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924B1 -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 Google Patents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924B1
KR101559924B1 KR1020140072964A KR20140072964A KR101559924B1 KR 101559924 B1 KR101559924 B1 KR 101559924B1 KR 1020140072964 A KR1020140072964 A KR 1020140072964A KR 20140072964 A KR20140072964 A KR 20140072964A KR 101559924 B1 KR101559924 B1 KR 101559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haft
ring magnet
hold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924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차량의 창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에 있어서,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그 모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링 마그넷; 상기 링 마그넷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 상기 홀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구비된 센서 홀더; 상기 센서 홀더의 상부에 결합 되며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센서 홀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홀더를 고정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홀더는 외팔보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축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홀더는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더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된 중공축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중공축이 관통되어 수용되는 결합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Power window motor apparatus for vehicle accurately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hall sensor and ring magnet}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윈도우를 승강 시키기 위한 승강장치로 핸들을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승강시키는 수동식과, 모터에 의해 승강시키는 전동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와서는 자동차의 고급화 및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동식이 널리 적용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승강장치(이하 "파워 윈도우"라 함)에 사용되는 모터는 일반적인 DC 모터와 같이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고 있다. 파워 윈도우는 모터의 회전력을 웜과 윔휠 장치로 토크 변환 및 회전 방향을 변경하여 차량의 도어 창문을 승강시켜 개폐한다.
최근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소위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가 널리 채용된다.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는 창문의 위치를 감지하여 탑승자의 팔이나 손가락과 같은 부위가 창문 유리와 차체 사이게 끼이지 않도록 창문의 승강을 제어한다. 이러한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는 창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축에 링 마그넷을 설치하고 그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를 브러시 홀더 근처에 배치한 구조가 체용된다. 홀 센서는 모터 회전축의 회전수를 측정함으로써 창문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의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0104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립하는 것이다.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홀 센서에서 안정적인 신호가 출력되지 않아 창문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파워 윈도우 장치에서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홀 센서의 조립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홀 센서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창문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파워 윈도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차량의 창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에 있어서,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그 모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링 마그넷;
상기 링 마그넷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
상기 홀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구비된 센서 홀더;
상기 센서 홀더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센서 홀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홀더를 고정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홀더는 외팔보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축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홀더는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더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된 중공축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중공축이 관통되어 수용되는 결합공을 구비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고정축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보조 고정축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홀더는 상기 보조 고정축이 관통하는 구멍인 제1보조공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보조공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구멍인 제2보조공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 고정축이 상기 제2보조공에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고정축, 상기 제1보조공 및 상기 제2보조공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고정축의 외주면에는 그 보조 고정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고정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 비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수용부는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서 상면을 직선적으로 관통하도록 연결 단자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 또는 상기 보조 고정축의 자유단부는 테이퍼 형상의 구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을 상기 브러시 홀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링 마그넷의 자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가 센서 홀더에 결합되고, 상기 센서 홀더는 인쇄회로기판과 브러시 홀더에 중공축이라는 단일한 축을 기준으로 결합 및 정렬되므로 홀 센서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조립될 수 있어서 상기 링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매우 안정적인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센서 홀더, 홀 센서, 인쇄회로기판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자동화 생산에 매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보조 고정축에 가압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고정축이 견고하게 센서 홀더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홀 센서와 센서 홀더와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홀 센서와 센서 홀더와 인쇄회로기판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의 주요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10, 이하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라 함)는 차량의 창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로 사용된다.
상기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10)는 고정자(미도시)와 회전자(20)와 브러시 홀더 모듈(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자 하우징(미도시)과 그 고정자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된 다수의 영구자석(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자는 통상적인 종래의 고정자 구조를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자(20)는 회전자 코어(21)와 그 회전자 코어(21)에 권선된 코일(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20)는 모터 회전축(22)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 회전축(23)에는 링 마그넷(30)이 설치된다. 상기 링 마그넷(30)은 상기 모터 회전축(23)에 고정된다. 상기 링 마그넷(30)은 도넛 형태로 제조되어 상기 모터 회전축(23)에 억지 끼워진 형태(press fit)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링 마그넷(30)은 그 회전 방향을 따라 다수의 N극과 S극이 교대로 배열된 자성체이다. 상기 링 마그넷(30)은 자성체 분말을 소결 가공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링 마그넷(30)은 상기 모터 회전축(23)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모터 회전축(23)의 자유단부에는 웜(24, worm)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웜(24)에는 웜휠(미도시)을 매개로 레귤레이터 모듈(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시 홀더 모듈(40)은 상기 회전자(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다. 상기 브러시 홀더 모듈(40)은 홀 센서(50)와, 센서 홀더(60)와, 인쇄회로기판(70)과, 브러시 홀더(80)를 포함한다.
