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542B1 -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542B1
KR101590542B1 KR1020150099067A KR20150099067A KR101590542B1 KR 101590542 B1 KR101590542 B1 KR 101590542B1 KR 1020150099067 A KR1020150099067 A KR 1020150099067A KR 20150099067 A KR20150099067 A KR 20150099067A KR 101590542 B1 KR101590542 B1 KR 101590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coming call
held
telephone network
ca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링크
Priority to KR102015009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542B1/ko
Priority to PCT/KR2016/006026 priority patent/WO20170106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W4/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 호 유입 시 선행 작업(기능)을 단절시키고 벨이 울리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으로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특정 OS를 가진 단말에서도 해당 OS의 변화 없이 그리고 선행 작업(기능)의 단절 없이 해당 착신 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인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은, 제어 서버에서 수행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제1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게로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통지 결과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수신된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홀드 된 착신 호가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 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ting Call}
본 발명은 착신 호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단말로의 호 유입 이전에 선행적으로 데이터채널을 통해 해당 착신단말에 착신 호 정보를 제공하여 착신자가 해당 착신 호에 대해 (호 유입 이전에)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단말 사용자의 통화 선택 권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의 스마트폰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사용자들에게 보다 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화 기능 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 전화이기도 하지만 OS(Operating System)가 설치된 개인용 멀티미디어 기기이기도 하는데, 스마트폰에 설치된 OS(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또는 iOS 등)는 통상적으로 전화 기능을 다른 기능보다 최우선 순위로 처리하고 있다.
특히, 특정 OS로서의 iOS가 설치된 스마트폰(일명, 아이폰)의 경우 게임이나 다른 중요한 앱(App)의 사용 중이라도 전화착신을 가장 우선하므로 착신 호 유입 시 사용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통화착신화면을 실행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의 TPO(Time/Place/Occasion) 상황에 따라 통화착신이 가장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iOS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통화착신을 시키므로 사용자의 선택권이 배제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중요한 금융거래를 하고 있다거나 게임에 몰입해 있는 상황에서 갑자기 전화가 오는 경우 iOS는 무조건 전화UI를 실행하여 기존 작업(기능)을 단절시키고, 벨이 울리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으로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iOS와 같은 특정 OS에서는 사용자의 의사는 고려하지 않고 기존 작업보다 착 신호를 우선 처리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는 폐쇄성 있다.
또한, 전술한 iOS 정책의 폐쇄성으로 인해 앱(예를 들어, WhoWho 서비스 앱)이 iOS로부터 호 정보와 관련된 정보 획득이 불가하기 때문에, iOS와 같은 특정 OS를 사용하는 단말에서는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인의 정보를 표시해주는 서비스(예를 들어, WhoWho 서비스 등)가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착신 호 유입 시 선행 작업(기능)을 단절시키고 벨이 울리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으로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특정 OS를 가진 단말에서도 해당 OS의 변화 없이 그리고 선행 작업(기능)의 단절 없이 해당 착신 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인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착신단말로의 호 유입 이전에 선행적으로 데이터망을 통해 해당 착신단말에 착신 호 정보를 제공하여, 착신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착신 호에 대해 (호 유입 이전에)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인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단말 사용자의 통화 선택 권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는, 제어 서버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로서,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게로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하고, 그 통지 결과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수신된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홀드 된 착신 호가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전화망에서 홀드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 서버에서 홀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대응하는 제1 발신자 정보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제2 발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발신자 정보는 발신 단말의 CID(Caller ID) 정보이고, 상기 제2 발신자 정보는 별도의 주소록 서버로부터 조회한 발신자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는, 착신 단말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로서,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기초로, 제어 서버로부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 받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된 제2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를 수신하기 위한 착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일 예로 상기 전화망에서 홀드하거나 다른 예로 상기 제어 서버에서 홀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대응하는 제1 발신자 정보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제2 발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발신자 정보는 발신 단말의 CID(Caller ID) 정보이고, 상기 제2 발신자 정보는 별도의 주소록 서버로부터 조회한 발신자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은, 제어 서버에서 