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928B1 -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928B1
KR101517928B1 KR1020130005519A KR20130005519A KR101517928B1 KR 101517928 B1 KR101517928 B1 KR 101517928B1 KR 1020130005519 A KR1020130005519 A KR 1020130005519A KR 20130005519 A KR20130005519 A KR 20130005519A KR 101517928 B1 KR101517928 B1 KR 101517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tent
party
communication terminal
docu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118A (ko
Inventor
김기형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제이이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이모바일 filed Critical (주)제이이모바일
Priority to KR102013000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928B1/ko
Priority to PCT/KR2014/000230 priority patent/WO2014112742A1/ko
Publication of KR2014009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89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media; by removing med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04L65/4015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where at least one of the additional parallel sessions is real time or time sensitive, e.g. white board sharing, collaboration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데이터에 구성된 콘텐츠를 원터치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문서데이터를 공유하며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문서실행수단이 콘텐츠를 포함한 문서데이터를 실행시키되, 상기 콘텐츠는 콜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갖춘 문서데이터 실행단계; 상기 통신단말기 내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제1통화자의 조작으로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콜정보로부터 제2통화자의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콜정보 확인단계; 상기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문서데이터를 검색해서 콘텐츠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콜 단계; 및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연락처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전화앱으로 전달해서, 상기 전화앱이 교환기를 매개로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와 통화신호를 교신하도록 하는 통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Sharing Method for documents used by the document having call ability}
본 발명은 문서데이터에 구성된 콘텐츠를 원터치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문서데이터를 공유하며 통화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에 접속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기기에 대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온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으로 불리는 모바일 기기인 인터넷 통신단말기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해서 다양한 종류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상기 서버와 데이터를 통신하면서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단말기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해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과 같은 공중교환전화망은 물론 인터넷 망에 직접 접속한 후, 특정인과의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결국, 현대인은 상기 통신단말기를 활용해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서버에 접속할 수도 있고, 특정인의 통신단말기와 연결해서 음성통화를 진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통신단말기에 대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각종 정보들에 대한 안내수단이 서면에서 전자문서 형식의 문서데이터로 급변하고 있고, 사람들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용도의 문서데이터를 수신해서 얻고자 했던 정보를 획득한다.
결국, 문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통신단말기만 휴대하면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상기 문서데이터를 출력해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고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따라서,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문서데이터를 제공한 제공자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여유시간에 필요한 정보를 확인해 탐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한편, 사용자는 문서데이터를 확인하는 도중 상기 문서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의 콘텐츠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을 수 있었다. 서면으로 콘텐츠를 안내하는 경우, 사용자는 서면에 기재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곧바로 통신단말기를 조작해서 전화통화를 해야 했다. 그러나, 통신단말기에 의해 출력되는 문서데이터로 콘텐츠를 안내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암기한 후 상기 문서데이터를 닫고 상기 통신단말기를 조작해서 전화통화를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온라인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문서데이터 등에는 전화연결함수를 링크한 전화번호 텍스트를 게시해서, 사용자가 해당 텍스트를 클릭해서 바로 전화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공개번호 10-2003-0085171).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통신단말기에 출력되는 문서데이터 내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링크된 다이얼신호가 통신단말기의 다이얼을 구동시켜서 상기 전화번호로 통상적인 전화통화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해서 전화번호를 암기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만이 있을 뿐, 자신이 궁금해 하는 콘텐츠의 내용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통화상대자와 통화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더욱이 통화상대자 또한 사용자가 이야기하는 대상이 정확히 무엇인지 구두로만 설명을 듣고 이해해야 하므로, 상호 간의 통화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모바일 기기에 출력되는 문서데이터의 콘텐츠 관련 문의를 위한 전화통화시 통화상대방과 상기 콘텐츠를 공유하면서 전화통화를 원터치로 속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문서실행수단이 콘텐츠를 포함한 문서데이터를 실행시키되, 상기 콘텐츠는 콜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갖춘 문서데이터 실행단계;
상기 통신단말기 내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제1통화자의 조작으로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콜정보로부터 제2통화자의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콜정보 확인단계;
상기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문서데이터를 검색해서 콘텐츠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콜 단계; 및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연락처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전화앱으로 전달해서, 상기 전화앱이 교환기를 매개로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와 통화신호를 교신하도록 하는 통화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콜 단계는
상기 콘텐츠 중계서버가 상기 문서데이터를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수신한 상기 문서데이터가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화단계는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연락처를 상기 전화앱에 전달해서 상기 전화앱이 실행되도록 하되, 상기 콘텐츠콜 앱의 실행으로 출력되는 출력이미지는 상기 전화앱의 실행으로 출력되는 출력이미지를 커버하도록 처리되는 단계; 및
