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0213A -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0213A
KR20130120213A KR1020120043298A KR20120043298A KR20130120213A KR 20130120213 A KR20130120213 A KR 20130120213A KR 1020120043298 A KR1020120043298 A KR 1020120043298A KR 20120043298 A KR20120043298 A KR 20120043298A KR 20130120213 A KR20130120213 A KR 2013012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additional service
servic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구
김동완
박순향
최라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4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0213A/ko
Publication of KR2013012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02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에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간 연계되는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로서,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수신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 상기 확인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서비스의 설정 또는 해제를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은 제 1 통신 단말이, 부가 서비스가 연계되는 재 2 통신 단말로부터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연계되는 부가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상기 특정된 부가 서비스의 설정 또는 해제를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A method of setting up value-added service for a telecommunication device and a telecommunication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에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집전화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외출 시에는 집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착신 전환을 설정하여, 집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휴대 전화에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착신 전환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집전화기에서 여러 번호를 눌러서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 전화로의 착신 전환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집전화기에서 수화기를 들고 *88을 누른 후, 착신을 희망하는 휴대 전화의 번호를 순차적으로 누르고 *을 눌러야 한다. 88등의 눌러야 하는 숫자는 통신사마다 상이하지만 대체적으로 비슷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는 최근 대중화된 인터넷 전화의 경우,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많은 버튼을 눌러 설정하거나 또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번호를 누르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작용하여, 착신전환과 같은 부가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는 것에 방해요소로 작용하였다.
또한, 단순히 착신의 대상이 되는 휴대 전화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착신 전환의 설정이 가능하였기에, 악의적인 사용자가 임의의 휴대 전화로 착신 호를 설정함으로써 호를 탈취해 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는 점에서, 보안성이 매우 떨어지는 방식으로 평가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집전화 및 휴대 전화에 대해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없이 착신 전환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착신 전환과 관련하여 대표적인 선행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4-0037340호가 있는데, 본 선행기술은 간편한 착신 전환 방법 및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 10-2004-0037340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통신 단말의 착신 전환 등의 부가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착신 전환 등의 부가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통신 단말간 연계되는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로서,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수신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 상기 확인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서비스의 설정 또는 해제를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은 제 1 통신 단말이, 부가 서비스가 연계되는 재 2 통신 단말로부터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연계되는 부가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상기 특정된 부가 서비스의 설정 또는 해제를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착신 전환 등의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여러 번의 버튼을 누르지 않고 NFC 등의 무선 통신으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통화호가 탈취되는 등의 위험을 받지 않고 안전하게 인증을 거쳐 부가 서비스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 기술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설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에서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에서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통신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서비스 설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가 서비스가 연계되는 두 대의 통신 단말(고정형 통신 단말(100),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부가 서비스 서버(300)가 나타나 있다.
통신 단말은 음성을 전기 신호로 바꾸어 먼 곳으로 전송하고, 이 신호를 다시 음성으로 재생하여 통신 단말 상호간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통신 단말은 그 구성으로, 음성을 입력 받거나 출력하는 송수화기, 음성과 전기 신호를 변환하는 전화기를 포함하고 전화 신호는 전기 신호가 전송되는 전화 회선과, 전화 회선을 교환하는 교환기를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통신 단말은 크게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분류될 수 있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한 장소에 고정된 통신 단말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일반적으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을 이용하여 코어망에 접속하며 대표적으로는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집 전화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IP(Internet Protocol) 망을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도 고정형 통신 단말(100)에 포함된다.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한 장소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이다.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코어망에 접속하고,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폰, PCS 폰, GSM 폰, CDMA-2000폰, WCDMA폰 등과 같이 종래의 이동 전화기 및 최근 활발히 사용되는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 및 4G망을 이용하는 이동 전화기 등이 모두 이동형 통신 단말(200)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두 대의 통신 단말은 그 조합으로,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통신 단말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이고 다른 하나의 통신 단말은 이동형 통신 단말(200)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상측의 통신 단말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도시한 것이고 하측의 통신 단말은 이동형 통신 단말(200)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 Bluetooth 등 다양한데, 본 명세서에는 NFC 통신으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NFC 통신으로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 상호간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전화번호, 사진, MP3 파일 등의 데이터이다. 특히 NFC 통신으로 전화번호가 전송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NFC 통신으로 부가 서비스의 유형에 관한 정보가 전송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NFC 통신으로 부가 서비스를 설정 또는 해제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전송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NFC 통신으로 통신 단말을 인증하기 위한 정보가 전송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통신 단말이 이용하는 부가 서비스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단말 간 서로 연계되는 부가 서비스는 예를 들어 착신 전환, 원넘버 서비스, 멀티링 서비스 등이 있다.
