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560B1 -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560B1
KR102087560B1 KR1020190144091A KR20190144091A KR102087560B1 KR 102087560 B1 KR102087560 B1 KR 102087560B1 KR 1020190144091 A KR1020190144091 A KR 1020190144091A KR 20190144091 A KR20190144091 A KR 20190144091A KR 102087560 B1 KR102087560 B1 KR 10208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nformation
game item
transaction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795A (ko
Inventor
전성민
이정훈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56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9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unlocking hidden game elements, e.g. features, items, leve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며,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유저 단말, 게임의 진행을 관리하며, 게임상의 유저의 식별정보인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유저 ID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서버, 및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금융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정보는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서버는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공공 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게임 유저 ID 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금융 서버는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금액의 지불을 행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GAME ITEM TRADING SYSTEM, INTERMEDIATING SERVER, GAME USER TERMINAL AND GAME ITEM TRADING METHOD}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와 매수자 간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에 송신하고,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추출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 변동 및 게임 아이템 거래에 따른 거래 금액 지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 가정용 콘솔이나 개인용 컴퓨터 플랫폼에서 실행되던 스탠드 얼론(Stand Alone) 형태의 게임은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급과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 온라인 게임으로 진화되고 있다.
온라인 게임은 간단한 조작만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아케이드 게임으로부터 각 게이머(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 협업하여 미션을 수행하는 게임에 이르기까지 진화되고 있으며, 최근 다양한 연령층 사이에서 저변이 점차 확대되고, 온라인 게임의 장르 역시 매우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여 자신의 캐릭터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간 또는 NPC(Non Player Character)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게임을 진행하는 MMORP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가 큰 인기를 얻고 있다.
MMORPG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계정을 만들고, 게임 내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성장시킴으로써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캐릭터를 성장시킨다는 것은 캐릭터의 경험치를 축적시킴으로써 캐릭터의 레벨을 올리나, 아이템을 획득하여 캐릭터의 능력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캐릭터가 보유한 아이템(장비, 무기 등)에 의해 캐릭터의 능력치가 획기적으로 상승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아이템을 획득하는 것은 MMORPG를 즐기는 사용자들에게는 이미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한편, 온라인 게임 내에서의 아이템의 중요도가 이처럼 점차 높아지면서 사용자들이 게임 외부에서 개인적으로 서로 아이템을 교환하거나 매매하는 현상이 자연스럽게 발생하게 되었다. 즉,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를 위한 별도 게시판에 판매 또는 구매를 희망하는 글을 게시하면, 해당 게임 아이템의 판매 또는 구매를 원하는 다른 사용자가 연락을 취하여 서로 게임에 접속하여 게임 내에서 아이템을 거래한 다음 대가를 지불하는 거래 행위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대가의 지불은 게임 머니 또는 주로 현실 화폐로 이루어지지만, 대가를 수령하고 게임 아이템을 양도하지 않는 등의 다양한 거래 사고 또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간 게임 아이템 거래의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일부 MMORPG의 경우 게임 아이템 거래소를 통해 게임 사용자간 게임 아이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게임 아이템 거래소를 통한 거래의 내역은 게임 아이템 거래소의 서버 내의 관련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만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거래 내역의 공공성이 확인되기 힘들고, 해킹 등을 통해 거래 내역이 변조될 위험이 상존한다. 또한, 게임 아이템 거래소를 통한 게임 아이템의 거래는 현실 화폐가 아니라 주로 게임 머니를 지불함으로써 행해지는 불편이 있으므로, 게임 유저들은 여전히 개인간 아이템의 직접 거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개인 간 게임 아이템 직접 거래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285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간 게임 아이템 거래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와 매수자 간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에 송신하고, 유효한 것으로 승인된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추출한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 변동 및 거래 금액 지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은,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며,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유저 단말, 게임의 진행을 관리하며, 게임상의 유저의 식별정보인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유저 ID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서버, 