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748A -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748A
KR20230024748A KR1020210106872A KR20210106872A KR20230024748A KR 20230024748 A KR20230024748 A KR 20230024748A KR 1020210106872 A KR1020210106872 A KR 1020210106872A KR 20210106872 A KR20210106872 A KR 20210106872A KR 20230024748 A KR20230024748 A KR 20230024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phone
call
virtual
v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경
이승혁
이혜원
이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21010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748A/ko
Publication of KR20230024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7Identification code transf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제1 가입자 식별 모듈과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면 착신 호에 포함된 발신 정보로부터 착신 호가 제1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인지 제2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인지 확인한다. 착신 호가 제2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이면, 설치된 가상 전화 앱으로 착신 호를 전달하고, 가상 전화 앱을 통해 착신 호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가상 전화 앱에 대응하여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서버에서 구동중인 가상 머신으로 통화 서비스에 대한 통화 기록을 전송하여, 가상 전화 앱과 가상 머신의 통화 기록을 동기화한다.

Description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Smart phone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mobile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에 나노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과 eSIM(embedded SIM)이 탑재된 듀얼 SIM 환경에서 eSIM 기반의 번호에 대해 가상 단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기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VMI 기술을 통해 업무 전용 단말, 금융, 국방용 단말 등 다양한 용도로 클라우드 기반 단말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의 활용이 높아지면서, 하나의 폰을 업무용과 개인용을 구분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하나의 폰을 이용한 투넘버 서비스나 투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투넘버 서비스는 하나의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공유하며 2개 번호를 전환하여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투폰 서비스는 하나의 USIM을 공유하며 2개의 번호를 2개의 OS로 구분하고, 구분된 OS로 두 번호를 전환하며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때, 구분된 폰 간 전환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두 개의 전화번호 각각에 저장된 전화번호(연락처, 발착신 기록 등)가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폰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구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특정 앱이 하나의 단말에 두 벌 설치되지 않는 등, 앱의 환경이 혼합되어 사용되는 문제가 있다.
하나의 USIM 제한을 해소하기 위하여 eSIM을 적용하여 듀얼 SIM을 제공하는 경우에, USIM, eSIM을 구분하여 회선을 선택하여 발신할 수 있다. 그러나, 번호별로 이력 관리가 어렵고, 전화번호 연계 앱의 경우 두 개 번호에 대해 구분이 안되어 앱의 사용이 혼란스러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스마트폰에 탈착식 가입자 식별 모듈인 nano SIM과 다운로드 가능한 가입자 식별모듈인 eSIM을 구비하고, eSIM에 부여된 번호에 대해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로 연결하여, nano SIM 기반의 물리 스마트폰과 eSIM 기반의 가상 스마트폰을 제공하여, 완벽히 분리된 두 개의 단말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제1 가입자 식별 모듈과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발신 정보로부터 상기 착신 호가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인지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호가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이면, 설치된 가상 전화 앱으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상 전화 앱을 통해 상기 착신 호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응하여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서버에서 구동중인 VMI 가상폰으로 상기 통화 서비스에 대한 통화 기록을 전송하여, 상기 가상 전화 앱과 상기 VMI 가상폰의 통화 기록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전화 앱은 상기 VMI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VMI 접속 앱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가상 전화 앱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로컬 전화 앱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호가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이면, 상기 로컬 전화 앱으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1 전화번호와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2 전화번호는 상이한 전화번호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제1 가입자 식별 모듈과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1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로컬 전화 앱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2 전화번호로 가상 전화 앱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실행되면, VMI 서버로 상기 가상 전화 앱의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응하는 