착신 전환은 통신 단말 1로 통화호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통화호를 다른 통신 단말인 통신 단말 2로 전환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설치된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걸려 오는 통화호를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전환하여 외출로 인해 가정에서 받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원넘버 서비스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통신 단말에 대해서 동일한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통신 단말인, 통신 단말 1과 통신 단말 2는 동일한 전화번호를 갖도록 설정되어, 그 전화번호로 전화하면, 통신 단말 1과 통신 단말 2는 모두 통화호를 수신하게 된다.
멀티링 서비스는,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통신 단말에 있어서 해당 통신 단말은 서로 다른 전화번호를 갖고, 어느 하나의 통신 단말로 통화호가 전송되면, 상기 통신 단말 모두에 대해서 통화호가 수신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 1로 통화호가 전송되면, 통신 단말 1은 물론 통신 단말 2도 통화호를 수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 2로 통화호가 전송되는 경우 통신 단말 2는 물론 통신 단말 1도 통화호를 수신하게 된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이러한 부가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 예를 들어 가입자 등록, 페이징 전환, 과금 처리 등을 수행한다. 특히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양 단말간의 인증을 수행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부가 서비스의 설정/해제를 요청하는 주체는 고정형 통신 단말(100)(집전화)이고, 그 부가 서비스 설정/해제의 대상이 되는 객체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휴대전화)인 것으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착신 전환의 경우 고정형 통신 단말(100)(집전화)이, 그 수신하는 통화호를 이동형 통신 단말(200)(휴대전화)로 전환하는 것으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 3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된 통화호를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착신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설명에 앞서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 사이에는 현재 설정된 부가 서비스가 없음을 전제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태그된다(S301).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302). 예를 들면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인 010-1234-5678이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된다. 이러한 전화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받거나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현재의 착신 전환 상태를 확인한다(S203). 그 확인 결과는 착신 전환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미사용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확인한 현재 상태와 반대가 되도록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도록 부가 서비스 서버(300)에 요청한다(S304). 예를 들어 현재의 부가 서비스 상태가 미사용인 경우, 부가 서비스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고, 현재의 부가 서비스 상태가 사용중인 경우, 그 부가 서비스의 해제 요청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의 착신 전환 상태는 미사용이며, 따라서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착신 전환을 설정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착신 전환 설정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8801012345678*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인 통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전환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착신 전환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의 착신 전환을 설정하고(S305), 착신 전환 설정 완료 메시지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306).
상술한 프로세스에 따르면, 사용자는 착신 전환을 설정하기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번거로움 없이, 통신 단말간 NFC 태그만을 이용해 착신 전환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한 착신 전환 설정을 해제하는 과정도 유사하다.
즉 사용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NFC로 태그한다(S307).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308).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는 마찬가지로 010-1234-5678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현재 착신 전환 상태를 확인한다(S309). 그 결과는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에 대해서 사용중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현재의 착신 전환 상태와 반대가 되도록 즉 착신 전환 해제 요청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310). 착신 전환 해제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88*일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착신 전환 해제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상기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설정된 착신 전환을 해제하고(S311), 착신 전환 해제 완료 메시지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312).
이와 같이, 사용자는 착신 전환을 해제하기 위해 버튼을 여러 번 누르는 번거로움 없이, 통신 단말간 NFC 태그만을 이용해 착신 전환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이 자신의 전화번호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변형예에 의하면,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다른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다른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를 입력 받고 이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하며,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그 전화번호에 의해서 특정되는 통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전환 등의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에서는 설정 또는 해제하고자 하는 부가 서비스가 착신 전환인 것으로 전제하였는데, 착신 전환 외 다른 부가 서비스(예를 들어 원넘버 서비스, 멀티링 서비스 등)를 설정/해제하기 위해서는 부가 서비스마다 그 유형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착신 전환, 원넘버 서비스, 멀티링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를 특정하는 서비스 유형 정보를 더 이용한다. 설명에 앞서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 사이에는 현재 설정된 부가 서비스가 없음을 전제로 한다.