및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금융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정보는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서버는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공공 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게임 유저 ID 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금융 서버는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금액의 지불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를 위한 게임 유저 단말은,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며, 상기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는,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상기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고, 상기 거래 정보는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의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정보를 중개하는 중개 서버는, 게임 유저의 거래자 ID,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게임 아이템 거래 별로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신규로 포함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거래 당사자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각각 게임 서버 및 금융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의 처리 방법은,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유저 단말로부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의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단계,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을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연결하는 단계, 유효한 것으로 승인된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게임상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게임 유저 ID와 추출된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게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획득한 실명 정보와 추출된 거래 금액 정보를 금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은,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 게임의 진행을 관리하며, 게임상의 유저의 식별정보인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유저 ID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서버, 및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금융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정보는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의 거래소 ID,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는, 게임 유저의 거래자 ID,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는,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공공 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신규로 포함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거래 당사자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각각 상기 게임 서버 및 상기 금융 서버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와 매수자 간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에 송신하여 게임 아이템 블록이 생성 및 연결되고, 유효한 것으로 승인된 블록체인으로부터 추출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템의 소유자 변동 및 거래 금액 지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개인 간 게임 아이템 거래의 안전과 공공성을 확보하고, 해킹 등을 통해 거래 내역이 변조될 위험을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체인은 주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가상 화폐 거래에서 활용되고 있는 네트워크상의 공공 장부인데,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내역을 기록하는 공공 장부로서의 블록체인(10)은 게임 아이템의 모든 유효한 거래 내역이 기재되어 있으며, 블록체인 내의 각 블록(11)들은 생성 시간 순서대로 이전 블록에 연결된다.
블록체인(10)에 기록되는 게임 아이템 거래 내역으로서의 거래 정보는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및 거래 금액을 포함하며, 암호화된 게임 유저 ID 및 암호화된 실명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거래자 ID에는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이름, 주민번호 등)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는 기본적으로 익명성을 갖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래 정보에 실명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를 암호화하여 포함시킨다.
이러한 거래정보가 블록체인(10)에 기록되기 위해, 먼저 신규로 이루어진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정보가 네트워크상으로 방송된다. 방송된 거래 정보는 즉시 유효화(Validate)되는 것(즉, 거래가 승인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블록 생성자(미도시) 또는 채굴자(miner)(미도시)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후보 블록(12', 12'', …)에 저장된다. 후보 블록은 소정의 시간(예컨대, 10분) 동안 네트워크상으로 방송된 신규 거래의 거래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블록체인(10)을 이루는 각 블록(11)은 헤더(Header), 거래 카운트(transaction count), 블록 컨텐츠(block contents)로 이루어지는데, 헤더는 블록의 전반적인 내용의 요약본으로서, 블록체인의 이전 블록과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정보(Previous block hash) 등이 포함된다. 거래 카운트는 해당 블록내에 몇 개의 거래 내역(거래 정보)이 기록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블록 컨텐츠에는 해당 블록에 저장되는 거래 내역의 구체적인 정보(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거래 정보)가 기록된다.
하나의 후보 블록(12')에는 블록체인에 마지막으로 연결된(즉, 유효화된 또는 승인된) 블록(예컨대, 도 1의 블록 2) 이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상으로 방송된 복수의 거래 내역이 저장된다. 해당 시간 동안 복수의 블록 생성자 또는 채굴자에 의해 생성된 후보 블록(12', 12'', …) 중 1/2 이상이 서로 동일한 거래 내역을 포함하여, 해당 후보 블록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면, 해당 후보 블록은 블록체인에 연결되며, 해당 블록에 포함된 복수의 거래 내역들은 유효한 거래 내역으로 인정 내지 승인된다.
