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207B1 -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207B1
KR101478207B1 KR20070120048A KR20070120048A KR101478207B1 KR 101478207 B1 KR101478207 B1 KR 101478207B1 KR 20070120048 A KR20070120048 A KR 20070120048A KR 20070120048 A KR20070120048 A KR 20070120048A KR 101478207 B1 KR101478207 B1 KR 10147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java
devices
l2cap
blue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2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282A (ko
Inventor
이성찬
이재민
김현수
윤영수
이수현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12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207B1/ko
Priority to EP08169574.4A priority patent/EP2109291B1/en
Priority to CN2008101823157A priority patent/CN101442832B/zh
Priority to US12/276,789 priority patent/US8135345B2/en
Publication of KR2009005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상기 기기들과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통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자바푸시(Java Push) 실행을 위한 정보 레코드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들의 정보 레코드들을 확인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자바푸시를 요청하는 기기들을 식별하여 상기 자바푸시에 대해 거절/수락을 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블루투스, 자바푸시, 논리적 링크 제어 및 적응 프로토콜(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L2CAP), 원격주소(Remote Addres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DENTIFING EQUIPMENTS REQUESTING JAVAPUSH}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바 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문자서비스 이외에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에는, 일 예로, 게임, 전자계산기, 메모 작성, 전화번호부 관리, 메시지 작성, 채팅, 스틸 이미지 전송, 일정관리를 포함하여 대금결재 기능 및 리모콘 기능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계속 새로운 부가서비스 기능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운용체제(OPERATING SYSTEM:OS) 프로그램으로, 자바(JAVA)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상기 자바(JAVA) 프로그램은, 미국의 선 마이크로시스템스(SUN MICROSYSTEMS) 회사에서 1991년에 개발한 것으로, 객체지향형 프로그 램(OBJECT ORIENTED PROGRAMMING: OOP) 언어이며, 윈도우(WINDOW)나 유닉스(UNIX) 프로그램과 연관없이 동작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상기 자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특정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서버 혹은 다른 단말로부터 다운로드를 받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술을 자바 푸시(PUSH) 기술이라고 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이 다른 단말과 통신하기 위해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나 적외선(Infra-red Data: IrDA) 통신으로 피어(peer) 통신을 수행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자바푸시 시스템의 경우 서비스 레코드(Service Record)를 이용하여 레코드의 식별자에 따라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자바푸시를 수행할 경우에 복수의 푸시요청(Push Request)에 대한 대응이 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다. 다시 말해, 자바푸시를 요청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하 마스터 단말이라 칭함)들에 대해서 상기 자바푸시 요청받는 하나의 단말(이하 슬레이브 단말)에서는 어떤 단말이 자바푸시를 요청했는지 알 수가 없었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에서는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마스터 단말들이 요청하는 자바푸시를 허용할 수밖에 없다.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 통신시 자바푸시(JAVAPUSH)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들과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통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자바푸시(Java Push) 실행을 위한 정보 레코드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들의 정보 레코드들을 확인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Java Push)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바푸시 요청을 위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슬레이브(slave) 단말의 서비스 레코드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레코드에 있는 정보를 확인하여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시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 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들과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통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자바푸시(Java Push) 실행을 위한 정보 레코드들을 획득하는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와, 상기 기기들의 정보 레코드들을 확인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팝업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Java Push)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자바푸시 요청을 위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슬레이브(slave) 단말의 서비스 레코드를 획득하는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레코드에 있는 정보를 확인하여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시작하는 블루투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프로토콜 구조 변경없이 각각의 기기들의 고유값인 원격주소(Remote Address)를 추가함으로써, 자바푸시를 요청하는 기기들을 식별하여 상기 자바푸시에 대해 거절/수락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Java Push)를 요구한 후,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스택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HCI(Host Contraqoller Interface)와 HCI를 기준으로 하여 하위 계층 프로토콜(Baseband(122), LMP(Link Manager Protocol)(120)), 상위 계층 프로토콜(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118), RFCOMM(115), SDP(Service Discovery Protocol)(106), TCS(Telephony Control Protocol)(108), OBEX(OBject EXchange Profile)(100))로 나눌 수 있다.