가상 머신이 실행되면,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2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상기 로컬 전화 앱의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로컬 전화 앱이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통화중이면, 상기 교환기로 상기 발신 호의 전송을 취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VMI 서버 내에 구현된 VMI 가상폰으로 통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정보는 발신 번호인 상기 제2 전화번호와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 통화 시간, 발신 시각 및 착신 시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 전화 앱은 VMI 접속 앱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VMI 접속 앱이 구동되면, 상기 VMI 접속 앱을 통해 상기 VMI 가상폰에 접속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VMI 서버에서 관리하는 상기 통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전화 앱의 통화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선택되면 상기 VMI 가상폰으로 가상 전화 앱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VMI 가상폰으로부터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응하는 가상 머신의 전화 앱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상기 로컬 전화 앱보다 먼저 실행되도록 상기 단말 상에서 기본 앱으로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단말은,
제1 전화번호가 부여된 제1 가입자 식별 모듈, 상기 제1 전화번호와 상이한 제2 전화번호가 부여된 제2 가입자 식별 모듈, 그리고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로컬 전화 앱이 상기 제1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하고, VMI 서버에서 구동하는 VMI 가상폰을 통해 동작하는 가상 전화 앱이 상기 제2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착신 호에서 착신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가 상기 제1 전화번호이면 상기 착신 호를 상기 로컬 전화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가 상기 제2 전화번호이면 상기 착신호를 상기 가상 전화 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실행되면 상기 VMI 가상폰으로 상기 가상 전화 앱의 선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VMI 가상폰에서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한 가상 머신을 실행하여 스트리밍한 앱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을 통한 발신 호가 생성되면, 상기 로컬 전화 앱의 통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신 호 또는 상기 발신 호에 따른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가상 전화 앱에서 제공한 통화 정보를 상기 VMI 가상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상기 로컬 전화 앱보다 먼저 실행되도록 상기 가상 전화 앱을 기본 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듀얼 심이 삽입된 로컬 폰에서 eSIM 번호와 연결된 전화번호부, 통화, 문자 이력 데이터와 USIM 번호 기반의 전화번호부, 통화, 문자 이력 데이터를 완전히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각 전화번호부와 연계된 메시징 앱, SNS 앱 등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VMI 통신 연결 앱은 VMI 내부에 설치된 앱의 목록을 가져와 앱 그룹으로 표시하고, 그중 하나의 앱을 선택하면 선택된 앱을 앱 스트림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VMI 접속 절차 없이 즉각적으로 가상 폰 내의 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SIM이 삽입된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VMI를 통한 통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단말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단말을 이용한 통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단말을 이용한 통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MI 접속 앱 실행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 앞서, 종래의 듀얼 SIM이 삽입된 단말과, VMI를 통해 통화를 시도하는 방법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듀얼 SIM이 삽입된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SIM(20, 30)들이 단말(10)에 삽입되어 있고, 통화나 문자 서비스와 같이 전화번호에 연계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복수의 앱(40)들이 단말(10)에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SIM(20, 30)들이 단말(10)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두 SIM(20, 30) 중 하나의 회선을 선택하여 통화나 문자 서비스를 위한 앱(전화 앱, 문자 앱, 메신저 앱 등)을 설치한다. 따라서, 통화나 문자 서비스를 위한 동일한 앱이 하나의 단말(10) 여러 개 설치될 수 없다.
도 2는 종래의 VMI를 통한 통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VMI 서버(도면 미도시)에서 구동하는 VMI 가상폰에 VoIP 앱(예를 들어, 스카이프(Skype), 왓츠 앱(WhatsApp), 카카오 보이스톡 등)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앱을 이용하여 발신자가 착신자에게 전화를 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MI 가상폰(30) 내에 VoIP 앱을 통해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 사이에 전화 통화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은 물리 단말이다.
착신 단말(20)과 발신 단말(10)간의 통화는 VoIP ID를 통해 착신자의 ID로 전화 통화를 시도한다. 이 때, 발신 단말(10)은 VMI 가상폰과 VMI 접속 절차를 거쳐 VMI 연결이 이루어 진다(S10, S11).
발신 단말(10)이 VMI 가상폰(30)으로 접속하고, VMI 가상폰(30)에 설치되어 있는 VoIP 앱을 선택하여 VoIP 앱을 구동한다(S12). 그리고, VMI 가상폰(30)은 VoIP 서버(4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고(S13), VoIP 서버(40)는 착신자의 ID에 해당하는 착신 단말(20)로 통화 연결을 요청한다(S14).
