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933B1 -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933B1
KR102085933B1 KR1020160121453A KR20160121453A KR102085933B1 KR 102085933 B1 KR102085933 B1 KR 102085933B1 KR 1020160121453 A KR1020160121453 A KR 1020160121453A KR 20160121453 A KR20160121453 A KR 20160121453A KR 102085933 B1 KR102085933 B1 KR 10208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hall sensor
motor
rin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2350A (ko
Inventor
조정혁
Original Assignee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1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9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3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모터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장치로서,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그 모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링 마그넷; 상기 링 마그넷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 및 상기 홀 센서가 실장 된 상태로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홀 센서는 수직형 센서가 채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Electric motor apparatus provided with vertical type hall sensor}
본 발명은 전기 모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모터의 회전축에 링 마그넷을 구비한 모터 장치로서 그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가 구비된 전기 모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승하차 시 이용하는 도어에는 도어 윈도우를 승강 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승강시키는 수동식과, 모터에 의해 승강시키는 전동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의 자동차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동식이 널리 적용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승강장치(이하 "파워 윈도우"라 함)에 사용되는 모터는 일반적인 직류 모터와 같이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파워 윈도우는 모터의 회전력을 웜과 윔휠 장치로 토크 변환 및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차량의 도어 창문을 승강시켜 개폐한다.
최근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소위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가 널리 채용된다.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는 창문의 위치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팔이나 손가락과 같은 부위가 창문 유리와 차체 사이게 끼이지 않도록 창문의 승강을 제어한다. 이러한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는 창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축에 링 마그넷을 설치하고 그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를 브러시 홀더 근처에 배치한 구조가 채용 된다. 홀 센서는 모터 회전축의 회전수를 측정함으로써 창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의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104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모터에서 모터 회전축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홀 센서는 자기력선의 진행 방향과 수직으로 홀 센서의 센싱 면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는 모터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 된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모터 회전축에 설치된 링 마그넷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방향은 상기 링 마그넷 주변에서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모터 장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모터 장치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모터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할 경우 홀 센서의 감지면 확보를 위해 상기 홀 센서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수 없게 되므로 별도의 리드선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신호 전달상 손실율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을 모터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모터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소형화된 모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장치로서,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그 모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링 마그넷;
상기 링 마그넷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 및
상기 홀 센서가 실장 된 상태로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홀 센서는 수직형 센서가 채용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실장면과 평행인 평면은 상기 모터 회전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실장면과 평행인 평면은 상기 모터 회전축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기둥 형상의 복수의 가이드 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핀의 최상단은 상기 전기 연결 단자의 최상단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조립 가이드 공; 및 상기 전기 연결 단자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터미널 관통공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는, 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을 모터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설치 방향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모터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작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브러시 홀더에 구비된 가이드 핀의 최상단이 전기 연결 단자 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가이드 핀에 먼저 조립되어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기 연결 단자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자동화 조립시 전기 연결 단자나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지 않는다. 그 결과 모터 장치의 자동화 조립과정에서 품질 불량을 현저하게 감소기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장치에서 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이 모터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위의 확대도로서 링 마그넷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방향과 홀 센서의 감지면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장치를 구성하는 브러시 홀더와 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홀더의 가이드 핀이 인쇄회로기판의 가이드 공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홀더의 전기 연결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의 터미널 관통공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 부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장치에서 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이 모터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위의 확대도로서 링 마그넷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의 방향과 홀 센서의 감지면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장치를 구성하는 브러시 홀더와 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홀더의 가이드 핀이 인쇄회로기판의 가이드 공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브러시 홀더의 전기 연결 단자가 인쇄회로기판의 터미널 관통공에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2에서 점선으로 표기된 선은 링 마그넷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도식적으로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모터 장치(10, 이하 "모터 장치"라 함)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장치이다. 상기 모터 장치(10)는 예컨대, 차량의 파워 윈도우(power window), 와이퍼(wiper), 썬루프(sun roof), 시트(seat), 실외 미러(ouside mirror) 등에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치(10)는 하우징(20)과, 모터 회전축(30)과, 링 마그넷(50)과, 홀 센서(60)와, 인쇄회로기판(70)과, 브러시 홀더(8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모터 장치(10)를 구성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하우징(2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다이 캐스팅이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내부에 다수의 구성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고정자와 회전자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 회전축(30)은 상기 회전자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상기 고정자와 회전자는 일반적인 모터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이며 공지된 구조를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 회전축(30)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전자기적 유도 작용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링 마그넷(50)은 상기 모터 회전축(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링 마그넷(50)은 고리 형상의 자석이다. 상기 링 마그넷(50)은 상기 모터 회전축(30)이 강제 압입 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모터 회전축(30)이 그 구멍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링 마그넷(50)은 상기 모터 회전축(30)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링 마그넷(50)은 N극과 S극이 구비된다. 