서비스 유형 정보는 어느 부가 서비스를 다른 부가 서비스와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와 같이 정의된 서비스 유형 정보를 바탕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NFC로 태그한다(S401).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 및 서비스 유형 정보를 전송한다(S402). 예를 들어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고 서비스 유형 정보는 착신 전환을 지시하는 88일 수 있다. 이러한 전화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받거나 해당 이통형 통신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설정하고자 하는 부가 서비스가 착신 전환인지 또는 원넘버 서비스 인지 등을 나타내는 서비스 유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 것일 수 있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수신한 서비스 유형 정보를 확인한다(S403). 그 결과 사용자가 요청한 부가 서비스는 착신 전환(88)이다. 이어서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상기 부가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S403). 즉 현재 착신 전환의 상태를 확인하며 그 결과는 미사용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착신 전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04).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이에 따라 상기 이동형 통신 단말(200)(010-1234-5678)에 대해서 착신 전환을 설정하고(S405), 착신 전환 설정 완료 메시지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응답한다(S406).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착신 전환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그 과정도 유사하다.
즉 사용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NFC로 태그한다(S407).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 및 서비스 유형 정보를 전송한다(S408). 상술한 예와 동일하게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는 010-1234-5678이고 서비스 유형 정보는 착신 전환을 지시하는 88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수신한 서비스 유형 정보를 확인한다(S409). 그 결과 사용자가 요청한 부가 서비스는 착신 전환(88)이다. 이어서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상기 부가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한다(S409). 즉 현재 착신 전환의 상태를 확인하며 그 결과는 사용중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착신 전환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410).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이에 따라 상기 이동형 통신 단말(200)(010-1234-5678)에 대해서 착신 전환을 해제하고(S411), 착신 전환 해제 완료 메시지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응답한다(S412).
만약, 사용자가 설정/해제하고자 하는 부가 서비스가 원넘버 서비스이거나 멀티링 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유형 정보만 55, 40으로 변경될 뿐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를 참조한 실시예와 달리, 설정/해제 정보가 더 이용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에서 현재의 부가 서비스 상태를 확인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설정/해제 정보는 어느 부가 서비스에 대해서, 설정을 요청하는 것인지 또는 해제를 요청하는 것인지 여부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즉 설정/해제 정보는 부가 서비스 각각에 대해서 설정의 경우 1로, 해제의 경우 0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설정/해제 정보를 바탕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NFC로 태그한다(S501).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와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전송한다(S502).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고 착신 전환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010-1234-5678, [88,1]을 전송한다. 이러한 전화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받거나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것일 수 있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전화번호와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확인한다(S503). 그 결과 해당 고정형 통신 단말(100)(010-1234-5678)에 대해서 착신 전환의 설정 요청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어서 착신 전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504).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이에 따라 상기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착신 전환을 설정하고(S505), 착신 전환 설정 완료 메시지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응답한다(S506).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부가 서비스에 대해서 설정/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배열의 형태로,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S507 ~ S5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사용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NFC로 태그한다(S507).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와, 두 개 이상의 부가 서비스에 관한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전송한다(S508).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고 착신 전환을 해제하고 동시에 멀티링 서비스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010-1234-5678, [88,0], [40,1]을 전송한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전화번호와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확인한다(S509). 그 결과 해당 고정형 통신 단말(100)(010-1234-5678)에 대해서 착신 전환의 해제 요청과 멀티링 서비스의 설정 요청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어서 착신 전환 해제 요청 메시지와 멀티링 서비스 설정 요청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510).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이에 따라 상기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착신 전환을 해제하고(S511), 멀티링 서비스는 설정하며, 착신 전환 해제 완료 메시지 및 멀티링 서비스 설정 완료 메시지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응답한다(S51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에서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는 부가 서비스 서버(300)이다.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 데이터를 저장한다(S601). 인증 데이터란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을 서로 매핑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이동형 통신 단말(200)을 나타내는 식별정보 사이의 대응 관계로 표현될 수 있다. 각 식별정보는 해당 통신 단말을 다른 통신 단말과 구별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전화번호, MAC ID(Media Access Control ID),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MSISDN(Mobile Subscriber ISDN) 등, 통신 단말에 고유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정보로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3
상기 인증 데이터에 따르면, 어느 고정형 통신 단말(100)에 대해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을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인증 데이터에서 서로 대응되는 통신 단말 간에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대응되지 아니하는 통신 단말 간에는 부가 서비스를 설정할 수 없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이러한 인증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요청이 있는 경우, 그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데이터는 사용자가 부가 서비스를 신청하는 때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부가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MAC ID 또는 IMSI, MSIDSN 등 사용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식별정보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가정용 집전화를 예를 들면, 하나의 고정형 통신 단말(100)에 대해서 가족 구성원 마다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이동형 통신 단말(200)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인증 데이터에서 하나의 고정형 통신 단말(100) 식별번호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이동형 통신 단말(200) 식별번호가 대응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NFC로 태그한다(S602).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와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전송한다(S603).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고 착신 전환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010-1234-5678, [88,1]을 전송한다. 이러한 전화번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것이거나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유형 정보와 설정/해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데(S603),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 정보로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따라서 전화번호는 기 전송되었으므로 별도로 인증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인증 정보로 IMSI 등 다른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별도로 그 인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인증을 요청한다(S604). 이때 상기 인증 요청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인증 정보와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인증 정보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앞서 수신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와, 해당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전화번호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인증 데이터를 참조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S605). 구체적으로 인증 데이터를 참조한 결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인증 정보와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인증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 인증을 허용하지만, 서로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그 인증 결과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606).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인증 요청을 응답 받는다. 그 인증 결과가 인증을 허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지 않음을 통보한다(S607).