상기 전화앱이 상기 교환기를 매개로 상기 연락처에 해당하는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와 통화신호를 교신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콜 단계는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의 IP와 제2통화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콘텐츠 중계서버에게 전송하는 콘텐츠콜 개시단계;
상기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수신한 콘텐츠 중계서버가 포트를 설정하고, 상기 IP와 포트와 제2통화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해서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는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하는 접속정보 통지단계; 및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가 상기 접속정보에 따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와 통신하는 접속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문서실행수단이 콘텐츠를 구비한 문서데이터를 실행시키되, 상기 콘텐츠는 콜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갖춘 문서데이터 실행단계;
상기 통신단말기 내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제1통화자의 조작으로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콜정보로부터 제2통화자의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콜정보 확인단계;
상기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달하고, 상기 콘텐츠콜 앱이 현재 화면내용을 이미지화하도록 캡처해서 문서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상기 문서데이터를 콘텐츠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콜 단계; 및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연락처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전화앱으로 전달해서, 상기 전화앱이 교환기를 매개로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와 통화신호를 교신하도록 하는 통화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문서데이터의 콘텐츠에 연락처와 식별정보가 태그로 링크되므로, 콘텐츠를 원터치로 조작한 통화자의 통신단말기는 상기 연락처를 통해 전화통화가 자동 연결되고, 아울러 상기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문서데이터가 통화자 간에 공유되므로, 통화자들은 상기 문서데이터를 함께 확인하면서 효율적으로 통화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에 연결된 통신단말기의 문서데이터 출력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의 제1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에 구성된 통신단말기의 제1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방법에 의한 문서데이터의 공유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의 제2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에 연결된 통신단말기의 문서데이터 출력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인 제1통화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또는 모바일 메신저 등과 같은 각종 인터넷 통신서비스 등의 첨부파일 형식으로 해당하는 문서데이터를 온라인으로 다운로드하거나, 로컬단말기에 저장된 문서데이터를 직접 오프라인으로 다운로드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 없이 제1통화자가 원하는 시간에 상기 문서데이터(102)를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를 활용해서 검색 및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문서데이터(102)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통합문서파일로서, 일반적인 word file, power point file, photoshop file 등은 물론 pdf(Portable Document Format) file과 같은 전자문서가 적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통화자는 통신단말기(100)의 입출력부(101)에 출력된 문서데이터(102) 내 콘텐츠를 확인하면서 문서데이터(102)가 전달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한다. 참고로, 상기 콘텐츠는 제1통화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텍스트(103), 이미지(104), 표(105), 동영상 등과 같은 형식일 수 있으며, 텍스트(103)의 경우, 제1통화자가 연락처를 바로 인지할 수 있는 전화번호로 표현될 수도 있다.
제1통화자는 상기 콘텐츠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의문점이 생겨 문의가 필요할 수도 있고, 상기 콘텐츠를 확인하고 해당 문서데이터(102)의 목적과 관련한 이후 절차 진행(회원가입, 계약취소 등)이 요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통화자는 상기 콘텐츠를 담당하는 상담자와 통화를 진행할 수 있어야 하고, 상기 통화 시 통화자 간에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해당하는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은 문서데이터의 해당 콘텐츠에 특정 태그를 보강해서, 제1통화자가 해당 콘텐츠 선택시 상기 태그에 기록된 제2통화자의 연락처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문서데이터(102) 또한 제2통화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의 제1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에 구성된 통신단말기의 제1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은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에 출력되고 있는 문서데이터(102)를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에서도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콘텐츠콜 앱(130, 130')과, 문서데이터(102)의 콘텐츠에 보강된 태그를 확인해서 상기 태그에 저장된 콜정보를 콘텐츠콜 앱(130, 130')으로 전달하는 태그확인수단(150, 150')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통신단말기(100, 100')는 문서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120, 120')과, 문서데이터(102)를 실행시키는 문서실행수단(140, 140')과, 전화통화를 위해 교환기(200)와 통신하는 전화앱(110, 11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콜 앱(130, 130')과 태그확인수단(150, 150')은 저장수단(120, 120') 또는 전화앱(110, 110')과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전화앱(110, 110')은 2G, 3G 또는 4G 등의 일반 전화망을 통한 음성통화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통상적인 인터넷 전화망을 통한 음성통화 제어용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즉, 전화앱(110, 110')은 상기 문서데이터가 통신하는 데이터라인과는 분리된 별도의 전화라인을 통해 통화신호의 발,수신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고, 상기 데이터라인과 동일한 라인을 통해 통화신호의 발,수신을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통신단말기(100, 100')를 일반 전화망을 통해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통상적인 모바일 기기로 예시한다. 그러나, 통신단말기(100, 100')는 인터넷 통화가 가능한 전화기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전화앱(110, 110')은 통신단말기(100, 100')가 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통신단말기(100, 100')의 부팅시 사용자가 별도로 실행하지 않아도 자동 실행되고, 통신단말기(100, 100')가 ON 상태에서는 그 실행을 지속하면서 폴링(Polling)을 통해 교환기(200)와의 통신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교환기(200)의 통화신호 전송시 이를 능동적으로 수신해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전화앱(110, 110')은 교환기(200)와 약속된 신호체계로 통신상태를 유지하고, 교환기(200)에 의한 제어가 허용된다. 참고로, 통신단말기(100, 100')는 교환기(200)와 기지국(a, a')의 중계로 연결되며, 기지국(a, a')은 일정 반경 범위 내의 통신단말기(100, 100')의 통신을 처리하면서 통신단말기(100, 1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기지국(a, a')을 활용한 무선 통신 기술은 공지,공용되는 관용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교환기(200)와 기지국(a, a')을 각각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수단(120, 120')은 통신단말기(100, 100')의 각종 데이터(문서데이터)를 저장하는 수단으로서, 통신단말기(100, 100')의 OS(Operating system)에 의해 작동 제어된다. 참고로, 상기 데이터(문서데이터)는 전화번호, 사진이미지, 텍스트 파일, 동영상이미지, 음원 파일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저장수단(120, 120')이 통신단말기(100, 100')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통신단말기(100, 100')와 분리된 통상적인 저장서버인 클라우드서버가 적용될 수도 있고, 별도로 운영되는 DB서버가 적용될 수도 있다.
