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362B1 -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362B1
KR101469362B1 KR1020130054299A KR20130054299A KR101469362B1 KR 101469362 B1 KR101469362 B1 KR 101469362B1 KR 1020130054299 A KR1020130054299 A KR 1020130054299A KR 20130054299 A KR20130054299 A KR 20130054299A KR 101469362 B1 KR101469362 B1 KR 10146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nap
blocking
sender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792A (ko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5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362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1Blocking transmission of caller identification to call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으로 조합된 발신자의 정보를 수신자에게 표시해 주기 위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자 정보가 해당 수신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은, CNAP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호 발생에 따라 CNAP 정보의 요청 시, 상기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신자에 대한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수신자에게 전달될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Server, Termina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blocking Called Information Presentation}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 표시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으로 조합된 발신자의 정보를 수신자에게 표시해 주기 위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자 정보가 해당 수신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기술의 혁신적인 발달로 인해 사용자들의 휴대폰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사용자들에게 보다 더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화 기능 외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이동통신 사업자가 출시한 대표적인 부가 서비스는 CNIP(Calling Number Identity Presentation) 서비스와 CNAP(Calling NAme Presentation) 서비스가 있다.
전술한 CNIP 서비스는 일반적인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로서, 발신자의 임의의 설정이 불가능하며, 단순히 전화 번호를 표시해주거나 해당 번호가 수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발신자의 이름으로 이를 표시해주는 서비스이다.
또한, 전술한 CNAP 서비스는 음성호 발신자가 서버에 저장한 자신의 이름, 로고 및 이미지 등의 정보를 호출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자(또는 착신자라 칭함) 단말 화면에 그 발신자의 정보를 표시해주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CNAP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자가 발신 시 상대방 수신자 측에 일방적으로 발신자의 정보가 표시되기 때문에, 수신자 관점에서는 자신이 원하지 않는 스팸 또는 광고성 발신자 정보에 대해 아무런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63150호(2011.09.0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 수신자 관점에서 선택적으로 발신자 정보를 차단 또는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는,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 호 발생에 따라 CNAP 정보의 요청 시,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신자에 대한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조회부; 및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의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수신자에게 전달될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는 상기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로부터 등록된 상대방 정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 호 발생에 따라 발신자의 CNAP 정보의 수신 시,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의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조회부; 및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에 의한 CNAP 서비스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된 상대방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은, CNAP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호 발생에 따라 CNAP 정보의 요청 시, 상기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신자에 대한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수신자에게 전달될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로부터 등록된 상대방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호 발생에 따라 CNAP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의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에 의한 CNAP 서비스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일 수 있고,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된 상대방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기존의 CNAP 서비스 시 수신자 관점에서 선택적으로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 관점에서 자신이 원하지 않는 스팸 또는 광고성 등의 CNAP 정보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10), CNAP 서버(20,20A), 수신 단말(30,30A), 및 발신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CNAP 서버(20,20A), 수신 단말(30,30A), 및 발신 단말(40)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CNAP 서버(20,20A)는 가입자의 CNAP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가지고서 통신망(10)으로부터의 요청 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수신자 관점에서 선택적으로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한 CNAP 서버(20)로 구성하거나, 다른 예로 기존의 일반적인 CNAP 서버(20A)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CNAP 정보는 텍스트, 사진(이미지), 동영상, CNAP 정보 조회용 URL, CNAP가 있음을 알리는 정보, 및 이메일 주소 등이 하나 이상 조합된 정보일 수 있다.