이렇게 새로운 거래 내역이 추가된 블록체인은 네크워크상으로 방송되어, 네크워크상의 여러 노드(블록생성자, 채굴자, 유저 단말, 중개 서버, 게임 서버, 금융 서버, 거래소 서버 등)를 포함하는 모든 지갑 사용자에게 배포된다. 판매자 및 구매자는 자신의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를 통해, 해당 게임 아이템의 거래가 유효하게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상에 기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를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블록체인이라는 분산형 공공 장부에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20)에 접속되어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를 생성 및 방송(broadcast)하는 유저 단말(예컨대, 판매자 단말(30) 및 구매자 단말(40)), 게임의 진행을 수행하고 게임 아이템을 관리하는 게임 서버(50)와, 게임 아이템 거래에 따른 지불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서버(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30, 40)에는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상으로 방송한다. 이러한 거래 정보는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및 거래 금액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실시환경에 따라 암호화된 게임 유저 ID(게임 접속시 사용되는 ID로서 거래자 ID와는 구분됨) 및 암호화된 실명 정보(예컨대, 이름, 주민등록번호, 계좌 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아이템 정보는 거래 대상 아이템이 속하는 게임에 대한 정보(게임명) 및 아이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30, 40)로부터 네트워크(20)상으로 거래 정보가 방송되면, 해당 거래 정보는 네트워크상의 다수의 채굴자 또는 블록 생성자에 의해 후보 블록(12', 12'',…)에 기록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후보 블록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면, 해당 후보 블록이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해당 후보 블록에 포함되어 있던 거래 정보(거래 내역)가 유효한 거래 정보로 인정 내지 승인된다.
이렇게, 업데이트된 게임 아이템 블록 체인(10)은 네트워크상으로 방송되어, 게임 서버(50), 금융 서버(60)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에 배포된다.
게임 서버(50)는 해당 게임의 진행을 수행하고 관리하는 서버로서,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공공 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에 기초하여 게임 유저 ID 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즉, 게임 서버(50)는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51) 및 거래자 ID와 게임 유저 ID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52)를 포함하는데, 게임 서버(50)의 제어부(51)는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에 기록된 거래 정보 중 판매자의 거래자 ID, 구매자의 거래자 ID 및 게임 아이템 정보를 추출한다. 게임 서버(50)의 제어부(51)는 추출된 판매자의 거래자 ID 및 구매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52)로부터 판매자 및 구매자의 게임 유저 ID를 획득한다. 그리고, 추출된 게임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게임 유저 ID로부터 구매자의 게임 유저 ID로 해당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변경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구체적인 실시 환경에 따라,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 추출한 거래 정보 중 암호화된 게임 유저 I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게임 유저 ID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판독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으므로, 연관된 게임 유저 ID를 찾기 위한 데이터베이스(52)의 검색은 생략될 수도 있다.
금융 서버(60)는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공공 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에 기초하여 해당 게임 아이템의 거래 금액의 지불을 행한다. 금융 서버(60)는 게임 아이템 거래의 지불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61)와 판매자/구매자의 거래자 ID와 이들의 실명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62)를 포함한다. 금융 서버(60)의 제어부(61)는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의 신규의 거래 정보로부터 판매자의 거래자 ID 및 구매자의 거래자 ID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추출한다. 금융 서버(60)의 제어부(61)는 추출된 판매자/구매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62)로부터 판매자/구매자의 실명 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계좌 번호, 신용카드 번호 등)를 획득하며, 획득한 실명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의 금융 계좌로부터 판매자의 금융 계좌로 거래 정보에 포함된 거래 금액 정보에 해당하는 거래 금액의 지불을 수행한다. 이러한 거래 금액의 지불은 구체적인 실시 환경에 따라 계좌 이체, 신용 카드, 가상 화폐 송금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금융 서버(60)는 유효하게 이루어진 거래 금액 지불에 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국세청 서버(미도시)에 송부할 수도 있다.
한편, 구체적인 실시 환경에 따라,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 추출한 거래 정보 중 암호화된 실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판매자 및 구매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 번호 등을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판독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으므로, 거래자 ID와 연관된 실명 정보를 찾기 위한 데이터베이스(62)의 검색이 생략될 수도 있다.