반면에 그 인증 결과가 인증을 허용하는 경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게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거나 해제한다(S608 ~ S611).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는 과정에서 인증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주체가 고정형 통신 단말(100)이다.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 데이터를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S701). 이때 인증 데이터 중에서, 전송 받을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식별정보와 그 대응되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식별정보만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식별정보는 개인정보로서 타인에게 공개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전송 받은 인증 데이터를 저장한다(S702).
사용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NFC로 태그한다(S703).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NFC 전송 모드로 동작하고,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NFC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NFC 통신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그 전화번호와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전송한다(S704). 예를 들어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8이고 착신 전환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010-1234-5678, [88,1]을 전송한다. 이러한 전화번호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것이거나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유형 정보와 설정/해제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데(S704), 본 실시예에서는 인증 정보로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따라서 전화번호는 기 전송되었으므로 별도로 인증 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다른 변형예에서는 인증 정보로 IMSI 등 다른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별도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상기 수신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참조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한다(S705). 구체적으로 인증 데이터를 참조한 결과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인증 정보와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인증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 인증을 허용하지만, 서로 대응되지 아니하는 경우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 인증 결과가 인증을 허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해제하지 않음을 통보한다(S706).
반면에 그 인증 결과가 인증을 허용하는 경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하게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거나 해제한다(S707 ~ S71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형 통신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부 (110), 통신부(130), 송수화부(140), 입력부(150), 표시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하고,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121),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122), 인증 모듈(1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된 구성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통합된 구성에서 그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모듈'은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대해서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것일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110)는 예를 들어 NFC, RFID, WiFi, Bluetooth 등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110)는 해당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네트워크 표준, 암호화, 비트레이트 등을 만족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근거리 통신부(110)는 후술하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근거리 통신부(210)와 통신하여,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부터 전화번호, 서비스 유형 정보, 설정/해제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30)는 PSTN망 또는 IP 망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함으로써 다른 통신 단말과의 음성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통신부(130)는 코어망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할 수 있다.
송수화부(140)는 예를 들어 마이크, 스피커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각종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사운드나 벨소리, 음성 통화 중의 상대방의 음성 듣기 등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입력부(150)는 키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고정형 통신 단말(100)을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표시부(160)는 고정형 통신 단말(100)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표시부(160)는 예를 들면, 화면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소자의 발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발광 램프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170)는 메모리 장치로서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사용에 수반되는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70)에는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기반을 제공하는 운영 체제가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70)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 서비스 유형 정보, 설정/해제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인증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121)은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분석한다. 부가 서비스 정보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것으로, 전화번호와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121)은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거나 해제되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을 확인할 수 있고, 서비스 유형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에 설정되거나 해제되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설정/해제 정보를 분석하여 부가 서비스가 설정되는지 또는 해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 서비스 정보가 010-1234-5678, [88, 1]인 경우, 010-1234-5678의 전화번호를 가지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에 대해서 착신 전환을 설정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122)은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121)이 확인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 부가 서비스의 종류, 해제 또는 설정 여부에 따라서 이에 부합하도록 부가 서비스 서버(300)에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122)은, 해당 전화번호를 가지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에 대해서 그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는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122)은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121)이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한 결과 설정/해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122)은 현재의 부가 서비스 상태를 확인하여, 이와 반대가 되도록(예를 들어 현재 착신 전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착신 전환을 해제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후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요청 메시지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거나 해제한다.