수행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제1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게로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통지 결과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수신된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홀드 된 착신 호가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 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은, 착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기초로, 제어 서버로부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 받아 표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표시된 제2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선택부를 통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착신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착신 호에 대해 (호 유입 이전에)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인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신단말 사용자의 통화 선택 권리를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즉, 착신 호 유입 시 선행 작업(기능)을 단절시키고 벨이 울리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으로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특정 OS를 가진 단말(예컨대, 일명 아이폰)에서도 OS의 변경 없이 그리고 선행 작업(기능)의 단절 없이 해당 착신 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인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서버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착신 단말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망시스템(1), 제어서버(2), 착신단말(3), 및 발신단말(4)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망시스템(1)은 전화망을 구성하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교환장치, 기지국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화망은 음성 통화가 가능한 통신망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3G(3세대 이동통신망), 인터넷 전화망,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교환전화망)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서버(2)는 전화망시스템(1)을 포함하는 전화망에 가입자 단말로서의 착신단말(3)을 대상으로 하는 착신 호가 발생하면, 착신단말(3)로의 호 유입 이전에 선행적으로 데이터망을 통해 해당 착신단말(3)에 착신 호 정보를 제공하여, 착신단말의 사용자가 해당 착신 호에 대해 호 유입 이전에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인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착신단말(3)과 발신단말(4)은 각각 착신 사용자의 단말과 발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신단말(3)은 전화망의 전화망시스템(1)에 착신 호가 발생할 경우 먼저 제어서버(2)로부터 데이터망을 통해 착신 호가 있음을 통지받고 그 결과 사용자가 해당 착신 호를 수락하면 해당 착신 호를 전화망을 통해 수신하여 통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제어 서버(2)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21) 및 제어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는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또는 제1 정보라 칭함)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발신단말(4)이 착신단말(3)로 전화하여 전화망의 전화망시스템(1)에 착신단말(3)로의 착신 호가 발생한 경우, 일 예로 전화망시스템(1)은 해당 착신 호를 홀딩(Holding)하고 제어서버(2)의 수신부(21)는 그 홀딩 된 착신 호의 정보(제1 정보)를 전화망시스템(1)으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전화망시스템(1)이 해당 착신 호를 제어 서버(2)로 전달하면 제어서버(2)가 해당 착신 호를 홀딩함과 아울러 수신부(21)는 해당 착신 호의 정보(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홀딩 된 착신 호의 정보(제1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망을 통해 착신 단말(3)에게로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또는 제2 정보라 칭함)를 통지하고, 그 통지 결과 착신 단말(3)로부터 데이터망을 통해 수신되는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홀드 된 착신 호가 전화망을 통해 착신 단말(3)로 전달되도록 (제어) 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 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23)는, 일 예로 홀딩 된 착신 호의 정보(제1 정보)에 대응하는 발신자 식별정보로서의 CID(Caller ID) 정보를 제2 정보에 포함하여 착신단말(3)로 통지하거나, 다른 예로 홀딩 된 착신 호의 정보(제1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발신자 정보로서 예컨대 별도의 주소록 서버(미도시)로부터 조회한 발신자 정보를 제2 정보에 포함하여 착신단말(3)로 통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착신 단말(3)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31), 선택부(33), 및 착신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1)는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착신 단말(3)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즉, 제1 정보)를 기초로, 제어 서버(2)로부터 데이터망을 통해 해당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즉, 제2 정보)를 통지 받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어서버(2)로부터 수신된 제2 정보를 기초로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착신 호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착신단말(3)로의 호 유입 이전에 선행적으로 데이터망을 통해 수신된 해당 착신 호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착신 호 유입 시 선행 작업(기능)을 단절시키고 벨이 울리는 동안에는 다른 작업으로의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특정 OS를 가진 단말에서도 해당 OS의 변화 없이 그리고 선행 작업(기능)의 단절 없이, 착신단말(3)의 사용자가 해당 착신 호에 대해 선택적으로 수락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개인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외부 발신자의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선택부(33)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를 데이터망을 통해 제어 서버(2)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착신부(35)는 선택부(33)를 통한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의) 선택에 따라 전화망의 전화망시스템(1) 또는 제어서버(2)에 홀드 되어 있는 착신 호를 전화망을 통해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3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발신단말(4)이 착신단말(3)로 전화하여 전화망시스템(1)에 착신 호가 발생하면(S401), 전화망시스템(1)은 해당 착신자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가입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S403), 확인 결과 서비스 가입자가 아닐 경우 기존의 통화 절차와 같이 해당 착신 호를 착신 단말(3)로 바로 전달하고, 서비스 가입자일 경우 해당 착신 호를 착신 단말(3)로 바로 전송하지 않고 홀딩 한 후(S405), 해당 착신 호 정보(제1 정보)를 제어서버(2)로 전달한다(S407).