하위 계층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호스트 컨트롤러, 즉 블루투스 칩 내부에 포함되어 하드웨어 혹은 펌웨어(Firmware) 형태로 구현이 된다. 베이스밴드(Baseband)(122)는 RF 물리층(124)과 연결되어 링크와 피코넷을 구성하고 관리한다. 또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등으로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신뢰성 있는 링크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인증(Authentication)이나 암호(Encryption) 등에 필요한 알고리즘도 베이스밴드(122)에서 담당한다. LMP(120)는 원격 장치와 패킷을 교환하며 링크 설정 및 관리, 보안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호스트 내부에 소프트웨어로 구현이 되며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호스트에 따라 탄력적으로 구현이 된다. L2CAP(118)은 일종의 링크계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위 계층 프로토콜(TCS(106), RFCOMM(115), SDP(106))에 대한 논리채널을 제공한다. 또한, L2CAP(118)은 베이스밴드의 패킷 길이에 맞는 SAR(Segmentation and Reassembly)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 자바푸시는 L2CAP 서비스레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대부분의 블루투스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스택이 L2CAP(118) 위에 위치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L2CAP 서비스레코드에 원격장치 주소(remote device address)를 추가함으로써 여러 기기들의 동시 다발적인 푸시요구에 대해 사용자가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하기 않는 단말들에 대해서 자바푸시 요청을 거절하거나, 원하는 단말들에 대해 자바푸시 요청을 수락할 수 있다.
SDP(106)는 장치 간의 연결 시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RFCOMM(115)은 시리얼 포트를 에뮬레이션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기존의 RS-232 케이블을 무선화하기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이다. TCS(106)는 전화기 관련된 프로토콜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무선 전화기나 인터콤을 구현할 때 사용된다. 이외에도 L2CAP(118) 상위에는 RFCOMM(115)를 통해 WAP(102), UDP/TCP(110), IP(112), PPP(114) 등을 지원된다. 상기 OBEX(100)는 2진수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HTTP)으로 기술된 세션 프로토콜로써, 애드혹(ad-hoc) 무선 링크에 적합하며 파일, 사진과 같은 종류의 객체들을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AT-CMDS(AT CoMmanDS)(104)는 다양한 이용용도에 따라 휴대전화나 모뎀을 제어하는 명령들이 정의한다.
결국 하위 계층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호스트 컨트롤러(블루투스 칩셋)에 내장되며, 상위 계층 프로토콜은 호스트에 구현이 되므로, 이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그것은 HCI를 통해 이루어진다. HCI는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호스트와 호스트 컨트롤러 사이의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호스트와 블루투스 모듈 사이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SB(Universal Serial Bus),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등의 링크로 연결되고, 그 링크를 통해 HCI 패킷이 교환된다. 이 HCI는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에서 제정한 표준 인터페이스이므로 블루투스 모듈의 제조 회사에 상관없이 모두 호환된다. 또 애플리케이션 및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관련된 개발자들은 제조사에 따른 각 하드웨어별 특성이나 그 내부의 구조를 파악 하지 않더라도 HCI를 통해 하위 계층 프로토콜(베이스밴드, 링크 매니져)에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 부담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모든 하드웨어와 호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및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개발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는 호스트 컨트롤러인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어 블루투스 모듈을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곳으로 그 종류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통 컴퓨터, PDA, 핸드폰 등이 모두 호스트가 될 수 있고,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호스트가 된다. 또한 호스트에 포함되는 프로토콜은 HCI부터 그 상위 계층 프로토콜(L2CAP(118), RFCOMM(115), SDP(106), TCS(108), OBEX(100)) 모두에 해당된다. 그러나 항상 상위 계층 프로토콜이 모두 포함되는 것은 아니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나 프로파일(Profile)에 따라 포함되는 프로토콜이 달라진다.
