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3894A -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3894A
KR20080073894A KR1020070012692A KR20070012692A KR20080073894A KR 20080073894 A KR20080073894 A KR 20080073894A KR 1020070012692 A KR1020070012692 A KR 1020070012692A KR 20070012692 A KR20070012692 A KR 20070012692A KR 20080073894 A KR20080073894 A KR 20080073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quest
reason
terminal
call
i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발 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3894A/ko
Publication of KR20080073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IMS(IP-based Multimedia Subsystem)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로 호를 요청할 경우에 호 요청 이유를 착신 호와 함께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측 단말기가 호 요청 이유에 따라 착신 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 단말기에서 전송한 호 요청 이유에 따라 착신 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착신 호를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측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경우에도 착신자의 의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IMS, 호 요청 이유, Call, Reason, IP, SIP,

Description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for transmiting reason for the cal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호 요청 이유를 호 요청 신호와 함께 송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4a는 메인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IMS 설정 메뉴가 선택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IMS 설정 메뉴의 하부 메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호 요청 대상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d는 호 요청 이유를 작성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에서, 송신측 단말기에서 착신측 단말기로 호 요청 이유가 전송되고, 통화 호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600 : 이동 통신 시스템 110 : 제1 단말기
112 : 제2 단말기 120 : 기지국
130 : 서킷 교환국 140 : 공중망
150 : 패킷 교환국 160 : 패킷 게이트
170 : IMS 210 : 표시부
220 : 입력부 230 : 제어부
240 : 통신부 250 : 촬영부
260 : 저장부 270 : IMS 처리부
630 : 이동 통신망 640 : SMS 센터
본 발명은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 단말기는 IP(Internet Protocol)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다양한 타입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based Multimedia Subsystem, 이하 IMS)을 이용하고 있다.
IMS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메시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타입의 콘텐츠(contents)를 송수신하고 있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2 무선 접속 규격에서는 IMS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PTT(Push-To-Talk) 서비스,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하였다.
그런데, 송신측 단말기가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음악이나 비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IMS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경우에, 착신측 단말기는 사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수신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신측 단말기가 착신측 단말기로 전화 통화를 위한 호(Call)를 착신측 단말기에게 요청할 경우에도 착신측 단말기는 착신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착신 호를 수신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송신측 사용자가 악의적인 의도로 전화 통화를 시도할 경우에도 착신측 사용자는 무슨 이유로 호를 요청했는지 모른 채 전화 통화를 수행함에 따른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MS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로 호를 요청할 경우에 호 요청 이유를 착신 호와 함께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측 단말기가 호 요청 이유에 따라 착신 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호(Call)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호 요청 이유에 관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호 요청 이유와 함께 호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호 요청 대상을 선택하고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는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 요청 대상은 단말기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폰북 데이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 요청 대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 요청 대상은 IP 주소가 대응된 이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IP(Internet Protocol)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based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하는 아이엠에스(IMS) 모드에서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단말기 는, 사용자로부터 호(Call)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호 요청 이유에 관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호 요청 이유 및 호 요청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호 요청 이유와 함께 상기 호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요청 이유에 관한 작성 화면을 통해 호 요청 대상을 선택하고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게 된다.
또한, 상기 호 요청 대상이 다수로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요청 대상을 상기 표시부로 다수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 요청 대상을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호 요청 대상은 IP 주소가 대응된 이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based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하는 아이엠에스(IMS) 모드 상태에서, 상기 호 요청 이유와 함께 상기 호 요청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100)은 제1 단말기(UE:User Equipment: 110), 제2 단말기(112), 기지국(RAN:Radio Access Network: 120), 서킷 교환국(MSC:Mobile Station Controller: 130), 공중망(Public Network: 140), 패킷 교환국(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150), 패킷 게이트(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160) 및 IMS(IP-based Multimedia Subsystem)(170)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는 기지국(120)이 관할하는 서비스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원하는 상대방 단말기와 무선 접속하여, 서킷(CS:Circuit Switch) 모드(mode)에 의한 음성급 통신과, 패킷(PS:Packet Switch) 모드에 의한 데이터급 통신을 선택적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단말기(110)를 송신측 단말기로, 제2 단말기(112)를 착신측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는 패킷 데이터 전송에 관한 PS(Packet Servic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 요청 시에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Packet Data Protocol)의 프로파일들을 설정하고, 네트워크로부터 IP 주소 를 할당받아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120)은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각종 통신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기지국 전송기(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122)와, 이러한 다수의 기지국 전송기(122)들을 제어하며 관리하는 기지국 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 124)를 포함한다.