단계 S405~S407의 다른 예로, 전화망시스템(1)에서 착신 호를 홀드 하지 않고 전화망시스템(1)이 해당 착신 호를 제어서버(2)로 전달하면 제어서버(2)가 해당 착신 호를 홀딩 함과 아울러 해당 착신 호의 정보(제1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제어서버(2)는 단계 S405에서 홀딩 된 착신 호의 정보(제1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망을 통해 착신 단말(3)에게로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제2 정보)를 통지하고(S409), 착신단말(3)은 단계 S409에서 제어서버(2)로부터 수신된 제2 정보를 기초로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착신 호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411).
이어, 착신단말(3)의 사용자가 단계 S413에서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수락 또는 거절 메뉴를 선택하면(S413), 착신단말(3)은 단계 S413에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를 데이터망을 통해 제어 서버(2)로 전송한다(S415).
이어, 제어서버(2)는 단계 S415에서 착신단말(3)로부터 수신된 수락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착신 호 전달 또는 차단을 위한 명령을 전화망시스템(1)으로 전송하고(S417), 전화망시스템(1)은 단계 S417에서 착 신호 전달 명령이 수신되면(S419) 단계 S405에서 홀딩된 착신 호를 착신단말(3)로 전송하고(S421), 착신단말(3)은 해당 착신 호를 수신하여 발신단말(4)과 통화할 수 있다.
전화망시스템(1)은 단계 S417에서 착 신호 차단 명령이 수신되면(S419) 단계 S405에서 홀딩 된 착신 호를 삭제한 후 발신단말(4)로 해당 사실을 통지한다(S425).