착신 단말(20)에서 응답이 발생하면(S15), VoIP 서버(40)는 VMI 가상폰(30)으로 응답 신호를 전달한다(S16). 이를 통해 VMI 가상폰(30)과 착신 단말(20) 사이에 통화로가 형성된다(S17).
이 경우, VMI 가상폰(30) 내에서 S12 단계에서 실행된 VoIP 앱이 종단 포인트가 되고, 실제 통화로 연결은 VMI 가상폰(30) - VoIP 서버(40) - 착신 단말(20)로 이루어진다. 이때, VMI 가상폰(30), VoIP 서버(40), 착신 단말(20)은 각각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된다.
VMI 가상폰(30)과 연결된 발신 단말(10)은 VoIP 서버(40)를 통해 송출되는 음성을 스트리밍하여 발신 단말(10) 내 스피커(도면 미도시)로 전달한다(S18). 그리고 발신 단말(10)의 마이크(도면 미도시)로 입력된 음성은 VMI 가상폰(30) 내 VoIP 앱으로 전달되어, 발신 단말(10)과 착신 단말(20) 사이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VMI 가상폰(30)을 통해 가상화된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기 통신망의 전화번호가 아닌 VoIP에 부여된 번호만을 통해서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듀얼 SIM을 이용한 클라우드 단말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가 각기 다른 전화번호를 갖는 완전히 분리된 두 개의 단말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단말이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물리 단말'이라 지칭함)(100)은 듀얼 SIM(110, 120)이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노 SIM(110)과 eSIM(120)이 물리 단말(100)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 두 SIM이 탑재되는 것은 아니다.
물리 단말(100)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로컬 앱들 중 전화번호와 연계된 앱(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화번호부 앱'이라 지칭함)(130)은 나노 SIM(110)에 부여된 가입자 식별 번호(이하, '제1 전화번호'라 지칭함)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eSIM(120)은 나노 SIM(110)에 부여된 제1 전화번호와 상이한 제2 전화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VMI 접속 앱(140)에는 전화번호부 앱(130)에 설치되어 있는 앱과 동일한 앱들이 포함된다. VMI 접속 앱(140)에 포함되어 있는 앱들은 VMI 서버(200) 내 개별 가상머신(①)에 설치되어 실행된다. 여기서 개별 가상머신은 사용자별로 할당되는 VMI 가상폰을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VMI 가상폰(210)'이라 지칭한다.
사용자가 물리 단말(100)에 설치되어 있는 VMI 접속 앱(140)을 통해 VMI 서버(200)로 접속하여 VMI 가상폰(210)에서 실행시키는 앱들 중 전화 앱을 선택할 경우, 물리 단말(100)은 eSIM(120)에 부여된 제2 전화번호로 전화 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VMI 접속 앱(140)을 선택할 경우, VMI 서버(200)에서 VMI 가상폰(210)을 연결하고, VMI 가상폰(210)의 화면을 물리 단말(100)에 스트리밍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스트리밍된 화면을 통해 가상 앱을 선택하면, VMI 가상폰(210)에서 선택된 가상 앱을 실행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리 단말(100)에 설치되어 있는 VMI 접속 앱(140)에, VMI 가상폰(210)에 설치된 앱들에 대한 목록이 리스트로 관리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물리 단말(100)에서 VMI 접속 앱(140)을 통해 리스트 상의 앱을 선택하면, VMI 서버(200) 내 VMI 가상폰(210)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앱 정보를 전달한다. VMI 가상폰(210)은 해당 앱의 가상 앱을 즉시 실행시켜, 앱 화면을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물리 단말(100)에 설치된 로컬 앱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의 편리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쓰는 앱 및 데이터를 미리 VMI 서버(200)의 메모리에 올려두어, 로딩 시간을 줄일 수 있다.