콘텐츠콜 앱(130, 130')은 콘텐츠 중계서버(200')를 중계로 서로 통신하는 통신단말기(100, 100')가 콘텐츠를 포함하는 문서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것으로서, 공유 대상 문서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해 출력되도록 하고, 공유 대상 문서데이터의 출력 상태 조정을 위해 제1,2통화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값을 생성하며, 상기 문서데이터에 대한 출력 제어값에 따라 상기 문서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 및 전송하는 기능 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콜 앱(130, 130')은 콘텐츠 송수신모듈(131)과, 제어값 송수신모듈(132)과, 컨트롤 프로세서(134)로 구성된다.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콘텐츠 콜을 개시하거나 종료하고, 콘텐츠 중계서버(200')의 콘텐츠콜 개시신호에 대응해서 콘텐츠 중계서버(200')와 통신하며, 콘텐츠 중계서버(200')에서 확인된 통화상대의 접속정보인 통신단말기(100, 100')의 할당 IP 및 포트로 통신하는 한편, 저장수단(120, 120')에 저장된 문서데이터를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도록 총괄하는 장치이다.
또한,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문서데이터 검색을 위해 통신단말기(100, 100')의 입력수단(미도시함) 및 저장수단(120, 120')과 연동하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수단 조작을 통해 원하는 문서데이터를 저장수단(120, 120')으로부터 검색해서 통화상대의 통신단말기(100, 1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콘텐츠 송수신모듈(131)과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을 포함한 콘텐츠콜 앱(130, 130')의 정상적인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컨트롤 프로세서(134)와 콘텐츠 중계서버(200')의 접속은 푸시 또는 폴링 등의 통상적인 통신기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자신이 제어하는 출력이미지가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를 커버하도록, 통신단말기(100, 100')의 OS를 제어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콜이 실행되면 전화앱(110, 110')과 콘텐츠콜 앱(130, 130')이 동시에 실행되고, 이로 인해 전화앱(110, 110')의 실행으로 출력되는 출력이미지와, 콘텐츠콜 앱(130, 130')의 실행으로 출력되는 출력이미지(공유 대상 문서데이터 포함) 간의 충돌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가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foreground 되도록 처리해서,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가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를 커버하도록 한다. 결국, 통신단말기(100, 100')는 전화앱(110, 110')에 의한 음성통화 중 콘텐츠콜 앱(130, 130')에 의한 출력이미지를 출력하므로, 제1,2통화자는 상기 음성통화와 동시에 공유 대상 문서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통화자 및 제2통화자는 이렇게 출력되는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를 확인해서 자신이 현재 진행하는 통화가 일반통화인지, 콘텐츠콜 통화인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통신단말기(100, 100')를 적절하게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공유 통화를 위한 통화 개시화면, 공유 중인 웹페이지 또는 공유대상전자문서의 출력화면 및 통화 종료화면 등의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 모두가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상에 foreground 되도록 명령하는 스킴(Scheme)을 적용한다. 안드로이느 OS를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스킴에 "PendingIntent.getActivity" 방식의 명령값을 적용한다.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태그확인수단(150)이 콘텐츠의 링크이미지에 보강된 태그로부터 콜정보를 확인해 전달하면, 콘텐츠콜 앱(130)은 상기 콜정보에 구성된 제2통화자의 연락처를 전화앱(110)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PendingIntent.getActivity" 방식의 스킴 명령값을 활용한다.
"PendingIntent.getActivity" 방식의 스킴 명령값으로 전화앱을 호출하면, 전화앱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하되, 이후에 실행되는 콘텐츠콜앱의 출력이미지가 전화앱의 출력이미지 위에 나타날 수 있도록 호출하는 명령값이다.
참고로, "PendingIntent.getActivity" 방식의 스킴 명령값으로 전화앱을 호출할 경우, 전화앱이 화면에 출력되면서 벨이 울리는 순간, 벨이 울리는 신호를 감지하여, 콘텐츠콜앱(130, 130')의 출력이미지가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에 foreground 되도록 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스킴 명령값이 실행되는 상태는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상에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가 팝업된 상태이므로,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를 강제 닫기 할 경우 정상 출력되고 있는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가 통신단말기(100, 100') 화면에 출력될 것이다. 또한, "ACTION_CALL" 스킴 명령값에 연락처를 포함시켜서 브로드캐스트하면, 전화앱(110, 110')은 상기 스킴 명령값을 인지해서 해당 연락처로 콜을 실행한다.
"ACTION_CALL" 방식의 스킴 명령값과 "PendingIntent.getActivity" 방식의 스킴 명령값의 실행 구조를 간단히 예시한다.