또한, 기지국(120)은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로부터 통화 요청 신호, 데이터 전송 요청 신호 및 업로딩 데이터를 수신하여 패킷 교환국(150)으로 전송하고, 패킷 교환국(150)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전송기(122)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무선 접속 규격에 따르는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와의 무선 접속 종단 기능을 수행하고, 음성과 영상 및 데이터 트래픽(Traffic)을 WCDMA 방식으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송수신 안테나를 통하여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와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전송기(122)의 내부 서브시스템은 기지국 정합 서브시스템(BIS:Base-station Interconnection Subsystem), 기저 대역 서브시스템(BBS:Base Band Subsystem) 및 RF 서브시스템(Radio Frequency Subsystem)으로 구성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122)는 3GPP 무선 접속 규격에서 'Node B'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기지국 제어기(124)는 유무선 채널 관리,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 기(112)의 프로토콜 정합, 기지국의 프로토콜 정합,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처리, 핵심망(Core Network)과의 프로토콜 정합,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접속, 장애 관리, 시스템 로딩(System Loading) 등과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GPRS는 384 K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메일을 제공하며, 패킷 단위의 데이터 전송으로 전송 회선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비동기 방식의 통신 시스템이다.
서킷 교환국(130)은 음성급 통신 경로를 스위칭 제어하며, 이동통신 시스템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한다. 서킷 교환국(130)은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가 다른 통신망에 접속된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급 신호를 통신하고자 할 경우에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로부터의 호 접속을 공중망(140)으로 스위칭 연결하여 해당 상대방 단말기와의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패킷 교환국(150)은 GPRS를 위하여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의 이동성 관리, 발/착신 호 처리 절차 및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세션(Session) 관리, 인증 및 과금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패킷 교환국(150)은 데이터급 통신 경로를 스위칭 제어하고,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게이트(160)는 GPRS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고속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패킷망의 서빙 노드(Serving Node)이다. 또한, 패킷 게이트(16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로 IP 주소를 할당하고, 세션을 관리하며, 패킷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처리 기능을 한다. 그리고, 패킷 게이트(160)는 APN(Access Point Name)을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 및 접속하는 망을 결정하고, IP 망과의 게이트웨이(Gateway)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APN은 패킷 게이트(160)가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에게 할당해 주는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구분자로서, 특정 서비스를 위한 구분자로 활용되기도 한다. IP 망에 연결된 서버들은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고유한 APN을 갖는다.
IMS(170)는 음성과 데이터를 하나의 구조로 통합하고 이를 IP 네트워크에 고정한 장치로 전달하는 표준기술이다. 이러한 IMS(170)는 IP(Internet Protocol)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다양한 타입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메시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타입의 콘텐츠(contents)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12)는 IMS(170)를 통한 IP/SIP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휴대전화, PDA, 노트북, 휴대용 컴퓨터, PMP 등 사용자 입력기능 및 IMS를 통한 IP/SIP 통신 기능의 지원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표시부(210), 입력부(220), 제어부(230), 통신부(240), 촬영부(250), 저장부(260) 및 IMS 처리부(270)를 포함한다.
표시부(210)는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여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즉,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호(Call) 요청 명령을 입력받거나, 호 요청 이유에 관한 작성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관한 전송 호 요청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 IM(Instant Message) 메시지, 음악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40)를 통해 다른 단말기와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에 관한 데이터 등을 송수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전화 통화에 관한 호 요청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호 요청 이유도 함께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30)는 입력부(220)로부터 IMS(170)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에 관한 요청 명령이 입력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고정 IP 주소 또는 IMS(170)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아 IMS 처리부(270)에 설정하고 IMS 처리부(270)를 활성화시켜 세션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어부(230)는 IMS 처리부(270)가 활성화되고 세션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호 요청 이유도 통신부(240)를 통해 함께 무선으로 송출한다.