이하 설명에서 자바푸시를 요청받는 단말은 슬레이브(slave) 단말이라 칭하고, 자바푸시를 요청하는 단말을 마스터(master) 단말이라 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 단말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자바푸시(Java Push)를 수행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200 단계에서 자바용 신규서비스 레코드를 등록한다. 이때, 자바용 자동기동 서비스 레코드 등록 시, 서비스클래스 식별자(ServiceClassID), 프로토콜 기술어 리스트(ProtocolDescriptorList), 서비스이름(ServiceName)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ServiceClassID(0x0001) = L2CAP(0x0001), ProtocolDescriptorList(0x0004) = L2CAP(0x0001) PSM = 0x0001, ServiceName(0x0001) = JavaPush 등으로 자바용 신규레코드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202 단계에서 마스터 단말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L2CAP 접속 여부를 확인하여, 204 단계에서 서비스 검색 요구를 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서비스 검색 요구를 통해 하기 <표 1>에 있는 상대방 기기에 대한 정보들을 얻게 된다. 그리고, 하기 <표 1>에 나와있는 정보들은 상위 애플리케이션에서 상대방의 기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
Java|<ApplicationID>|<Sender>|<Content>|<Remote Address>
식별자 설명 데이터 크기 데이터 형태
Java 자바 자동기동 식별자"Java" 4 바이트 ASCII
ApplicationID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 ID 12 바이트 ASCII
Sender 송신자명 10 바이트 UTF-8
Content 팝업창에 표시되는 메시지 30 문자 UTF-8
Remote Address 블루투스 기기를 식별할 수 있는 주소 16 바이트 ASCII
| 분리자 3 바이트 ASCII
여기서, "Java"는 자바 자동기동을 위한 식별자이고, "ApplicationID"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의 ID이고, "Sender"는 송신자명이고, "Remote Address"는 마스터 기기들의 고유한 블루투스 주소이고, "|"은 각 개체간을 분리하는 기호이다.
이후,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208 단계에서 마스터 단말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로부터의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요구의 수용 여부를 묻는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슬레이브 단말은 210 단계에서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요구를 수락할 시, 212 단계에서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링크 절단을 요구하여 ACL 링크를 해지한다. 그리고, 214 단계에서 해당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한다.
만약, 상기 210 단계에서 자바 애플리케이션 실행요구를 거절할 시, 216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의 원격주소(remote address)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된 마스터 단말의 원격주소는 나중에 상기 마스터 단말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재시도할 시, 상기 208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차단하는데 이용된다. 구현에 따라사, 한번 자바푸시가 허용된 마스터 단말들에 대해에서도 원격주소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켜 자바푸시를 재시도할 시 상기 208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자바푸시 절차를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자바 푸시(Java Push)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단말은 300 단계에서 자바푸시를 수행하기 위해서 서비스 검색 요구를 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단말은 "L2CAP"을 검색조건으로 해당 슬레이브 단말의 자바용 서비스레코드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 0x0100(L2CAP), AttributeID = 0x0100(ServiceName)를 검색조건으로 찾는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은 302 단계에서 검색을 통해 해당 자바용 신규 레코드를 획득한 후, ServiceName의 "JavaPush" 예약어와 일치하면 상기 마스터 단말은 304 단계에서 L2CAP 접속을 시작한다. 이때, L2CAP 접속이 되기 전까지는 ACL(Asynchronous Connection Less) 링크를 통해 상기 300 단계 내지 상기 302 단계가 수행되어 진다. 상기 ACL 링크는 피코넷의 마스터와 작동중인 모든 슬레이브 간에 비동기 및 일정 주기 형태로 패킷을 전송한다. 마스터와 하나의 슬레이브 사이에는 한 개의 ACL 링크가 존재한다.
이후, 상기 마스터 단말은 306 단계에서 정해진 일정시간 내에 슬레이브로부터 응답이 있는지 확인하여, 응답이 있을 시 308 단계로 진행하여 L2CAP 접속을 유지하며 상기 슬레이브 단말과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만약, 슬레이브로부터 일정시간 동안 응답이 없을 시, 310 단계로 진행하여 L2CAP 접속을 해지한다.
이후, 본 발명의 자바푸시 절차를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바푸시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단말의 동작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단말(404)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마스터 단말1(400)과 마스터 단말2(402)이 각각 자바푸시를 통해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슬레이브 단말(40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의 자바푸시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마스터 1(400), 상기 마스터 2(402)의 L2CAP 자바용 서비스 레코드를 획득한 후 상기 서비스 레코드로부터 상기 마스터 1(400), 상기 마스터 2(402)의 고유 주소를 분리하여(상기 표 1 참조) 어떤 단말들이 블루투스 통신에 접근하고 있는지 팝업 창(406, 408)으로 표시한다. 이때, 슬레이브(404) 사용자는 마스터 1(400), 마스터 2(402)로부터의 블루투스 연결을 허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단말(404)는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바푸시 절차 수행시, 자신의 고유 주소(상기 표 2 참조)를 전송한다.