한편, 전술한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화망시스템
2: 제어서버
3: 착신단말
4: 발신단말
21: 수신부
23: 제어부
31: 표시부
33: 선택부
35: 착신부

Claims (23)

  1. 제어 서버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로서,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상기 가입자의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게로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하고, 그 통지 결과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수신된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홀드 된 착신 호가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발생된 착신 호와 관련된 어떤 신호도 상기 데이터망과 구분되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딩된 상태의 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전화망에서 홀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제어 서버에서 홀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대응하는 제1 발신자 정보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제2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신자 정보는 발신 단말의 CID(Caller ID) 정보이고, 상기 제2 발신자 정보는 별도의 주소록 서버로부터 조회한 발신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6. 착신 단말에 포함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로서,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상기 가입자의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기초로, 제어 서버로부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 받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된 제2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를 수신하기 위한 착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발생된 착신 호와 관련된 어떤 신호도 상기 데이터망과 구분되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딩된 상태의 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전화망에서 홀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제어 서버에서 홀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대응하는 제1 발신자 정보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제2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신자 정보는 발신 단말의 CID(Caller ID) 정보이고, 상기 제2 발신자 정보는 별도의 주소록 서버로부터 조회한 발신자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11. 제어 서버에서 수행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상기 가입자의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수신된 제1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에게로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통지 결과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수신된 해당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홀드 된 착신 호가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차단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발생된 착신 호와 관련된 어떤 신호도 상기 데이터망과 구분되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딩된 상태의 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전화망에서 홀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제어 서버에서 홀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대응하는 제1 발신자 정보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제2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신자 정보는 발신 단말의 CID(Caller ID)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신자 정보는 별도의 주소록 서버로부터 조회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6. 착신 단말에서 수행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서,
    (a) 전화망에 가입자로의 (음성) 착신 호 발생 시, 상기 가입자의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드(hold) 된 해당 착신 호의 정보(이하, 제1 정보)를 기초로, 제어 서버로부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착신 호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하, 제2 정보)를 통지 받아 표시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표시된 제2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또는 거절 정보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단계 (b)를 통한 상기 착신 호의 수락 선택에 따라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를 수신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발생된 착신 호와 관련된 어떤 신호도 상기 데이터망과 구분되는 상기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전달되지 않고 홀딩된 상태의 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전화망에서 홀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 된 착신 호는 상기 제어 서버에서 홀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와 대응하는 제1 발신자 정보 또는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제2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신자 정보는 발신 단말의 CID(Caller ID)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신자 정보는 별도의 주소록 서버로부터 조회한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2.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23.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착신 호 제어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99067A 2015-07-13 2015-07-13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90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67A KR101590542B1 (ko) 2015-07-13 2015-07-13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16/006026 WO2017010686A1 (ko) 2015-07-13 2016-06-08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067A KR101590542B1 (ko) 2015-07-13 2015-07-13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542B1 true KR101590542B1 (ko) 2016-02-01

Family

ID=5535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067A KR101590542B1 (ko) 2015-07-13 2015-07-13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0542B1 (ko)
WO (1) WO201701068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979A (ko) * 2006-10-23 2006-11-13 (주)바이더엔닷컴 발신자정보 변조기능을 포함한 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80073894A (ko) *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548B1 (ko) * 2002-06-27 2009-02-02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상태 기반 호처리 방법
KR101158918B1 (ko) * 2004-12-03 201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게임 진행 방법
JP2015103956A (ja) * 2013-11-25 2015-06-04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着信呼制御システム、着信呼制御方法及び着信呼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979A (ko) * 2006-10-23 2006-11-13 (주)바이더엔닷컴 발신자정보 변조기능을 포함한 호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80073894A (ko) * 2007-02-07 2008-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0686A1 (ko)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1474B2 (en) Performing routing of a phone call through a third party device
JP5351787B2 (ja) 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736234B1 (ko) 통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3124402A (zh) 漏话提示系统及方法
EP2557886B1 (en) Apparatus and method in a wireless device for reestablishing a call
US9113336B2 (en) Software application for intercepting phone call and text messages from specific contacts
EP2635012B1 (en) Call waiting in a multi-mode device
KR20230169020A (ko) 통화 목적 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90542B1 (ko)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77170B1 (ko) 유무선 융합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신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301567B (zh) 一种网络通话方法及系统
US8553868B2 (en) Intelligent outbound calling
CN103379459A (zh) 用于选择性地过滤输入的通信事件的方法和设备
KR20170029975A (ko) 단말기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WO2017190446A1 (zh) 一种呼叫方法和终端
KR20070005330A (ko) 착신링 시간 표시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JP5911121B1 (ja) 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KR20160037401A (ko)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이용한 콜렉트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13657A (ko) 페이징 콜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52424A (ko)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469362B1 (ko)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5987950A (zh) 通话方法、装置及设备
JP2023014200A (ja) 通話システム、通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954214A (zh) 通讯方法以及通讯装置
KR20150011110A (ko) 호 발신 중 메시지 통신을 위한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