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23B1 -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23B1
KR102044523B1 KR1020170106301A KR20170106301A KR102044523B1 KR 102044523 B1 KR102044523 B1 KR 102044523B1 KR 1020170106301 A KR1020170106301 A KR 1020170106301A KR 20170106301 A KR20170106301 A KR 20170106301A KR 102044523 B1 KR102044523 B1 KR 102044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data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terminal devi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121A (ko
Inventor
장병순
박구용
최효진
박명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23B1/ko
Priority to PCT/KR2018/009660 priority patent/WO2019039862A1/ko
Priority to CN201880054933.5A priority patent/CN110999340B/zh
Publication of KR2019002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23B1/ko
Priority to US16/799,316 priority patent/US1114693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5/00Computing arrangements using knowledge-based models
    • G06N5/04Inference or reasoning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9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media; by removing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와,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제1 채널을 형성하여서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화 중에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제2 채널을 형성하여서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마트 기기와 같은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때에, 이러한 단말 장치에서 처리되는 미디어 데이터(음성 또는 영상)가 외부의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사이에서 송수신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와 같은 스마트 기기는 음성/영상 통화 기능 그리고 데이터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VoLTE 서비스에서는 데이터 통신 뿐만 아니라 음성/영상 통화까지도 LTE 시스템을 통해 제공된다. VoLTE 서비스에 따르면, 음성/영상 통화 중에도 사용자는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지도, 음악, 뉴스 또는 사진과 같은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등장하고 있다.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 기능을 갖추고 있기에, 사용될수록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는 이러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날씨나 개인 스케쥴에 대하여 질문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복잡하고 고도한 정보에 대한 질의까지도 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응답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질의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또한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스마트 기기는 음성/영상 통화가 수행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앱 등을 이용하여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인공 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영상 통화 중에도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음성/영상 통화가 수행 중인 경우, 음성 명령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질의를 하는 기술은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에 입력되는 음성이나 영상을 후킹(hooking)하여서 전화용 앱이 아닌 별도의 앱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후킹과 같은 구현은 OS(operating system) 레벨, 예컨대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android framework) 수준에서만 가능하다. 즉, 일반적인 앱의 수준에서는, 음성/영상 통화 중에 입력부로 입력되는 음성이나 영상을 후킹하여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기술 구현은 용이하지 않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9-0053282호 (2009.05.27. 공개)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기기와 같은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 이러한 단말 장치로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음성 또는 영상)가 외부의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가 단말 장치에게 송신한 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와,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제1 채널을 형성하여서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화 중에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제2 채널을 형성하여서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제1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1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와 주고받는 단계와,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제2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및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와 주고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중에 사용자가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러한 요청이 단말 장치를 통해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 역시 통화 중에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와 같이 요청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요청 내용 또는 요청에 대한 응답은 상대방과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의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단말 장치와 연결되었을 때 음성/영상 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단말 장치와 연결되었을 때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와 미디어 데이터가 교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이하에서 언급되는 '미디어 데이터'는 음성이나 영상 또는 이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가 적용된 이동통신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1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가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망(10)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망(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 단말 장치(300/1,300/2) 및 호처리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장치(300/1)와 제2 단말 장치(300/2)는 각각 이러한 이동통신망(10)에 접속하는 단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장치(300/1,300/2) 이외에도 다양한 단말이나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에게 다양한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인공지능 처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처리부(intelligence workflow, IWF)(210), 자연어를 처리하는 자연어 처리부(natural language understand)(220) 또는 음성 합성을 수행하는 음성 합성부(text to speech, TTS)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진 서버군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호처리망(400)은 단말 장치(300/1,300/2)들이 접속하는 통신망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처리망(400)은 크게 지능망과 레거시(legacy) 호처리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레거시 호처리망 내에는 LTE 패킷망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 않는다.