VMI 서버(200)는 클라우드 상에서 복수의 가상화된 클라우드 단말들, 즉 VMI 가상폰(210)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각 VMI 가상폰(210)은 VMI 게이트웨이(300)를 통해 물리 단말(100)에 설치된 VMI 접속 앱(140)과 연결된다. 여기서, VMI 게이트웨이(300)는 사용자를 인증하거나, 물리 단말(100)에 설치된 VMI 접속 앱(140)과 해당 VMI 접속 앱(140)을 클라우드에서 실행시킬 가상 머신 간 신호 입출력을 중개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VMI 서버(200)는 클라우드 단말을 실행하기 위한 CPU, G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가상화된 구성들과 호스트 OS, 하이퍼바이저, 복수의 가상 머신들, 그리고, VMI 접속 앱(140)에 대응하여 앱을 클라우드에서 실행시키는 가상 앱들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VMI 서버(200)를 구성하는 CPU, GPU, 메모리, 디스크, 호스트 OS, 하이퍼바이저 등의 기능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VMI 가상폰(210)을 제공하는 가상 머신들에는 각각 가상 앱을 구동하기 위한 앱 구동 모듈, 가상 앱 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 물리 단말(100)의 VMI 접속 앱(140)과 연동하여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모듈은 물리 단말(100)과 VMI 가상폰(210) 사이의 통화 기록 동기화를 제공한다.
보통 eSIM 기반 전화번호부의 원본은 VMI 가상폰(210)에 저장되어 있다. 이 경우, 물리 단말(100)이 eSIM 번호로 착신 호를 수신하면, 실제 전화 기능은 물리 단말(100) 내에 설치된 전화 관련 앱 또는 물리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전화 관련 기능을 사용하여 전화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전화 착신의 성공/실패 여부, 통화 길이 등의 기록이 물리 단말(100)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eSIM 기반 전화번호부의 원본이 저장된 VMI 가상폰(210)에는 물리 단말(100)에서 생성된 통화 관련 기록이 반영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물리 단말(100)에서 생성된 통화 관련 기록은 VMI 가상폰(210) 내의 전화번호 관련 앱과 동기화가 되어야 하며, 동기화 모듈을 통해 물리 단말(100)과 VMI 가상폰(210) 사이에 동기화가 수행된다.
또한, VMI 가상폰(210)은 eSIM(120)의 제2 전화번호에 매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들, 통화 이력 그리고 문자 이력을 포함하는 통화 정보를 저장하는 통화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VMI 서버(200)의 호스트 서버(도면 미도시)에는 실행된 가상 앱의 앱 화면을 스트리밍으로 물리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한 공통적인 영상 전송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노 SIM(110)에 부여되어 있는 제1 전화번호와 관련된 전화번호부와 통화이력, 문자 이력은 물리 단말(100)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eSIM(120)에 부여되어 있는 제2 전화번호와 관련된 전화번호부와 통화이력, 문자 이력은 VMI 서버(200) 내 VMI 가상폰(210)에서 관리한다.
물리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교환기(400)로 발신 호를 전달하거나, 교환기(400)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한다. 교환기(400)는 통신망을 통해 착신 호나 발신 호를 수신하면, 착신 호와 발신 호를 송신할 번호를 확인하고, 확인한 번호에 상응하는 물리 단말(100) 또는 또 다른 물리 단말(500)로 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 클라우드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시도하는 방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단말을 이용한 통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단말을 이용한 통화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4는 클라우드 단말로 전화를 착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클라우드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발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 단말(100)은 교환기(400)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면(S100), 착신 호에 포함된 발신 정보를 추출한다(S101). 여기서, 발신 정보는 물리 단말(100)에 대한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eSIM에 대해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발신 정보에 3G, LTE, 5G 등의 단말 네트워크 타입 정보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물리 단말(100)은 TelephonyManager 또는 CoreTelephony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착신 호에서 발신 정보를 추출한다. 물리 단말(100)이 발신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물리 단말(100)은 사전에 VMI 접속 앱(140)에 포함된 전화 앱(또는, 가상 전호 앱이라고도 지칭함)이 로컬 전화 앱보다 먼저 실행되도록, 가상 전화 앱이 기본 앱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전화를 착신할 때, 어떤 앱으로 받아 전화 기능을 처리할 것인지 정의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상 전화 앱이 기본 앱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리 단말(100)은 기본 앱으로 기 설정된 VMI 접속 앱(140)에 포함된 가상 전화 앱에서 착신 호를 우선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S101 단계에서 추출한 발신 정보를 기초로, 해당 착신 호가 eSIM 또는 USIM 중 어느 곳으로의 착신인지 확인한다(S102).