수신 단말(30,30A)과 발신 단말(40)은 각각 수신 사용자의 단말과 발신 사용자의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수신 단말(30,30A)은, 일 예로 수신자 관점에서 선택적으로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한 사용자 단말(30)로 구성하거나, 다른 예로 기존의 일반적인 사용자 단말(30A)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의 구성도로, 도 1의 CNAP 서버(20)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AP 차단/허용 설정부(21), CNAP 차단/허용 조회부(23), 및 CNAP 차단/허용 관리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CNAP 차단/허용 설정부(21)는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자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CNAP 차단/허용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정보를 수신자의 전화번호(CTN) 등과 함께 저장하는 방식으로 CNAP 차단/허용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21)는 수신자로부터 발신자 별 허용 정보가 선택되어 설정 시, 일 예로 해당 수신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일부 또는 전체의 상대방 정보를 허용할 발신자 정보(즉,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로 설정하거나, 다른 예로 해당 수신자로부터 등록된 상대방 정보를 허용할 발신자 정보로 설정하거나, 또는 전술한 두 가지의 예를 조합하여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21)는 수신자로부터 발신자 별 차단 정보가 선택되어 설정 시, 해당 수신자로부터 등록된 상대방 정보를 차단할 발신자 정보(즉, 발신자 별 차단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CNAP 차단/허용 조회부(23)는 호가 발생되어 CNAP 정보가 요청되면 CNAP 차단/허용 설정부(21)를 통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신자에 대해 해당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해야 할 지 또는 허용해야 할 지의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발신 호가 발생되어 통신망(10)으로부터 CNAP 설정 정보의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CNAP 차단/허용 설정부(21)에 의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신자로 전달 될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할 것인지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조회할 수 있다.
CNAP 차단/허용 관리부(25)는 CNAP 차단/허용 조회부(23)의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수신자에게 전달될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통신망(10)으로부터 수신된 CNAP 설정 정보의 조회 요청에 대한 답변 시, CNAP 차단/허용 조회부(23)의 조회 결과에 따라 통신망(10)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송될 해당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하거나 또는 허용할 수 있다.
CNAP 차단/허용 관리부(25)는 CNAP 설정 정보 조회 요청에 대한 답변 메시지를 통신망(10)으로 전송할 때 해당 답변 메시지 내에 발신자의 CNAP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CNAP 정보를 차단하거나 또는 포함되도록 제어하여 CNAP 정보를 허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수신 단말(30)의 세부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NAP 차단/허용 설정부(31), CNAP 차단/허용 조회부(33), 및 CNAP 차단/허용 관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CNAP 차단/허용 설정부(31)는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CNAP 차단/허용 정보는 예를 들어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CNAP 차단/허용 정보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선택된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CNAP 차단/허용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31)는 사용자로부터 발신자 별 허용 정보가 선택되어 설정 시, 일 예로 해당 사용자 단말(30)의 자체 주소록 또는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허용할 발신자 정보(즉,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로 설정하거나, 다른 예로 해당 사용자로부터 별도 입력 또는 선택된 상대방 정보를 허용할 발신자 정보로 설정하거나, 또는 전술한 두 가지 예를 조합하여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상대방 정보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31)는 수신자로부터 발신자 별 차단 정보가 선택되어 설정 시,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된 상대방 정보를 차단할 발신자 정보(즉, 발신자 별 차단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CNAP 차단/허용 조회부(33)는 호 발생에 따라 발신자의 CNAP 정보가 수신되면 CNAP 차단/허용 설정부(31)에 의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그 수신된 CNAP (관련) 정보의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발신 호가 발생되어 통신망(10)으로부터 해당 호의 연결 시도와 함께 발신자의 CNAP 정보가 외부로부터 수신되면, CNAP 차단/허용 설정부(31)에 의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그 수신된 CNAP 정보를 차단할 것인지 허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것이다.
CNAP 차단/허용 관리부(35)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CNAP 정보에 의한 일련의 CNAP 서비스 과정을 CNAP 차단/허용 조회부(33)의 조회 결과에 따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CNAP 차단/허용 조회부(33)의 조회 결과에 따라 통신망(10)으로부터 수신된 CNAP 정보에 의한 CNAP 정보의 표시 또는 CNAP 서버(20)로의 URL 접속 등과 같은 일련의 CNAP 서비스 과정을 차단하거나 또는 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발신 단말(40)은 발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CNAP 정보를 CNAP 서버(20)로 전달하여 CNAP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며(S401), CNAP 서버(20)는 발신 단말(40)로부터 수신된 CNAP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402).
