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366B1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366B1
KR101279366B1 KR1020120018656A KR20120018656A KR101279366B1 KR 101279366 B1 KR101279366 B1 KR 101279366B1 KR 1020120018656 A KR1020120018656 A KR 1020120018656A KR 20120018656 A KR20120018656 A KR 20120018656A KR 101279366 B1 KR101279366 B1 KR 101279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t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형
Original Assignee
(주)제이이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99612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7936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이모바일 filed Critical (주)제이이모바일
Priority to KR1020120018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자가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대화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호 간의 정확한 의사전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교환기를 통해 통화신호를 교환하는 통화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통화신호 교환중,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컨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중계서버에서 상기 컨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개설하고, 채널개설완료신호를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송하는 채널 개설단계; 및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을 매개로 상기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과 연결되는 채널 연결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Sharing method for Contents by mobile devices}
본 발명은 통화 중에 발신자와 수신자가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대화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화자 상호 간의 정확한 의사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명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이동통신단말기는 고유한 기능인 통화기능 외에도 인터넷 접속, 카메라 촬영, 내비게이션을 통한 위치인식 등의 기능을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위치에 제한 없이 다양한 편익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인터넷 접속 기능은 장소의 제한 없이 사용자가 알고자하는 정보를 현장에서 곧바로 검색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업무 효율의 향상은 물론, 기타 일상 생활에서도 일일이 열거할 수 없는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전화통화 중 통화상대가 구두로 이야기하는 대상을 눈으로 보지 않고 구두 설명만으로 이해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야기 대상을 쉽게 연상하지 못할 경우 대화가 길어질 수 있고, 대화에 오해가 생겨 상기 이야기 대상이 잘못 전달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통화시간을 불필요하게 낭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야기 대상의 오해를 키워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술한 장점을 갖는 스마트폰도 통화상대가 구두로 이야기하는 대상을 통화 중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전무했고, 통화 중 이야기 대상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은 구두가 전부였으므로, 전술한 문제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최신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기술에서도 풀리지 않는 난제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화상대의 구두 설명 대상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호 간의 대화가 보다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교환기를 통해 통화신호를 교환하는 통화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통화신호 교환중,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컨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중계서버에서 상기 컨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개설하고, 채널개설완료신호를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송하는 채널 개설단계; 및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을 매개로 상기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과 연결되는 채널 연결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중 이야기 대상인 콘텐츠를 통화상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해 출력시킬 수 있고, 이렇게 출력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조작하면서 설명할 수도 있으므로, 이야기 대상에 대한 이해가 쉽고, 전화통화만으로도 적지 않은 정보 전달 및 교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방법의 일 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방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시스템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시스템은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콘텐츠를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 공유하도록 처리하는 콘텐츠콜 앱(130, 130')을 포함하고, 콘텐츠콜 앱(130, 130')은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에 설치된 전화앱(110, 110') 및 저장수단(120, 120')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화앱(110, 110')은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이동통신단말기(100, 100')가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부팅시 사용자가 별도로 실행하지 않아도 자동 실행되고, 이동통신단말기(100, 100')가 ON 상태에서는 그 실행을 지속하면서 폴링(Polling)을 통해 교환기(200)와의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교환기(200)의 통화신호 전송시 이를 능동적으로 수신해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전화앱(110, 110')은 교환기(200)와 약속된 신호체계로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교환기(200)에 의한 제어가 허용된다. 참고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는 교환기(200)와 기지국(a, a')을 매개로 연결되며, 기지국(a, a')은 일정 반경 범위 내의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통신을 처리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a, a')을 통한 통신 기술은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기지국(a, a')을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수단(120, 120')은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각종 데이터(콘텐츠)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저장수단(120, 12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사진이미지, 무선인터넷의 다운로드정보, 동영상이미지, 음원 파일 등의 각종 데이터(콘텐츠)를 저장하는 통상적인 장치이다.
콘텐츠콜 앱(130, 130')은 콘텐츠 송수신모듈(131, 131')과, 커맨드 송수신모듈(132, 132')과, 콘텐츠 뷰어(133, 133')와, 컨트롤 프로세서(134, 134')로 구성된다.
