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809B1 -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809B1
KR102055809B1 KR1020170106300A KR20170106300A KR102055809B1 KR 102055809 B1 KR102055809 B1 KR 102055809B1 KR 1020170106300 A KR1020170106300 A KR 1020170106300A KR 20170106300 A KR20170106300 A KR 20170106300A KR 102055809 B1 KR102055809 B1 KR 102055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unit
call
connection service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120A (ko
Inventor
장병순
박구용
박명순
이혜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8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일 실시예에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전화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데이터 패킷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와,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는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화 중에 상기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와 연결되는 인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WHILE THE LINE IS BUSY}
본 발명은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와 같은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때에, 이러한 단말 장치의 내부 프레임워크의 변경 없이도 단말 장치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이나 영상을 제어하여서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제공받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와 같은 스마트 기기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 그리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VoLTE 서비스에서는 데이터 통신 뿐만 아니라 음성/영상 통화까지도 LTE 시스템을 통해 제공된다. VoLTE 서비스에 따르면, 음성/영상 통화 중에도 사용자는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지도, 음악, 뉴스 또는 사진과 같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등장하고 있다.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 기능을 갖추고 있기에, 사용될수록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이러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날씨나 개인 스케쥴에 대하여 질문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복잡하고 고도한 정보에 대한 질의까지도 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응답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질의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또한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스마트 기기는 음성/영상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앱 등을 이용하여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인공 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영상 통화 중에도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음성/영상 통화가 수행 중인 경우, 음성 명령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질의를 하는 기술은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에서 통화가 수행 중인 경우에 이러한 스마트 기기로 입출력되는 음성이나 명령을 후킹(hooking)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후킹과 같은 구현은 OS(operating system) 레벨, 예컨대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android framework) 수준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일반적인 앱의 수준에서는, 음성/영상 통화 중에 입력부로 입력되는 음성이나 영상을 후킹하여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기술 구현은 용이하지 않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9-0053282호 (2009.05.27. 공개)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기기와 같은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 이러한 단말 장치로 입출력되는 미디어 데이터(음성 또는 영상)가 외부의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 장치에게 송신한 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전화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데이터 패킷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와,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을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는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통화 중에 상기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와 연결되는 인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의 변경 없이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함으로써, 전화 통화 중에도 단말 장치로 입출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 통화 중에 사용자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일 당사자의 요청 내용이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응답 내용 또한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에서의 일부 구성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중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가 요청되고 그에 대한 응답이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이하에서 언급되는 '미디어 데이터'는 음성이나 영상 또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1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단말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망(10)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망(10)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 접속 정보 제공 서버(300) 및 호처리망(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는 각각 이러한 이동통신망(10)에 접속하는 단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망(10)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단말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망(10)에만 한정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먼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장치(100,500) 이외에도 다양한 단말이나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에게 다양한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인공지능 처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처리부(intelligence workflow, IWF)(210), 자연어를 처리하는 자연어 처리부(natural language understand)(220) 또는 음성 합성을 수행하는 음성 합성부(text to speech, TTS)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진 서버군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호처리망(400)은 단말 장치(100,500)들이 접속하는 통신망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처리망(400)은 크게 지능망과 레거시(legacy) 호처리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레거시 호처리망 내에는 LTE 패킷망이 포함될 수 있다. LTE 패킷망을 통해 mVoIP 통신이 가능하다. 다만, 호처리망(400)이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 않는다.
이 중 지능망은 예컨대 지능망 노드로서 정의될 수 있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일 수 있다. 레거시 호처리망은 예컨대 WCDMA와 같은 이동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전화망'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또한, LTE 패킷망은 예컨대 LTE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이러한 지능망, 레거시 호처리망 및 LTE 패킷망은 각각 공지된 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바, 이들 망들 각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접속 정보 공유 서버(300)는 각 단말 장치(100,500)의 호처리망(400)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구성이다. 접속 정보에는 예컨대 단말 장치의 전화 번호 또는 IP 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 정보 공유 서버(300)는 일반적인 서버에서 구현 가능하다. 접속 정보 공유 서버(300)는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100,500)로부터 요청을 받으면 상대방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를 요청한 해당 단말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각 단말 장치(100,500)는 호처리망(4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셀 중의 어느 하나(또는 둘 이상)의 셀에 위치하여서 음성/영상 통화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500)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패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5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가 발신 단말이면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는 수신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의 설명은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무선 통신부(130), 조작부(140), 인콜 인터페이스부(InCall interface)(150),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 제어부(180) 및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이며, 예컨대 마이크나 카메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을 지칭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며, 예컨대 스피커를 포함하는 모듈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30)는 호처리망(400)과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30)는 3G, 4G, LTE-A 등의 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출력하거나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90)는 액정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조작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기 정의된 동작을 요청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조작부(140)는 단말 장치(100)에서 별도의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작부(140)는 통화 중에 디스플레이부(190)에 제공되는 화면(다이얼러 앱) 상에서 이미지의 형태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통화 중에 제공되는 화면에 조작부(140)가 표시되는 것은 후술할 인콜 인터페이스부(150)에 의해 수행 가능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인콜 인터페이스부(150),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 및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는 모두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에 해당하며, 이들 모두는 안드로이드 6.x 또는 그 이후 버전에서 지원한다.