상기 홀 센서(50)는 상기 링 마그넷(30)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23)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홀 센서(50)는 상기 링 마그넷(30)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부재이다. 상기 홀 센서(50)의 원리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홀 센서(50)는 후술하는 센서 홀더(60)에 구비된 센서 수용부(62)에 수용됨으로써 특정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홀 센서(50)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부(52)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 단자부(52)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70)의 하면에서 상면을 직선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 단자부(52)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50)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50)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홀 센서(50)는 2개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 홀더(60)는 상기 홀 센서(50)를 수용하는 부재이다. 상기 센서 홀더(60)는 판상의 홀더 몸체(61)와 그 홀더 몸체(6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센서 수용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수용부(62)는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센서 수용부(62)에는 상기 센서 홀더(60)가 수용된다. 상기 센서 홀더(60)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70)과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 후크(63)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 후크(63)는 상기 홀더 몸체(6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막대 모양의 구조이다. 상기 고정 후크(63)의 자유단부는 한 쌍의 걸림 고리 구조물이 화살촉 모양으로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센서 홀더(60)의 상부에 결합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홀 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연결 단자부(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고정 후크(63)와 결합하는 고정 홈(71)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 홈(71)은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71)의 양 측벽에 상기 고정 후크(63)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센서 홀더(6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는 다수의 전자 소자들이 실장 또는 형성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홀 센서(5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정류, 증폭 및 변환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상기 센서 홀더(6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다수의 브러시(미도시)를 수용한다. 상기 브러시는 상기 회전자(20)에 구비된 정류자(미도시)에 전기를 공급하는 요소이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상기 센서 홀더(60)를 고정한다.
이제,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상기 센서 홀더(6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고정축(82)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축(82)은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한 몸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82)은 외팔보 형태로 상기 브러시 홀더(8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82)의 자유단부에는 테이퍼 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테이퍼 구조는 상기 센서 홀더(6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상기 고정축(82)과 결합할 때 일정한 조립 공차를 허용함으로써 조립성을 개선한다.
상기 센서 홀더(60)는 상기 고정축(82)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중공축(64)을 구비한다. 상기 중공축(64)은 상기 센서 홀더(6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된다. 상기 중공축(64)은 문언적인 의미와 같이 내부에 관통된 구멍이 구비된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중공축(64)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축(82)이 결합된다. 상기 중공축(64)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70)의 결합공(72)이 결합 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중공축(64)이 관통되어 수용되는 결합공(72)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축(82)과, 상기 중공축(64)과 상기 결합공(72)은 동축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축(82)과 상기 중공축(64)과 상기 결합공(72)을 매개로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상기 센서 홀더(6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일체로 결합 된다. 또한, 상기 고정 후크(63)와 상기 고정 홈(71)에 의해 상기 센서 홀더(6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결합되므로 상기 중공축(64)에 결합된 상기 고정축(82)과 상기 결합공(72)에 의해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상기 센서 홀더(6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상기 링 마그넷(30)을 기준으로 특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홀 센서(50)는 상기 링 마그넷(30)을 기준으로 일정한 위치에 조립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홀 센서(50)와 상기 링 마그넷(30) 간의 거리가 제품에 따라 편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조립되므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10)의 품질이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 부가하여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보조 고정축(8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상기 고정축(82)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한 몸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상기 고정축(82)과 평행하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구조물이다.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이다. 상기 보조 고정축(82)의 자유단부는 상기 고정축(82)에 구비된 테이퍼 구조와 대동소이한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고정축(82)에는 가압 비드(85)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 비드(85)는 상기 보조 고정축(8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보조 고정축(82)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보조 고정축(8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비드(85)는 상기 보조 고정축(8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형태로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 비드(85)는 상기 보조 고정축(82)이 후술하는 제1보조공(66) 또는 제2보조공(74)에 결합 되는 과정에서 억지 끼워져서 상기 보조 고정축(82)이 상기 센서 홀더(60)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 홀더(60)는 상기 보조 고정축(82)이 관통하는 구멍인 제1보조공(66)을 구비한다. 상기 제1보조공(66)은 상기 홀더 몸체(61)의 하면으로부터 상면을 관통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은 제2보조공(74)을 구비한다. 상기 제2보조공(74)은 상기 제1보조공(66)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구멍이다. 상기 제2보조공(74)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을 관통한다. 상기 제2보조공(74)의 크기는 상기 제1보조공(66)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상기 제1보조공(66)과 상기 제2보조공(74)에 순차적으로 결합 된다.
