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558B1 - 매체 판독 소인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판독 소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558B1
KR102085558B1 KR1020180126281A KR20180126281A KR102085558B1 KR 102085558 B1 KR102085558 B1 KR 102085558B1 KR 1020180126281 A KR1020180126281 A KR 1020180126281A KR 20180126281 A KR20180126281 A KR 20180126281A KR 102085558 B1 KR102085558 B1 KR 10208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transport path
path
printing
down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환
김승기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8012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32Apparatus for automatic testing and analysing marked record carriers, used for examinations of the multiple choice answ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를 판독하고 소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구(11)에 연결된 이송경로에 상류이송롤러(15)를 갖춘 본체(10); 상기 이송경로에 TPH(21)를 탑재하고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블랙마크를 인쇄하는 인쇄수단(20); 상기 인쇄수단(20)을 통과한 매체를 제1보관함(31) 또는 제2보관함(32)에 구분하여 보관하는 보관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인쇄수단(20), 보관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마권 등의 매체 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설정된 마크를 인쇄하는 과정에서 경박단소 구조를 기반으로 크기가 다른 2종류의 매체를 구분하여 이송하고 보관하여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체 판독 소인 장치 {Apparatus for reading and printing medium}
본 발명은 매체 판독 소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체 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설정된 마크를 인쇄하여 보관하기 위한 매체 판독 소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권, 토토, 로또 등과 같은 매체는 용지 상에 발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OCR/OMR, 바코드와 같은 이미지로 기록된 상태로 발권된다. 매체의 처리에 있어서 용지의 고속이송, 이미지 양면 스캔, 소인인쇄, 적재 기능 등이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사회 각 분야에서 무인화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발권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경박단소한 구조를 기반으로 하면서 다기능을 처리하는 작동 신뢰성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83672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13880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투입된 매체의 전체 이미지를 스캔하여 판독하는 이미지 판독센서; 및 이미지 판독센서에서 판독된 상기 매체의 상태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투입된 매체가 2매인지 여부를 센싱하는 2매감지센서가 설치된다. 이에, 매체를 제거하거나 기기를 유지보수하기 용이하고, 매체의 손상이나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본체를 상하로 분리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요체로 하므로 경박단소의 구조를 신뢰성있게 구현하기 미흡하다.
선행문헌 2는 인식트랙에 접하는 상부디버터, 환류트랙에 접하는 하부디버터, 대기트랙에 접하는 중간디버터를 지지하는 3방향디버터; 디버터들 중 적어도 2개를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링크수단; 및 설정된 조건으로 링크수단을 구동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지폐의 트랙간 이동에 따른 구조적 컴팩트화와 더불어 작동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지폐의 환류와 관련된 이동경로의 컴팩트화를 요체로 하므로 발권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이 수반되어야 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183672호 "OCR형 판독소인장치" (공개일자 : 2012.09.1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13880호 "환류식 입출금기의 지폐경로 전환기구" (공개일자 : 2015.11.05.)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권 등의 매체 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설정된 마크를 인쇄하는 과정에서 경박단소 구조를 기반으로 크기가 다른 2종류의 매체를 구분하여 이송하고 보관할 수 있는 매체 판독 소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체를 판독하고 소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구에 연결된 이송경로에 상류이송롤러를 갖춘 본체; 상기 이송경로에 TPH를 탑재하고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블랙마크를 인쇄하는 인쇄수단; 상기 인쇄수단을 통과한 매체를 제1보관함 또는 제2보관함에 구분하여 보관하는 보관수단; 및 상기 본체, 인쇄수단, 보관수단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