인증 모듈(123)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형 통신 단말(100)과 이동형 통신 단말(200) 상호간의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인증 정보는 통신 단말을 다른 통신 단말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전화번호, MAC ID, IMSI 또는 MSISDN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 모듈(123)은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인증 정보와 해당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인증 정보를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하면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수신한 인증 정보를 확인하고, 기 저장된 인증 데이터와 비교한다.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부가 서비스 서버(300)는 인증 허용을 상기 요청의 응답으로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하지만,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인증 불허를 상기 요청의 응답으로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또는, 인증 모듈(123)은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 인증을 요청하는 대신에, 자체적으로 인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형 통신 단말(20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인증 정보와, 부가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전송 받아 저장부(170)에 저장된 인증 데이터를 비교한다.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인증 모듈(123)은 인증을 허용하지만, 일치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인증 모듈(123)은 인증을 허용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통신 단말(2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동형 통신 단말(200)은 근거리 통신부(210), 통신부(230), 송수화부(240), 입력부(250), 표시부(260) 및 저장부(270)를 포함하고, 부가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221) 및 인증 정보 생성 모듈(22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모듈'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된 구성일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통합된 구성에서 그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모듈'은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대해서 각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것일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예를 들어 NFC, RFID, WiFi, Bluetooth 등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근거리 통신부(210)는 해당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네트워크 표준, 암호화, 비트레이트 등을 만족하도록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근거리 통신부(210)는 상술한 고정형 통신 단말(100)의 근거리 통신부(110)와 통신하여,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 서비스 유형 정보, 설정/해제 정보 및 인증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부(23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접속하여 회선망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패킷망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30)는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이용한다. 또한 통신부(230)는 코어망에 접속하여 부가 서비스 서버(3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송수화부(240)는 예를 들어 마이크, 스피커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각종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사운드나 벨소리, 음성 통화 중의 상대방의 음성 듣기 등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입력부(250)는 키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을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특히 입력부(250)는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 서비스 유형 정보, 설정/해제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표시부(260)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표시부(260)는 예를 들면, 화면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소자의 발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발광 램프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270)는 메모리 장치로서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사용에 수반되는 정보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70)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기반을 제공하는 운영 체제가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270)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 서비스 유형 정보, 설정/해제 정보 또는 인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221)은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전화번호, 서비스 유형 정보, 설정/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전화번호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거나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개통시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 유형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 또는 해제하고자 하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이고, 설정/해제 정보는 그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것인지 또는 해제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은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다.
인증 정보 생성 모듈(222)은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에 대해서 부가 서비스 설정의 정당한 권한을 인증하는 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인증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210)를 통해 고정형 통신 단말(100)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인증 정보는 인증 정보는 해당 이동형 통신 단말(200) 고유의 식별 정보로서 전화번호 MAC ID, IMSI, MSISDN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인증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 받을 수 있고, 또는 이동형 통신 단말(200)의 제조시 또는 개통시에 미리 저장부(270)에 저장된 것이 그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어떤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 고정형 통신 단말 110 : 근거리 통신부
121 :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 122 :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
123 : 인증 모듈 130 : 통신부
140 : 송수화부 150 : 입력부
160 : 표시부 170 : 저장부
200 : 이동형 통신 단말 210 : 근거리 통신부
221 : 부가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 222 : 인증 정보 생성 모듈
230 : 통신부 240 : 송수화부
250 : 입력부 260 : 표시부
270 : 저장부 300 : 부가 서비스 서버

Claims (18)

  1. 통신 단말간 연계되는 부가 서비스를 설정하는 통신 단말로서,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수신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 분석 모듈;
    상기 확인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부가 서비스의 설정 또는 해제를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는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은,
    상기 전화번호로 특정되는 통신 단말과 연계된 부가 서비스가 현재 설정된 상태인지 또는 해제된 상태인지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현재 상태와 반대가 되도록 부가 서비스를 해제 또는 설정할 것을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는 전화번호 및 서비스 유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은,