상기 보조 고정축(82), 상기 제1보조공(66) 및 상기 제2보조공(74)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고정축(82)과 상기 제1보조공(66)과 상기 제2보조공(74)은 각각 2개씩 구비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홀더(80)는 후크부(8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8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상면을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물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포함한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10)에서 브러시 홀더 모듈(40)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브러시 홀더 모듈(40)의 주요 구성요소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다. 이제 브러시 홀더(80)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센서 홀더(60)를 하방으로 접근시킨다. 상기 센서 홀더(60)에 구비된 상기 중공축(64)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축(82)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 고정축(82)이 상기 제1보조공(66)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고정 후크(63)가 상기 고정 홈(71)에 결합 된다. 이제 상기 센서 홀더(60)는 상기 고정축(82)과 상기 중공축(64)이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고정축(82)과 상기 제1보조공(66)이 동축 상에 배치되므로 특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 수용부(62)에 상기 홀 센서(50)를 결합한다. 상기 센서 수용부(62)는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구조이므로 상기 홀 센서(50)를 상기 센서 수용부(62)의 상방으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센서 수용부(62)에 설치한다. 상기 홀 센서(50)는 상기 센서 수용부(62)에 수용됨으로써 특정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을 상기 센서 홀더(60)의 상방으로부터 하강 접근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구비된 상기 결합공(72)이 상기 중공축(64)과 결합한다. 동시에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상기 제2보조공(74)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센서 홀더(60)에 구비된 고정 후크(63)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구비된 고정 홈(71)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홀 센서(50)에 구비된 연결 단자부(52)는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을 관통하여 그 인쇄회로기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80)에서 돌출 형성된 전기 터미널(88)은 상기 센서 홀더(60)를 관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축(82)과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필요에 따라 길이를 달리 형성함으로써 상기 브러시 홀더(80)에 결합되는 홀 센서(5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면, 링 마그넷(30)이 조립된 모터 회전축(23)에 여러 가지 사양의 브러시 홀더 모듈(40)을 조합함으로써 서로 다른 사양의 모터 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자(20)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82)과 상기 보조 고정축(82)을 작게 형성하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홀더(80)에 구비된 상기 후크부(86)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브러시 홀더(80)와 상기 센서 홀더(60)와 상기 인쇄회로기판(70)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86)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 고정축(82)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링 마그넷의 자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가 센서 홀더에 결합하고, 상기 센서 홀더는 인쇄회로기판과 브러시 홀더에 중공축이라는 단일한 축을 기준으로 결합 및 정렬되므로 홀 센서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조립 및 유지될 수 있어서 상기 링 마그넷의 자력 변화를 매우 안정적인 전기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센서 홀더, 홀 센서, 인쇄회로기판이 순차적으로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자동화 생산에 매우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는 보조 고정축에 가압 비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고정축이 견고하게 센서 홀더와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20 : 회전자
21 : 회전자 코어
23 : 모터 회전축
24 : 웜
30 : 링 마그넷
40 : 브러시 홀더 모듈
50 : 홀 센서
52 : 연결 단자부
60 : 센서 홀더
61 : 홀더 몸체
62 : 센서 수용부
63 : 고정 후크
64 : 중공축
66 : 제1보조공
70 : 인쇄회로기판
71 : 고정 홈
72 : 결합공
74 : 제2보조공
80 : 브러시 홀더
82 : 고정축
84 : 보조 고정축
85 : 가압 비드
86 : 후크부
88 : 전기 터미널

Claims (8)

  1. 차량의 창문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인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에 있어서,
    모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그 모터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링 마그넷;
    상기 링 마그넷으로부터 상기 모터 회전축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링 마그넷의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는 홀 센서;
    상기 홀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 수용부가 구비된 센서 홀더;
    상기 센서 홀더의 상부에 결합 되며 상기 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센서 홀더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 홀더를 고정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홀더는 외팔보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축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홀더는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더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연장된 중공축을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중공축이 관통되어 수용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며,
    상기 중공축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축이 결합되며,