이 중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에 대해 먼저 살펴보면,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는 TelephonyConnectionService라고 지칭될 수 있다.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는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 음성/영상 통화가 수행 중인 경우에 이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는 호처리망(400)을 구성하는 전화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 송수신되는 음성이나 영상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무선 통신부(130) 및 전화망을 잇는 경로 상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는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에 이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는 호처리망(400)을 구성하는 데이터 패킷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와 무선 통신부(130) 및 데이터 패킷망을 잇는 경로 상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이 때의 데이터 패킷은 mVoIP규격을 따를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를 통해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는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접속하여서 그로부터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는 AIConnectionServic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다만, 단말 장치(100)가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만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그 이외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는 AIConnectionService라고 지칭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InCallService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활용하면, 단말 장치(100)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본 다이얼러 앱(dialer app.) 대신에 새로운 다이얼러 앱을 채용할 수 있다. 기본 다이얼러 앱의 경우, 개발자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수정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기본 다이얼러 앱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자체를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활용하면, 단말 장치(100)는 기본 다이얼러 앱 대신에 새로운 다이얼러 앱을 채용할 수 있다. 개발자 또는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다이얼러 앱을 설계하면, 단말 장치(100)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이용하여서 이와 같이 설계된 다이얼러 앱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140)를 포함하는 다이얼러 앱의 채용이 가능하다.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170) 사이에서 연결 관계를 스위칭할 수 있는데, 만약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로부터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170)로 스위칭할 경우,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는 대기 통화(call hold)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170)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 및 무선 통신부(130)(도면에는 미도시)를 잇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스위칭을 통해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콜 인터페이스부(150),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 및 무선 통신부(130)(도면에는 미도시)를 잇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스위칭하는 동작은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의 통화 중에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가 통화 중인 경우에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통화 중에 조작부(140)를 통해 요청이 입력되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는 대기 통화(call hold)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가 통화 중이라면, 미디어 데이터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를 잇는 경로를 통해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사이에서 송수신되지만, 통화 중에 조작부(140)를 통해 요청이 입력되면, 미디어 데이터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와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를 잇는 경로를 통해 단말 장치(100)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 사이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의 변경 없이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함으로써, 전화 통화 중에도 단말 장치로 입출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 통화 중에 사용자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 통화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의 통화 중에 조작부(140)를 통한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단말 장치(100)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들이 접속 정보 공유 서버(3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다음과 같은 명령, 예컨대 상대방 단말 장치(500)는 접속 정보 공유 서버(300)에게 상대방 단말 장치(500) 자신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송신하라는 명령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접속 정보 공유 서버(300)에게 상대방 단말 장치(500)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상대방 단말 장치(500)의 전화번화와 IP 주소가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서 단말 장치(100)가 상대방 단말 장치(500)와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방 단말 장치(500)의 인콜 인터페이스부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에서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로 스위칭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가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요청한 요청 내용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통화 중에 디스플레이부(190)가 제공하는 화면의 특정 영역에 버튼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이 터치되면, 제어부(180)에는 다음과 같은 요청, 즉 사용자의 요청 내용을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하라는 요청이 전달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요청 내용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여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다시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도록 하며, 곧바로 버퍼에 저장된 사용자의 요청 내용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요청 내용의 전달이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다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여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80)가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요청한 내용에 대한 응답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단말 장치(100)에게 요청 내용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버퍼는 이러한 응답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80)는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종료되었음을 이유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여서, 이러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버퍼에 저장된 응답이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일 당사자의 요청 내용이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응답 내용 또한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이 종료되면 이를 인식한 뒤,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다시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의 종료는 예컨대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에게 요청에 대한 응답이 제공된 직후, 또는 이러한 응답이 제공된 뒤에 일정 시간 동안 추가적인 요청이 없는 경우일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이러한 경우를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 제어부(180)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로 연결되기 전에, 상대방 단말 장치(500)의 인콜 인터페이스부가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에서 통화 연결 서비스부로 스위칭되도록 이러한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중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5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는 통화 중이다. 통화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일 수 있다. 이 경우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며,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는 무선 통신부(130)와 연결된다.