컨트롤 프로세서(134, 134')는 이동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콘텐츠 콜을 개시하거나 종료하고, 데이터중계서버(200')의 채널개설신호에 대응해서 데이터중계서버(200')에 접속하며, 저장수단(120, 120')에 저장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도록 총괄하는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 콜을 위해 데이터중계서버(200')와 통신하고, 콘텐츠 검색을 위해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입력수단(미도시함) 및 저장수단(120, 120')과 연동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 조작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저장수단(120, 120')으로부터 검색해서 통화상대의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츠 송수신모듈(131, 131')과 커맨드 송수신모듈(132, 132')과 콘텐츠 뷰어(133, 133')를 포함한 콘텐츠콜 앱(130, 130')의 정상적인 실행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 프로세서(134, 134')는 전화앱(110, 110')을 대신해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해서, 컨트롤 프로세서(134, 134')가 제어하는 출력이미지가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출력수단(미도시함)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결국, 사용자(통화일방과 통화상대방)가 콘텐츠콜 진행을 위해 콘텐츠콜 앱(130, 130')을 실행시키거나, 컨트롤 프로세서(134, 134')가 상기 채널개설신호를 수신하면, 컨트롤 프로세서(134, 134')는 자신의 출력이미지를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를 대신해서 상기 출력수단에 디스플레이한다. 계속해서, 사용자(통화일방과 통화상대방)는 이렇게 출력되는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를 확인해서 자신이 현재 진행하는 통화가 일반통화인지, 콘텐츠콜 통화인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를 적절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유방법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한다.
콘텐츠 송수신모듈(131, 131')은 검색된 콘텐츠가 통화상대인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커맨드 송수신모듈(132, 132')은 콘텐츠의 화면변화(페이지 이동, 확대, 축소, 표시 등)를 확인하고, 통화상대인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로 해당 커맨드가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변화를 예시하면, 다수 페이지로 이루어진 콘텐츠의 경우 페이지를 이동 또는 변경하는 것, 특정 부분을 확대하는 것, 특정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따옴표를 붙이거나 괄호를 치는 등의 표시를 하는 것 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콘텐츠의 화면변화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전화앱(110)의 통화신호는 교환기(200)와 통신되고, 콘텐츠 송수신모듈(131, 131')의 콘텐츠와 커맨드 송수신모듈(132, 132')의 커맨드는 데이터중계서버(200')와 통신된다.
콘텐츠 뷰어(133, 133')는 검색된 콘텐츠가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출력수단(미도시함)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되, 커맨드 수신시 상기 커맨드 내용에 따라 콘텐츠를 조정해 출력되도록 한다. 결국, 통화 중인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상기 출력수단에 콘텐츠의 출력이 동기화되고, 따라서 서로 통화 중인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출력수단에는 동일한 내용의 콘텐츠가 출력되면서, 통화를 진행 중인 사용자(통화일방과 통화상대방)는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대화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콘텐츠 뷰어(133, 133')는 콘텐츠의 파일형식에 따라 결정될 것인데, 일 예로 PDF, CSD 등과 같은 통합문서 포맷 전용 파일형식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고, PPT 등과 같은 파일형식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형식 또는 이미지 파일형식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콘텐츠 뷰어(133, 133')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시스템 전용으로 형성한 새로운 형식의 통합문서 포맷 파일형식 전용 뷰어가 상기 콘텐츠 뷰어(133, 133')로 적용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콜 앱(130, 130')과 전화앱(110, 110')이 서로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콜 앱(130, 130')과 전화앱(110, 110')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프로그래밍해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런데 콘텐츠콜 앱(130, 130')과 전화앱(110, 110')을 하나로 통합하느냐, 둘로 분리하느냐는 필요에 따른 프로그래밍 방식의 선택일 뿐이며, 프로그램의 통합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기능은 분리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콜 앱(130, 130')과 전화앱(110, 110')이 서로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공유방법은 콘텐츠콜 앱(130, 130')과 전화앱(110, 110')의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에서도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교환기(200)는 일정 주기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전화앱(110, 110')과 통신하면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위치를 추적하고, 통화를 위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정보를 수신해서 해당 통화신호를 상대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200)는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들이 상호 간에 정상적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공용의 기술로서, 교환기(20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상기 통신정보란,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전화앱(110)이 교환기(200)로 전송하는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전화번호를 포함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통화신호란, 통화상태를 유지하는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전화앱(110)이 통화상대의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정보이다.