한편, 수신 단말(30A)은 CNAP 서버(20)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전달하여 CNAP 차단/허용 정보의 설정을 요청하며(S411), CNAP 서버(20)는 수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설정한다(S412).
단계 S401~402 및 단계 S411~412의 과정을 거쳐 발신자의 CNAP 정보가 등록되고 수신자의 CNAP 차단/허용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발신 단말(40)로부터 수신 단말(30A)로의 호가 발신되면(S421), 해당 통신망(10)은 CNAP 서버(20)에게로 CNAP 설정 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또는 CNAP 정보 요청 메시지라 칭함)를 전송하고(S422), CNAP 서버(20)는 단계 S402에서 등록된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조회함과 아울러 단계 S412에서 설정된 수신자의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조회한다(S423).
이어, CNAP 서버(20)는 단계 S423에서의 조회 결과가 차단 또는 허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수신자로부터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가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S424).
이어, CNAP 서버(20)는 단계 S424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데(S425), 예를 들어, 단계 S422에서 수신된 CNAP 설정 정보 조회 요청 메시지에 대한 답변으로 CNAP 설정 정보 조회 답변 메시지를 통신망(10)으로 전송할 때(S426), 발신자의 CNAP 정보가 답변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도록 제어하여(S425) 통신망(10)으로부터 수신 단말(30A)로의 호 연결 시도 시(S427) 발신자의 CNAP 정보가 수신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거나, 또는 발신자의 CNAP 정보가 답변 메시지에 포함되도록 제어하여(S425) 통신망(10)으로부터 수신 단말(30A)로의 호 연결 시도 시(S427) 발신자의 CNAP 정보가 수신자에게 전달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S425~S427).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과 도 3의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발신 단말(40)은 발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CNAP 정보를 CNAP 서버(20A)로 전달하여 CNAP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며(S501), CNAP 서버(20A)는 발신 단말(40)로부터 수신된 CNAP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502).
한편, 수신 단말(30A)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CNAP 차단/허용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저장하여 설정한다(S511).
단계 S401~402 및 단계 S511의 과정을 거쳐 발신자의 CNAP 정보가 CNAP 서버(20A)에 등록되고 수신자의 CNAP 차단/허용 정보가 수신 단말(30)에 설정된 상태에서, 발신 단말(40)로부터 수신 단말(30)로의 호가 발신되면(S521), 해당 통신망(10)은 CNAP 서버(20)에게로 CNAP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522), 이에 대한 답변으로 CNAP 서버(20A)는 단계 S502에서 등록된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조회하여 통신망(10)으로 전달하며(S523), 통신망(10)은 수신 단말(30)에게로 호 연결 시도와 함께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전달한다(S524).
이어, 수신 단말(30)은 통신망(10)으로부터 호가 수신되면 단계 S411에서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조회한다(S525).
이어, 수신 단말(30)은 단계 S525의 조회 결과가 차단 또는 허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가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일괄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S526).
마지막으로, 수신 단말(30)은 단계 S526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제어동작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CNAP 차단/허용 정보의 조회 결과에 따라 통신망(10)으로부터 수신된 CNAP 정보에 의한 CNAP 정보의 표시 또는 CNAP 서버(20)로의 URL 접속 등과 같은 일련의 CNAP 서비스 과정을 차단하거나 또는 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27).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통신망
20,20A: CNAP 서버
21: CNAP 차단/허용 설정부
23: CNAP 차단/허용 조회부
25: CNAP 차단/허용 관리부
30,30A: 수신 단말
31: CNAP 차단/허용 설정부
33: CNAP 차단/허용 조회부
35: CNAP 차단/허용 관리부
40: 발신 단말

Claims (17)

  1.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
    호 발생에 따라 CNAP 정보의 요청 시,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신자에 대한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조회부; 및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의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수신자에게 전달될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는 상기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로부터 등록된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5.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설정부;
    호 발생에 따라 발신자의 CNAP 정보의 수신 시,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의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조회부; 및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의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에 의한 CNAP 서비스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CNAP 차단/허용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CNAP 차단/허용 설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며, 상기 CNAP 차단/허용 조회부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된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단말.