    상기 전화번호로 특정되는 통신 단말과 연계되고, 상기 서비스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가 현재 설정된 상태인지 또는 해제된 상태인지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현재 상태와 반대되도록 해당 부가 서비스를 해제 또는 설정할 것을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는 전화번호와 서비스 유형 정보 및 설정/해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 서비스 요청 모듈은,
    상기 전화번호로 특정되는 통신 단말과 연계되고, 상기 서비스 유형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서비스를 상기 설정/해제 정보에 일치하도록 해당 부가 서비스를 설정 또는 해제할 것을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와 각 전화번호마다 복수 개의 서비스 유형 정보 및 각 서비스 유형 정보마다의 설정/해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근거리 통신은,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는,
    착신 전환 서비스, 원넘버 서비스 또는 멀티링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다른 통신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인증 정보를 부가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여 그 인증을 요청하고, 그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매체 접근 제어 아이디(MAC ID),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MSI), 또는 이동국 국제 ISDN 번호(MSISD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1. 다른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을 제어하는 통신 단말로서,
    전화번호 및 서비스 유형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부가 서비스 정보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상기 다른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 정보는 설정/해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3. 제 11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인증 정보를 생성하는 인증 정보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상기 인증 정보를 무선 근거리 통신으로 상기 다른 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매체 접근 제어 아이디(MAC ID),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MSI), 또는 이동국 국제 ISDN 번호(MSISD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15. 제 1 통신 단말이, 부가 서비스가 연계되는 재 2 통신 단말로부터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연계되는 부가 서비스를 특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상기 특정된 부가 서비스의 설정 또는 해제를 부가 서비스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통신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상기 수신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통신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17. 제 2 통신 단말이,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단말이, 부가 서비스가 연계되는 제 1 통신 단말로 무선 근거리 통신을 이용해 상기 생성된 부가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인증 정보를 더 생성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 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KR1020120043298A 2012-04-25 2012-04-25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KR20130120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98A KR20130120213A (ko) 2012-04-25 2012-04-25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3298A KR20130120213A (ko) 2012-04-25 2012-04-25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0213A true KR20130120213A (ko) 2013-11-04

Family

ID=4985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3298A KR20130120213A (ko) 2012-04-25 2012-04-25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02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24A (ko) * 2013-11-05 2015-05-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22406B1 (ko) * 2014-03-07 2015-05-21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기기간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83251A (ko) * 2014-01-09 2015-07-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 전환 서버 및 착신 전환 서버 운용 방법
WO2016028113A1 (en) * 2014-08-22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all-forwarding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34258A (ko) * 2015-05-15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양방향 통신 운용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2424A (ko) * 2013-11-05 2015-05-1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50083251A (ko) * 2014-01-09 2015-07-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착신 전환 서버 및 착신 전환 서버 운용 방법
KR101522406B1 (ko) * 2014-03-07 2015-05-21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기기간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6028113A1 (en) * 2014-08-22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all-forwarding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2334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착신 전환 제어 방법
US9787843B2 (en) 2014-08-22 2017-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all-forwarding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134258A (ko) * 2015-05-15 201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양방향 통신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458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ubscriber profi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3344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EP3028403B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23118B1 (ko) 동시대기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장치 및 방법
US10257882B2 (en) Communications assembly and apparatus
KR20090024108A (ko) 휴대 전화기, 전화번호 관리 서버, 전화번호 변경 시스템, 전화번호 요구 방법, 및 전화번호 요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20213A (ko) 통신 단말의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과 그 통신 단말
US8050672B2 (en) Telecommunication system, mobile phone and calling method
US8249648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U2013303968B2 (en) Communications assembly and apparatus
CN113438372B (zh) 呼叫功能设置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817054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subscriber identity identity code notification apparatus
JP5027921B2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JP2014003516A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KR101745910B1 (ko) 모바일폰용 블루투스 헤드셋
CN101919184B (zh) 监控主机的方法、监控装置及主机
JP5583168B2 (ja) ネットワーク変換装置
JP478361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2007116319A (ja) 通信システム、網管理サーバ、無線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6161213B2 (ja) 音声通知システム、音声管理サーバ、及び端末管理サーバ
KR20140046782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가 서비스 설정 방법 및 시스템
JP5637553B2 (ja) 小型基地局およびページングメッセージ送信方法
JP2018019117A (ja) 呼制御装置及び通信端末
JP2014158107A (ja) 電話機、電話機の制御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および電話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7050714A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