콜 방식("ACTION_CALL')과 연락처를 아래의 스킴으로 우선 세팅해서 전화앱(110, 110')에 신호입력시 콜 방식과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Intent call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CALL, Uri.parse("tel:"+RcvPhoneNum);//
전화앱(110, 110')에 의한 일반전화 연결시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가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를 커버하도록 하는 아래의 스킴 형식으로 세팅해서 전화앱(110, 110')의 출력이미지가 출력되더라도 콘텐츠콜 앱(130, 130')의 출력이미지가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PendingIntent pi = PendingIntent.getActivity(getBaseContext(), REQ_VIEWER_RESULT,callIntent, PendingIntent.FLAG_ONE_SHOT);
pi.send();
참고로, "PendingIntent.getActivity' 방식의 스킴 명령값은 "callIntent"를 통해 이전에 정의된 콜 방식의 스킴과 연결되므로, 상기 콜 방식의 스킴으로부터 전화앱(110, 110')의 동작을 위한 콜 방식과 연락처를 확인한다.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태그확인수단(150, 150')과 연동하면서 태그확인수단(150, 150')으로부터 수신자 정보에 해당하는 콜정보를 수신해서 콘텐츠 콜을 진행시키고, 이를 통해 통화자는 별도의 수작업 없이도 상기 수신자와 콘텐츠 콜을 바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방법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콘텐츠 송수신모듈(131)은 태그확인수단(150, 150')으로부터 수신한 콜정보를 기초로 검색된 문서데이터가 통화상대의 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은 문서데이터의 출력상태 변화(페이지 이동, 확대, 축소, 표시 등)를 위한 발생 제어값을 확인하고, 통화상대인 해당 통신단말기(100, 100')로 상기 제어값이 전송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상태 변화를 예시하면, 다수 페이지로 이루어진 문서데이터의 경우 페이지를 이동 또는 변경하는 것, 특정 부분을 확대하는 것, 특정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따옴표를 붙이거나 괄호를 치는 등의 표시를 하는 것 등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콘텐츠의 출력상태 변화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이 송수신하는 제어값은 문서실행수단(140, 140')을 통해 처리되면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문서데이터의 출력상태를 조정하고, 이를 통해 통화중인 통신단말기(100, 100')는 동일한 출력상태의 문서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전화앱(110, 110')의 통화신호는 교환기(200)를 통해 통신하고, 콘텐츠 송수신모듈(131)의 문서데이터와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의 제어값은 통화상대인 통신단말기(100, 100') 사이에서 데이터 전용 통신망을 통해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화앱(110, 110')은 인터넷 통신망인 데이터 전용 통신망을 통해 통화음성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통신단말기(100, 100')에 저장된 문서데이터를 실행시키는 응용프로그램의 일종으로서, 제1,2통화자는 저장수단(120, 120')에 저장된 문서데이터를 문서실행수단(140)으로 읽어서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상기 문서데이터가 word file인 경우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word 실행프로그램이고, 상기 문서데이터가 power point file인 경우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power point 실행프로그램이며, photoshop file인 경우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photoshop 실행프로그램이며, PDF인 경우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PDF 뷰어일 수 있다. 따라서, 제1,2통화자는 자신의 통신단말기(100, 100') 내 문서실행수단(140, 140')을 활용해서 해당하는 문서데이터를 자유롭게 읽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콘텐츠콜 앱(130, 130')과 연동하도록 되어서 콘텐츠콜 실행 시 동작하고, 통화상대로부터 전송된 문서데이터가 통신단말기(100, 100')의 출력수단(미도시함)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며, 아울러 제어값 생성 또는 수신시 상기 제어값 내용에 따라 문서데이터를 조정해 출력되도록 한다. 결국, 통화 중인 통신단말기(100, 100')의 출력수단을 통해 공유 대상 문서데이터가 동기화돼 출력되고, 출력상태 또한 제어값에 따라 동기화돼 출력되면서, 통화를 진행 중인 제1통화자 및 제2통화자는 동일한 문서데이터 내용을 확인하면서 음성 통화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제1통화자 또는 제2통화자의 입력수단 조작을 확인해서 해당하는 제어값을 생성시키고,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은 상기 제어값을 통화상대의 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 제어값은 문서실행수단(140, 140')이 문서데이터의 출력상태를 조정하기 위해 입력받는 명령데이터 등의 일종으로서, 제1,2통화자가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력수단을 조작하면 통신단말기(100, 100')의 OS는 이를 인지해 입력값을 생성하고,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상기 입력값을 제어값으로 처리해서 약속된 내용에 따라 해당 문서데이터의 출력 상태를 조정한다. 결국,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OS가 아닌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값을 수신하더라도 약속된 제어값이라면 해당 제어값에 따라 문서데이터의 출력 상태를 조정해 출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상태에 대한 실시 예로는 문서데이터의 부분 확대, 축소, 밑줄 긋기, 글씨 쓰기, 부분 지우기, 색칠하기 등이 예시될 수 있고, 제어값은 상기 출력 상태 변화를 위한 명령어가 제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서실행수단(140, 140')은 문서데이터의 파일형식에 따라 결정될 것인데, 일 예로 PDF, CSD 등과 같은 통합문서 포맷 전용 파일형식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고, PPT 등과 같은 파일형식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형식 또는 이미지 파일형식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문서실행수단(140, 140')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 전용으로 형성한 새로운 형식의 통합문서 포맷 파일형식 전용 뷰어가 상기 문서실행수단(140, 140')으로 적용 실시될 수도 있다.
태그확인수단(150, 150')은 문서데이터(102)의 콘텐츠(103, 104, 105)에 보강된 태그를 확인해서 상기 태그에 기록된 콜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콜정보를 콘텐츠콜 앱(130, 130')으로 전달한다. 상기 태그는 태그확인수단(150, 150')이 식별 가능한 스킴(Scheme)으로 작성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통화 연결 및 콘텐츠콜 연결에 필요한 콜정보(파라미터)를 정의한다.
일 예로, 상기 태그는 <a href="Concall://someaction? pNum=01012345678& docid=12345678">Call Center Test </a> 형태의 스킴으로 작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태그의 콜정보에서 연락처는 "010-1234-5678"이고, 식별정보는 "12345678"이다.