통신부(240)는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에 관한 데이터 등을 이동 통신망(120)으로 송출한다. 또한, 통신부(240)는 IMS 처리부(270)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촬영부(25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영상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 신호를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입력한다.
저장부(260)는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60)는 음악이나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호 요청 이유를 버퍼링(Buffer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60)는 PDP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각 서비스별 APN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IMS 처리부(27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전송 호를 위한 패킷 모드의 채널을 점유하여 세션을 형성하고,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저장부(260)로부터 읽어온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신부(240)로 전달한다. 그리고, IMS 처리부(270)는 고유 IP 주소 또는 IMS(170)로부터 할당받은 IP 주소를 설정하고, 제어부(230)가 세팅한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의 프로파일을 적용한다. 물론, 이동 단말기(110)가 고정 IP 주소를 사용할 경우에는 IMS(170)로부터 IP 주소를 할당받지 않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 IP 주소를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호 요청 이유를 호 요청 신호와 함께 송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제1 단말기(110)를 통해 상대방과 음성 통화를 수행할 때, 호 요청 이유를 작성해 전송하기 위해 제1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를 IMS 모드로 설정해야 한다.
여기서, IMS 모드는 IP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작성하여 호 요청 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동작 모드이다.
제1 단말기(110)에서, 제어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메인 메뉴가 선택되면, IMS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메인 메뉴를 표시부(210)로 제공한다.
사용자는 메인 메뉴 중에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S 설정 메뉴를 선택한다. 도 4a는 메인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IMS 설정 메뉴가 선택된 화면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IMS 모드의 설정에 관한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30)로 전달한다(S302).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220)로부터 IMS 모드의 설정에 관한 키입력이 있으면, 제어부(230)는 IMS 설정 메뉴의 하부 메뉴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요청 이유 인에이블(Enable) 메뉴와 호 요청 이유 디스에이블(Disable) 메뉴를 표시부(210)로 제공한다. 도 4b는 IMS 설정 메뉴의 하부 메뉴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입력부(220)를 통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요청 이유 인에이블 메뉴를 선택한다. 입력부(220)는 호 요청 이유 인에이블 메뉴의 선택에 따라
입력부(220)로부터 호 요청 이유 인에이블 메뉴가 선택되면, IMS 모드 활성화 명령을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제어부(230)는 IMS 모드 활성화 명령에 따라 IMS 처리부(270)를 구동시켜 제 1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를 호 요청시 호 요청 이유를 작성하여 호 요청 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IMS 모드로 전환한다(S304).
이후, 제어부(230)는 사용자에 의해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 버튼이 입력되는 방식으로 입력부(220)로부터 통화 호를 요청받는다(S306).
제어부(230)는 입력부(220)로부터 호 요청을 입력받으면, 제1 단말기(110)의 동작 모드가 IMS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요청 대상을 설정하는 화면과,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요청 이유를 작성하는 화면을 표시부(210)로 제공한다(S308). 도 4c는 호 요청 대상을 설정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d는 호 요청 이유를 작성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호 요청 대상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폰북(Phone Book) 리스트(List)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220)를 통해 폰북 리스트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Boss@lgeims.com"를 선택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메일 주소 "Boss@lgeims.com"에는 제2 단말기(112)의 전화번호와 IP 주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어, 제어부(230)는 입력부(220)를 통해 호 요청 대상이 선택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요청 이유를 작성하는 화면을 표시부(210)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부(220)를 통해 호 요청 이유를 문자나 숫자 입력을 통해 작성한다.
제어부(230)는 입력부(220)를 통해 호 요청 대상의 선택과 호 요청 이유의 작성이 완료되면(S310),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호 요청 신호와 함께 통신부(240)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한다(S312).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에서, 송신측 단말기에서 착신측 단말기로 호 요청 이유가 전송되고, 통화 호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말기(110)로부터 송출된 호 요청 신호는 기지국(120)을 경유하여 서킷 교환국(130)으로 전송되고,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는 기지국(120)과 패킷 교환국(150) 및 패킷 게이트(160)를 경유하여 IMS(170)로 전송된다(S502).