도 5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바푸시(Java Push)를 위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자바푸시를 위한 장치는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500), 블루투스 통신부(502), 블루투스 연결부(504), 팝업표시부(506), 데이터베이스(5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현에 따라서, 컴퓨터, PDA, 핸드폰 등에 추가 장치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500)는 기기들과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ptation Protocol) 접속을 통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자바푸시(Java Push) 실행을 위한 정보 레코드들을 획득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500)는 상기 팝업된 기기들의 고유 식별 정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을 실행할 시,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절단 후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을 시, 해당 기기의 고유주소(remote address)를 데이터베이스(508)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500)는 상기 자바용 신규 서비스레코드를 등록한다.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서비스클래스 ID(ServiceClassID), 프로토콜 기술어 리스트(ProtocolDescriptorList), 서비스이름(ServiceNam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스터 단말이 경우에, 상기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500)는 자바푸시 요청을 위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슬레이브(slave) 단말의 서비스 레코드를 획득한다.
상기 팝업 표시부(506)는 상기 기기들의 정보 레코드들을 확인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고유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 레코드는 자바 식별자(Java), 자바 애플리케이션 ID(ApplicationID), 송신자명(Sender), 표시 메시지(Content), 기기의 고유주소(remote address)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상기 표 1 참조)
상기 블루투스 연결부(504)는 블루투스 통신 시에 마스터-슬레이브간 링크 연결을 제어하며, 상기 서비스 레코드에 있는 정보에 따라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시작한다. 즉, 상기 블루투스 연결부(504)는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을 시, L2CAP 접속을 해지하고,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응답이 있을 시, 상기 L2CAP 접속을 유지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502)는 링크와 피코넷을 구성하고 관리한다. 또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등으로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신뢰성 있는 링크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인증(Authentication)이나 암호(Encryption) 등에 필요한 알고리즘도 담당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레이브(slave) 단말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자바푸시(Java Push)를 수행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터 단말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자바 푸시(Java Push)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바푸시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단말 예시도 및,
도 5는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바푸시(Java Push)를 위한 장치도.

Claims (24)

  1.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기들과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통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자바푸시(Java Push) 실행을 위한 정보 레코드들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기기들의 정보 레코드들에 기반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를 문의하는 각 기기에 대한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레코드는 자바 식별자(Java), 자바 애플리케이션 ID(ApplicationID), 송신자명(Sender), 표시 메시지(Content),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절단 후에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을 시, 상기 기기들 중 해당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들의 서비스 검색 요구에 대한 서비스 레코드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서비스클래스 ID(ServiceClassID), 프로토콜 기술어 리스트(ProtocolDescriptorList), 서비스이름(ServiceName)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Java Push)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자바푸시 요청을 위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슬레이브(slave) 단말의 서비스 레코드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레코드에 있는 정보를 확인하여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시작하는 과정과,
    상기 L2CAP 접속을 통해,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정보 레코드를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서비스클래스 ID(ServiceClassID), 프로토콜 기술어 리스트(ProtocolDescriptorList), 서비스이름(ServiceName)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에 포함된 서비스클래스 ID(ServiceClassID), 서비스이름(ServiceName)이 검색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시, L2CAP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을 시, L2CAP 접속을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응답이 있을 시, 상기 L2CAP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들과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통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상기 기기들에 대한 자바푸시(Java Push) 실행을 위한 정보 레코드들을 획득하는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와,