상기 링 마그넷(5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링 마그넷(50) 주변에 자기장이 변한다. 상기 링 마그넷(5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자기력선은 상기 링 마그넷(50) 주변에서 상기 모터 회전축(30)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 센서(60)는 상기 링 마그넷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 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홀 센서(60)는 상기 링 마그넷(50)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홀 센서(60)는 일반적으로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전압이 변하는 소자이다. 상기 홀 센서(60)에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를 철심의 중간에 끼워넣고 전류의 직각 방향으로 발생하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한다. 이와 같은 홀 센서의 원리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채용한 홀 센서(60)는 수직형 홀 센서로서 상기 링 마그넷(50)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내부 홀 플레이트의 방향을 수평에서 수직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홀 센서(60)의 수평 방향의 자기장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홀 센서(60)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70)에 실장 된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홀 센서(60)가 실장 된 상태로 상기 홀 센서(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판상의 소자이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는 다수의 전기 및 전자 소자와 배선이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포함된 소자들은 모터 장치(10)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고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는 상기 홀 센서(60)가 실장 된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홀 센서(60)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수직형 홀 센서가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홀 센서(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실장 되는 실장면(71)과 평행인 방향으로 형성된 자기력선의 자기장을 가장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센서(60)는 수직형 홀 센서이므로 상기 실장면(71)에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된 자기력의 자기장도 양호하게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홀 센서(60)는 상기 실장면(71)과 이루는 각도가 0°보다 크고 180°보다 작은 범위의 각도(일정 범위의 각도)를 형성하는 자기력선의 자기장도 양호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홀 센서(60)의 감지면(62)과 자기력선의 배치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실장면(71)과 평행인 평면은 상기 모터 회전축(30)과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실장면과 평행인 평면은 상기 모터 회전축(30)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 센서(60)는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되므로 상기 링 마그넷(50)의 반경 방향으로 형성된 자기장을 민감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배치 방향과 상기 홀 센서(60)의 배치 방향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60)는 상기 링 마그넷(50)의 길이 방향상 링 마그넷(50)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 센서(6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배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을 상기 모터 회전축(30)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장치(10)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장치(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조립 공간이 작아지므로 모터 장치(10)의 축방향 크기(size)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수평형 홀 센서가 채용된 경우에 비하여 홀 센서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필요한 리드선이 불필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장치(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 되어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조립 가이드 공(72)과 터미널 관통공(74)을 구비한다.
상기 조립 가이드 공(7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외곽 테두리부 인근에 배치된다. 상기 조립 가이드 공(7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조립 가이드 공(72)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 가이드 공(72)은 후술하는 브러시 홀더(80)에 구비된 가이드 핀(82)의 상단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브러시 홀더(80)가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터미널 관통공(74)은 후술하는 브러시 홀더(80)에 구비된 전기 연결 단자(86)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구멍이다. 상기 터미널 관통공(74)의 내주면은 구리, 금 등과 같은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물질로 도금된다. 상기 터미널 관통공(74)은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브러시 홀더(8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을 향해 돌출된 기둥 형상의 가이드 핀(82)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핀(82)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연결 단자(86)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핀(82)의 최상단은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의 최상단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핀(82)의 최상단과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의 최상단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조립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종래에는 상기 가이드 핀(82)과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의 최상단 높이가 동일하게 구성되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자동화 장치에 의해 상기 브러시 홀더(8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핀(8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기계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전기적으로 결합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가이드 핀(8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전기적으로 결합 되므로 일부 구성 요소의 미세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가 충돌하여 부품이 손상되어 결과적으로 모터 장치의 품질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장치(10)는 상기 가이드 핀(82)의 최상단 높이가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의 최상단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자동화 장치에 의해 상기 브러시 홀더(8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 가이드 공(72)과 상기 가이드 핀(82)이 먼저 결합 된다. 그 결과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브러시 홀더(80)가 기계적으로 먼저 결합 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핀(8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8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8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핀(8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84)는 상기 가이드 핀(82)이 상기 조립 가이드 공(72)에 조립된 상태에서 유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가 상기 터미널 관통공(74)에 결합 되기 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브러시 홀더(80)가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적인 차이를 두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더 하강하여 상기 터미널 관통공(74)에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의 상단부가 수용된다. 그 결과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브러시 홀더(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 상기 브러시 홀더(80)가 시차를 두고 기계적 결합과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조립 공정에서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와 상기 터미널 관통공(74)의 위치가 어긋날 가능성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그 결과 조립 공정에서 상기 전기 연결 단자(86)나 상기 터미널 관통공(74)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거의 해소된다. 이에 따라 모터 장치(10)의 조립 품질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는, 홀 센서가 실장 된 인쇄회로기판을 모터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설치 방향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모터의 크기를 종래에 비하여 작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이 브러시 홀더에 구비된 가이드 핀의 최상단이 전기 연결 단자 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가이드 핀에 먼저 조립되어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전기 연결 단자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자동화 조립시 전기 연결 단자나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지 않는다. 그 결과 모터 장치의 자동화 조립과정에서 품질 불량을 현저하게 감소기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모터 장치
20 : 하우징
30 : 모터 회전축
50 : 링 마그넷
60 : 홀 센서
62 : 감지면
70 : 인쇄회로기판
71 : 실장면
72 : 조립 가이드 공
74 : 터미널 관통공
80 : 브러시 홀더
82 : 가이드 핀
84 : 돌기
86 : 전기 연결 단자