IMS(170)는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에 포함된 IP 주소를 근거로,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착신측 단말기에 해당하는 제2 단말기(112)로 전송해 준다(S504).
서킷 교환국(130)은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 신호를 착신 대상에 해당하는 제2 단말기(112)로 전송해 준다.
따라서, 제2 단말기(112)는 호 요청 신호와 함께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호 요청 신호에 따라 벨소리나 진동, 램프(Lamp) 등을 출력한다.
또한, 제2 단말기(112)는 IMS(170)로부터 수신한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506).
이후, 제2 단말기(112)는 사용자가 호 요청을 수락하는 키입력을 수행함에 따른 호 요청 수락 메시지를 IMS(170)로 전송한다(S508).
IMS(170)는 호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호 수락 알림 메시지를 제1 단말기(110)에게 전송해 준다(S510).
IMS(170)로부터 호 수락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단말기(110)는 호 수락 알림 메시지를 확인함에 따른 액크(ACK) 메시지를 IMS(170)를 경유하여 제2 단말기(112)로 전송하게 된다(S512).
이에, IMS(170)는 제1 단말기(110)와 제2 단말기(112) 간에 세션을 설정하게 되고, 제1 단말기(110)와 제2 단말기(112)는 상호 간에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게 된다(S514).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이 적용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600)은 제1 단말기(610), 제2 단말기(620), 이동 통신망(630), 및 SMS 센터(640)를 포함한다.
제1 단말기(610)와 제2 단말기(620)는 이동 통신망(630)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방식으로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을 CDMA 방식의 이동 통 신 시스템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이동 통신망(630)은 제1 단말기(610) 또는 제2 단말기(620)가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통신 경로를 제공하며, 기지국(Base Station) 및 이동 교환국(Mobile Switching Controller)을 포함한다.
기지국(BS)은 제1 단말기(610)에서 요청된 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교환국(MSC)으로 전송하고, 이동 교환국(MSC)으로부터 전송된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문자 메시지를 제2 단말기(620)로 전달한다. 기지국(BS)은 전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 전송기(Base Transceiver Station)와 호 시도를 처리하는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를 포함한다.
SMS 센터(640)는 제1 단말기(610)로부터 전송된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변환하여 제2 단말기(620)로 전송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제1 단말기(610)를 통해 작성하여, 제2 단말기(620)로 통화 호를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단말기(610)는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와 함께 호 요청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기(610)로부터 송출된 호 요청 신호 및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는 이동 통신망(630)으로 전송된다(S702). 즉, 제1 단말기(610) 로부터 송출된 호 요청 신호 및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는 기지국을 경유하여 이동 교환국(MSC)으로 전송된다.
이어, 이동 통신망(630)은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SMS 센터(640)로 전송한다(S704). 즉, 이동 교환국(MSC)은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SMS 센터(640)로 전송해 준다.
이동 통신망(630)으로부터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수신한 SMS 센터(640)는 호 요청 이유에 관한 메시지를 SMS 메시지로 변환한다(S706).
SMS 센터(640)는 호 이유 SMS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630)을 통해 착신측인 제2 단말기(620)로 전송해 준다(S708).
이에 따라, 제2 단말기(620)는 호 요청 신호와 함께 호 이유 SMS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고, 호 요청 신호에 따라 벨소리나 진동, 램프(Lamp) 등을 출력한다. 제2 단말기(620)는 수신한 호 이유 SMS 메시지를 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710).
이후, 제2 단말기(620)는 사용자가 호 요청을 수락하는 키입력을 수행함에 따른 호 요청 수락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630)으로 전송한다(S712).
이동 통신망(630)은 호 요청의 수락을 알리는 호 수락 알림 메시지를 제1 단말기(610)에게 전송해 준다(S714).
이동 통신망(630)으로부터 호 수락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단말기(610)는 호 수락 알림 메시지를 확인함에 따른 액크(ACK) 메시지를 이동 통신망(630)을 경유하여 제2 단말기(620)로 전송하게 된다(S716).
