 C의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설정부(37)는 다른 예로 가상번호로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 서버(20)와 통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설정부(37)는 또 다른 예로 가상번호로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 서버(20)와 통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UI 제공부(39)는 가상번호로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어떤 번호를 사용하는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 내지 도 3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4에서 참조번호 10-1과 10-2는 도 1의 통신망(10) 중 무선 통신망과 유선 통신망을 각각 나타내고, 참조번호 20-1과 20-2는 도 1의 통신 서버(2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각각 무선 통신망(10-1)에 적용된 통신 서버와 유선 통신망(10-2)에 적용된 통신 서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단말(30)로서의 휴대폰 A(30A), 휴대폰 B(30B), 및 인터넷전화 C(30C) 중 사용자가 선택한 휴대폰 A(30A) 외의 다른 단말의 번호(예컨대, 휴대폰 B의 전화번호 B, 인터넷전화 C의 전화번호 C 등)를 휴대폰 A(30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전제로 한다.
먼저, 휴대폰 B(30B)를 통해 휴대폰 A(30A)가 속한 무선 통신망(10-1)의 통신 서버(20-1)에 접속하여 해당 전화번호 B에 대한 인증 정보 BBB를 설정/등록하고(S401), 인터넷전화 C(30C)를 통해 휴대폰 A(30A)가 속한 무선 통신망(10-1)의 통신 서버(20-1)에 접속하여 해당 전화번호 C에 대한 인증 정보 CCC를 설정/등록한다(S402~S403).
한편, 단계 S401 내지 S403의 수행으로 휴대폰 A(30A)가 속한 무선 통신망(10-1)의 통신 서버(20-1)에 전화번호 B에 대한 인증 정보 BBB 및 전화번호 C에 대한 인증 정보 CCC가 등록된 상태에서, 휴대폰 A(30A)에서 무선 통신망(10-1)의 통신 서버(20-1)에 접속하여 전화번호 B의 가상번호 설정을 요청하면(S404), 통신 서버(20-1)는 전화번호 B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 BBB를 휴대폰 A(30A)에게 요청하고(S405), 휴대폰 A(30A)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인증정보 BBB를 통신 서버(20-1)로 전달하여 인증을 완료하며(S406), 통신 서버(20-1)는 휴대폰 B(30B)와 휴대폰 A(30A)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가 설정되어 해당 서비스(즉, 전화번호 B를 휴대폰 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가 시작됨을 안내한 다음(S407,S408), 해당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B로의 착신 호를 A로 전달하는 서비스)를 활성화 한다(S409).
또 한편, 전술한 단계 S401 내지 S403의 수행으로 휴대폰 A(30A)가 속한 무선 통신망(10-1)의 통신 서버(20-1)에 전화번호 B에 대한 인증 정보 BBB 및 전화번호 C에 대한 인증 정보 CCC가 등록된 상태에서, 휴대폰 A(30A)에서 무선 통신망(10-1)의 통신 서버(20-1)에 접속하여 전화번호 C의 가상번호 설정을 요청하면(S411), 통신 서버(20-1)는 전화번호 C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 CCC를 휴대폰 A(30A)에게 요청하고(S412), 휴대폰 A(30A)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인증정보 CCC를 통신 서버(20-1)로 전달하여 인증을 완료하며(S413), 통신 서버(20-1)는 휴대폰 C(30C)로 해당 서비스(즉, 전화번호 C를 휴대폰 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가 시작됨을 안내하고(S414), 해당 서비스 설정 메시지를 인터넷전화 C(30C)가 속한 유선 통신망(10-2)의 통신 서버(20-2)로 전달하여(S415) 통신 서버(20-2)에서 해당 서비스(C로의 착신 호를 A로 전달하는 서비스)가 설정되도록 하며(S416), 휴대폰 A(30A)로도 해당 서비스(즉, 전화번호 C를 휴대폰 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가 시작됨을 안내한다(S417).
전술한 단계 S401 내지 S417이 수행되어 전화번호 B,C를 휴대폰 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전화번호 B를 착신 호로 하는 통신 연결 요청이 무선 통신망(10-1)의 통신 서버(20-1)에 인지되면(S421), 통신 서버(20-1)는 무선 통신망(10-1)을 매개로 해당 착신 호를 착신 대상 번호 B의 정보와 함께 휴대폰 A로 전달하여 호 연결을 요청하고, 휴대폰 A는 착신 호 수신 시 해당 착신 대상 번호 B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S422).
또한, 전술한 단계 S401 내지 S417이 수행되어 전화번호 B,C를 휴대폰 A에서 가상번호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폰 A(30A)를 이용하여 전화번호 H로 호 발신을 시도하면 휴대폰 A(30A)는 가상번호 정보로서 전화번호 B와 C의 정보를 표시하고(S431), 그 표시된 가상번호 정보 중 전화번호 C가 발신 번호로 선택되면(S432), 선택된 전화번호 C를 발신번호로 그리고 전화번호 H를 착신번호로 포함한 발신 호를 무선 통신망(10-1)으로 전송하여 호 연결을 시도하며(S433), 해당 발신 호는 무선 통신망(10-1)에서 전화번호 C가 속한 유선 통신망(10-2)으로 전달되고(S434), 유선 통신망(10-2)은 해당 발신 호를 착신 전화번호 H의 단말로 전달하여 호 연결을 시도한다(S435).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0-1,10-2: 통신망
20,20-1,20-2: 통신 서버
21: 인증 설정부
23: 인증 수행부
25: 서비스 활성화부
27: 서비스 안내부
30: 단말
31: 번호 등록부
33: 호 수신부
35: 호 발신부
37: 데이터 설정부
39: UI(User Interface) 제공부