  9. CNAP 서버에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호 발생에 따라 CNAP 정보의 요청 시, 상기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해당 수신자에 대한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해당 수신자에게 전달될 발신자의 CNAP 정보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의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수신자로부터 등록된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3.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호 발생에 따라 CNAP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설정된 CNAP 차단/허용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의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조회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된 CNAP 정보에 의한 CNAP 서비스를 차단 또는 허용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를 기초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 (b)는 상기 온라인 주소록을 조회하여 CNAP 차단 또는 허용 여부를 조회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NAP 차단/허용 정보는 모든 발신자로부터의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일괄 차단 정보,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및 발신자 별로 CNAP 정보를 허용하기 위한 발신자 별 허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주소록에 있는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별 차단 정보 또는 상기 발신자 별 허용 정보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발신자 정보는 해당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선택된 상대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30054299A 2013-05-14 2013-05-14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469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99A KR101469362B1 (ko) 2013-05-14 2013-05-14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299A KR101469362B1 (ko) 2013-05-14 2013-05-14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792A KR20140134792A (ko) 2014-11-25
KR101469362B1 true KR101469362B1 (ko) 2014-12-05

Family

ID=5245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99A KR101469362B1 (ko) 2013-05-14 2013-05-14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3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79B1 (ko) * 2005-04-15 2006-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미지콜 서비스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5807B1 (ko) * 2008-10-10 2012-01-17 (주)티아이스퀘어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79B1 (ko) * 2005-04-15 2006-1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미지콜 서비스에서 발신자 지정 멀티미디어 컨텐츠의착신 제한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5807B1 (ko) * 2008-10-10 2012-01-17 (주)티아이스퀘어 통신망 간에 연동하여 발신측 단말 관련 정보를 착신측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792A (ko) 201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197B1 (ko) 수신 메시지 도착 알림 시 유휴 공간 내의 광고 표현 방법 및 시스템
JP2011160029A (ja) 通信処理システム、通信処理方法、通信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30169020A (ko) 통화 목적 알림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6324791A (ja) 電話発信の通知方法、サーバ、及び、電話端末
KR101122214B1 (ko) 광고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02811430A (zh) 呼叫转移的实现方法及系统
KR101469362B1 (ko) 발신자 정보 차단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194998B1 (ko) 모바일단말기간의 피싱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32476B1 (ko) 발신자 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205815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제어 방법
KR101812333B1 (ko) 이동 단말에서의 비밀 번호 기반 호/메시지 발/수신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151462B1 (ko) 인증 호에 대한 팝업 서비스 시스템
KR101508377B1 (ko) 애칭 서비스 서버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애칭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11904B1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17194B1 (ko) 유무선 전화 수신환경 설정시스템
KR20140044013A (ko) 수신자 정보 표시를 위한 단말,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290903B1 (ko) Cnap 정보 표시를 위한 서버, 단말, 및 방법
KR101707297B1 (ko) 보안 주소록의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및 방법
KR20140090327A (ko) 발신자 정보 표시를 위한 서버 및 방법
KR101756432B1 (ko) 통화 목적을 제공하는 통화 목적 제공 장치, 통화 목적 제공 시스템 및 통화 목적 제공 방법
KR20150052424A (ko) 멀티-넘버 원-디바이스 통신을 위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787656B1 (ko) 발신자 정보의 호 데이터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발신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1718952B1 (ko) 안심통화를 위한 사전 위험도 제공장치
KR101590542B1 (ko) 착신 호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135144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