이 중 지능망은 예컨대 지능망 노드로서 정의될 수 있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일 수 있다. 레거시 호처리망은 예컨대 WCDMA와 같은 이동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LTE 패킷망은 예컨대 LTE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이러한 지능망, 레거시 호처리망 및 LTE 패킷망은 각각 공지된 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 바, 이들 망들 각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각 단말 장치(300/1,300/2)는 호처리망(40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셀 중의 어느 하나(또는 둘 이상)의 셀에 위치하여서 음성/영상 통화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300/1,300/2)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패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300/1,300/2)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가 발신 단말이면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는 수신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300/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의 설명은 단말 장치(300/2)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1)는 입력부(310), 출력부(320), 무선 통신부(330),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부(310)는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이며, 예컨대 마이크나 카메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을 지칭할 수 있다.
출력부(320)는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에게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며, 예컨대 스피커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을 지칭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30)는 호처리망(400)과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330)는 3G, 4G, LTE-A 등의 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는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UWB(ultra videband)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350)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350)에는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다. 도 4는 제어부(350)에 구현된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은 제어부(350)가 아닌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에 구현되거나 또는 제어부(35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은 소정의 계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은 베이스밴드(baseband), 링크 매니저 프로토콜(link manager protocol, LMP),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host controller interface, HCI), 논리적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RFCOMM(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 HPF(headset profile),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HPF는 SPP(serial port profil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베이스밴드는 물리 계층의 연결 관리 프로토콜이며, 에러 복구, 논리적 채널 관리, 주파수 호핑 알고리즘 또는 보안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LMP는 블루투스 장치들 사이에서 링크 설립을 다루는 프로토콜이며, 오류가 있는 베이스밴드 패킷 수신시 재전송을 요구하기 위한 자동 재전송 요구나 또는 데이터의 비트 오류들의 수를 추적하고 수정 가능하도록 하는 포워드 에러 정정과 같은 링크 제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HCI는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호스트와 호스트 컨트롤러 사이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칭한다. L2CAP은 RFCOMM이나 SDP와 같은 상위 계층들을 구별하는 멀티플렉싱을 수행하고, 상위 계층에서 사용되는 큰 크기의 패킷을 베이스밴드 계층에서 사용 가능한 크기로 세그멘테이션하거나 다수의 베이스밴드 계층에서 사용되는 패킷들을 상위 계층에서 사용되는 크기의 패킷으로 재조합한다. RFCOMM은 시리얼 포트를 에뮬레이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기존의 RS-232 케이블을 무선화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이다. SDP는 연결된 블루투스 장치에서 어떠한 서비스가 가능한지, 그리고 가능한 서비스의 특징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HPF는 블루투스 헤드셋 장치들 간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특성과 절차를 규정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를 기초로 제어부(350)에 대해 다시 살펴보면, 제어부(350)는 무선 통신부(340)를 제어한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350)는 무선 통신부(340)를 제어하여서 이와 같이 수신된 미디어 데이터가 상대방 단말 장치(300/2)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350)는 HPF를 기초로 RFCOMM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된 제1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채널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0)) 간을 연결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350)는 RFCOMM 인터페이스(도면에는 미도시)를 기초로 RFCOMM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된 제2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채널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30)) 간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전술한 제1 채널 또는 제2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와 연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채널과 제2 채널 및 이들 채널의 형성 과정에 대해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는 단말 장치(3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헤드셋 장치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 조작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고, 다만 도 5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가 도 5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10)는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는 구성이며, 예컨대 마이크나 카메라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와 연결되어서 그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 경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mixing)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10)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하기 위한 믹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에게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이며, 예컨대 스피커나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와 연결되어서 그로부터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고, 이러한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하여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20)는 미디어 데이터를 믹싱하기 위한 믹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UWB(ultra videband) 