Claims (23)

  1. 단말 별로 해당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인증 설정부;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구분되는 별도의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상기 인증 설정부에 설정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의 사용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수행부; 및
    상기 인증의 성공 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 호를 상기 제2 단말이 아닌 상기 제1 단말에서 처리하기 위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서비스 활성화부를 포함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의 성공 시 상기 서비스 활성화부의 서비스 활성화 내용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로 안내하기 위한 서비스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활성화부는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 시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활성화부는 상기 제2 단말이 다수의 단말일 경우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활성화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6.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A)로서,
    상기 단말(A)에서 상기 단말(A)과 구분되는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사용권을 통신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번호 등록부;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호 수신 시, 수신 대상 번호(B, C 등)를 표시하기 위한 호 수신부; 및
    상기 단말(A)에서 호 발신 시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중 하나를 발신 번호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발신 번호를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하기 위한 호 발신부를 포함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 발신부는 수신된 호에 대한 회신 시 수신 대상 번호를 발신 번호로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해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기 위한 UI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단말.
  12.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단말 별로 해당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과 구분되는 별도의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상기 단계 (a)에서 설정된 인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의 사용 요청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에서 인증의 성공 시, 상기 제2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한 착발신 호를 상기 제2 단말이 아닌 상기 제1 단말에서 처리하기 위한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인증의 성공 시 상기 단계 (c)에서의 서비스 활성화 내용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로 안내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 시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2 단말이 다수의 단말일 경우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는 상기 제1 단말을 통해 상기 제2 단말의 각 단말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17. 사용자가 이용중인 하나 이상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를 사용자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단말(A)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A)에서 수행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단말(A)에서 상기 단말(A)과 구분되는 별도의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사용권을 통신 서버에 등록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호 수신 시, 수신 대상 번호(B, C 등)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말(A)에서 호 발신 시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중 하나를 발신 번호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해당 발신 번호를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는 수신된 호에 대한 회신 시 수신 대상 번호를 발신 번호로 해당 발신 호에 포함하여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d)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해 남아있는 데이터 패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에 대한 데이터 패킷의 이용 한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e) 상기 등록된 다른 단말의 번호(B, C 등) 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
  23. 제12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133248A 2013-11-05 2013-11-05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08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48A KR102088017B1 (ko) 2013-11-05 2013-11-05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248A KR102088017B1 (ko) 2013-11-05 2013-11-05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24A KR20150052424A (ko) 2015-05-14
KR102088017B1 true KR102088017B1 (ko) 2020-03-12

Family

ID=5338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248A KR102088017B1 (ko) 2013-11-05 2013-11-05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80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4657B1 (en) * 2015-09-15 2017-02-28 T-Mobile Usa, Inc. Conveying device information to application server servicing computing device associated with a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448B1 (ko) * 2000-06-01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화 사용시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999A (ko) 2000-07-28 2002-02-02 윤종용 멀티 넘버 서비스에서 보조번호에 대한 착신호 전환시스템 및 방법
WO2007049943A1 (en) * 2005-10-28 2007-05-03 Ivas Korea Corp Multi terminal and method for originating and terminating call thereof, system for providing multi-number support service to the terminal
KR20130120213A (ko) * 2012-04-25 2013-11-04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448B1 (ko) * 2000-06-01 2003-02-2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통화 사용시간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24A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5626B1 (en) Secure peer-to-peer call forking facilitated by trusted 3rd party voice server provisioning
US9781255B1 (en) Authentication of phone call origination
JP2013516851A (ja) ワイヤレス通信デバイスを使用するロケーション情報の交換
CN102457514A (zh) 面向移动终端的无线网络的短信身份认证方法
JP2009514440A5 (ko)
JP2013534757A (ja) 通信のルーティ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17531336A (ja) トランキング通信サービス処理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ue、記憶媒体
KR102088017B1 (ko)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6686542B (zh) 一种呼叫处理的方法和装置
US9485721B1 (en) Discovery of services b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service registry indexed by wireless beacons
CN115801299B (zh) 元宇宙身份认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3021453A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WO2016172951A1 (zh) 一种发送数据业务的方法、装置及终端
KR102597423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지원하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402412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150580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496211B1 (ko) 가상전화번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폰 영상광고장치 및 그 방법
KR102150578B1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JP6481504B2 (ja)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通信処理プログラ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制御プログラム
WO2017190446A1 (zh) 一种呼叫方法和终端
KR20230024748A (ko)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9975A (ko) 단말기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KR20200103601A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1590542B1 (ko)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