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621B1 -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621B1
KR102413621B1 KR1020170132678A KR20170132678A KR102413621B1 KR 102413621 B1 KR102413621 B1 KR 102413621B1 KR 1020170132678 A KR1020170132678 A KR 1020170132678A KR 20170132678 A KR20170132678 A KR 20170132678A KR 102413621 B1 KR102413621 B1 KR 10241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information
voice
uni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280A (ko
Inventor
강봉주
김용성
정시창
박명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62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화 서비스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부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상기 통화 서비스가 상기 단말 장치에게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를 음성의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통화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합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TERMINAL APPARATUS AND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피커와 같은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와 통화를 수행할 때에, 이러한 단말 장치에서 요청한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응답이 해당 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피커와 같이 미디어를 재생하는 단말 장치는 미디어를 재생하는 것에 더해서 음성/영상 통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단말 장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결합하여서 사용자에게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하는 중에도 단말 장치를 통해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날씨나 개인 스케쥴 또는 보다 복잡하고 고도한 정보에 대한 질의를 할 수 있고, 이들에 대한 응답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의 질의는 음성(또는 영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또한 음성의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응답 또는 서비스를 전화 통화의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9-0053282호 (2009.05.27. 공개)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공지능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응답이나 서비스를, 이를 요청한 단말 장치뿐 아니라 전화 통화의 상대방 단말 장치에게 제공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화 서비스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부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상기 통화 서비스가 상기 단말 장치에게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를 음성의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통화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합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는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단말 장치로부터 요청 사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요청 사항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 정보 획득부와,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 및 상기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 대한 연결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타 단말 장치에게 각각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서비스가 단말 장치에게 제공되는 중간에도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음성의 형태로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화 서비스 중에 음성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를 요청한 단말 장치뿐 아니라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중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의 사용자도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어떤 사항을 요청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가 적용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화 서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단말 장치를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때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단말 장치를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질 때의 데이터 흐름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가 연결되는 시스템(300)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1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도 1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300)은 통화 서버(310)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서버(310)는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에게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와 같은 통화 서비스를 VoIP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는 단말 장치(100) 또는 타 단말 장치(200)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정보 제공 서비스는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가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중간에도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는 예컨대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공지능 서비스란 단말 장치들(100,200)의 사용자(101,201)가 단말 장치(100,200)를 통해 날씨나 개인 스케쥴 또는 보다 복잡하고 고도한 정보에 대해 질의한 경우 이러한 질의를 해석하고, 해석에 대한 결과에 상응하는 응답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질의는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또한 음성이나 영상의 형태일 수 있다.
통화 서버(310)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개의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통화 서버(310) 중 적어도 일부의 구성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화 서버(31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통화 서버(310)는 일반적인 서버에서 구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화 서버(310)는 접속 정보 서버부(311)와 시그널링 서버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정보 서버부(311)는 단말 장치(100) 또는 타 단말 장치(200)에게 공인 IP와 같은 공인망 주소 또는 릴레이 서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정보 서버부(311)는 예컨대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서버와 TURN(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STUN 서버와 TURN 서버는 서로 결합된 1개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의 서버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STUN 서버와 TURN 서버 그 자체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단말 장치(100) 및 타 단말 장치(200)는, 접속 정보 서버부(311)로부터 이러한 공인망 주소 또는 릴레이 서버에 대한 정보가 획득된 경우, 이러한 정보들을 사설망 주소와 결합하여서 접속 후보(candidate)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시그널링 서버부(312)는 통화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들 사이에서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메타 데이터가 교환되도록 하는 서버이다. 즉,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가 시그널링 서버부(312)에 메타 데이터를 송신하면, 시그널링 서버부(312)는 해당 단말 장치와 통화 서비스로 연결될/연결된 타 단말 장치에게 이러한 메타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그널링 서버부(312)는 일반적인 서버에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메타 데이터에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정보와 접속 후보 주소가 포함될 수 있다. SDP 정보는 각 단말 장치(100,200)가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코덱, 해상도, 형식, 암호화 방법 등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SDP 정보는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연결된 단말 장치들(100,200) 각각이 상대방이 전송한 데이터를 해석/이해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접속 후보 주소는 전술한 것과 같이 각 단말 장치(100,200)가 접속 정보 서버부(311)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서 생성한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서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간에 통화 서비스의 개시를 위한 정보를 교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통화 서비스가 수행될 때 단말 장치들(100,200) 간에는 음성 통화 패킷이나 영상 통화 패킷이 교환되는데, 교환 방식은 P2P 방식이나 기타 다양한 공지된 기술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교환 방식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통화 서버(310)의 구성 중에서 시그널링 서버부(312)는 도 3에 도시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통화 서버(310)는 시그널링 서버부(312)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가 통화 서비스를 위해 연결되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통화 서비스는 VoIP 방식을 따르는 것을 전제로 한다.