게임 서버(50) 및 금융 서버(60)에 의한 게임 아이템 소유자 변경 및 거래 대금 지불 처리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게임 서버(50)의 제어부(51)과 금융 서버(60)의 제어부(61) 각각은 유저 단말(30, 40)로 거래 완료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SMS) 또는 전자메일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 의한 거래가 완료된다.
이렇듯,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게임 아이템 거래자가 유저 단말(30, 40)을 통해 네트워크상으로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를 방송함으로써,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에 신규로 행해진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정보가 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하며, 게임 서버(50) 및 금융서버(60)가 유효한 것으로 승인된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소유자의 변경 내지 업데이트 및 거래 금액의 지불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성 및 안정서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게임 서버(50)와 금융 서버(60)가 분리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게임 서버(50)와 금융 서버(60)는 통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는 게임 아이템 거래를 위한 중개 서버(70)가 추가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과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개 서버(70)는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 관련 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게임 서버(50) 및 금융 서버(60)에 공급하기 위한 거래 정보 중개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71),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구매자의 거래자 ID와 게임상의 게임 유저 ID를 연관시키는 제1 데이터베이스(72),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구매자의 거래자 ID와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제2 데이터베이스(73)를 포함한다.
중개 서버(70)의 제어부(71)는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 신규로 이루어진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거래 정보 중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구매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72)로부터 판매자/구매자의 게임 유저 ID를 획득한다. 제어부(71)는 획득된 판매자/구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추출된 거래 정보 중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게임 서버(50)에 송신한다.
게임 서버(50)의 제어부(51)는 중개 서버(70)로부터 수신한 게임 아이템 거래의 판매자/구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판매자로부터 구매자로 해당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가 변경되도록 변경처리를 수행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중개 서버(70)가 제1 데이터베이스(72)로부터 판매자/구매자의 게임 유저 ID를 획득하기 때문에, 게임 서버(50)는 거래자 ID와 게임 유저 ID를 연관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인 실시 환경에 따라,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 추출한 거래 정보 중 암호화된 게임 유저 I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게임 유저 ID를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판독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으므로, 연관된 게임 유저 ID를 찾기 위한 제1 데이터베이스(72)의 검색이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중개 서버(70)의 제어부(71)는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 추출된 거래 정보 중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구매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73)로부터 판매자/구매자의 실명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71)는 획득된 판매자/구매자의 실명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계좌 번호, 신용카드 번호 등) 및 추출된 거래 정보 중 거래 금액 정보를 금융 서버(60)로 송신한다.
금융 서버(60)의 제어부(61)는 중개 서버(70)로부터 수신한 게임 아이템 거래의 판매자/구매자의 실명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구매자로부터 판매자로 거래 금액의 지불 처리를 수행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중개 서버(70)가 제2 데이터베이스(73)로부터 판매자/구매자의 실명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금융 서버(60)는 거래자 ID와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구체적인 실시 환경에 따라,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 추출한 거래 정보 중 암호화된 실명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판매자 및 구매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계좌 번호 등을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판독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으므로, 거래자 ID와 연관된 실명 정보를 찾기 위한 제2 데이터베이스(73)의 검색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중개 서버(70)가 게임 아이템 소유자의 변경처리 및 거래 금액의 지불 처리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데이터베이스(72)와 제2 데이터베이스(73)를 별도로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제1 데이터베이스(72)와 제2 데이터베이스(73)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통합될 수도 있다.
이렇듯,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개 서버(70)가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게임 아이템의 신규 거래에 대한 거래 정보를 추출하여, 게임 서버(50) 및 금융 서버(60)가 직접 처리할 수 있는 관련 정보(게임 아이템 정보, 게임 유저 ID, 실명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게임 서버(50) 및 금융 서버(60)는 종전의 서버 시스템 구조를 가져도 된다. 즉, 중개 서버(70)가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과 게임 서버(50) 및 금융 서버(60)를 중개하기 때문에 중개 서버(70)만이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거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시스템(데이터베이스)을 구비하면 된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복수의(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를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수의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이하, “거래소 서버”라 칭함)(80, 90)가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한,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는 게임 아이템 거래를 위한 거래소 서버(80, 90)가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고,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에 반영된 거래 정보를 게임 서버(50) 및 금융 서버(60)로 전달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과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제3 실시예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와 구매자는 유저의 유저 단말(30, 40)을 사용하여 거래소 서버(80, 90)에 거래자 ID로서 로그인하여, 판매 또는 구매하고자 하는 게임 아이템 정보를 전달한다. 게임 아이템 정보는 거래 대상 아이템이 속하는 게임에 대한 정보(게임명) 및 아이템명을 포함할 수 있다.
