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759B1 -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759B1
KR102085759B1 KR1020180128677A KR20180128677A KR102085759B1 KR 102085759 B1 KR102085759 B1 KR 102085759B1 KR 1020180128677 A KR1020180128677 A KR 1020180128677A KR 20180128677 A KR20180128677 A KR 20180128677A KR 102085759 B1 KR102085759 B1 KR 10208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interior
vehicle
vibration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2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진동 발생 장치,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차량의 내장재 패널, 및 차체의 이너 패널과 상기 내장재 패널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내장재 패널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을 상기 내장재 패널로 전달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여, 내장재 패널의 이면에 진동 발생 장치가 결합되어 차량의 실내에서는 스피커가 보이지 아니하고,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내장재 패널로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작은 부피로 높은 음질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MOUNTING STRUCTURE OF HIDDEN TYPE SPEAK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이너 패널과 내장재 패널 사이에 진동 발생 장치가 구비되고, 내장재를 통하여 소리가 발생하며, 차량의 실내에서는 스피커가 보이지 않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음향 및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운전자에게 인포테인먼트를 제공할 수 있는 편안한 자동차, 편리한 자동차로의 진화를 유도하고 있으며, 차량 내에서 운전자 및 승객 모두에게 양질의 음향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은 현재 운전자 정보 시스템, 내비게이션 시스템, 텔레매틱스 시스템 등과 연동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정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 음향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다.
통상적인 스피커장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유닛이 박스형태로 된 인클로저(Enclosure)에 장착된다. 스피커유닛의 음향은 진동판 전면에서 발생하는 음과 진동판 후면에서 발생한 음이 간섭되어 왜곡될 수 있는데, 인클로저가 스피커유닛의 전면 음과 후면 음의 간섭을 방지해 양호한 음향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 인클로저 내부의 공명공간이 저음을 보강해 음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피커장치를 차량에 장착할 때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양호한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큰 부피의 인클로저가 필요한데, 차량 실내공간처럼 협소한 곳에는 부피가 큰 인클로저를 장착하기 어렵다. 또 부피가 큰 인클로저는 차량의 중량을 높이고, 원가를 상승시키기도 한다.
또한, 오늘날에는 차량의 외형은 물론 차량의 내부 인테리어의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피커 등의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 필수적으로 장착되고,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므로, 이러한 제한 속에서 실내 인테리어를 구성하는 것에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스피커 등의 장치를 내장재 내부로 숨김과 동시에 차량의 실내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359836에 개시된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여진기가 평판 형태의 패널에 결합되고, 여진기가 평판 형태의 패널을 진동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차량에 적용할 여지가 있다.
그러나, 평판 형태의 패널과 여진기는 스크류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패널의 전면에 떨림판, 제진패드, 프런트 패널 등이 구비되어 상당한 중량과 부피를 요구하게 되어, 차량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따라서, 차량의 내장재와 차체의 이너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실내에서는 보이지 아니하면서 작은 부피만으로 충분한 스피커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히든 타입의 차량용 스피커를 장착하는 구조를 개발할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59836호(2014.01.29)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용 스피커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내장재 패널 이면에 구비되어 차량의 실내에서 보이지 아니하고, 차체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차량의 실내를 더욱 넓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는 진동 발생 장치,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차량의 내장재 패널, 및 차체의 이너 패널과 상기 내장재 패널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결합되며 상기 내장재 패널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을 상기 내장재 패널로 전달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안착되도록 구비된 결합 패널, 및 상기 결합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재 패널에 고정 결합되되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내장재 패널로 전달시키는 진동 전달 볼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 