단말 장치(100)가 타 단말 장치(200)에게 전화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STUN/TURN 서버와 같은 접속 정보 서버부(311)에게 접속 정보를 요청한다. 접속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인망 정보 또는 릴레이 서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가 접속 정보 서버부(311)로부터 이러한 접속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100)는 이러한 접속 정보와 사설망 정보 등을 이용하여서 접속 후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접속 후보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서 사전에 획득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SDP 정보를 이러한 접속 후보 정보와 함께 시그널링 서버부(312)에게 송신한다. 시그널링 서버부(312)는 단말 장치(100)의 접속 후보 정보와 SDP 정보를 타 단말 장치(200)에게 전달한다.
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201)가 단말 장치(100)로부터의 전화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타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가 수행했던 것과 동일하게 접속 정보를 접속 정보 서버부(311)에게 요청하고,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접속 후보 정보를 생성한 뒤 자신의 SDP 정보와 접속 후보 정보를 시그널링 서버부(312)에게 송신한다. 그러면, 시그널링 서버부(312)는 이를 단말 장치(100)에게 전달한다.
이 후,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는 서로의 접속 후보 정보를 이용하여서 연결 상태(connection)를 체크한 뒤, 통화 서비스를 위한 패킷을 교환하면서 통화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 때, 통화 서비스를 위한 패킷 교환은 예컨대 P2P 방식이거나 또는 릴레이 서버를 중계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도 3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의 구성이 도 3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는 통신부(321), 서비스 정보 획득부(324) 및 제어부(326)를 포함한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서 음성 인식부(322), 자연어 처리부(323), 음성 변환부(325) 또는 시그널링 서버부(327)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만약,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가 시그널링 서버부(327)를 포함한다면, 통화 서버(310)는 시그널링 서버부(3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부(321)는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321)는 통화 서버(310)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을 수 있다.
서비스 정보 획득부(324)는 단말 장치(100)의 요청 사항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이다. 단말 장치(100)의 요청 사항에 상응하는 서비스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가 자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면 서비스 정보 획득부(324)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를 획득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서비스 정보 획득부(324)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서비스, 예컨대 음악 제공, 날씨 정보 제공, 증권 정보 제공 등의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는 서버들에게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정보 획득부(324)는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326)는 이하에서 설명할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된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이러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제어부(326)는 단말 장치(100)의 요청 사항에 대한 서비스(또는 서비스 정보)가 해당 단말 장치(1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26)는 단말 장치(100)와 통화 중인 타 단말 장치(200)에게도 이러한 서비스가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 따라서 이러한 기능은 제어부(326)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단말 장치(100) 스스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타 단말 장치(200)에게 송신한다면, 전술한 기능은 제어부(326)에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326)는 단말 장치들(100,200)에 대한 연결 정보, 예컨대 IP 주소나 포트에 관한 정보들을 기초로 단말 장치들(100,200) 각각에 이러한 서비스가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단말 장치들(100,200)에 대한 연결 정보는 제어부(326)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객체로부터 획득한 것이거나 또는 시그널링 서버부로부터 획득한 것일 수 있다. 시그널링 서버부(312)가 통화 서버(310)에 포함된 경우라면 제어부(326)는 이러한 통화 서버(310)에 포함된 시그널링 서버부(312)로부터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시그널링 서버부(327)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에 포함된 경우라면 제어부(326)는 이러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에 포함된 시그널링 서버부(327)로부터 해당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322)는 음성을 인식한다. 인식의 대상인 음성은 단말 장치(100)또는 타 단말 장치(200)가 음성의 형태로 송신한 요청 사항이 통신부(321)를 통해 수신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 인식에 사용되는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연어 처리부(323)는 음성 인식부(322)가 인식한 음성을 자연어의 형태로 처리하며, 여기서 자연어 처리에 사용되는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음성 변환부(325)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음성 변환부(325)는 서비스 정보 획득부(324)가 획득한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의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은 TTS(text to speech)라고도 지칭되며 이는 공지된 기술인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각 단말 장치(100,200)는 음성/영상 통화와 같은 통화 서비스, 그리고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500)는 스피커,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 또는 태블릿 패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여기서, 통화 서비스가 수행된다고 전제하였을 때,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100,200) 중 어느 하나의 단말 장치가 발신 단말이면 다른 하나의 단말 장치는 수신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단말 장치(100)의 구성, 그리고 이러한 단말 장치(100)와 타 단말 장치(200) 간에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정보 제공 서비스가 단말 장치(100)뿐 아니라 타 단말 장치(200)에게도 제공될 때의 데이터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 그리고 이러한 단말 장치와 타 단말 장치 간에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정보 제공 서비스가 단말 장치뿐 아니라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때의 데이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4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단말 장치(100)의 구성이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으며, 또한 데이터 흐름 또한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할 단말 장치(100)에 대한 사항은 타 단말 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마이크부(120), 스피커부(130) 및 음성 합성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음성 분배부(150)와 스피커 합성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통화 서버(310) 또는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3G, 4G, LTE-A 등의 무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실시예에 따라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의 통신부(321)와 항시 접속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정보 제공 서비스가 단말 장치(100)에게 보다 신속하게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와 통신부(321) 간의 연결 상태는 heartbeat 체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한편, 무선 통신부(110)를 기능적으로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는 음성(영상) 통화용 패킷을 송신하는 기능과 수신하는 기능, 그리고 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기능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라서 무선 통신부(110)에서 이러한 각 기능은 각각 개별적인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서는 편의상 무선 통신부(110)를 1개의 모듈(블록)으로 표시하였다.