만약 착신 호가 USIM으로의 착신이라면, 물리 단말(100)은 로컬 전화 앱으로 착신 호를 전달한다(S110). 그리고, 로컬 전화 앱에서 착신 호에 대한 전화 수신 절차를 수행한다(S111). USIM으로의 착신 호 처리 절차는 이미 알려진 기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S10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착신 호가 eSIM으로의 착신이라면, 물리 단말(100)의 VMI 접속 앱(140)으로 착신 호를 전달한다(S120). VMI 접속 앱(140)은 착신 호를 처리하여 물리 단말(100)의 eSIM에 부여된 제2 전화번호로 전화가 착신되도록 한다. 그리고 물리 단말(100)은 전화 기록을 VMI 서버(200) 내 전화 앱에 전달하여, 전화 앱을 동기화시킨다(S121). 여기서, 전화 기록은 발신자, 착신자, 착신 시간, 통화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발신하는 절차를 설명하면, 물리 단말(100)의 사용자가 VMI 접속 앱(140)을 실행시키고, VMI 전화 앱을 선택하여 발신을 시도한다(S200).
물리 단말(100)은 전화 발신 기능을 통해, USIM 회선이 통화중 상태인지 확인한다(SS01). 여기서, 전화 발신 기능은 TelephonyManager 또는 CoreTelephony 등의 기능 등이 있으며, 전화 발신 기능을 통해 USIM 회선이 통화중 상태인지 판단하는 방법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리 단말(100)은 S201 단계에서 확인한 USIM 회선이 통화중인지 판단하고(S202), USIM 회선이 통화중이 아니라면 물리 단말(100)은 eSIM 번호로 발신 호를 교환기(400)로 전달한다(S203). 그러나 S202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USIM 회선이 통화중이면, S200 단계의 발신을 취소한다(S204).
물리 단말(100)은 eSIM 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를 교환기(400)로 전달하거나 발신이 취소된 전화 이력 정보를 VMI 가상폰(21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클라우드 단말의 전화 이력 정보가 동기화되도록 한다(S205).
다음은, 물리 단말(100)에 설치된 VMI 접속 앱(140)과 VMI 가상폰(210)이 연동하여, VMI 서버(200) 내 전화 앱에서 통화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호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물리 단말(100)에 설치된 VMI 접속 앱(140)을 구동시키면(S300), 인증 절차를 통해 물리 단말(100)의 VMI 접속 앱(140)은 VMI 가상폰(210)으로 접속한다(S301). VMI 가상폰(210)으로 접속한 VMI 접속 앱(140)은 VMI 가상폰(210)에서 관리하는 앱 정보로 업데이트한다(S302). 여기서 앱 정보에는 VMI 가상폰(210)에서 관리하는 전화번호부와 전화 이력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VMI 접속 앱(140)에 포함된 전화 앱을 구동하면(S303), 물리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 앱 선택 정보를 VMI 가상폰(210)으로 전달한다(S304). 그러면 VMI 가상폰(210)은 전화 앱 선택 정보에 따라 가상 전화 앱을 실행한다(S305).
VMI 가상폰(210)이 가상 전화 앱을 실행하면, 전화 앱 실행 화면이 앱 화면 스트리밍으로 물리 단말(100)에 제공된다(S306). 그리고, 사용자가 앱 화면 스트리밍으로 제공된 화면에서 착신 단말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앱 화면에서 제공되는 전화번호부 중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를 선택한 후 전화 앱을 실행하면(S307), 물리 단말(100)은 교환기(400)로 통화 연결 요청 신호 즉, 발신 호를 전달한다(S308).