패널은 평판 형태로 형성된 패널 본체,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안착되도록 상기 패널 본체의 중앙에 홀 형태로 형성된 음원 안착 홀, 및 상기 음원 안착 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위상차를 두고 홀 형태로 복수 개 형성되는 진동 전달 홀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패널과 접촉하여 상기 결합 패널을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 진동 전달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은 상기 결합 패널의 상기 이너 패널 방향 면에 접촉되고, 상기 진동 전달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진동 전달 볼트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내장재 패널은 차량 실내에 구비된 내장재 본체, 및 상기 내장재 본체에서 상기 이너 패널 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연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동 전달 볼트와 볼트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진동 전달 너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 패널은 상기 패널 본체에서 상기 내장재 패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내주면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음원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상기 내장재 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상기 내장재 패널 사이의 공간 발생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에 의하면, 내장재 패널의 이면에 진동 발생 장치가 결합되어 차량의 실내에서는 스피커가 보이지 아니하고,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내장재 패널로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작은 부피로 높은 음질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를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를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를 적용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는, 진동 발생 장치(10), 내장재 패널(20) 및 결합 부재(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는 차체의 이너 패널(도면 미기재)와 상기 내장재 패널(20) 사이에 상기 결합 부재(30)와 함께 구비된다. 즉, 상기 내장재 패널(20)이 차량의 실내에서 보이는 정면과 차량의 실내에서 보이지 않는 이면으로 이루어 진다고 할 때, 상기 내장재 패널(20)의 이면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 및 상기 결합 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는 상기 내장재 패널(20)과 차체의 이너 패널(도면 미기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 부재(30)와 결합되어 상기 내장재 패널(20)의 이면(차량의 실내에서 보이지 않는 면)에 접촉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에서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와 상기 내장재 패널(20) 사이에 실링 부재(도면 미기재)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 부재(도면 미기재)는 얇은 접착제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와 상기 내장재 패널(20) 사이의 틈을 메워 진동에 따른 공간 발생을 방지하는 소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내장재 패널(20)은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고, 내장재 본체(21) 및 진동 전달 너트(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장재 본체(21)는 차량의 실내에 장착되어 일면(이하 '내장재 정면'이라 한다)은 차량의 실내에서 보이도록 배치되고, 그 이면(이하 '내장재 이면'이라 한다)은 차체의 이너 패널을 향하여 배치되어 차량의 실내에서 보이지 아니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장재 본체(21)는 차량의 실내에서 차체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장재 본체(21)는 평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장재 본체(21)의 소재는 특정한 소재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장재에 사용되는 소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태의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의 외주면에 걸림턱(도면 미기재)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는 상기 내장재 본체(21)에서 상기 이너 패널(도면 미기재) 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연장 돌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는 내장재 이면에 상기 내장재 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통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결합 부재(30)와 볼트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가 4개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결합 부재(30) 및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위치 및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30)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를 수용하고, 상기 내장재 패널(20)에 결합되며, 결합 패널(31), 진동 전달 볼트(32) 및 진동 전달 스프링(3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 패널(31)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를 수용하고, 상기 내장재 패널(20)과 접촉되도록 구비되며, 패널 본체(31a), 음원 지지부(31b), 음원 안착 홀(31c) 및 진동 전달 홀(31d)을 포함한다.