마이크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101)로부터 통화를 위한 음성 또는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 사항을 음성의 형태로 입력받는 구성이다. 이러한 마이크부(120)는 일반적인 마이크에 의해 구성 가능하다.
스피커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101)에게 음성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출력의 대상이 되는 음성은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201)의 음성 또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101)의 요청 사항에 상응하는 음성 형태의 응답일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부(130)는 일반적인 스피커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음성 합성부(140)는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가 제공하는 음성 형태의 정보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이러한 정보가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서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200)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이러한 정보는 단말 장치(100)의 요청 사항에 대한 응답이며,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가 송신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음성 합성부(14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음성을 합성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를 요청한 단말 장치뿐 아니라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음성 합성부(140)는 마이크부(120)에 입력된 사용자(101)의 음성을 전술한 정보, 즉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가 제공한 음성 형태의 정보와 합성할 수 있다. 합성된 음성 정보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서 타 단말 장치(200)에게 송신될 수 있다. 합성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101)의 음성은 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이거나 또는 사용자(101)의 요청 사항을 나타내는 음성일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 분배부(150)는 마이크부(110)에 입력된 음성을 분배할 수 있다. 예컨대 음성 분배부(150)는 마이크부(110)에 입력된 음성이 기 정의된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만약 기 정의된 웨이크업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음성 분배부(150)는 입력된 음성 모두, 즉, 웨이크업 신호, 웨이크업 신호와 관련된 음성이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서버(320)와 타 단말 장치(200)에게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기 정의된 웨이크업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음성 분배부(150)는 입력된 음성이 타 단말 장치(200)에게만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서비스가 단말 장치에게 제공되는 중간에도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음성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화 서비스 중에 음성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발한 웨이크업 신호와 그에 따르는 요청 사항이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전달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타 단말 장치의 상대방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어떤 요청을 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01)는 경우에 따라서 자신이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실이나 상황이 상대방(201)에게 알려지지 않기를 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라서 음성 분배부(150)는 마이크부(110)에 입력된 음성이기 정의된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웨이크업 신호와 관련된 음성이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 서버(320)에만 송신되고 타 단말 장치(200)에게는 송신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단말 장치(100)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특정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특정 버튼이 눌리면, 음성 분배부(150)는 타 단말 장치(200)에게 사용자(101)가 특정 서비스를 요청한 사실이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피커 합성부(160)는 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201)의 음성이 스피커부(130)를 통해 사용자(101)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합성부(160)는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가 제공한 음성 형태의 정보가 스피커부(130)를 통해 사용자(101)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스피커 합성부(160)는 타 단말 장치(200)의 사용자(201)의 음성과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가 제공한 음성 형태의 정보를 합성할 수 있다. 이로써 합성된 음성 형태의 정보는 스피커부(130)를 통해 사용자(10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 합성부(160)는 신호를 합성하고 제어하는 일반적인 구성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를 요청한 단말 장치뿐 아니라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통화 서비스가 단말 장치에게 제공되는 중간에도 단말 장치의 사용자는 음성의 형태로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에 대한 응답을 통화 서비스 중에 음성의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통화 서비스가 단말 장치가 제공되는 중간에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인공지능 서비스와 같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의 사용자도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어떤 사항을 요청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는 단말 장치(100)의 요청사항에 대한 응답, 즉 서비스를 단말 장치(100)에게만 제공하고 타 단말 장치(200)에게는 제공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 타 단말 장치(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00)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직접 제공받는다.