제2통화자는 광고 또는 회원가입 등을 목적으로 특정한 콘텐츠를 포함하는 문서데이터(102)를 제작 및 배포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한 콘텐츠에는 제2통화자가 수신할 수 있는 연락처가 포함되는데, 제1통화자가 문서데이터(102)를 통신단말기(100)로 출력할 경우 상기 연락처를 클릭함으로써 상기 제2통화자와 바로 통화연결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연락처의 해당 콘텐츠(103, 104, 105)에 콜정보를 기록한 태그를 보강한다. 여기서, 상기 콜정보는 제2통화자의 연락처와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태그확인수단(150)은 상기 콜정보를 콘텐츠콜 앱(130)으로 전달해서 콘텐츠 콜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며, 콘텐츠콜 앱(130)은 상기 콜정보 중 연락처를 전화앱(110)으로 전달해서 전화앱(110)이 일반전화를 실행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연락처는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와 접속하기 위한 전화번호가 예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콜 앱(130, 130')과 태그확인수단(150, 150') 및 전화앱(110, 110')이 서로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콜 앱(130, 130')과 태그확인수단(150, 150') 및 전화앱(110, 110')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프로그래밍해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런데 콘텐츠콜 앱(130, 130')과 태그확인수단(150, 150') 및 전화앱(110, 110')을 하나로 통합하느냐, 둘로 분리하느냐는 필요에 따른 프로그래밍 방식의 선택일 뿐이며, 프로그램의 통합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기능은 분리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는 콘텐츠콜 앱(130, 130')과 태그확인수단(150, 150') 및 전화앱(110, 110')이 서로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저장방법은 콘텐츠콜 앱(130, 130')과 태그확인수단(150, 150') 및 전화앱(110, 110')의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애플리케이션을 갖는 통신단말기(100, 100')에서도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계속해서, 교환기(200)는 일정 주기로 통신단말기(100, 100')의 전화앱(110, 110')과 통신하면서 통신단말기(100, 100')의 위치를 추적하고, 통화를 위해 해당 통신단말기(100, 100')로부터 전송되는 통신 정보를 수신해서 해당 통화신호를 상대 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200)는 통신단말기(100, 100')들이 상호 간에 정상적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공용의 기술로서, 교환기(200)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와, 이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상기 통신 정보란,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전화앱(110)이 교환기(200)로 전송하는 수신자의 통신단말기(100') 전화번호를 포함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통화신호란, 통화상태를 유지하는 통신단말기(100, 100')의 전화앱(110)이 통화상대의 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하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정보이다.
콘텐츠 중계서버(200')는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에 저장된 문서데이터를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해 공유하도록 중계하는 중계수단(210)을 포함한다. 중계수단(210)은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IP와 제2통화자 통신단말기(1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수신하면,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가 접속할 수 있는 접속 포트(채널)를 개설한 후 IP와 상기 전화번호와 포트정보를 포함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한다. 계속해서, 중계수단(210)은 푸시 또는 폴링과 같은 방식으로 중계수단(210)에 접속하는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가 상기 접속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연관된 접속정보가 확인되면 해당 포트를 통해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와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중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선인터넷(통신망) 서비스 제공자(통신사 서버)는 무선인터넷(통신망) 접속을 시도하는 통신단말기(100, 100')에 각각 IP를 할당하고 접속 포트(채널)를 설정해서 무선인터넷(통신망)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중계수단(210)은 콘텐츠 공유 통신 중 통신단말기(100, 100')로부터 각각 전송되는 제어값을 수신해서 통화상대의 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방법에 의한 문서데이터의 공유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S11; 문서데이터 실행단계
제1통화자는 통신단말기(100)의 저장수단(120)에 저장된 문서데이터(102)를 해당 문서실행수단(140)으로 실행시켜서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의 입출력부(101)에 출력되도록 한다. 제1통화자는 입출력부(101)에 출력되는 문서데이터(102)를 조작하면서 문서데이터(102)에 포함된 각종 콘텐츠(102, 103, 104)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쓰기 또는 편집 등과 같은 작업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문서데이터(102)는 구성 콘텐츠(102, 103, 104)에 콜정보가 포함된 태그가 링크되도록 제작되므로, 제1통화자는 문서데이터(102) 내 해당 콘텐츠(102, 103, 104)를 클릭함으로써 콘텐츠를 공유한 통화를 원터치로 진행할 수 있다.
S12; 콜정보 확인단계
제1통화자는 문서실행수단(140)에 의해 실행 중인 문서데이터(102)에서 전화번호 또는 확인이 필요한 콘텐츠를 클릭해 선택하고, 태그확인수단(150)은 해당 콘텐츠에 보강된 태그의 콜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콜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통화자의 연락처와 문서데이터(102)의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제1통화자는 문서데이터(102)를 확인하는 도중 의문사항이 있거나 문서데이터(102)에서 요구하는 회원 가입 또는 계약 등을 하기 위해서 문서데이터(102)에 기재된 연락처로 음성통화를 시도할 수 있다.
연락처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화번호가 텍스트(103) 형태로 직접 기재되어 있을 수 있고, 전화번호가 직접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이미지(104) 또는 표(105) 등의 형태로 기재될 수도 있다. 여기서, 텍스트(103), 이미지(104) 또는 표(105) 등의 콘텐츠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해 제1통화자의 문의사항에 답변할 수 있는 제2통화자의 연락처와 문서데이터(102)의 식별정보가 태그 형태로 보강된다. 그런데, 문서데이터(102) 내 콘텐츠는 분야별로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기 태그 내 연락처는 콘텐츠별로 특화된 상담사의 직통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S13; 콘텐츠콜 개시단계
태그확인수단(150)은 제1통화자의 클릭에 의한 입력신호에 대응해서 해당 콘텐츠에 보강된 태그의 스킴을 인지하고, 상기 스킴으로부터 콜정보를 확인한다. 계속해서 태그확인수단(150)은 확인한 상기 콜정보를 콘텐츠콜 앱(130)의 컨트롤 프로세서(134)로 전달한다.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상기 콜정보를 수신하고, 콘텐츠 중계서버(200')와 통신하면서 콘텐츠 공유 통화를 위한 통신환경을 조성한다.