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는 도 5에 도시된 경로(101)를 통해 호처리망(400)을 거쳐서 미디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의 접속 정보, 즉 전화번호와 IP 주소는 접속 정보 공유 서버(300)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어느 한 단말 장치의 접속 정보는 타 단말 장치에게 전달되어 공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유된 접속 정보는, 이후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 데이터 통신의 기초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기본 다이얼러 앱 대신에 새로운 다이얼러 앱의 채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개발자 또는 사용자가 조작부(140)를 포함하는 다이얼러 앱을 설계하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통화 중에 이러한 조작부(140)가 표시된 다이얼러 앱이 디스플레이부(190)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다이얼러 앱에 표시된 조작부(140)를 터치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에서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가 요청되고 그에 대한 응답이 제공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은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140)를 터치한 이후의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가 아닌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와 연결되며,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는 무선 통신부(130)와 연결된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는 대기 통화(call hold)상태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 간에는 도 6에 도시된 경로(103)를 통해 호처리망(400)을 거쳐서 미디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와 상대방 단말 장치(500) 간에도 경로(103)를 통해 호처리망(400)을 거쳐서 미디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단말 장치(100)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러한 요청 내용은 경로(103)를 통해 호처리망(400)을 거쳐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송신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에 따른 응답 또한 경로(103)를 통해 호처리망(400)을 거쳐서 단말 장치(100)에게 송신될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장치(100)가 요청한 요청 내용 또는 이러한 요청 내용에 대한 응답은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되어서 공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 장치(100)에는 버퍼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는 통화 중에 디스플레이부(190)가 제공하는 화면의 특정 영역에 버튼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이 터치되면, 제어부(180)에는 사용자의 요청 내용을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하라는 요청이 전달된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여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다시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도록 하며, 곧바로 버퍼에 저장된 사용자의 요청 내용이 인콜 인터페이스부(150)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요청 내용의 전달이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다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여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다시 데이터 통신 연결 서비스부(17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80)가 이와 같이 제어하는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요청한 요청 내용에 대한 응답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단말 장치(100)에게 요청 내용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버퍼는 이러한 응답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80)는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종료되었음을 이유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를 제어하여서, 이러한 인콜 인터페이스부(150)가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버퍼에 저장된 응답이 통화 연결 서비스부(160)를 통해 상대방 단말 장치(5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의 변경 없이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함으로써, 전화 통화 중에도 단말 장치로 입출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 통화 중에 사용자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일 당사자의 요청 내용이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응답 내용 또한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와 같은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때에, 이러한 단말 장치의 내부 프레임워크의 변경 없이도 단말 장치를 통해 입출력되는 음성이나 영상을 제어하여서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제공받을 수 있다.
100: 단말 장치
200: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
300: 접속 정보 공유 서버
400: 호처리망
500: 상대방 단말 장치

Claims (7)

  1. 단말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전화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 연결 서비스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데이터 패킷망과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와,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음성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부를 통해 상기 전화망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 이후에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의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망으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인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연결 서비스부, 상기 데이터망 연결 서비스부 및 상기 인콜 인터페이스부는,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인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요청을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부와,
    통화 중의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조작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IP 주소가 외부의 접속 정보 공유 서버에게 송신되도록 하는
    단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명령을 전달하여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IP 주소가 상기 접속 정보 공유 서버에게 송신되도록 하는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정보 공유 서버에게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와 IP 주소를 이용하여서,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와 상기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7. 삭제
KR1020170106300A 2017-08-22 2017-08-22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KR102055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00A KR102055809B1 (ko) 2017-08-22 2017-08-22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00A KR102055809B1 (ko) 2017-08-22 2017-08-22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120A KR20190021120A (ko) 2019-03-05
KR102055809B1 true KR102055809B1 (ko) 2019-12-13

Family

ID=6576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300A KR102055809B1 (ko) 2017-08-22 2017-08-22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8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5527A1 (en) * 2014-06-12 2015-12-17 Sriram Chakravarthy Methods and systems of an automated answe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747A (ko) * 1997-11-19 1999-06-05 윤종용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음성통화중 데이터 서비스 전환장치 및방법
KR101478207B1 (ko) 2007-11-23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88532A (ko) * 2014-01-24 2015-08-03 이병근 통화 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65527A1 (en) * 2014-06-12 2015-12-17 Sriram Chakravarthy Methods and systems of an automated answe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120A (ko)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62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05763723B (zh) 移动终端和系统升级方法
CN105323389B (zh) 移动通信系统、共享相同电话号码的不同移动装置及方法
US112128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radio bearer
EP2651176B1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EP4246957A1 (en) Photographing metho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WO2020034072A1 (zh) 上行调度请求的发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230276340A1 (en) Capability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21508989A (ja) 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CN114500716A (zh) 协同通话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N105208089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及系统
CN107371222B (zh) 虚拟卡禁用方法及装置
KR102055809B1 (ko)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KR20130125948A (ko) 전자 액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
JP2018527765A (ja) サービス接続を確立する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0164052A1 (zh) 资源确定方法及装置
KR10204452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90800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22227074A1 (zh) 指示收发方法、指示方法和响应确定方法
CN114245060B (zh) 通路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WO2023024973A1 (zh) 一种音频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4344164A1 (en) Call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024748A (ko)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0124487A1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