발신 호에는 물리 단말(100)의 전화번호와 착신 단말(500)의 전화번호가 포함되는데, 물리 단말(100)의 전화번호는 USIM에 부여된 제1 전화번호가 아닌 eSIM에 부여된 제2 전화번호가 포함된다.
교환기(400)는 물리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통화 연결 요청에서 착신 번호를 확인하고, 착신 번호가 부여된 착신 단말(500)로 통화 연결 요청 신호를 전달한다(S309).
착신 단말(500)에서 통화 연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S310), 교환기(400)를 통해 물리 단말(100)은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S311). 그러면 물리 단말(100)과 착신 단말(500)은 교환기(400)를 통해 통화로가 연결되어, 물리 단말(100)과 착신 단말(500)로 통화 서비스가 제공된다(S312).
물리 단말(100)과 착신 단말(500) 사이에 통화로가 연결되어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면, VMI 접속 앱(140)은 VMI 가상폰(210)으로 통화 정보를 전달하여, VMI 가상폰(210)에서 관리되는 통화 정보가 업데이트되도록 한다(S313). 여기서 통화 정보는 발신 번호, 착신 번호, 통화 시간, 발신 시각, 착신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화 정보가 VMI 가상폰(210)에만 관리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VMI 접속 앱(140)에 정보가 캐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화 통화 서비스만을 나타내었으나, 문자 송수신과 같이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또 다른 서비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MI 접속 앱 실행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앱들과 eSIM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VMI 접속 앱(140)이 단말(100)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VMI 접속 앱(140)을 선택하여 구동하면, 물리 단말(100)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절차를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하도록 화면에 표시한다.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단말 앱들이 물리 단말(100)에서 리스트로 제공된다. 그리고 리스트에 포함된 복수의 가상 단말 앱들 중 전화 앱(141)을 선택하면, 물리 단말(100)에서 VMI 서버로 선택 정보가 전달된다. 그리고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VMI 가상폰(210)에서 실행된 가상 전화 앱의 화면이 스트리밍되어 제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600)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instructions)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컴퓨팅 장치(600)의 하드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스토리지(630), 통신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등의 하드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600)는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는 운영 체제를 비롯한 각종 소프트웨어가 탑재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컴퓨팅 장치(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610)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고, 이를 구동하는 운영체제 프레임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물리 단말(100)은 두 개의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110, 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SIM(110) 및 제2 SIM(120) 각각은 4G 네트워크 및/또는 5G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제1 SIM인 나노 SIM(110)과 제2 SIM인 eSIM(120)이 구분된 회선 정보를 물리 단말(100)에 설치되 로컬 앱 또는 VMI 서버(200)에서 구동되는 가상 앱으로 전달한다. 로컬 앱 또는 가상 앱은 구분된 회선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6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메모리(62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스토리지(63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통신 인터페이스(64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제1 가입자 식별 모듈과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교환기로부터 착신 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 호에 포함된 발신 정보로부터 상기 착신 호가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인지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호가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이면, 설치된 가상 전화 앱으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상 전화 앱을 통해 상기 착신 호에 대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응하여 VMI(Virtual Mobile Infrastructure) 서버에서 구동중인 VMI 가상폰으로 상기 통화 서비스에 대한 통화 기록을 전송하여, 상기 가상 전화 앱과 상기 VMI 가상폰의 통화 기록을 동기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화 앱은 상기 VMI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VMI 접속 앱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가상 전화 앱은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로컬 전화 앱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호가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로의 착신이면, 상기 로컬 전화 앱으로 상기 착신 호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1 전화번호와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2 전화번호는 상이한 전화번호인, 동작 방법.