Figure 112018104289748-pat00001
" 형태로 상류측 이송경로, 교차점, 하류측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보관수단은 이송경로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정역안내대,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제1보관함에 대한 매체 진입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1방향전환대, 하류측 이송경로의 말단부에 매체의 대기를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제2방향전환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정역안내대는 상류측 이송경로에 밀착되고 하류측 이송경로에 이격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류측 이송경로에 대한 밀착력을 변동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매체의 종류를 판독하는 판독센서, 인쇄수단에 매체가 진입하는 상태를 검출하는 진입검출센서,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매체의 이송 상태를 검출하는 경로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권 등의 매체 상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고 설정된 마크를 인쇄하는 과정에서 경박단소 구조를 기반으로 크기가 다른 2종류의 매체를 구분하여 이송하고 보관하여 실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부를 드러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매권 처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매표 처리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매체를 판독하고 소인하는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매체는 구매표와 구매권으로 구분되는 마권을 대상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매표는 구매자가 경주번호, 경주종류, 구입금액 등을 표기하는 티켓이고, 구매권은 구매표에 근거하여 발행되어 구매자가 소지하는 티켓이다. 구매표는 구매권에 비하여 가로, 세로 크기가 크다. 선택된 경주가 종료된 후에 구매권은 당첨금으로 교환하는 증서 역할도 하므로 소정의 소인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0)가 투입구(11)에 연결된 이송경로에 상류이송롤러(15)를 갖춘 구조이다. 본체(10)는 매체 판독소인기의 골격인 프레임 역할을 한다. 매체의 이송경로는 전면의 투입구(11)에서 다수의 상류이송롤러(15)와 하류이송롤러(35)를 거쳐 배출구(12)와 보관함(31)(32)까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는 "
Figure 112018104289748-pat00002
" 형태로 상류측 이송경로, 교차점, 하류측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류측 이송경로는 대략 J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류측 이송경로는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류측 이송경로에 3개의 상류이송롤러(15)가 예시되고, 하류측 이송경로에 3개의 하류이송롤러(35)가 예시된다. 이는 본체(10)를 경박단소한 구조로 구성하면서 크기가 다른 매체를 하나의 이송경로에서 신속ㆍ정확하게 처리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상류이송롤러(15)와 달리 하류이송롤러(35)는 정역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수단(20)이 상기 이송경로에 TPH(21)를 탑재하고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블랙마크를 인쇄하는 구조이다. 인쇄수단(20)은 열전사 방식의 TPH(21)를 구비하며, TPH(21)는 하류측 이송경로에 설치된 인쇄롤러(25)와 대향한다. TPH(21)는 감속모터를 탑재한 구동기(27)에 캠(23)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매체가 인쇄수단(20)을 통과할 때 TPH(21)와 인쇄롤러(25)의 유연한 밀착을 유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관수단(30)이 상기 인쇄수단(20)을 통과한 매체를 제1보관함(31) 또는 제2보관함(32)에 구분하여 보관하는 구조이다. 보관수단(30)은 하류측 이송경로의 하측에 연하여 제1보관함(31)과 제2보관함(32)을 구비한다. 제1보관함(31)은 길이가 짧은 구매권을 보관하는 영역이고, 제2보관함(32)은 길이가 긴 구매표를 보관하는 영역이다. 