데이터중계서버(200')는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 및 커맨드를 지정된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으로서, 공유 대상 콘텐츠의 통신 중계를 위해 포트를 열고 상기 포트를 통한 통신채널을 개설하는 데이터통신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방법의 일 실시 예를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방법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공유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공유방법에서, 콘텐츠의 공유 시도는 해당 일반통화의 발신자는 물론 수신자도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통화 중인 통화일방은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구분없이 자신이 보유한 콘텐츠를 통화상대방과 공유하기 위해 콘텐츠 콜을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콜의 실행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일반통화의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콘텐츠 콜을 개시하는 과정을 실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콘텐츠콜 발신자를 '통화일방', 콘텐츠콜 수신자를 '통화상대방'으로 각각 명시해서, 일반통화 중 콘텐츠콜의 개시는 일반통화의 발신자는 물론 수신자도 할 수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S11; 통화단계
발신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앱(110)에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전화앱(110)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통신정보를 교환기(200)로 전송해서 통상적인 전화통화를 시도한다.
교환기(200)는 기지국에 일정간격으로 폴링하는 수많은 이동통신단말기들 중 상기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확인하고, 발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신호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상기 통화신호에 대한 수신이 허락되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간의 정상적인 통화가 개시되고, 발신자와 수신자는 교환기(200) 통해 통화신호를 교환하면서 통상적인 음성통화를 진행한다.
교환기(200)를 통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전화통화 과정은 공지,공용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음성통화가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12; 콘텐츠콜 개시단계
발신자는 수신자와의 통화 도중 콘텐츠를 공유하는 콘텐츠 콜을 위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배경(101)에 출력된 콘텐츠콜 버튼(102)을 클릭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 콜의 실행 버튼 명을 '콘텐츠콜'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명칭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신자가 콘텐츠콜 버튼(102)을 클릭하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이 실행되고,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전화앱(110)으로부터 현재 통화중인 수신자를 확인한다. 여기서, 컨트롤 프로세서(134)가 확인하는 수신자에 대한 정보는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콜 대상자의 식별자로 전화번호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화번호를 대신해서 데이터중계서버(200') 접속을 위한 사용자(발신자, 수신자)의 ID, 특정 시리얼넘버(SN)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기기 식별을 위한 고유넘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콘텐츠의 발원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상기 전화번호가 포함된 콘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데이터중계서버(200')로 전송한다.
S13; 채널 개설단계
데이터중계서버(200')는 상기 콘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수신자의 전화번호와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전화번호에 대한 채널을 개설하고, 발신자 및 수신자의 각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연결을 위한 포트를 설정한다.
계속해서, 데이터중계서버(200')는 채널개설이 완료되면, 앞서 설정된 포트 번호를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해서 해당 채널에서의 통신을 대기시킨다.
한편, 데이터중계서버(200')는 상기 채널 및 포트 정보를 포함한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으로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는 데이터중계서버(200')에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공지,공용의 푸쉬(PUSH) 서비스를 통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S14; 콘텐츠 업로드단계
한편,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채널 개설을 위한 상기 콘텐츠콜 채널개설신호 전송과 더불어, 수신자와 공유할 콘텐츠 검색을 위한 콘텐츠 리스트를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수단이 적용되므로, 발신자는 화면에 출력된 콘텐츠 리스트 중 하나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수신자와 공유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발신자가 콘텐츠를 선택하면,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질의창(104)을 출력해서 해당 콘텐츠의 첨부 여부를 재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단말기(100, 100')가 이미지 형식의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하고,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로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PC 등과 같은 복합 통신 기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발신자가 질의창(104)을 조작해서 콘텐츠의 업로드를 개시하면,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콘텐츠 송수신모듈(131)을 제어해서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가 해당 채널의 포트를 통해 데이터중계서버(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콘텐츠 업로드(전송)가 수신자의 채널 연결 후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데이터중계서버(200')의 채널을 통해 연결되면 비로소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가 상기 채널을 통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의창(104)은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상기 채널 연결시 팝업되어서, 발신자는 콘텐츠 전송에 대한 지연 느낌 없이 자신이 보유한 콘텐츠를 수신자에게 곧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채널 개설과 콘텐츠 리스트 출력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그러나, 발신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가 데이터중계서버(200')로 업로드 되기 위해서는 해당 채널이 반드시 선행 개설되어야 하므로, 채널 개설은 콘텐츠 업로드 전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15; 채널 연결단계
데이터중계서버(200')는 채널 개설 및 포트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채널 및 포트 정보를 포함한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발신해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이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구동한 콘텐츠콜 앱(130')은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게 포함된 채널 및 포트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중계서버(200')에 접속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수신자가 조작하거나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한 별도 구동없이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콘텐츠콜 앱(130')이 수신하면, 콘텐츠콜 앱(130')은 전용 출력이미지를 출력하면서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의 채널 및 포트 정보를 확인해서 데이터중계서버(200')에 개설된 상기 채널에 접속한다.
