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460B1 - 클립형 분필 홀더 - Google Patents

클립형 분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460B1
KR102085460B1 KR1020180146981A KR20180146981A KR102085460B1 KR 102085460 B1 KR102085460 B1 KR 102085460B1 KR 1020180146981 A KR1020180146981 A KR 1020180146981A KR 20180146981 A KR20180146981 A KR 20180146981A KR 102085460 B1 KR102085460 B1 KR 10208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bar
chalk
arc shape
inner holding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연
Original Assignee
이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연 filed Critical 이성연
Priority to KR102018014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6Holders for crayons or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003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14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클립형 분필 홀더는, 각각의 중앙부와 측부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제1 헤드부, 제1 바디부 및 제1 테일부와, 제1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외측 홀딩바와, 제1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1 내측 홀딩바와, 제1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돌기들과, 제1 바디부와 제1 테일부 사이에 위치한 제1 회전축부와, 각각의 중앙부와 측부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제2 헤드부, 제2 바디부 및 제2 테일부와, 제1 외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제2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외측 홀딩바와, 제1 내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제2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2 내측 홀딩바와, 제2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돌기들과, 제2 바디부와 제2 테일부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회전축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부와,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마주하도록 제2 테일부의 중앙부의 내면에서 연장된 제2 탄성부재 수용부를 갖는, 제2 파트와,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제2 탄성부재 수용부에 삽입되고, 제1 테일부와 제2 테일부의 눌림 상태에서 압축되고, 제1 테일부와 제2 테일부의 비눌림 상태에서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클립형 분필 홀더{CLIP TYPE CHALK HOLDER}
본 발명은 분필 홀더(chalk holder)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분필의 사용시 분필 홀더 내에 삽입된 분필의 유동을 방지하여 필기감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다양한 직경을 갖는 분필을 삽입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이와 같이 분필의 유동을 방지하여 필기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필의 부러짐을 최소화하기 위한 클립형 분필 홀더(clip type chalk holder)와 관련된다.
분필 홀더는 분필을 삽입하여 사용자의 손에 분필이 묻지 않도록 하고 분필의 파손이나 가루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구조나 형상으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구조나 형태의 분필 홀더들에 있어서도 개개의 구조에서 장단점이 있다.
근래에 출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하여 양측을 누르는 형태로 분필을 삽입하고 빼내는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회전축 구조를 채용한 클립 구조의 분필 홀더들(이하, '클립형 분필 홀더'로 칭함)에 있어서도 그 종류가 다양한데, 그 중 하나의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0553(2014년 10월 14일 공개)(이하 종래기술 1)에 개시된 분필 홀더이다. 상기 종래기술 1은 종래의 분필 홀더의 단점, 예컨대, 상기 종래기술 이전의 종래 분필 홀더들에서 분필 홀더 내에 삽입된 분필의 유동이 많이 발생하여 분필 홀더 내에 삽입된 분필들이 빈번하게 부러진다거나 분필로 인해 발생하는 분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클립형 분필 홀더에서 내부에 삽입된 분필을 마찰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마찰 부재들을 추가한 구조가 핵심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분필 홀더들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갖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종래의 분필 홀더들은 다양한 직경의 분필에 대응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즉, 분필 홀더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분필의 직경은 다양한데, 큰 직경을 갖는 분필용으로 분필 홀더를 제작하는 경우,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분필에 대하여는 분필 홀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그와 반대로, 작은 직경을 갖는 분필용으로 분필 홀더를 제작하는 경우, 그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분필은 아예 삽입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분필 홀더 내에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판서를 하는 경우, 분필의 유동이 심하여 필기감이 나쁘다는 점이다. 특히, 종래의 분필 홀더들에 있어서는, 분필을 분필 홀더 내에 삽입하는 경우, 분필의 끝 부분, 즉, 분필 홀더의 맨 앞 부분에서 분필을 고정하고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그 결과, 사용시 분필이 흔들리게 되어 필기감이 나빠지게 되고, 분필이 쉽게 부러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필 홀더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0553(2014년 10월 14일 공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분필 홀더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필 홀더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분필의 직경은 다양한데, 큰 직경을 갖는 분필용으로 분필 홀더를 제작하는 경우,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분필에 대하여는 분필 홀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그와 반대로, 작은 직경을 갖는 분필용으로 분필 홀더를 제작하는 경우, 그보다 큰 직경을 갖는 분필은 아예 삽입될 수 있는 단점을 개선하여, 다양한 분필의 직경에 적용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클립형 분필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분필 홀더들을 사용하여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판서를 하는 경우, 분필의 유동이 심하여 필기감이 나쁘고, 분필이 잘 부러지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클립형 