거래소 서버(80, 90)에는 게임 유저가 소유한 게임 아이템을 관리하고,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기 위해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게임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의 기능에 상응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이러한 게임 아이템 거래 소프트웨어에는 거래소별로 거래소 ID와 같은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된다. 즉,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유저 단말(30, 40)에서 상술한 거래 정보를 생성 및 방송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 아이템의 판매자 및 구매자가 가입 및 로그인한 거래소 서버(80, 90)에서 거래 정보를 생성 및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한다.
구체적으로, 판매자와 가입자가 특정 거래소 서버(80)에 각자의 거래자 ID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면, 해당 거래소 서버(80)의 제어부(81)는 제1 데이터베이스(82)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인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된 유효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81)가 등록된 유효한 사용자라고 판단하면 거래소 서버(80)로의 접속을 허가하고 로그인이 완료된다. 참고로, 거래자 ID는 게임 서버(50)에 실제 로그인하기 위한 게임 유저 ID와는 구별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실시 환경에 따라, 예컨대 게임 사업자가 게임 서버(50) 내에 게임 거래소 서버(80, 90)를 두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게임 서버(50)와 거래소 서버(80, 90)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서버일 수 있고, 또한 거래자 ID 및 게임 유저 ID는 동일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게임 서버(50)와 거래소 서버(80, 90)를 개념적으로 분리하고, 그에 따라 거래자 ID를 게임 유저 ID와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판매자는 판매할 게임 아이템을 특정 거래소 서버(80)에 등록한다. 즉, 판매자로부터 게임 아이템 정보와 원하는 금액 정보를 전송받은 거래소 서버(80)는 거래자 ID와 게임 유저 ID를 연관짓는 정보가 저장된 제2 데이터베이스(83)에 기초하여, 판매 대상 게임 아이템이 해당 판매자의 소유권 하에서 게임 서버(50)에 유효하게 존재하는지를 판정하고, 유효한 경우, 판매 대상 게임 아이템을 거래소 서버(80)에 등록한다.
판매자와 마찬가지로 구매자도 거래자 ID를 이용하여 특정 거래소 서버(80)에 로그인하고, 거래소 서버(80)에 등록되어 있는 게임 아이템을 검색하여 원하는 게임 아이템이 존재하는 경우, 구매 의사를 표시하는 정보를 거래소 서버(80)로 전송한다. 구매자는 거래소 서버의 UI 구현 형태에 따라 원하는 게임 아이템 찾기의 형태로 검색할 수도 있고, 거래소 서버(80)에 등록된 판매 대상 아이템의 리스트를 보면서 선택할 수도 있다.
거래소 서버(80)의 제어부(81)는 판매자와 구매자에 의해 특정 게임 아이템에 대한 특정 거래 금액이 합의된 경우, 거래소 ID, 판매자 및 구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20)상에 방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래 정보는 암호화된 게임 유저 ID 및 암호화된 실명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거래소 서버(80)로부터 네트워크(20)상으로 방송된 신규 거래 정보는 채굴자나 블록 생성자에 의해 게임 아이템 후보 블록(12', 12'',…)에 기록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후보 블록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면, 해당 후보 블록이 이전 블록체인에 연결되며, 해당 블록에 포함된 거래 정보(거래 내역)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 내지 승인된다.