한편, 무선인터넷(통신망) 서비스 제공자는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의 무선인터넷(통신망) 접속 시도를 인지하고, 통신에 필요한 IP를 할당한다. 일반적으로 제1통화자 또는 제2통화자와 같은 무선인터넷(통신망) 가입자의 통신단말기(100, 100')에 할당되는 IP는 유동 IP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IP가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상기 무선인터넷(통신망) 서비스 제공자는 무선전화 중계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일 수 있고, 무선인터넷(통신망) 접속 시도를 인지하고 해당 통신단말기(100, 100')에게 IP 할당과 포트를 설정하는 장치는 이동통신사에서 운영하는 통신사 서버일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무선인터넷(통신망)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IP를 할당받은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는 정상적으로 무선인터넷(통신망)에 접속하고,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의 연락처와 IP가 포함된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콘텐츠 중계서버(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컨트롤 프로세서(134)에는 콘텐츠 중계서버(200')의 주소가 저장되어 있고, 콘텐츠콜 개시환경이 조성되면 상기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상기 주소로 자동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통화상대인 제2통화자와의 통화를 위해 필요한 연락처로 전화번호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화번호를 대신해서 콘텐츠 중계서버(200') 접속을 위한 사용자(발신자, 수신자)의 ID, 특정 시리얼넘버(SN) 또는 통신단말기의 기기 식별을 위한 고유넘버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문서데이터의 해당 콘텐츠에 대한 상담자 연락처는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중계서버(200')는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수신하면, 통신을 위한 포트(채널)를 개설하고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의 데이터 통신을 준비한다.
S14; 통화단계
한편,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상기 콜정보에 포함된 제2통화자의 연락처를 전화앱(11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앞서 언급한 'PendingIntent.getActivity' 관련 스킴 명령값에 의해서 상기 연락처를 전화앱(110)으로 전달하고, 전화앱(110)은 상기 연락처에 따라 통상적인 일반전화를 진행한다. 이때, 전화앱(110)의 동작과 동시에 컨텐츠콜 앱(130)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콘텐츠콜 앱(130)의 출력이미지도 출력될 수 있는데, 'PendingIntent.getActivity' 관련 스킴 명령값에 의해 전화앱(110)이 실행되므로, 콘텐츠콜 앱(130)의 출력이미지는 전화앱(110)의 출력이미지를 커버하도록 된다.
전화앱(110)은 제2통화자의 연락처를 포함하는 통신 정보를 교환기(200)로 전송해서 통상적인 전화통화를 시도한다.
교환기(200)는 기지국에 일정간격으로 폴링하는 수많은 통신단말기들 중 상기 연락처에 해당하는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를 확인하고, 제1통화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신호를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교환기(200)를 통한 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전화통화 과정은 공지,공용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음성통화가 진행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15; 문서데이터 검색단계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상기 콘텐츠콜 개시신호 전송과 더불어, 태그확인수단(150)이 전달한 콜정보에서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식별정보는 문서데이터의 파일명, 저장위치 등에 대한 구체정보로서,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상기 식별정보를 기초로 저장수단(120)에서 해당 문서데이터를 검색한다.
S16; 접속정보 통지단계
계속해서, 콘텐츠콜 통신을 위한 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통신을 위해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는 콘텐츠 중계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의 접속정보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정보에는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의 연락처가 포함되므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는 접속정보에 구성된 연락처를 확인해서 자신의 접속정보를 식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콘텐츠 중계서버(200')는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수신하면, 푸시 또는 폴링 기법을 이용해서 접속정보를 해당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로, 푸시 기법이 적용된 콘텐츠 중계서버(200')는 상기 접속정보를 푸시 신호 형태로 변환하고, 해당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으로 전송함으로써,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가 푸시 신호 형태의 상기 접속정보를 수신할 때 비로소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는 상기 접속정보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콘텐츠 중계서버(200')에 일정 주기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상기 푸시 신호의 수신을 통해 곧바로 상기 접속정보를 확인하고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와의 직접 통신을 준비할 수 있으므로, 통신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푸시 신호는 콘텐츠 중계서버(200')에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공지,공용의 푸시(PUSH) 서비스를 통해 제2통화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제2통화자가 조작하거나 상기 푸시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한 별도 구동 없이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푸시 신호를 콘텐츠콜 앱(130')이 수신하면, 콘텐츠콜 앱(130')은 전용 출력이미지를 출력하면서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푸시 신호의 접속정보를 확인해서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준비한다.
한편, 푸시 서비스가 적용될 경우, 푸시서버(미도시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푸시서버는 통신단말기가 업데이트를 위해 다양한 서버에 폴링을 지속적으로 시도함으로써 발생하는 망 부하를 줄이고, 비효율적으로 소모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시서버는 콘텐츠 중계서버(200')의 푸시 신호를 중계해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결국,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상기 푸시서비스를 통해서도 상기 푸시 신호를 인지하여 해당 접속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콘텐츠콜 앱(130, 130')은 S60웹브라우저, 사파리, 블레이저, 파이어폭스 모바일,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바일, 아이리스 브라우저 등과 같은 공지,공용의 모바일 웹 브라우저와 연동해서 푸시 기법 등을 통해 해당 접속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속정보를 근거로 통화상대의 통신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콘텐츠콜 앱(130, 130')은 상기 모바일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무선인터넷(통신망)에 접속하고, 공지,공용의 통신 프로토콜 규약에 의거하여 IP와 포트정보에 해당하는 서버 또는 다른 통신단말기(100, 100')에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S17; 접속단계
콘텐츠 중계서버(200')로부터 해당 접속정보를 수신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상기 접속정보에 포함된 IP 및 포트정보에 해당하는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와 통신망 접속을 완료해서, 연결을 대기 중인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과의 통신을 완료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을 위해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접속을 시도하는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의 IP를 확인하고, 이로써 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쌍방향통신 환경이 조성된다.