분필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클립형 분필 홀더는, 제1 헤드부와, 제1 바디부와, 제1 테일부 - 상기 제1 헤드부,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테일부는, 각각의 중앙부와 측부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됨 - 와, 상기 제1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외측 홀딩바와, 상기 제1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1 내측 홀딩바와, 상기 제1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돌기들과,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테일부 사이에 위치한 제1 회전축부와, 상기 제1 테일부의 중앙부의 내면에서 연장된 제1 탄성부재 수용부를 갖는, 제1 파트(110); 상기 제1 헤드부와 마주하는 제2 헤드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제1 테일부와 마주하는 제2 테일부 - 상기 제2 헤드부, 상기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테일부는, 각각의 중앙부와 측부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됨 - 와,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헤드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외측 홀딩바와, 상기 제1 내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2 내측 홀딩바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돌기들과, 상기 제2 바디부와 상기 제2 테일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부와,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테일부의 중앙부의 내면에서 연장된 제2 탄성부재 수용부를 갖는, 제2 파트(120)와,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수용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테일부와 상기 제2 테일부의 눌림 상태에서 압축되고, 상기 제1 테일부와 상기 제2 테일부의 비눌림 상태에서 복원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와 상기 제2 외측 홀딩바 각각은 일부 구간에 형성된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된 분필은,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와 상기 제2 외측 홀딩바 각각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외측 홀딩바, 상기 제2 외측 홀딩바, 상기 제1 내측 홀딩바 및 상기 제2 내측 홀딩바 각각은 일부 구간에 형성된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분필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제1 분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내측 홀딩바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1 내측 홀딩바 및 제1-2 내측 홀딩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 홀딩바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1 내측 홀딩바 및 제2-2 내측 홀딩바 -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는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는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배치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 상기 제2 외측 홀딩바,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 및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 각각은 일부 구간에 형성된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분필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이격되고,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제1 분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제2 분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3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고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된다.
본 발명은 개선된 클립형 분필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분필의 직경에 상관없이 다양한 분필의 직경에 적용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선된 클립형 분필 홀더를 제공함으로써, 분필 홀더를 사용하여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판서를 하는 경우, 분필의 유동을 억제하여 필기감을 좋게 하고 분필의 부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분필 홀더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클립형 분필 홀더의 제1 파트(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클립형 분필 홀더의 제2 파트(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분필(1)이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분필(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b)를 더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외측 홀딩바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 홀딩바들의 단면과 내측 홀딩바들의 단면을 함께 나타내어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직경의 크기가 다른 분필이 삽입된 경우의 클립형 분필 홀더의 상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직경을 갖는 분필을 삽입가능한 구조로서, 분필 삽입후 사용시 분필 홀더 내에서 유동을 최소화하여 필기감을 높이고 분필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갖는 클립형 분필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클립형 분필 홀더의 제1 파트(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클립형 분필 홀더의 제2 파트(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는, 크게 제1 파트(110), 제2 파트(120), 및 탄성부재(도 6의 130)를 포함한다. 클립형 분필 홀더이므로, 사용자가 뒷부분(도 1에서 우측)의 양측을 파지하여 눌러서 분필을 삽입하거나 빼내는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제1 파트(110)의 상세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제2 파트(120)의 상세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해당 파트의 설명에 있어서 특히 이들 도면들을 참조한다.
제1 파트(110)는, 제1 헤드부(P11), 제1 바디부(P12), 제1 테일부(P13), 제1 외측 홀딩바(112), 복수 개의 돌기들(116), 제1 회전축부(111) 및 제1 탄성부재 수용부(114)를 포함한다.
제1 헤드부(P11), 제1 바디부(P12) 및 제1 테일부(P13) 각각은, 중앙부(S11)와 측부(S12)를 가지며,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헤드부(P11), 제1 바디부(P12) 및 제1 테일부(P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중앙부(S11)와 각각의 측부(S12)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S11)와 측부(S12)와의 관계는, 측부(S12)는 중앙부(S11)의 양측으로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이다.