구매표와 구매권은 동일한 이송경로를 통하여 이송되지만 제1보관함(31)과 제2보관함(32)에 구분되어 보관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보관수단(30)은 이송경로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정역안내대(33),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제1보관함(31)에 대한 매체 진입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1방향전환대(36), 하류측 이송경로의 말단부에 매체의 대기를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제2방향전환대(3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역안내대(33)가 인쇄수단(20)의 하류측에 인접한 교차점에 설치되고, 2개의 방향전환대(36)(37)는 하류측 이송경로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정역안내대(33)는 상류측 이송경로를 통한 매체의 정방향 이송과 하류측 이송경로를 통한 매체의 정역방향 이송을 유도한다. 제1방향전환대(36)는 솔레노이드의 동력으로 회동되는 구조이며, 제1보관함(31)의 투입구 상측에 배치되어 구매권의 유입을 단속한다. 제2방향전환대(37)도 솔레노이드의 동력으로 회동되는 구조이며, 후술하듯이 구매표의 일시 대기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정역안내대(33)는 상류측 이송경로에 밀착되고 하류측 이송경로에 이격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류측 이송경로에 대한 밀착력을 변동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정역안내대(33)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류측 이송경로에 곡선으로 하류측 이송경로에 직선으로 접한다. 정역안내대(33)에 연결된 스프링은 정역안내대(33)가 상류측 이송경로에 밀착되도록 하여 하류측 이송경로로 통과된 매체가 다시 상류측 이송경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물론 정역안내대(33)의 상방향 밀착을 위한 탄성력은 수동적 조절에 의하여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40)이 상기 본체(10), 인쇄수단(20), 보관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구조이다. 제어수단(4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제어기(48)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인쇄수단(20)의 설정된 알고리즘은 제어기(48)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실행된다. 제어기(48)는 투입되는 매체가 구매표인지 구매권인지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여 인쇄수단(20), 보관수단(30)의 작동을 차등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40)은 매체의 종류를 판독하는 판독센서(41), 인쇄수단(20)에 매체가 진입하는 상태를 검출하는 진입검출센서(43),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매체의 이송 상태를 검출하는 경로센서(45)(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독센서(41), 진입검출센서(43), 경로센서(45)(46)는 제어기(48)의 입력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판독센서(41)는 상류측 이송경로의 투입구(11) 부근에 매체의 양면을 스캔하도록 대향하는 한 쌍의 CIS센서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진입검출센서(43)는 상류측 이송경로의 TPH(21) 상류측에서 매체의 유입 상태를 검출하도록 포토센서 등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제1경로센서(45)는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제1방향전환대(36)의 하류측에 포토센서 등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제2경로센서(46)는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제2방향전환대(37)의 상류측에 포토센서 등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작동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 투입되는 매체가 판독센서(41)를 거쳐 구매권(T1)으로 판독된 경우 인쇄수단(20)의 TPH(21)를 작동하여 블랙마크를 인쇄한다. 이후 구매권(T1)은 정역안내대(33)의 상면을 거치고 경사지게 회동하는 제1방향전환대(36)를 따라 제1보관함(31)에 투입된다.
도 4에서, 투입되는 매체가 판독센서(41)를 거쳐 구매표(T2)로 판독된 경우 인쇄수단(20)의 TPH(21)를 작동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킨다. 이후 구매표(T2)는 정역안내대(33)의 상면을 거치고 하류측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고, 경사지게 회동하는 제2방향전환대(37)를 따라 제1보관함(31)에 인접한 대피공간에 유입된다. 이때, 구매표(T2)는 경로센서(45)(46)의 인식에 의하여 하류단의 하류이송롤러(35)에 맞물려 낙하되지는 않는다.
도 5에서, 모든 하류이송롤러(35)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구매표(T2)가 역방향으로 이송되며, 정역안내대(33)의 상면에 막혀 저면으로 통과하여 제2보관함(32)으로 투입된다.
물론, 제어기(48)는 매체의 오류, 인쇄 불량 등이 발생하는 경우 매체를 배출구(12)로 배출시킨다.