S18; 문서데이터 공유단계
콘텐츠 중계서버(200')를 매개로 한 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접속이 완료되면,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으로 문서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콜 앱(130')은 자체 출력이미지가 전화앱(130')의 출력이미지에 비해 foreground 되도록 처리되어서, 제2통화자가 콘텐츠콜이 실행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통화를 위한 음성데이터 처리는 교환기(200)로부터 통화신호를 수신한 전화앱(110')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일반 음성통화는 전화앱(110')과 콘텐츠콜 앱(130')의 병행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문서데이터의 수신은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콘텐츠 송수신모듈(131)이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문서데이터를 저장수단(120')으로 다운로드 함으로써 진행되고,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해당 문서데이터가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출력된다.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에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 전송되는 공유 대상 문서데이터는 콘텐츠 중계서버(200')를 통해 전송된다.
S19; 제어값 통신단계
통신단말기(100, 100') 간의 콘텐츠 콜이 개시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기(100, 100')의 출력수단에는 문서실행수단(140, 140')에 의해 문서데이터의 특정이미지(102, 102')가 출력된다. 최초 출력되는 문서데이터의 특정이미지(102, 102')는 일반적으로 해당 문서데이터의 1페이지가 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무작위로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문서실행수단(140)에 의해 출력된 문서데이터(102)에 제1통화자가 화면변화(페이지 이동, 확대, 축소, 표시 등)를 실시하는 경우는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이 이를 인지하고 해당 제어값을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 직접 전송한다(제어값 송신단계).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은 상기 제어값를 수신한 후 이에 상응하는 상기 문서데이터(102')를 확인해 출력되도록 문서실행수단(140')을 제어한다(제어값 수신단계).
결국,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100') 내 문서데이터의 출력 상태는 동기화되고, 이를 통해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는 화면변화에 따른 동일한 문서데이터 내용을 통화 중에 공유하면서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해 설명하면, 제1통화자가 통신단말기(100)의 입력수단을 조작해서 현재 문서실행수단(140)이 출력하고 있는 문서데이터의 화면변화를 일으키면,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은 상기 화면변화에 해당하는 제어값를 인지해서 콘텐츠 중계서버(200')로 전송한다. 계속해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는 콘텐츠 중계서버(200')에 접속하고,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제어값 송수신모듈(132)은 상기 제어값을 문서실행수단(140')에 전달해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 내 문서데이터가 상기 화면변화에 상응하게 출력되도록 한다.
여기서, 문서데이터의 화면변화는 문서데이터의 페이지 조정, 페이지 일부의 확대, 페이지 일부의 표시 등이 될 수 있고, 이외에도 문서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편집 등이 상기 화면변화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제1통화자가 문서데이터를 제2통화자에게 일방적으로 전송하고, 제1통화자만이 문서데이터의 조정을 일방적으로 하는 것으로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문서데이터의 상기 조정은 제1통화자와 제2통화자가 교대로 진행할 수도 있다.
S20; 콘텐츠콜 종료단계
제1통화자 또는 제2통화자의 조작에 따라 컨트롤 프로세서(134)는 통화종료신호를 상대방의 통신단말기(100, 100')로 전송한다. 상기 통화종료신호는 제1,2통화자 또는 제1,2통화자의 통상적인 통화 종료 조작을 통해 생성 및 발신되는 것으로서, 전화앱(110, 110')과 교환기(200) 간의 통화 종료 절차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통신단말기(100, 100')에서는 제1통화자 또는 제2통화자가 문서데이터의 저장을 선택하거나 문서데이터를 강제로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되면, 통화 종료시 해당 통신단말기(100, 100')는 상기 문서데이터를 저장하고, 콘텐츠콜 앱(130, 130')은 종료한다.