제1 헤드부(P11)는 분필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2 헤드부(P21)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측부(S1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바디부(P12)는 제1 헤드부(P11)에서 연장되며, 분필의 삽입시, 분필의 대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제1 바디부(P12)의 후방에는 제1 회전축부(111)를 경계로 하여 제1 테일부(P13)가 연장되어 있으며, 제1 테일부(P13)는, 사용자가 제2 파트(120)의 제2 테일부(P23)와 함께 파지하여 누를 때, 제1 회전축부(111)와 제2 파트(120)의 제2 회전축부(121)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헤드부(P11)와 제2 파트(120)의 제2 헤드부(P21) 사이를 벌릴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2 테일부(P23)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측부(S1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측부(S12)의 경사는 참조부호 117로 표시되어 있다.
제1 외측 홀딩바(112)는 제1 헤드부(P11)의 일단, 즉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입구 측에 형성된 구성요소이며,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된 원호 형상(113)의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외측 홀딩바(112)의 원호 형상(123)은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2 외측 홀딩바(122)의 원호 형상(123)와 함께, 삽입되는 분필과 접촉하며, 분필의 유동을 억제하여 분필의 파손을 방지하고 필기감을 좋게 한다.
제1 내측 홀딩바(1121, 1122, 1123)는 제1 바디부(P12)의 중앙부(S11)의 내면에 형성된다. 제1 내측 홀딩바(1121, 1122, 1123)도 제1 외측 홀딩바(112)와 유사하게 적어도 일부 구간에 원호 형상(1131, 1132, 1133)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외측 홀딩바(112)의 원호 형상(1131, 1132, 1133)은 이후에 설명되는 제2 외측 홀딩바(1221, 1222, 1223)의 원호 형상(1231, 1232, 1233)과 함께 삽입되는 분필 크기에 대응되게 접촉하여 분필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분필의 파손을 방지하고 필기감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복수 개의 제1 돌기들(116)은 제1 바디부(P12)의 중앙부(S11)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 돌기들(116)은 제2 바디부(P22)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이후에 설명되는 제2 돌기들(126)은 제1 바디부(P12) 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돌기들(116) 및 제2 돌기들(126) 중 적어도 일부는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내부에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분필의 표면과 접촉하여 분필을 고정시키게 된다. 분필의 고정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 분필의 표면을 약간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제1 돌기들(116) 및 제2 돌기들(1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축부(111)는, 제1 바디부(P12)와 제1 테일부(P13) 사이에 위치한다. 제1 회전축부(111)는, 제2 회전축부(121)와 결합되어, 제1 테일부(P13)와 제2 테일부(P23)를 파지하여 제1 테일부(P13)의 측부(S12)와 제2 테일부(P23)의 측부(S22)가 가까워지도록 눌려질 때, 축 역할을 하여, 제1 바디부(P12)와 제2 바디부(P22), 그리고 제1 헤드부(P11)와 제2 헤드부(P12)가 멀어지도록 하여 분필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회전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
제1 탄성부재 수용부(114)는, 제1 테일부(P13)의 중앙부(S11)의 내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파트(120)의 제2 탄성부재 수용부(124)와 함께, 하나의 탄성부재(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파트(120)는, 제1 헤드부(P11)와 마주하는 제2 헤드부(P21), 제1 바디부(P12)와 마주하는 제2 바디부(P22), 제1 테일부(P13)와 마주하는 제2 테일부(P23)를 포함하며, 제1 외측 홀딩바(112)와 마주하도록 제2 헤드부(P21)의 일단에 형성된 제2 외측 홀딩바(122)와, 제1 내측 홀딩바(1121, 1122, 1123)와 마주하도록 제2 바디부(P22)의 중앙부(S21)의 내면에 형성된 제2 내측 홀딩바(1221, 1222, 1223)와, 제2 바디부(P22)의 중앙부(S21)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돌기들(126)과, 제2 바디부(P22)와 제2 테일부(P23) 사이에 위치하고 제1 회전축부(111)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부(121)와, 제1 탄성부재 수용부(114)와 마주하도록 제2 테일부(P23)의 중앙부(S21)의 내면에서 연장된 제2 탄성부재 수용부(124)를 갖는다.
제2 헤드부(P21), 제2 바디부(P22) 및 제2 테일부(213) 각각은, 중앙부(S21)와 측부(S22)를 가지며, 이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헤드부(P21), 제2 바디부(P22) 및 제2 테일부(P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중앙부(S21)와 각각의 측부(S22)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S21)와 측부(S22)와의 관계는, 측부(S22)는 중앙부(S21)의 양측으로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구조이다.