    상기 중공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고정축과 상기 중공축과 상기 결합공을 매개로 상기 브러시 홀더와 상기 센서 홀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일체로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고정축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고정축과 평행하게 형성된 막대 형상의 보조 고정축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 홀더는 상기 보조 고정축이 관통하는 구멍인 제1보조공 구비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보조공과 마주하도록 배치된 구멍인 제2보조공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 고정축이 상기 제2보조공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축, 상기 제1보조공 및 상기 제2보조공은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축의 외주면에는 그 보조 고정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조 고정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 비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용부는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서 상면을 직선적으로 관통하도록 연결 단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또는 상기 보조 고정축의 자유단부는 테이퍼 형상의 구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을 상기 브러시 홀더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후크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KR1020140072964A 2014-06-16 2014-06-16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KR10155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964A KR101559924B1 (ko) 2014-06-16 2014-06-16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964A KR101559924B1 (ko) 2014-06-16 2014-06-16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924B1 true KR101559924B1 (ko) 2015-10-13

Family

ID=5434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964A KR101559924B1 (ko) 2014-06-16 2014-06-16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50A (ko) * 2016-09-22 2018-03-30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WO2018097615A1 (ko) * 2016-11-23 2018-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이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및 액츄에이터의 제어 방법
KR20220159834A (ko) * 2021-05-26 2022-12-05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브러시의 손상이 방지되는 직류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및 그 브러시 홀더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의 조립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9985A (ja) * 2007-02-28 2008-09-18 Asmo Co Ltd 直流モータ
JP2009011078A (ja) * 2007-06-28 2009-01-15 Mitsuba Corp ブラシ付き電動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9985A (ja) * 2007-02-28 2008-09-18 Asmo Co Ltd 直流モータ
JP2009011078A (ja) * 2007-06-28 2009-01-15 Mitsuba Corp ブラシ付き電動モータ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2350A (ko) * 2016-09-22 2018-03-30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KR102085933B1 (ko) * 2016-09-22 2020-03-06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WO2018097615A1 (ko) * 2016-11-23 2018-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이를 포함하는 헤드램프 및 액츄에이터의 제어 방법
CN109982894A (zh) * 2016-11-23 2019-07-05 Lg伊诺特有限公司 致动器、包括致动器的前照灯以及致动器控制方法
US10875446B2 (en) 2016-11-23 2020-12-29 Lg Innotek Co., Ltd. Actuator and head lamp comprising same
US11186220B2 (en) 2016-11-23 2021-11-30 Lg Innotek Co., Ltd. Actuator and head lamp comprising same
CN109982894B (zh) * 2016-11-23 2022-08-12 Lg伊诺特有限公司 致动器和包括致动器的前照灯
KR20220159834A (ko) * 2021-05-26 2022-12-05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브러시의 손상이 방지되는 직류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및 그 브러시 홀더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의 조립 방법
KR102575317B1 (ko) 2021-05-26 2023-09-07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브러시의 손상이 방지되는 직류 모터용 브러시 홀더 장치 및 그 브러시 홀더 장치를 포함한 직류 모터의 조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924B1 (ko) 홀 센서와 링 마그넷 간 거리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US11224978B2 (en) Robot
US20190036422A1 (en) Electric actuator
US20040178687A1 (en) Gear reduction unit and geared motor connector
CN113678346B (zh) 具有无刷电动马达的驱动设备
CN103944344A (zh) 4极无刷直流电机位置传感器及其检测方法
EP2834599A1 (en) Device for detecting the angular position of a shaft of a windscreen wiper motor using a magnetoresitive sensor
US20140132095A1 (en) Motor
KR101867561B1 (ko) 브러시 홀더 일체형 전자 제어 유닛이 구비된 차량용 파워 윈도우 모터 장치
CN113446926A (zh) 磁电式位移传感器灵敏度自动标定装置及方法
CN202178695U (zh) 永磁直流无刷电机
CN105865407B (zh) 一种激光测距装置
US10447118B2 (en) Motor apparatus
CN211565930U (zh) 一种夹爪结构
CN210375055U (zh) 曳引机自动检测装置
CN204758787U (zh) 一种电机测试工作台
CN210867439U (zh) 云台
KR102085933B1 (ko) 수직형 홀 센서가 채용된 전기 모터 장치
CN215177516U (zh) 一种磁电式位移传感器灵敏度自动标定装置
CN103956878A (zh) 2极无刷直流电机位置传感器及其检测方法
KR101551468B1 (ko) 홀 센서가 구비된 브러시 홀더 장치
CN203840175U (zh) 2极无刷直流电机位置传感器
CN203840176U (zh) 4极无刷直流电机位置传感器
CN110595412A (zh) 曳引机自动检测装置
KR100382410B1 (ko) 차량 모터용 홀센서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