반면, 문서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으로 선택되거나 강제 삭제하는 것으로 설정되면, 해당 문서데이터는 통신단말기(100, 100')에서 삭제된 후 콘텐츠콜 앱(130, 130')은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시스템의 제2실시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 시스템은 화면출력수단(160, 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화면처리모듈(133)이 구성되어서, 사용자가 문서데이터 중 해당 콘텐츠를 클릭하면 통신단말기(100, 100')에 구성된 화면출력수단(160, 160')이 현재 화면을 이미지 프린팅하도록 한다. 참고로, 화면출력수단(160, 160')은 입출력부(101) 상에 출력되고 있는 화면내용을 이미지화하는 공지,공용의 솔루션으로서, 화면처리모듈(133)은 통신단말기(100, 100')의 OS에 의해 구동하는 화면출력수단(160, 160')을 제어해서, 사용자가 문서데이터의 해당 콘텐츠 클릭을 수신하면 통신단말기(100, 100')의 입출력부(101)에 현재 출력되고 있는 화면내용을 이미지화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화면처리모듈(133)은 화면출력수단(160, 160')이 이미지화한 이미지데이터를 공유 통화 시스템의 형식에 맞는 파일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면출력수단(160, 160')이 캡처한 화면내용은 BMP, JPG, TIFF, GIF 등, 다양한 확장자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 시스템 전용 확장자 형식으로 한정해 변환 및 저장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유 통화방법은 화면내용 캡처 방식을 통해 문서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공유 통화 시스템에서 뷰어할 수 없는 문서형식은 물론 직접적인 전송이 곤란한 일반 웹페이지 정보 등도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에서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해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화면처리모듈(133)에 의해 변환된 이미지데이터는 문서데이터로서 전술한 절차에 따라 제1,2통화자 간의 통신 및 데이터 공유가 속행되고, 이를 통해 제1,2통화자는 상기 문서데이터를 공유하면서 통화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 통신단말기 110, 110'; 전화앱 120, 120'; 저장수단
130, 130'; 콘텐츠콜 앱 131; 콘텐츠 송수신모듈 132; 제어값 송수신모듈
134; 컨트롤 프로세서 140, 140'; 문서실행수단 150, 150'; 태그확인수단
200; 교환기 200'; 콘텐츠 중계서버 210; 중계수단

Claims (5)

  1.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전송하는 제1단계; 콘텐츠 중계서버에서 상기 콘텐츠콜 개시신호를 수신하여 포트를 개설하고, 접속정보를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제2통화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상기 접속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포트를 매개로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과 연결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전화앱의 통화신호는 교환기를 통해 교환되고, 상기 콘텐츠 중계서버에 개설되는 상기 포트와 상기 접속정보를 기초로, 콘텐츠가 공유되는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문서실행수단이 콜정보가 기록된 태그를 갖춘 콘텐츠를 포함한 문서데이터를 실행시키는 문서데이터 실행단계; 상기 통신단말기 내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제1통화자의 조작으로 선택된 상기 콘텐츠의 콜정보로부터 제2통화자의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콜정보 확인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태그확인수단이 상기 연락처와 상기 문서데이터의 식별정보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문서데이터를 검색해서 콘텐츠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콜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계 이후,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연락처를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전화앱으로 전달해서, 상기 전화앱이 교환기를 매개로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와 통화신호를 교신하도록 하는 통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콜 단계는
    상기 콘텐츠 중계서버가 상기 문서데이터를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통화자의 통신단말기 내 콘텐츠콜 앱이 수신한 상기 문서데이터가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단계는
    상기 콘텐츠콜 앱이 상기 연락처를 상기 전화앱에 전달해서 상기 전화앱이 실행되도록 하되, 상기 콘텐츠콜 앱의 실행으로 출력되는 출력이미지는 상기 전화앱의 실행으로 출력되는 출력이미지를 커버하도록 처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콜 개시신호는 상기 제1통화자의 통신단말기의 IP와 제2통화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5. 삭제
KR1020130005519A 2013-01-17 2013-01-17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KR101517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19A KR101517928B1 (ko) 2013-01-17 2013-01-17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PCT/KR2014/000230 WO2014112742A1 (ko) 2013-01-17 2014-01-09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19A KR101517928B1 (ko) 2013-01-17 2013-01-17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18A KR20140093118A (ko) 2014-07-25
KR101517928B1 true KR101517928B1 (ko) 2015-05-06

Family

ID=5120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19A KR101517928B1 (ko) 2013-01-17 2013-01-17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17928B1 (ko)
WO (1) WO201411274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6544A1 (en) * 2006-10-19 2008-04-24 Cingular Wireless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ile sharing through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860B1 (ko) * 2002-04-29 2004-04-28 주식회사 세주씨엔씨 원클릭 인터넷 전화연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18473B1 (ko) * 2007-12-26 2011-03-02 (주) 디아이지 커뮤니케이션 모바일용 웹페이지 변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624894B1 (ko) * 2009-10-15 2016-06-0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패킷 통화 중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서비스 시스템
KR20120087329A (ko) * 2011-01-18 2012-08-07 안병모 콜백 url을 이용한 ars시스템 연계와 그에 따른 인터넷 전화 연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6544A1 (en) * 2006-10-19 2008-04-24 Cingular Wireless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ile sharing through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18A (ko) 2014-07-25
WO2014112742A1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6248B (zh) 通讯管理功能
US200702579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stations
US8069222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services based on network
CN108833585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1835108B (zh) 一种定制来电助手业务提醒信息的系统和方法
US10924529B2 (e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using widget window
CN101867641A (zh) 信息显示暨回复的系统及其方法
CN104518950A (zh) 实现语音对讲的方法和系统以及语音对讲服务器
JP5442409B2 (ja) 呼接続制御装置、発信者識別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874087B1 (ko) 무선 태그를 이용한 통화 기능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79089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17928B1 (ko) 통화기능이 포함된 문서를 기반으로 한 통화중 문서화면 공유방법
JP5802116B2 (ja) データ共有機能を有した通話システム
KR101495814B1 (ko) 모바일 웹페이지에서의 통화연결과 동시에 콘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JP4153823B2 (ja) Ip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着信未応答時メッセージ報知方法
JP5016555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pc上のブラウザ表示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制御プログラム
JP2010141416A (ja) 伝言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
CN101217610B (zh) 基于媒体服务器的传真方法
JP2020205486A (ja) 電話端末、内線電話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プログラム、およびカメラ付きドアホンからの着信通知方法
KR101455194B1 (ko) 공유 콘텐츠에 대한 통화정보 저장방법과 저장시스템
KR102324391B1 (ko) 발신자 단말기의 등록전화번호정보를 사용해 ip 폰에서 전화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938723A (zh) 视频通话博客服务提供装置及方法
JP5678473B2 (ja) 情報処理端末
US11012549B2 (en) Smart phone with a text recognition module
KR101381312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 콘텐츠 공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