한편, 보관수단(30)의 보관함(31)(32)은 각각 매체의 만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투입구
12: 배출구 15, 35: 이송롤러
20: 인쇄수단 21: TPH
23: 캠 25: 인쇄롤러
27: 구동기 30: 보관수단
31, 32: 보관함 33: 정역안내대
36: 제1방향전환대 37: 제2방향전환대
40: 제어수단 41: 판독센서
42: 블랙마크센서 45: 제1경로센서
46: 제2경로센서 48: 제어기

Claims (5)

  1. 매체를 판독하고 소인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구(11)에 연결된 이송경로에 상류이송롤러(15)를 갖춘 본체(10);
    상기 이송경로에 TPH(21)를 탑재하고 매체의 종류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블랙마크를 인쇄하는 인쇄수단(20);
    상기 인쇄수단(20)을 통과한 매체를 제1보관함(31) 또는 제2보관함(32)에 구분하여 보관하는 보관수단(30); 및
    상기 본체(10), 인쇄수단(20) 및 보관수단(30)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는 "
    Figure 112019109409490-pat00003
    " 형태로 상류측 이송경로, 교차점 및 하류측 이송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보관수단(30)은 이송경로의 교차점에 설치되는 정역안내대(33),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제1보관함(31)에 대한 매체 진입을 단속하도록 설치되는 제1방향전환대(36) 및 하류측 이송경로의 말단부에 매체의 대기를 유도하도록 설치되는 제2방향전환대(37)를 구비하고,
    상기 정역안내대(33)는 상류측 이송경로에 밀착되고 하류측 이송경로에 이격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상류측 이송경로에 대한 밀착력을 변동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40)은 매체의 종류를 판독하는 판독센서(41), 인쇄수단(20)에 매체가 진입하는 상태를 검출하는 진입검출센서(43),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매체의 이송 상태를 검출하는 제1경로센서(45) 및 하류측 이송경로에서 매체의 이송 상태를 검출하는 제2경로센서(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판독 소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26281A 2018-10-22 2018-10-22 매체 판독 소인 장치 KR10208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81A KR102085558B1 (ko) 2018-10-22 2018-10-22 매체 판독 소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281A KR102085558B1 (ko) 2018-10-22 2018-10-22 매체 판독 소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558B1 true KR102085558B1 (ko) 2020-03-06

Family

ID=6980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281A KR102085558B1 (ko) 2018-10-22 2018-10-22 매체 판독 소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5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72B1 (ko) 2011-04-22 2012-09-17 주식회사 푸른기술 Ocr형 판독소인장치
KR101613880B1 (ko) 2014-04-28 2016-04-21 주식회사 푸른기술 환류식 입출금기의 지폐경로 전환기구
KR101727651B1 (ko) * 2016-10-04 2017-04-18 주식회사 케이씨티 무인 발매기용 용지 잔량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인 발매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672B1 (ko) 2011-04-22 2012-09-17 주식회사 푸른기술 Ocr형 판독소인장치
KR101613880B1 (ko) 2014-04-28 2016-04-21 주식회사 푸른기술 환류식 입출금기의 지폐경로 전환기구
KR101727651B1 (ko) * 2016-10-04 2017-04-18 주식회사 케이씨티 무인 발매기용 용지 잔량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무인 발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358E1 (en) Data reading apparatus
EP2938498B1 (en) Multi-purpose printer
US7210630B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a hybrid process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image scanning apparatus
EP2287099B1 (en) Document Deskewing
KR100980075B1 (ko) 수표 및 지로용지 겸용 처리장치
KR102085558B1 (ko) 매체 판독 소인 장치
JP2759379B2 (ja) 有価証券の印字装置
JP2007137035A (ja) 印刷媒体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印刷媒体処理装置
JP2009029539A (ja) シート収納装置および収納状態検出方法
JP4553847B2 (ja) 媒体搬送装置
KR101183993B1 (ko)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인자장치
KR102063714B1 (ko) 매체 판독소인기의 인쇄장치
US8098391B2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having improved operational sequencing
JP3286782B2 (ja) 発券機の一括排出装置
JPH0717496Y2 (ja) 通帳の搬送装置
JP2004243764A (ja) 印刷装置
JPH0820455A (ja) 通帳印字装置
JP2680447B2 (ja) 自動改集札機
AU2004203128B2 (en) Data reading apparatus
JP3483783B2 (ja) 重ね媒体の検知機構
JP3241052B2 (ja) カード類処理装置
JP3323993B2 (ja) 発券機の重入防止装置
KR100773519B1 (ko)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
JP2017186132A (ja) 媒体処理装置
JPH0250291A (ja) 通帳類印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