제2 헤드부(P21)는 분필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1 헤드부(P11)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측부(S22)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제2 바디부(P22)는 제2 헤드부(P21)에서 연장되며, 분필의 삽입시, 제1 바디부(P12)와 함께 분필의 대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제2 바디부(P22)의 후방에는 제2 회전축부(121)를 경계로 하여 제2 테일부(P23)가 연장되어 있으며, 제2 테일부(P23)는, 사용자가 제1 파트(110)의 제1 테일부(P13)와 함께 파지하여 누를 때, 제1 회전축부(111)와 제2 파트(120)의 제2 회전축부(121)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헤드부(P11)와 제2 파트(120)의 제2 헤드부(P21) 사이를 벌릴 수 있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1 테일부(P13)와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측부(S21)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측부(S21)의 경사는 참조부호 127로 표시되어 있다.
제2 외측 홀딩바(122)는 제2 헤드부(P21)의 일단, 즉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입구 측에 형성된 구성요소이며, 적어도 일부 구간에 형성된 원호 형상(123)의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외측 홀딩바(122)의 원호 형상(123)은 제1 외측 홀딩바(112)의 원호 형상(113)와 함께, 삽입되는 분필과 접촉하며, 분필의 유동을 억제하여 분필의 파손을 방지하고 필기감을 좋게 한다.
제2 내측 홀딩바(1221, 1222, 1223)는 제2 바디부(P22)의 중앙부(S21)의 내면에 형성된다. 제2 내측 홀딩바(1221, 1222, 1223)도 제2 외측 홀딩바(122)와 유사하게 적어도 일부 구간에 원호 형상(1231, 1232, 1233)이 형성되며, 이러한 제2 외측 홀딩바(122)의 원호 형상(1231, 1232, 1233)은 이후에 설명되는 제1 외측 홀딩바(1121, 1122, 1123)의 원호 형상(1131, 1132, 1133)과 함께 삽입되는 분필 크기에 대응되게 접촉하여 분필의 유동을 억제함으로써 분필의 파손을 방지하고 필기감을 좋게 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하여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복수 개의 제2 돌기들(126)은 제2 바디부(P22)의 중앙부(S21)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 돌기들(126)은 제1 바디부(P12) 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돌기들(116)은 제2 바디부(P22) 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 돌기들(116) 및 제2 돌기들(126) 중 적어도 일부는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내부에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분필의 표면과 접촉하여 분필을 고정시키게 된다. 분필의 고정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 분필의 표면을 약간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제1 돌기들(116) 및 제2 돌기들(126)은 도시된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회전축부(121)는, 제2 바디부(P22)와 제2 테일부(P23) 사이에 위치한다. 제2 회전축부(121)는, 제1 회전축부(111)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제1 테일부(P13)와 제2 테일부(P23)를 파지하여 제1 테일부(P13)의 측부(S12)와 제2 테일부(P23)의 측부(S22)가 가까워지도록 눌려질 때, 축 역할을 하여 제1 바디부(P12)와 제2 바디부(P22), 그리고 제1 헤드부(P11)와 제2 헤드부(P12)가 멀어지도록 하여 분필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도록, 회전의 중심축 역할을 한다.