거래소 서버(80)는 유효하게 승인된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의 거래 정보 중 자신의 거래소 ID가 포함된 거래 정보로부터 추출한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83)로부터 게임 유저 ID를 획득하고, 이를 게임 아이템 정보와 함께, 게임 서버(50)로 전송한다.
게임 서버(50)의 제어부(51)는 수신된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아이템 정보에 따라 해당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처리를 행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거래소 서버(80)가 제2 데이터베이스(83)로부터 판매자/구매자의 게임 유저 ID를 획득하기 때문에, 게임 서버(50)는 거래자 ID와 게임 유저 ID를 연관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거래소 서버(80)는 유효하게 승인된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의 거래 정보 중 자신의 거래소 ID가 포함된 거래 정보로부터 추출한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거래자 ID와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인 제3 데이터베이스(84)로부터 판매자 및 구매자의 실명정보(이름, 주민등록번호, 계좌 번호 등)를 획득한다. 거래소 서버(80)의 제어부(81)는 획득한 거래자 ID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와 제3 데이터베이스(84)에 저장된 실명 정보를 금융 서버(60)로 전송한다.
금융 서버(60)의 제어부(61)는 거래소 서버(80)로부터 수신한 실명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계좌 이체 등의 지불 처리를 행함으로써 게임 아이템 거래가 완료된다. 제3 실시예에서는 거래소 서버(80)가 제3 데이터베이스(84)로부터 판매자/구매자의 실명 정보를 획득하기 때문에, 금융 서버(60)는 거래자 ID와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게임 아이템 거래 소프트웨어”를 갖는 다른 거래소 서버(90)도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10)으로부터의 거래 정보를 추출해 낼 수는 있지만, 다른 거래소 서버(90)의 제2 데이터베이스(93) 및 제3 데이터베이스(94)에는 거래 유저 ID와 특정 게임 유저 ID를 연관짓는 정보 및 거래 유저 ID와 특정 실명 정보를 연관짓는 정보가 없으므로(즉, 판매자 및 구매자가 사전에 이를 미리 등록하여 두지 않았으므로), 이러한 거래소 서버(90)는 해당 거래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서버(50) 및 금융 서버(60)에 소유자 변경 및 지불 처리를 요청할 수 없다. 즉, 네트워크상의 거래소 서버들은 해당 거래소를 통해 게임 아이템을 거래한 거래자와 연관된 고유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기 때문에,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 정보 중 자신의 거래소 ID를 포함한 거래 정보에 대해서만,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 변경 및 지불 처리가 가능해 진다.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을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유저 단말로부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의 거래 정보가 네트워크 상으로 방송된다(S1).
다음으로, 신규의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블록이 생성된다(S2).
다음으로, 생성된 게임 아이템 블록을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연결한다(S3).
다음으로, 중개 서버(70)는 유효한 것으로 승인된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신규의 거래 정보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 정보 및 거래 금액 정보를 추출한다(S4).
다음으로,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 및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게임상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획득한다(S5).
다음으로, 획득한 게임 유저 ID와 추출된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게임 서버로 송신한다(S6).
마지막으로, 획득한 실명 정보와 추출된 거래 금액 정보를 금융 서버로 송신한다(S7).