    상기 기기들의 정보 레코드들에 기반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를 문의하는 각 기기에 대한 팝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팝업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레코드는 자바 식별자(Java), 자바 애플리케이션 ID(ApplicationID), 송신자명(Sender), 표시 메시지(Content),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삭제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시,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절단 후에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는, 상기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을 시, 해당 기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는 상기 기기들의 서비스 검색 요구에 대한 서비스 레코드를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서비스클래스 ID(ServiceClassID), 프로토콜 기술어 리스트(ProtocolDescriptorList), 서비스이름(ServiceN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Java Push)를 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자바푸시 요청을 위해 서비스 검색을 요구하여 슬레이브(slave) 단말의 서비스 레코드를 획득하는 서비스 레코드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레코드에 있는 정보를 확인하여 L2CAP(Logical Link Control and Adaptation Protocol) 접속을 시작하고, 상기 L2CAP 접속을 통해,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한 정보 레코드를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 제공하는 블루투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는 서비스클래스 ID(ServiceClassID), 프로토콜 기술어 리스트(ProtocolDescriptorList), 서비스이름(ServiceNam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레코드에 포함된 서비스클래스 ID(ServiceClassID), 서비스이름(ServiceName)이 검색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시, L2CAP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응답이 없을 시, L2CAP 접속을 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단말로부터 응답이 있을 시, 상기 L2CAP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070120048A 2007-11-23 2007-11-23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7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0048A KR101478207B1 (ko) 2007-11-23 2007-11-23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08169574.4A EP2109291B1 (en) 2007-11-23 2008-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Java push request equipments using bluetooth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08101823157A CN101442832B (zh) 2007-11-23 2008-11-21 在移动通信终端识别java推送请求装置的方法和设备
US12/276,789 US8135345B2 (en) 2007-11-23 2008-11-24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JAVA PUSH request equipments using bluetooth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20048A KR101478207B1 (ko) 2007-11-23 2007-11-23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282A KR20090053282A (ko) 2009-05-27
KR101478207B1 true KR101478207B1 (ko) 2015-01-02

Family

ID=4067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20048A KR101478207B1 (ko) 2007-11-23 2007-11-23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35345B2 (ko)
EP (1) EP2109291B1 (ko)
KR (1) KR101478207B1 (ko)
CN (1) CN1014428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7289A (zh) * 2010-12-06 2012-06-06 深圳市同洲软件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与数字电视接收终端的连接方法及移动终端
CN105516895B (zh) * 2015-11-30 2019-07-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用户信息推送方法及装置
KR102044523B1 (ko) 2017-08-22 2019-11-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055809B1 (ko) 2017-08-22 2019-12-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 중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
KR102413621B1 (ko) 2017-10-12 2022-06-2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CN112469013B (zh) * 2019-09-06 2022-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蓝牙连接方法及相关装置
KR102090800B1 (ko) 2019-10-30 2020-03-1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649A (ko) * 2003-07-03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적 자바푸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800A (ko) 2000-11-15 2002-05-23 구자홍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상형 상대 탐색 장치 및 방법
US7274909B2 (en) * 2002-10-31 2007-09-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ata items for service requests
US20050009469A1 (en) * 2002-12-20 2005-01-13 Sakari Kotola Client software download in bluetooth device bonding
GB2400486B (en) * 2003-04-09 2006-05-10 Ceres Power Ltd Densification of ceria based electrolytes
US20070220498A1 (en) * 2006-03-15 2007-09-20 Madsen Jens O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working via a card application toolk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649A (ko) * 2003-07-03 200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동적 자바푸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09291B1 (en) 2015-07-08
EP2109291A1 (en) 2009-10-14
KR20090053282A (ko) 2009-05-27
US20090143011A1 (en) 2009-06-04
CN101442832B (zh) 2011-08-31
CN101442832A (zh) 2009-05-27
US8135345B2 (en) 2012-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207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600902B1 (en) Multiple link data object conveying method for conveying data objects to wireless stations
EP3232643B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short-range service sessions
US8073432B2 (en) Data synchronization
EP2001214A2 (en) Transportable type base station device and terminal device
EP1825702A2 (en) Backup system and method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3457642A (zh) 一种获取智能终端电话本信息的方法及装置
US20080010456A1 (en) Communication between a smart card and a server
EP197624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JP4778708B2 (ja) Gprs及びgsm接続による通信装置の管理
US20050227682A1 (en) Method of supplying service configuration data to a mobile telephony device by means of a computerized terminal
JP2005529550A5 (ko)
KR20080036116A (ko) 무선 단말의 가입자 아이디의 저장과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369899B1 (ko) 블루투스 탑재 기기 종류 및 모델 자동 확인 방법 및 시스템
JP2001285956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その無線局装置
CN102598735B (zh) 建立应用会话的方法、设备和相应通知
CN106850925A (zh) 一种基于WiFi的车载设备和手机电话本同步的方法
US9066285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1784036A (zh) 数据备份的方法
JP5516207B2 (ja) 通信システム
KR20060067241A (ko) 서버를 연동한 무선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목록 저장 및검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