여기서, 데이터중계서버(200')의 채널개설완료신호 발신은 데이터중계서버(200')에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직접 이루어질 수도 있고, 공지,공용의 푸쉬(PUSH)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푸쉬 서비스가 적용될 경우, 푸쉬서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푸쉬서버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업데이트를 위해 다양한 서버에 폴링을 지속적으로 시도함으로써 발생하는 망 부하를 줄이고, 비효율적으로 소모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쉬서버는 데이터중계서버(200')의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에 상응하는 푸쉬신호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결국,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상기 푸쉬서비스를 통해서도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인지하여 데이터중계서버(200')에 대한 접속을 진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채널에 접속하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자의 콘텐츠를 공유할 것인지에 대한 질의창(105, 105')을 출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a)의 질의창(105)은 단순히 채널 개설을 확인해서 수신자에게 콘텐츠를 수신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내용을 기재한 것이고, 도 4(b)의 질의창(105')은 채널을 개설한 발신자를 확인해서 이를 질의문에 포함한 내용을 기재한 것이다.
수신자는 해당 질의창(105, 105')에 대응한 답변 버튼(106)을 클릭하고, 콘텐츠콜 앱(130')은 답변 버튼(106) 중 수신자가 '수신' 버튼을 선택한 경우 설정된 포트를 매개로 데이터중계서버(200')와 연결해서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준비한다.
계속해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해당 수신콜이 콘텐츠콜임을 확인하면, 전화앱(110')의 출력이미지를 대신해 콘텐츠콜 앱(130')의 출력이미지를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력수단에 디스플레이해서, 수신자가 현재 통화를 콘텐츠콜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한편, 통화를 위한 음성데이터 처리는 교환기(200)로부터 통화신호를 수신한 전화앱(110')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콜은 전화앱(110')과 콘텐츠콜 앱(130')의 병행으로 진행된다.
S16; 콘텐츠 다운로드단계
수신자는 콘텐츠 수신 버튼을 클릭하면,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 송수신모듈(131')은 데이터중계서버(200')에 콘텐츠를 요청해서 저장수단(120')으로 다운로드를 진행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해당 콘텐츠가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콘텐츠는 데이터중계서버(200')의 해당 채널에 미리 업로드된 것일 수도 있으나, 상기 채널을 통해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전화앱(110')은 콘텐츠와는 별도로 통화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해서,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와의 음성통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S17; 커맨드 통신단계
이동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콘텐츠 콜이 개시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출력수단에는 콘텐츠 뷰어(133, 133')에 의해 콘텐츠의 특정이미지(105, 105')가 출력된다. 최초 출력되는 콘텐츠의 특정이미지(105, 105')는 일반적으로 해당 콘텐츠의 1페이지가 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작위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 뷰어(133)에 의해 출력된 콘텐츠의 특정이미지(105)에 발신자가 화면변화(페이지 이동, 확대, 축소 등의 커맨드)를 실시하는 경우는 커맨드 송수신모듈(132)이 이를 인지하고 해당 커맨드를 데이터중계서버(200')로 전송한다(커맨드 송신단계). 데이터중계서버(200')는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고, 해당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커맨드 송수신모듈(132')은 상기 커맨드를 수신한 후 이에 상응하는 상기 콘텐츠의 특정이미지(105')를 확인해 출력되도록 콘텐츠 뷰어(133')를 제어한다(커맨드 수신단계).
결국, 발신자와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100') 내 콘텐츠의 출력 내용은 동기화되고, 이를 통해 발신자와 수신자는 화면변화에 따른 동일한 콘텐츠 내용을 통화 중에 공유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발신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해서 현재 콘텐츠 뷰어(133)가 출력하고 있는 콘텐츠의 화면변화를 일으키면, 커맨드 송수신모듈(132)은 상기 화면변화에 해당하는 커맨드를 인지해서 데이터중계서버(200')로 전송하고, 데이터중계서버(200')는 상기 커맨드를 수신해서 해당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커맨드 송수신모듈(132')은 상기 커맨드를 콘텐츠 뷰어(133')에 전달해서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가 상기 화면변화에 상응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콘텐츠의 화면변화는 콘텐츠의 페이지 조정, 페이지 일부의 확대, 페이지 일부의 표시 등이 될 수 있고, 이외에도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편집 등이 상기 화면변화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발신자가 콘텐츠를 수신자에게 일방적으로 전송하고, 발신자만이 콘텐츠의 조정을 일방적으로 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실시 예로 진행될 수 있다.