스텝 S6에서는, 중개 서버(70)를 상정하여, 중개 서버(70)가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게임상의 게임 유저 ID를 획득하고 추출된 게임 아이템 정보와 함께 게임 서버로 송신하는 예(제2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동작은 게임 서버(50)에 내에서 직접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스텝 S7에서도 중개 서버(70)를 상정하여, 중개 서버(70)가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거래자 ID에 기초하여 실명 정보를 획득하고, 추출된 거래 금액 정보와 함께 금융 서버(60)로 송신하는 예(제2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동작은 금융 서버(60) 내에서 직접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유저 단말에 설치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와 공공장부로서의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을 이용한 게임 아이템 거래를 통해 개인 간 게임 아이템 거래의 안전과 공공성을 확보하고, 해킹 등을 통해 거래 내역이 변조될 위험을 경감할 수 있으며, 게임 아이템 거래의 양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10: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
20: 네트워크
30, 40: 유저 단말
50: 게임 서버
60: 금융 서버
70: 중개 서버
80, 90: 거래소 서버

Claims (9)

  1.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거래 및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며,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유저 단말,
    게임의 진행을 관리하며, 게임상의 유저의 식별정보인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유저 ID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서버, 및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금융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정보는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서버는, 게임 유저의 거래자 ID와 게임 유저 ID를 연관시키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상으로 방송된 상기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공공 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및 거래 대상인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 및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에 대응하는 게임 유저 ID를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게임 유저 ID 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금융 서버는, 게임 유저의 거래자 ID와 게임 유저의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및 상기 거래 금액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 및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에 대응하는 실명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금액의 지불을 행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금액의 지불은 계좌이체, 신용카드, 가상 화폐 송금을 포함하는 지불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는 판매자의 암호화된 게임 유저 ID 및 구매자의 암호화된 게임 유저 ID를 더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정보는 판매자의 암호화된 실명 정보 및 구매자의 암호화된 실명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5.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거래 및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며,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유저 단말,
    게임의 진행을 관리하며, 게임상의 유저의 식별정보인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유저 ID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서버,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금융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 서버, 및
    게임 아이템 거래에 관한 정보를 중개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정보는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중개 서버는 게임 아이템 거래 당사자의 거래자 ID,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네트워크상으로 방송된 상기 거래 정보에 따라 게임 아이템 거래에 대한 공공 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신규로 포함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신규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당사자의 게임 유저 ID를 추출하고, 상기 게임 유저 ID와 상기 거래 정보로부터 추출된 게임 아이템 정보를 상기 게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한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당사자의 상기 게임 유저 ID 및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유저 ID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신규로 포함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신규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당사자의 실명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실명 정보를 상기 거래 정보로부터 추출된 거래 금액 정보와 함께 상기 금융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금융 서버는, 상기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실명 정보와 상기 거래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금액의 지불을 행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6.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의 처리 방법으로서,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거래 및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단말에서,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의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단계,
    게임서버에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가 포함된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의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및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서버에서, 추출된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추출된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추출된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 및 게임 아이템의 거래자 ID와 게임 유저 ID를 연관시키는 제1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신규로 거래된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금융 서버에서,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의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및 상기 거래 금액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금융 서버에서, 추출된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상기 거래 금액 정보 및 게임 아이템의 거래자 ID와 거래자의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제2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거래 금액에 대한 지불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의 처리 방법.
  7.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의 처리 방법으로서,
    게임 유저가 소유하고 있는 게임 아이템을 거래 및 관리하기 위한 게임 아이템 지갑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단말로부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의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단계,
    중개 서버에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으로부터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중개 서버에서, 추출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 및 게임 유저의 거래자 ID,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와,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중개 서버가, 획득한 게임 유저 ID와 추출된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게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개 서버가, 획득한 실명 정보와 추출된 거래 금액 정보를 금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수신된 게임 아이템 판매자 및 구매자의 게임 유저 ID와 거래대상인 게임 아이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금융 서버가, 수신된 게임 아이템 판매자 및 구매자의 실명 정보와 상기 거래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거래 금액의 지불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의 처리 방법.
  8.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의 처리 방법으로서,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로부터,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의 거래소 ID,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신규의 거래 정보를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단계,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에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가 포함된 게임 아이템 거래의 공공장부인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신규로 포함된 거래 정보 중, 상기 거래소 ID가 포함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에서, 추출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와,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가, 획득한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게임 유저 ID와, 추출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를 게임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가, 획득한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실명 정보 및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실명 정보와, 추출된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에 포함된 상기 거래 금액 정보를 금융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게임 서버가, 수신된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게임 유저 ID 및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게임 유저 ID와, 수신된 상기 게임 아이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금융 서버가, 수신된 상기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실명 정보 및 상기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실명 정보와, 수신된 상기 거래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아이템 거래 금액의 지불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게임 유저의 거래자 ID,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가 상기 신규의 거래 정보의 거래자 ID 로부터 상기 게임 유저 ID 및 상기 실명 정보를 획득하는,
    게임 아이템의 거래 정보의 처리 방법.