  5. 제1 가입자 식별 모듈과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1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로컬 전화 앱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제2 가입자 식별 모듈에 부여된 제2 전화번호로 가상 전화 앱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실행되면, VMI 서버로 상기 가상 전화 앱의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응하는 가상 머신이 실행되면, 착신 단말의 전화번호와 상기 제2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 호를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상기 로컬 전화 앱의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로컬 전화 앱이 상기 제1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용하여 통화중이면, 상기 교환기로 상기 발신 호의 전송을 취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신 단말과의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VMI 서버 내에 구현된 VMI 가상폰으로 통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화 정보는 발신 번호인 상기 제2 전화번호와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 통화 시간, 발신 시각 및 착신 시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화 앱은 VMI 접속 앱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VMI 접속 앱이 구동되면, 상기 VMI 접속 앱을 통해 상기 VMI 가상폰에 접속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VMI 서버에서 관리하는 상기 통화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전화 앱의 통화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선택되면 상기 VMI 가상폰으로 가상 전화 앱 선택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VMI 가상폰으로부터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응하는 가상 머신의 전화 앱 실행 화면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상기 로컬 전화 앱보다 먼저 실행되도록 상기 단말 상에서 기본 앱으로 설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 방법.
  11. 제1 전화번호가 부여된 제1 가입자 식별 모듈,
    상기 제1 전화번호와 상이한 제2 전화번호가 부여된 제2 가입자 식별 모듈, 그리고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로컬 전화 앱이 상기 제1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하고, VMI 서버에서 구동하는 VMI 가상폰을 통해 동작하는 가상 전화 앱이 상기 제2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착신 호에서 착신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가 상기 제1 전화번호이면 상기 착신 호를 상기 로컬 전화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착신 전화번호가 상기 제2 전화번호이면 상기 착신호를 상기 가상 전화 앱으로 전달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실행되면 상기 VMI 가상폰으로 상기 가상 전화 앱의 선택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VMI 가상폰에서 상기 가상 전화 앱에 대한 가상 머신을 실행하여 스트리밍한 앱 화면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을 통한 발신 호가 생성되면, 상기 로컬 전화 앱의 통화 상태를 확인하는, 단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신 호 또는 상기 발신 호에 따른 통화 서비스가 종료되면, 상기 가상 전화 앱에서 제공한 통화 정보를 상기 VMI 가상폰으로 전송하는,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전화 앱이 상기 로컬 전화 앱보다 먼저 실행되도록 상기 가상 전화 앱을 기본 앱으로 설정하는, 단말.
KR1020210106872A 2021-08-12 2021-08-12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30024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72A KR20230024748A (ko) 2021-08-12 2021-08-12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872A KR20230024748A (ko) 2021-08-12 2021-08-12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748A true KR20230024748A (ko) 2023-02-21

Family

ID=8532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872A KR20230024748A (ko) 2021-08-12 2021-08-12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47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2289B (zh) 一种通过移动终端远程调用软硬件资源的方法和系统
EP3537734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a bluetooth device
CN102821150B (zh) 基于云服务的应用管理方法及云服务器
US9065788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voice communication
US9357587B2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10602681B (zh)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AU2019256257B2 (en) Processor core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3366812A (zh) 使用i/o装置的集合提供通信服务
CN111328061B (zh) 一种音频资源的控制方法、车载终端和系统
CN112312494B (zh) 通信方法及终端设备
KR20230024748A (ko)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CN112423051B (zh) 共享屏幕切换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2638733B1 (ko) 클라우드 폰 기반의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37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서비스 방법
KR102055809B1 (ko)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240022667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communication management program,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KR20140032209A (ko) 원본 이미지와 동일 사이즈 비율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이미지 공유방법
KR101279366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KR20170029975A (ko) 단말기 기반의 자동 응답 서비스 제공방법
US10652118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thod for start-up of monitoring of monitor objects in a computer-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environment
CN115987950A (zh) 通话方法、装置及设备
CN114615454A (zh) 消息提示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1381312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KR20200103601A (ko) 디지털 보조 장치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 시스템,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