① 제1 실시 예
콘텐츠는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이 가능하고, 콘텐츠의 화면변화에 의한 커맨드 전송은 발신자 및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100') 모두에서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동통신단말기(100, 100') 모두로부터 커맨드가 전송되면 커맨드의 동시 발신에 의한 통신 충돌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일방이 출력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엔 타방은 출력정보의 전송이 제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자 또는 수신자에 조작에 의해 콘텐츠의 화면변화가 발생하면 커맨드 송수신모듈(132, 132')이 이를 인지해 자동으로 해당 출력정보를 무조건 전송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된 '전송 키(106, 106')'의 클릭에 의한 신호가 입력되면 비로소 해당 화면변화의 커맨드를 전송하도록 된다.
따라서, 발신자와 수신자는 통화 중 자유롭게 콘텐츠를 조정하면서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② 제2 실시 예
콘텐츠는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 가능하도록 되고, 콘텐츠의 화면변화에 따른 커맨드 전송은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가능하도록 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발신자가 주문을 위해 음식점 등에 연락을 할 경우, 수신자인 음식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 송수신모듈(131')은 메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착신 즉시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발신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출력되는 콘텐츠인 메뉴를 조정하면, 상기 메뉴는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출력수단에서도 전술한 과정을 통해 동일하게 동기화돼 출력되고, 발신자는 화면변화되는 메뉴를 설명하면서 주문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다.
S18; 콘텐츠콜 종료단계
발신자 또는 수신자가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의 전화앱(110, 110')을 조작해 통화 종료를 진행하면, 컨트롤 프로세서(134, 134')는 통화종료신호를 데이터중계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통화종료신호는 발신자 또는 수신자의 통상적인 통화 종료 조작을 통해 생성 및 발신되는 것으로서, 전화앱(110, 110')과 교환기(200) 간의 통화 종료 절차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돼 저장수단(120')에 저장된 콘텐츠는 강제로 삭제될 수도 있고 수신자에게 질의해 그 삭제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가 콘텐츠의 저장을 선택하거나 콘텐츠를 강제로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되면, 통화 종료시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는 상기 콘텐츠를 저장하고, 콘텐츠 뷰어(133, 133')를 포함한 콘텐츠콜 앱(130, 130')은 종료한다.
반면, 콘텐츠를 삭제하는 것으로 선택되거나 강제 삭제하는 것으로 설정되면, 해당 콘텐츠는 이동통신단말기(100, 100')에서 삭제된 후 콘텐츠 뷰어(133, 133')를 포함한 콘텐츠콜 앱(130, 130')는 종료한다.
S19; 채널 종료단계
데이터중계서버(200')가 상기 통화종료신호를 수신하면 개설된 해당 채널을 닫아 통화를 종료하고, 더 이상의 콘텐츠 및 커맨드의 신호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환기는 데이터중계서버(200')와는 별도로 음성데이터에 대한 통상적인 통화신호의 중계를 차단해 통화를 종료한다.