이때, 평판 형태로 형성된 상기 패널 본체(31a)는 중앙에 상기 음원 안착 홀(31c)이 형성되고, 상기 음원 안착 홀(31c)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31a)에서 상기 내장재 본체(21) 방향으로 상기 음원 지지부(31b)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원 지지부(31b)는 중공형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음원 지지부(31b)의 중공은 상기 음원 안착 홀(31c)과 연통되어, 내부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를 수용한다. 즉, 상기 음원 지지부(31b)의 내주면 및 상기 음원 안착 홀(31c)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음원 지지부(31b)의 내주면 또는 상기 음원 안착 홀(31c)에 원주 방향을 따라 스토퍼(도면 미기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의 걸림턱(도면 미기재)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은 상기 음원 안착 홀(31c)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되, 각각의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은 상기 음원 안착 홀(31c)을 중심으로 일정한 위상 차를 가지고 배치된다. 즉, 상기 음원 안착 홀(31c)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반경 및 동일한 각도 간격으로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이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는 상기 내장재 패널(20)의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에 볼트 결합되되, 볼트 본체(32a), 스프링 지지부(32b), 볼트 삽입부(32c)및 볼트 나사산부(32d)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는 상기 내장재 패널(20) 방향의 단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있는 상기 볼트 나사산부(32d)에 의하여 상기 결합 패널(31)의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을 관통하며, 상기 이너 패널 방향 단부에 볼트 헤드가 구비되어 상기 볼트 본체(32a)를 이루고, 상기 볼트 본체(32a)의 볼트 헤드에 원판 형태의 상기 스프링 지지부(32b)가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스프링 지지부(32b)와 상기 볼트 나사산부(32d) 사이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원기둥 형상의 상기 볼트 삽입부(32c)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지지부(32b)와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33)이 접촉된다.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33)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지지부(32b) 및 상기 패널 본체(31a) 사이에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의 장착 과정 및 효과를 설명하면,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를 상기 음원 안착 홀(31c) 및 상기 음원 지지부(31b)의 내주면에 삽입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가 상기 이너 패널(도면 미기재)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의 외주면 상에 걸림턱 등을 형성시키고, 상기 음원 지지부(31b)의 내주면 상에 스토퍼를 형성시켜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고, 또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의 외주면 상에 걸림턱 등을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기 음원 지지부(31b)의 내주면 직경을 상기 음원 안착 홀(31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의 축방향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가 상기 결합 패널(31)에 수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내장재 패널(20)의 이면에 형성된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 위에 상기 결합 패널(31)의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을 배치시킨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를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하므로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의 내주면과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이 동축 상에 배치된다.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 위에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이 배치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 형태의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33)에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를 삽입한다. 이 경우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의 상기 스프링 지지부(32b)와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33)이 접촉된다.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33)이 끼워진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를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을 관통하여 상기 진동 전달 너트(22)에 볼트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33)은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의 스프링 지지부(32b)와 상기 패널 본체(31a)를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결합 부재(30)에 의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가 상기 내장재 패널(20)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33)을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가 상기 내장재 패널 방향으로 가압되어 진동의 전달 효과를 향상시키고, 상기 내장재 패널(20)에서 차량의 실내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와 상기 내장재 패널(20) 사이에 접착제 등의 실링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와 상기 내장재 패널(20) 사이의 공간 발생을 억제시키면 진동의 전달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태의 상기 음원 지지부(31b)를 도입하여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와 서로 면접촉하여 진동을 전달받는 동시에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를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되고, 상기 음원 지지부(31b)가 상기 내장재 패널(20)과 접촉하여 진동 전달을 보조하여 진동의 전달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진동의 전달 시간은 진동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만약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가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로부터 동일 거리 및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지 아니하면 진동(파동) 사이에서 서로 간섭(맥놀이)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내장재 패널(20)이 안정적인 소리를 발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동 전달 홀(31d)을 상기 음원 안착 홀(31c)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위상차를 두고 배치시켜,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진동 전달 볼트(32)를 거쳐 상기 내장재 패널(20)로 전달되는 진동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30)의 결합 패널(31)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의 상기 결합 패널(31)의 원주 방향 외측으로 볼트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홀이 2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발생 장치(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패널(31)의 내주면에 진동 발생 장치(10)를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 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발생 장치(10)와 상기 결합 패널(31)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패널(31) 내에 진동 발생 장치(10)가 병렬로 2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진동원을 통하여 입체적인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진동 발생 장치