반면, 이하에서 설명할 제2 실시예에서는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는 단말 장치(100)의 요청사항에 대한 응답, 즉 서비스를 단말 장치(100)뿐 아니라 타 단말 장치(200)에게도 제공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는 타 단말 장치(200)에게 요청 사항에 대한 응답을 전달하지 않는다.
이하는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단말 장치(100)와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일부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은 생략하되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 그리고 이러한 단말 장치와 타 단말 장치 간에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는 동안, 정보 제공 서비스가 단말 장치뿐 아니라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때의 데이터 흐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5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단말 장치(100)의 구성이 도 5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 해석되지는 않으며, 또한 데이터 흐름 또한 도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할 단말 장치(100)에 대한 사항은 타 단말 장치(20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마이크부(120) 및 스피커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 장치(100)는 음성 분배부(150)와 스피커 합성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 마이크부(120), 스피커부(130), 음성 분배부(150)와 스피커 합성부(16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자신의 요청 사항에 대한 응답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스피커부(130)를 통해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101)에게만 제공한다. 즉, 응답이 타 단말 장치(200)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아울러,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320)는 단말 장치(100)의 요청 사항에 대한 응답을 단말 장치(100)뿐 아니라 타 단말 장치(200)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326)가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26)는 단말 장치들(100,200)의 IP 주소나 포트 정보와 같은 연결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326)가 직접 획득하였거나 또는 시그널링 서버부(327)를 통해 획득한 것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를 요청한 단말 장치뿐 아니라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정보는 이를 요청한 단말 장치뿐 아니라 통화 서비스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100: 단말 장치
200: 타 단말 장치
320: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Claims (7)

  1. 통화 서비스와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 장치로서,
    무선 통신부와,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부와,
    상기 통화 서비스가 상기 단말 장치에게 제공되는 동안,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를 음성의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부와,
    상기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통화의 상대방인 타 단말 장치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합성부와,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이 기 정의된 제 1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서, 상기 제 1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면, 상기 입력받은 음성과 연관된 음성이 상기 타 단말 장치에게는 송신되지 않고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에게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음성 분배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과 상기 정보를 합성한 뒤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단말 장치에게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분배부는,
    상기 마이크부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이 기 정의된 제 2 웨이크업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서, 상기 제 2 웨이크업 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입력받은 음성과 연관된 음성이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및 상기 타 단말 장치에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2 웨이크업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받은 음성이 상기 타 단말 장치에게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송신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에 항시 접속해 있는
    단말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70132678A 2017-10-12 2017-10-12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KR10241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78A KR102413621B1 (ko) 2017-10-12 2017-10-12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678A KR102413621B1 (ko) 2017-10-12 2017-10-12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280A KR20190041280A (ko) 2019-04-22
KR102413621B1 true KR102413621B1 (ko) 2022-06-27

Family

ID=6628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678A KR102413621B1 (ko) 2017-10-12 2017-10-12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62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207B1 (ko) 2007-11-23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자바푸시를요구하는 기기들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151626B1 (ko) * 2016-01-12 2020-09-03 네이버 주식회사 통화 중 특정 태스크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280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4252B2 (en) Transcribing audio communication sessions
TWI440346B (zh) 基於開放架構之域相依即時多語系通信服務
CN106161571B (zh) 一种基于WebRTC的远程操作方法及系统
WO2016094598A1 (en) Translation control
CN103475793A (zh) 使用附加终端进行呼叫
WO2019000515A1 (zh) 语音通话方法和装置
TW202022560A (zh) 用於聊天機器人與人類通話的可編程智能代理機
US20120002570A1 (en) Coordinating and Establishing Communication Networks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CN114666306B (zh) WebRTC网络连接建立方法和服务器、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794363B2 (ja) 端末接続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US105420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internet call service
WO2021017807A1 (zh) 通话连接建立方法和第一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CN110971685B (zh) 内容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413621B1 (ko)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서비스 서버
JP2010050693A (ja) リアルタイム音声翻訳通話システム、方法、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およびリソースセッション確立方法
CN114143401B (zh) 一种电话客服应答适配方法和装置
CN111818170B (zh) 网络通信方法和系统、及智能音箱
US11303759B2 (en) Gateway function control via telephony/voice service
JP7515491B2 (ja) Dectポータブルデバイス基地局
CN113098931B (zh) 信息分享方法和多媒体会话终端
RU2797530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dect
US10237402B1 (en) Management of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KR20240047367A (ko) 미디어 통신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지원
CN116155867A (zh) 通话方法、系统、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7859313A (zh) 支持用于媒体通信的服务质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