결국, 해당 콘텐츠콜은 종료하고, 발신자 및 수신자는 해당 콘텐츠의 공유가 중단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시스템의 다른 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시스템은 발신자가 클라우드서버(300)에 콘텐츠를 저장하면서 상기 콘텐츠를 수신자와 공유해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100, 100')는 클라우드서버(300)와 통신가능하고, 데이터중계서버(200') 또한 클라우드서버(30)와 통신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신자는 자신의 콘텐츠를 수신자와 공유하기 위해, 콘텐츠 업로드단계(S13)에서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저장수단(120)과 클라우드서버(300)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클라우드서버(300)를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클라우드서버(300)에 접속해서 발신자의 저장영역 내 콘텐츠 디렉토리가 출력되도록 한다. 물론, 발신자는 출력된 콘텐츠 디렉토리에서 공유를 원하는 대상 콘텐츠를 선택해 업로드의 다음 과정을 진행하고, 콘텐츠 송수신모듈(131)은 클라우드서버(300) 내 해당 콘텐츠를 데이터중계서버(200')의 해당 채널로 업로드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는 다양한 파일형식일 수 있다. 하지만, 원본 보호를 위해 수신자가 상기 콘텐츠를 가공할 수 없도록, 클라우드서버(300)와 데이터중계서버(200') 사이에 상기 콘텐츠를 통합문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서버(미도시함)를 배치해서, 데이터중계서버(200')의 해당 채널에 업로드되는 공유 대상 콘텐츠는 통합문서 포맷의 파일형식일 수 있다. 참고로, 통합문서 포맷은 통상적인 PDF 또는 CSD 등일 수 있고, 이외에도 새로운 형식(*.JET 등)의 포맷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클라우드서버(300)의 콘텐츠가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이동통신단말기 101; 바탕화면 102; 통화아이콘
103; 숫자판 104; 질의창 105, 105': 특정이미지
106, 106'; 전송 키 130; 콘텐츠콜 앱 200; 교환기
200'; 데이터중계서버

Claims (6)

  1.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교환기를 통해 통화신호를 교환하는 통화단계;
    이동통신단말기들의 통화신호 교환중,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콘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중계서버에서 상기 콘텐츠콜 채널개설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개설하고, 채널개설완료신호를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송하는 채널 개설단계; 및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채널을 매개로 상기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과 연결되는 채널 연결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신호는 상기 교환기를 통해 교환되고,
    상기 데이터중계서버에 개설되는 상기 채널과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의 송수신을 기초로, 콘텐츠가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연결단계 이후, 상기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가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어 출력되는 콘텐츠 다운로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개설단계 이후, 상기 통화일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지정된 콘텐츠를 상기 채널에 업로드하는 콘텐츠 업로드단계; 및
    상기 채널 연결단계 이후,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상기 채널 내 콘텐츠를 다운로드해 출력하는 콘텐츠 다운로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연결단계에서,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콘텐츠콜 앱 전용 출력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의 상기 채널개설완료신호 수신은 푸쉬서버의 푸쉬신호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일방 또는 통화상대방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의 통화종료신호를 수신한 상기 데이터중계서버에 의해 상기 채널이 닫히는 채널 종료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KR1020120018656A 2012-02-23 2012-02-23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KR101279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56A KR101279366B1 (ko) 2012-02-23 2012-02-23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656A KR101279366B1 (ko) 2012-02-23 2012-02-23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9366B1 true KR101279366B1 (ko) 2013-07-04

Family

ID=4899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656A KR101279366B1 (ko) 2012-02-23 2012-02-23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1478A1 (zh) * 2022-05-31 2023-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音视频共享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136A (ko) * 2005-03-29 2006-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70047022A (ko) * 2005-11-01 2007-05-04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중 콘텐츠 공유 및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자료 공유형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통신 사업자 서버및 ip 단말
KR20110041322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 통화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4136A (ko) * 2005-03-29 2006-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70047022A (ko) * 2005-11-01 2007-05-04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 중 콘텐츠 공유 및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자료 공유형응용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구현하는 통신 사업자 서버및 ip 단말
KR20110041322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 통화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31478A1 (zh) * 2022-05-31 2023-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音视频共享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7769B (zh) 多屏互动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9077820B2 (en) Shareable applications on telecommunications devices
EP32005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80305742A1 (en) Interface for pda and computing device
RU2628237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вызова
EP30681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ming call reminder
US9258672B2 (e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P2651176B1 (en) Method for managing call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8833585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272906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KR101279366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KR101306802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KR101381297B1 (ko) 원본 이미지와 동일 사이즈 비율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이미지 공유방법
KR101381312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CN114268691A (zh) 通话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3001958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공유장치와 공유시스템 및 공유방법
KR100883107B1 (ko) 휴대단말기에서 영상통화를 수행하는 방법
KR20130109750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US11575793B2 (en) Service system supporting voice call using digital assistant device,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KR20120064471A (ko) 통신 단말 장치,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단말 장치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455194B1 (ko) 공유 콘텐츠에 대한 통화정보 저장방법과 저장시스템
KR101767425B1 (ko) 단말 장치 연동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30033503A (ko)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콘텐츠 공유가 가능한 아이피통화단말기와, 통화시스템
KR101517928B1 (ko)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KR20230024748A (ko)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가상 모바일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6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310;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125

Effective date: 2020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