20 : 내장재 패널
21 : 내장재 본체
22 : 진동 전달 너트
30 : 결합 부재
31 : 결합 패널
31a : 패널 본체
31b : 음원 지지부
31c : 음원 안착 홀
31d : 진동 전달 홀
32 : 진동 전달 볼트
32a : 볼트 본체
32b : 스프링 지지부
33 : 진동 전달 스프링

Claims (8)

  1. 진동 발생 장치;
    상기 진동 발생 장치로부터 인가된 진동을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차량의 내장재 패널; 및
    차체의 이너 패널과 상기 내장재 패널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안착되도록 구비된 결합 패널과, 상기 내장재 패널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상기 결합 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재 패널로 직접 접촉하여 전달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장재 패널의 단부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있는 진동 전달 볼트를 포함하는 결합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패널은,
    평판 형태로 형성된 패널 본체;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안착되도록 상기 패널 본체의 중앙에 홀 형태로 형성된 음원 안착홀; 및
    상기 음원 안착 홀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위상차를 두고 홀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진동 전달 볼트에 의해 관통되는 진동 전달 홀;
    을 포함하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패널과 직접 접촉하여 상기 결합 패널을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된 진동 전달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 스프링은,
    상기 결합 패널의 상기 이너 패널 방향 면에 접촉되고, 상기 진동 전달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진동 전달 볼트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 패널은,
    차량 실내에 구비된 내장재 본체; 및
    상기 내장재 본체에서 상기 이너 패널 방향으로 원통 형태로 연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동 전달 볼트와 볼트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진동 전달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패널은,
    상기 패널 본체에서 상기 내장재 패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진동 발생 장치를 내주면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음원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상기 내장재 패널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와 상기 내장재 패널 사이의 공간 발생을 차단하도록 구비된 실링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KR1020180128677A 2018-10-26 2018-10-26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KR10208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77A KR102085759B1 (ko) 2018-10-26 2018-10-26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77A KR102085759B1 (ko) 2018-10-26 2018-10-26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759B1 true KR102085759B1 (ko) 2020-03-06

Family

ID=6980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77A KR102085759B1 (ko) 2018-10-26 2018-10-26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239B1 (ko) * 2022-08-29 2023-01-11 주식회사 아이텍 테크널러지 음향 진동 전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948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스피커 방진용 체결구조
KR20090039372A (ko) * 2007-10-18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
KR20090075155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피커
JP2013040684A (ja) * 2011-08-18 2013-02-28 Furui Precise Component (Kunshan) Co Ltd スプリングボル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5948A (ko) * 2004-11-19 2006-05-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전의 스피커 방진용 체결구조
KR20090039372A (ko) * 2007-10-18 2009-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
KR101359836B1 (ko) 2007-10-18 2014-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기기
KR20090075155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피커
JP2013040684A (ja) * 2011-08-18 2013-02-28 Furui Precise Component (Kunshan) Co Ltd スプリングボル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239B1 (ko) * 2022-08-29 2023-01-11 주식회사 아이텍 테크널러지 음향 진동 전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7768B1 (en) In-plane speaker
US20110142251A1 (en) Low freqency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in a vehicle
US6985593B2 (en) Baffle vibration reducing
JP2004009924A (ja) 車載用スピーカの取付構造
KR102085759B1 (ko) 차량용 히든 타입 스피커 장착 구조
WO2021049165A1 (ja) 車載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3845989B2 (ja) スピーカ
JP4397630B2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JP5664168B2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US6721436B1 (en) Remote edge-driven panel speaker
JP7420576B2 (ja) スピーカユニット
JP2528230Y2 (ja) 自動車用スピーカ
JP2015005913A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JP2011244104A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JP2008098864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5134430B2 (ja) スピーカ装置
JP2012023574A (ja) 車載用スピーカ
WO2020129262A1 (ja) 車載用スピーカ装置
JPS6143351Y2 (ko)
JP3953454B2 (ja) 板体直接駆動スピーカ装置
JPS6143350Y2 (ko)
JPS6128465Y2 (ko)
JP3861433B2 (ja) パネル型スピーカ装置
JP202315116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9114838A (ja) 車載用スピーカシステム及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