모듈 또는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부(140)는 사용자로부터 기 정의된 동작을 요청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조작부(140)는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누를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며, 그리고 구성이 터치되거나 눌렸을 때 후술할 제어부(150)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140)는 블루투스의 기본 프로토콜에 할당된 특정 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으로 구현되거나(long button), 또는 별도로 할당된 버튼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단말 장치(300/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 사이에서 이들 간에 미디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5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는 단말 장치(300/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에게 송신될 수 있고, 상대방 단말 장치(300/2)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단말 장치(300/1)가 수신받은 미디어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 데이터는 제1 미디어 데이터라고 지칭하고, 단말 장치(300/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로부터 전달받은 미디어 데이터는 제2 미디어 데이터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제1 미디어 데이터는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 장치(300/2)에게 전달하려는 통화 내용(음성 또는 영상) 또는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한 실질적인 사항(예컨대, 날씨에 대한 문의 또는 개인 스케쥴에 대한 문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미디어 데이터는 상대방 단말 장치(300/2)의 사용자가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통화 내용(음성 또는 영상) 또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사용자의 단말 장치(300/1)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먼저, 도 4에 도시된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을 따른다. 이를 기초로 제어부(150)에 대해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다양한 실시예의 형태로서 단말 장치(300/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 사이에서 이들 간에 미디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제1 실시예로서 제어부(150)는 제1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50)가 제1 채널(131)을 형성한 것, 그리고 이 때의 단말 장치(3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 간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채널(131)은 HPF를 기초로 RFCOMM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된 채널이다. 단말 장치(300/1)와 상대방 단말 장치(300/2)가 통화 중이라면, 제1 채널(131)은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 간을 연결한다. 이 경우의 제1 미디어 데이터,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미디어 데이터는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가 상대방 단말 장치(300/2)에게 전달하려는 통화 내용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제2 미디어 데이터,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가 수신받은 미디어 데이터는 상대방 단말 장치(300/2)의 사용자가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통화 내용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미디어 데이터와 제2 미디어 데이터는 제1 채널(131)을 통해서 송수신되며, 또한 도 6에 도시된 전화용 앱에서 처리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로서 제어부(150)는 제2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50)가 제2 채널(132)을 형성한 것, 그리고 이 때의 단말 장치(300/1)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 간의 연결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채널(131)은 제2 채널(132)과 함께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도 7에서는 이러한 제1 채널(131)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아울러,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채널(131)이 형성된 이후의 상황을 도시한 것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채널(132)은 RFCOMM 인터페이스(도면에는 미도시)를 기초로 RFCOMM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된 채널이다. 제2 채널(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HPF를 거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1 채널(131)과는 전혀 별개인 RFCOMM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이다.
제2 채널(132)은 조작부(140)를 통해서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이 있을 때 제어부(1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통화 중에 조작부(140)가 터치되거나 눌림으로써 제어부(150)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RFCOMM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RFCOMM 프로토콜을 따르는 또 다른 채널의 형성 절차에 돌입할 수 있다. 형성 절차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새로운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initiating 작업을 RFCOMM 프로토콜에 대해 수행할 수 있고, 이 후 입력부(110)와 출력부(120) 각각에서의 믹싱을 위한 작업(예컨대 미디어 데이터의 믹싱을 위한 버퍼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제1 미디어 데이터,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는 단말 장치(300/1)의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요청하는 서비스의 실질적인 요청 내용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미디어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132)을 통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로 송신되고, 최종적으로는 무선 통신부(330)를 통해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송신될 수 있다.
아울러, 이 경우의 제2 미디어 데이터,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가 수신받은 미디어 데이터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말 장치(300/1)에게 송신한 서비스에 대한 응답 내용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미디어 데이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채널(132)을 통해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로 송신되고, 최종적으로는 출력부(12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채널(131)과 제2 채널(132)을 비교하여 보면, 제1 채널(131)은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이 제공하는 HPF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HPF는 시스템 수준의 소프트웨어이다. 즉, 사용자 내지는 개발자가 이러한 제1 채널(131)의 기초가 되는 HPF에 수정을 가해서 제1 채널(131)을 통해 송수신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후킹하기 위해서는, OS(operating system) 레벨, 예컨대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android framework) 수준에서 수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정은 구현이 용이하지 않다.