Claims (5)

  1.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장치로서,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그 모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링 마그넷;
    상기 링 마그넷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 및
    상기 홀 센서가 실장 된 상태로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홀 센서는 수직형 센서가 채용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실장면과 평행인 평면은 상기 모터 회전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실장면과 평행인 평면은 상기 모터 회전축과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기둥 형상의 복수의 가이드 핀;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기 연결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핀의 최상단은 상기 전기 연결 단자의 최상단 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조립 가이드 공; 및 상기 전기 연결 단자의 상단부를 수용하는 터미널 관통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KR1020160121453A 2016-09-22 2016-09-22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KR10208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53A KR102085933B1 (ko) 2016-09-22 2016-09-22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453A KR102085933B1 (ko) 2016-09-22 2016-09-22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50A KR20180032350A (ko) 2018-03-30
KR102085933B1 true KR102085933B1 (ko) 2020-03-06

Family

ID=6190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453A KR102085933B1 (ko) 2016-09-22 2016-09-22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6908A (zh) * 2018-10-22 2019-01-22 湖北开特汽车电子电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非接触式角度反馈直流风门执行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1774A (ja) * 2006-11-21 2008-07-03 Hitachi Metals Ltd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回転機
JP2009273357A (ja) 2008-05-09 2009-11-19 Micronas Gmbh 電気モータを制御するための集積回路
KR101551468B1 (ko) * 2014-03-03 2015-09-08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홀 센서가 구비된 브러시 홀더 장치
KR101559924B1 (ko) * 2014-06-16 2015-10-13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8163A (ko) * 2009-06-24 2010-12-31 계양전기 주식회사 로터 위치검출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브러시리스 모터
KR101256858B1 (ko) * 2011-03-24 2013-04-22 부천산업진흥재단 회전자 위치 검출 장치를 내장한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1774A (ja) * 2006-11-21 2008-07-03 Hitachi Metals Ltd 回転角度検出装置および回転機
JP2009273357A (ja) 2008-05-09 2009-11-19 Micronas Gmbh 電気モータを制御するための集積回路
KR101551468B1 (ko) * 2014-03-03 2015-09-08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홀 센서가 구비된 브러시 홀더 장치
KR101559924B1 (ko) * 2014-06-16 2015-10-13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350A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1547B2 (en) Electric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072977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00044956A (ko) 전자식 팽창 밸브
US7932651B2 (en) Motor for controller integrate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WO2009150772A1 (ja) モータ位置決め構造
CN105556812A (zh) 无刷雨刮器电机
EP1897205B1 (en) Motor drive assembly
WO2010110112A1 (ja) 減速機構付モータ
US8299807B2 (en) Foreign object detection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85933B1 (ko)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US9531233B2 (en) Motor connection module for suppressing connecting defects
US10447118B2 (en) Motor apparatus
KR101867561B1 (ko) 브러시 홀더 일체형 전자 제어 유닛이 구비된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KR101559924B1 (ko)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CN111033973A (zh) 电动驱动装置
US7254880B2 (en) Electromechanical driv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9496764B2 (en) Brush holder for an electric motor, and gear mechanism drive unit having a brush holder
JP7476330B2 (ja) センサ装置およびモータ
KR20200127029A (ko) 전동기
EP1079385A3 (en) A spindle motor for disk driving device
CN210244160U (zh) 拉绳方向控制器
KR20150032470A (ko) 모터 및 모터의 제조방법
CN111051821B (zh) 传感器部件、预组装结构和用于生产传感器部件的方法
JP2022542604A (ja) 自動車のワイパーシステム用のブラシレス直流電気モータ
JP4823173B2 (ja) ブラシ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24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21

Effective date: 201910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