이에, 이동 통신망(630)은 제1 단말기(610)와 제2 단말기(620) 간에 세션을 설정하게 되고, 제1 단말기(610)와 제2 단말기(620)는 상호 간에 전화 통화에 관한 음성 패킷을 송수신하게 된다(S718).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IMS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로 호를 요청할 경우에 호 요청 이유를 착신 호와 함께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여, 착신측 단말기가 호 요청 이유에 따라 착신 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측 단말기에서 전송한 호 요청 이유에 따라 착신 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착신 호를 사 용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측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할 경우에도 착신자의 의사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로부터 호(Call)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호 요청 이유에 관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호 요청 이유와 함께 호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호 요청 대상을 선택하고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는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청 대상은 단말기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폰북 데이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 요청 대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청 대상은 IP 주소가 대응된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단말기의 동작 모드가 IP(Internet Protocol)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based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하는 아이엠에스(IMS) 모드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6. 사용자로부터 호(Call) 요청을 입력받는 입력부;
    호 요청 이유에 관한 작성 화면을 제공하는 표시부;
    상기 호 요청 이유 및 호 요청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상기 호 요청 이유와 함께 상기 호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요청 이유에 관한 작성 화면을 통해 호 요청 대상을 선택하고 상기 호 요청 이유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청 대상이 다수로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 요청 대상을 상기 표시부로 다수로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호 요청 대상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요청 대상은 IP 주소가 대응된 이메일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단말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based Multimedia Subsystem)을 이용하는 아이엠에스(IMS) 모드 상태에서, 상기 호 요청 이유와 함께 상기 호 요청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요청 이유 전송 단말기.
KR1020070012692A 2007-02-07 2007-02-07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080073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92A KR20080073894A (ko) 2007-02-07 2007-02-07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92A KR20080073894A (ko) 2007-02-07 2007-02-07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894A true KR20080073894A (ko) 2008-08-12

Family

ID=3988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692A KR20080073894A (ko) 2007-02-07 2007-02-07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38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542B1 (ko) * 2015-07-13 2016-02-01 주식회사 위링크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51462B1 (ko) * 2019-09-02 2020-09-04 (주)소프트버그 인증 호에 대한 팝업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542B1 (ko) * 2015-07-13 2016-02-01 주식회사 위링크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7010686A1 (ko) * 2015-07-13 2017-01-19 주식회사 위링크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51462B1 (ko) * 2019-09-02 2020-09-04 (주)소프트버그 인증 호에 대한 팝업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4905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voice communications using a mobile handset
TWI280809B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hannel selection by a mobile device
JP2017085632A (ja) マルチ技術対応の無線送信/受信ユニットに補足サービスを効率的に配信するための方法
US8116744B1 (en) Advanced message waiting indication system
CN102224743A (zh) 通过无线ip网络的移动源发的sms
EP2015607A2 (en) System,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trieving a user identity
KR1006403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그룹 통화 방법
CN102763078B (zh) 将在手持机上执行的多媒体应用与独立的且连通的计算设备对接
KR20080073894A (ko) 호 요청 이유 전송 방법 및 그 단말기
TWI617173B (zh) 以雙音多頻為基礎來提供互動式文字應答服務之方法
KR100458452B1 (ko) 단말 저장 방식을 이용한 인스턴스 메시지 전송 방법
US20080125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address book entry between wireless devices
KR101041314B1 (ko) 긴급 알림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171377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된 사진 및 동영상의 원본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KR20080072304A (ko)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 공유 방법 및 단말기
KR100827197B1 (ko) 이동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wcdma 사설망 인식 방법및 시스템
JP2003218995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335840B1 (ko) 메시지 디스포지션 제어 방법 및 단말기
JP5184054B2 (ja) 呼接続時の端末呼び出し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制御装置、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13008A (ko) 입력 제한이 없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76271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및 위치정보서비스 서버, 위치기반 서비스 시스템
KR20110048939A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 전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JP5618927B2 (ja) ユーザ端末及び通信方法
KR100613979B1 (ko)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