반면, 제2 채널(132)은 RFCOMM 인터페이스를 이용한다. 이러한 RFCOMM 인터페이스의 경우,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서 socket read/write 형태의 통신 API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 내지는 개발자 입장에서 이러한 RFCOMM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제2 채널(132)을 수정하는 것이 제1 채널(131)을 수정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나 영상을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1 채널(131)을 후킹하는 대신 RFCOMM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RFCOMM 프로토콜에 따른 제2 채널(1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용이하게 통화 중의 사용자의 음성이나 영상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 역시 통화 중에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제2 채널(132)이 형성된 이후, 제1 미디어 데이터,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미디어 데이터가 제2 채널(132) 뿐 아니라 제1 채널(131)을 통해 단말 장치(300/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게 요청한 서비스의 내용은 제1 채널(131)을 통해서 단말 장치(300/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340)에게도 송신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러한 사용자의 요청 내용은 전화용 앱에서 처리되어서 상대방 단말 장치(300/2)에게 송신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요청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요청 내용이 상대방과 공유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입력부(110)와 출력부(120) 각각에서 미디어 데이터가 믹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채널(132)이 형성된 이후 이러한 제2 채널(132)을 통해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 제2 미디어 데이터로서 수신되면, 제어부(150)는 이러한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입력부(110)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입력부(110)로 전달된 미디어 데이터가 입력부(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와 믹싱되도록, 제어부(150)는 입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에 따라 입력부(110)가 믹싱을 하면, 제어부(150)는 믹싱된 미디어 데이터가 제1 채널(131)을 통해서 단말 장치(300/1)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요청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사용자의 음성이나 영상과 믹싱되어서 상대방에게 송신될 수 있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의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도 8에 도시된 절차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지 않거나 도시된 절차의 순서와는 다르게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300/1)가 상대방 단말 장치(300/2)와 통화 중인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와 단말 장치(300/1) 간에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제1 채널(131)을 형성하는 단계(S100)가 수행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1 미디어 데이터와 단말 장치(300/1)로부터 수신된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제1 채널(131)을 통해 단말 장치(300/1)와 주고받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또한,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30)와 단말 장치(300/1) 간에 프로토콜에 따른 제2 채널(132)을 형성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또한, 제1 미디어 데이터 및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제2 채널(132)을 통해 단말 장치(300/1)와 주고받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한편,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은 전술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되며, 그 실질적인 내용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100)에 대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러한 방법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들을 원용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중에 사용자가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러한 요청이 단말 장치를 통해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 역시 통화 중에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와 같이 요청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요청 내용 또는 요청에 대한 응답이 상대방과 공유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중에 사용자가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를 요청하면, 이러한 요청이 단말 장치를 통해서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 역시 통화 중에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와 같이 요청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요청 내용 또는 요청에 대한 응답이 상대방과 공유될 수 있.
100: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200: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
300/1,2 : 단말 장치
400: 호처리망

Claims (8)

  1. 제1 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와,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와,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제1 채널을 형성하여서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통화 중에 상기 조작부를 통해 상기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제2 채널을 형성하여서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은 RFCOMM(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프로토콜인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은,
    상기 단말 장치의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의 헤드셋 프로파일을 기초로 하여서 상기 RFCOMM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게 송신되는 제1 미디어 데이터는 외부의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를 목적지로 하는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2 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채널이 형성된 이후,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 각각을 통해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가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채널이 형성된 이후,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수신된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입력부에게 전달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달받은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1 미디어 데이터와 믹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믹싱된 제1 미디어 데이터 및 제2 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제1 채널을 통해서 상기 단말 장치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8.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 중인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에 포함된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른 제1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1 미디어 데이터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와 주고받는 단계와,