  9.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아이템에 대한 거래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상으로 방송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
    게임의 진행을 관리하며, 게임상의 유저의 식별정보인 게임 유저 ID 및 게임 유저 ID별로 소유된 게임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서버, 및
    게임 아이템 거래자의 금융 계좌 정보를 저장하는 금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거래 정보는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의 거래소 ID, 게임 아이템 판매자의 거래자 ID, 게임 아이템 구매자의 거래자 ID, 거래 대상인 게임 아이템 정보, 거래 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는, 게임 유저의 거래자 ID, 게임 유저 ID, 및 실명 정보를 연관시키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는,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신규로 포함된 상기 거래 정보 중 상기 거래소 ID가 포함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당사자의 게임 유저 ID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거래 정보에 포함된 게임 아이템 정보와 함께 상기 게임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게임 서버는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의 상기 거래 당사자의 상기 게임 유저 ID 및 상기 게임 아이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게임 아이템의 소유자를 변경하며,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는, 상기 게임 아이템 블록체인에 신규로 포함된 상기 거래 정보 중 상기 거래소 ID가 포함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게임 아이템 거래의 거래 당사자의 실명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거래 정보에 포함된 거래 금액 정보와 함께 상기 금융 서버에 송신하며,
    상기 금융 서버는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소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게임 아이템 거래의 상기 거래 당사자의 상기 실명 정보 및 상기 거래 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게임 아이템의 거래 금액의 지불처리를 수행하는,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KR1020190144091A 2019-11-12 2019-11-12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KR102087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91A KR102087560B1 (ko) 2019-11-12 2019-11-12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091A KR102087560B1 (ko) 2019-11-12 2019-11-12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000A Division KR20190068825A (ko) 2017-12-11 2017-12-11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795A KR20190129795A (ko) 2019-11-20
KR102087560B1 true KR102087560B1 (ko) 2020-03-10

Family

ID=6872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91A KR102087560B1 (ko) 2019-11-12 2019-11-12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5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4448A (ja) * 2008-04-14 2009-11-05 Gungho Online Entertainment Inc 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サーバ、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方法及び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357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게임 프로그램 아이템의 실행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시스템
KR20110117838A (ko) * 2010-04-22 2011-10-28 (주)아이템이마켓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2708A (ko) * 2014-05-16 2015-11-26 주식회사 엔터플 온라인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4448A (ja) * 2008-04-14 2009-11-05 Gungho Online Entertainment Inc 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サーバ、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方法及び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795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413B1 (ko) 온라인 특권의 안전한 양도 시스템
US20220241693A1 (en) Game item transaction system, mediation server, game user terminal, and game item transaction method
US8799168B2 (en) Secure transfer of online privileges including non-financial options
Carley et al. What is the probability of receiving a US patent
US7249139B2 (en) Secure virtual marketplace for virtual objects and services
CN110270097A (zh) 安全的分散式视频游戏交易平台
CN101681483B (zh) 包括非金融选项的在线权限的安全转移
JP7436890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9079502A (ja) アイテム取引システム及びアイテム取引プログラム
KR102087560B1 (ko) 게임 아이템 거래 시스템, 중개 서버, 게임 유저 단말 및 게임 아이템 거래 방법
JP4979645B2 (ja) 取引管理サーバ装置、取引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00405A (ko) 게임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1352759B1 (ko) 피시방을 통한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거래중개 방법
JP2022545591A (ja) ゲームアカウントの取引方法
JP2010026570A5 (ko)
JP2024027405A (ja) ゲー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06399B1 (ko) 온라인 게임 아이템의 식별번호를 이용한 거래중개 방법
Adrian Virtual Property in Virtual Worlds
KR20100013072A (ko) 공개경쟁입찰방식을 갖는 유씨에스 광고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