    기 정의된 동작에 대한 요청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단말 장치 간에 상기 프로토콜에 따른 제2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미디어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와 주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KR1020170106301A 2017-08-22 2017-08-2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4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01A KR102044523B1 (ko) 2017-08-22 2017-08-2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PCT/KR2018/009660 WO2019039862A1 (ko) 2017-08-22 2018-08-2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N201880054933.5A CN110999340B (zh) 2017-08-22 2018-08-22 近距离无线通信装置及方法
US16/799,316 US11146935B2 (en) 2017-08-22 2020-02-24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301A KR102044523B1 (ko) 2017-08-22 2017-08-2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990A Division KR102090800B1 (ko) 2019-10-30 2019-10-30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121A KR20190021121A (ko) 2019-03-05
KR102044523B1 true KR102044523B1 (ko) 2019-11-13

Family

ID=6543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301A KR102044523B1 (ko) 2017-08-22 2017-08-22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46935B2 (ko)
KR (1) KR102044523B1 (ko)
CN (1) CN110999340B (ko)
WO (1) WO2019039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66965B (zh) * 2021-01-18 2023-05-12 恒玄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眼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4126A1 (en) 2009-08-10 2011-02-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signaling over a wireless serial communication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4078B1 (en) * 1998-04-17 2002-04-16 Direct Wireles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external communication links
KR101478207B1 (ko) 2007-11-23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51336B1 (ko) * 2012-10-29 2014-10-15 (주)티아이스퀘어 통화 서비스 수행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81926B1 (ko) * 2012-12-04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전화 수신 방법
US9386136B2 (en) * 2013-01-07 2016-07-05 Cloudcar, Inc. Automatic device initialization and pairing
US11016718B2 (en) * 2013-06-13 2021-05-25 Jawb Acquisition Llc Conforming local and remote media characteristics data to target media presentation profiles
US9113383B2 (en) * 2013-11-22 2015-08-18 Cellco Partnership Call continuity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s handoff
US11651258B2 (en) * 2014-01-08 2023-05-16 Yechezkal Evan Spero Integrated docking system for intelligent devices
KR102273751B1 (ko) * 2015-07-24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CN105376432A (zh) * 2015-09-24 2016-03-02 深圳市车音网科技有限公司 语音自动回访装置、系统及其方法
KR102459543B1 (ko) 2015-10-16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70086869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통화 중 영상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54539B2 (en) * 2016-08-19 2018-12-1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 for call routing
CA2965457C (en) * 2016-11-03 2019-06-11 Chickadvisor Inc.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demand expert advice to a consumer
US10291964B2 (en) * 2016-12-06 2019-05-1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media broadcast system
US20190042574A1 (en) * 2017-08-01 2019-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US20190295093A1 (en) * 2018-03-23 2019-09-2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ultiple Card Message-Based Payment System, Apparatuses and Method Thereof
US11308145B2 (en) * 2019-05-23 2022-04-19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contact center interactions via an audiovisual asynchronous chann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4126A1 (en) 2009-08-10 2011-02-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y signaling over a wireless serial communication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9340B (zh) 2023-09-05
WO2019039862A1 (ko) 2019-02-28
CN110999340A (zh) 2020-04-10
KR20190021121A (ko) 2019-03-05
US20200196124A1 (en) 2020-06-18
US11146935B2 (en)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62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JP6352365B2 (ja) Wi−fiディスプレイ接続のオーディオおよび音声バックチャネルを確立および制御すること
US95447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dio str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637123B (zh) 信息传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702273B1 (ko)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기 위해 wi-fi 디스플레이 전송 메커니즘들을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2128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radio bearer
CN112823554B (zh) 用于确定p2p操作信道的电子设备及其方法
US20170086233A1 (en) Connection method for multimedia playing device, main device, and control terminal
US20230039861A1 (en) Projection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2941058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EP3021530B1 (en) Data sending method and device
US2016029973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streaming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WO2019019486A1 (zh) 下行数据包配置方法及装置
WO2019242482A1 (zh) 一种命令处理方法及终端设备
KR102044523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10129892B2 (en) Techniques to manage reverse channel audio sessions
KR102090800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WO2018157646A1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13810887B (zh) 蓝牙协议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相关设备
WO2020087464A1 (zh) 传输信息的方法、装置、基站及终端
KR102055809B1 (ko)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KR102113550B1 (ko) 전자 장치의 기능 및 리소스 운용 방법
KR20240056369A (ko)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통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