제2 탄성부재 수용부(124)는, 제2 테일부(P23)의 중앙부(S21)의 내면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파트(110)의 제1 탄성부재 수용부(114)와 함께, 하나의 탄성부재(1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탄성부재(130; 도 6)는 제1 탄성부재 수용부(114)와 제2 탄성부재 수용부(124)에 삽입된다. 탄성부재(130)는, 사용자에 의해 제1 테일부(P13)와 제2 테일부(P23)가 눌려질 때, 즉 눌림 상태에 있을 때 압축되고, 사용자에 의해 제1 테일부(P13)와 제2 테일부(P23)가 눌려지지 않을 때, 즉 비눌림 상태에 있을 때 복원된다. 눌림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파트(110)의 제1 테일부(P13)와 제2 파트(120)의 제2 테일부(P23)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테일부(P13)와 제2 테일부(P23)는 충분히 경사지게(참조부호 117 및 127)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테일부(P13)와 제2 테일부(P23) 사이의 각도는 삽입되는 분필의 직경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이에 관하여는 이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118 및 128은 각각, 제1 파트(110)의 제1 바디부(P12)의 측부(S12) 및 제2 파트(120)의 제2 바디부(P22)의 측부(S22)의 일부를 별도로 표시한 것으로서, 제1 바디부(P12)와 제2 바디부(P22)가 서로 맞닿는 접촉면(contact surface)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바디부(P12)의 측부(S12)의 접촉면(118)은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1 접촉면(118a)과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제1-2 접촉면(118b)으로 구분되고, 제2 바디부(P22)의 측부(S22)의 접촉면(128)은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2-1 접촉면(128a),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하는 제2-2 접촉면(128b)으로 구분된다. 예컨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1-1 접촉면(118a)의 높이가 안쪽에 위치하는 제1-2 접촉면(118b)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고, 제2-1 접촉면(128a)의 높이가 제2-2 접촉면(118b)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며, 제1-1 접촉면(118a)과 제2-1 접촉면(128a)이 서로 맞닿고, 제1-2 접촉면(118b)과 제2-2 접촉면(128b)가 서로 맞닿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파트(110)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에 위치한 제1-1 접촉면(118a)의 폭은 제1 헤드부(P11)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구성된다(즉, 제1 테일부(P13)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된다). 이에 대응되게, 제2 파트(120)에서 상대적으로 안쪽에 위치한 제2-2 접촉면(128b)의 폭은 제2 헤드부(P21)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구성된다(즉, 제2 테일부(P23)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분필을 내부에 삽입할 시, 분필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파트(120)의 제2 바디부(P22)에는 금속 부재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그네틱부(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네틱부(140)는 제2 파트(120) 측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다르게 제1 파트(110)의 제1 바디부(P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 내에 분필(1)이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 내에 분필(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b)를 더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외측 홀딩바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에서 (a)는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에서 분필이 미삽입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b)는 (a)의 현재 상태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가 제1 회전축부(111)와 제2 회전축부(112)의 결합에 의해 완성된 구조의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이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후방(화살표 d1 방향)으로 갈수록, 제1 회전축부(111)와 제2 회전축부(112)에 의해 형성되는 외연 및 그에 대응되는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도 6의 (a)에서 참조부호 119 및 129는 각각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에 형성된 것으로서 분필을 클립형 분필 홀더(100) 내에 삽입한 후 판서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이다. 또한 도 6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 홀딩바(112)에 형성된 원호 형상(113)의 외연 및 제2 외측 홀딩바(122)에 형성된 원호 형상(123)의 외연보다 더 돌출되도록 제1 돌기들(116) 및 제2 돌기들(126)이 형성되어, 삽입된 분필이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파트(110)의 제1 바디부(P12)의 측부(S12)의 접촉면(118)(도 3 참조)과 제2 파트(120)의 제2 바디부(P21)의 측부(S22)의 접촉면(128)(도 5 참조)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유지되고, 테일부들(P13, P23)을 눌러서 분필을 삽입하는 경우, 분필의 직경에 대응되게 약간씩 전방으로 갈수록 약간씩 더 벌어지게 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1 방향으로 갈수록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의 직경이 증가하므로, 분필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내측 홀딩바(1121, 1122, 1123 중 하나; 도 3 참조)의 원호 형상1131, 1132, 1133 중 하나; 도 3 참조)과 제2 내측 홀딩바(1221, 1222, 1223 중 하나; 도 5 참조)의 원호 형상(1231, 1232, 1233 중 하나; 도 5 참조) 사이의 간격이, 제1 외측 홀딩바(112)의 원호 형상(113)과 제2 외측 홀딩바(122)의 원호 형상(123)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내측 홀딩바들(1121, 1122, 1123)의 개수, 그리고 이에 대응되게 마주하게 형성된 제2 내측 홀딩바들(1221, 1222, 1223)의 개수는 도면에서 2개 또는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개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삽입되는 분필의 직경에 따른 제1 내측 홀딩바들(1121, 1122, 1123)과 제2 내측 홀딩바들(1221, 1222, 1223) 간의 작용 관계는 이후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분필(1)이 삽입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의 중간 지점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필(1)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분필의 미삽입시 서로 맞닿아 있던 제1-1 접촉면(118a)과 제2-1 접촉면(128a)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맞닿아 있던 제1-2 접촉면(118b)과 제2-2 접촉면(128b)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분필의 미삽입시, 제1-1 접촉면(118a)과 제2-1 접촉면(128a)이 서로 맞닿고, 제1-2 접촉면(118b)과 제2-2 접촉면(128b)이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였으므로, 분필의 삽입에 의해 생기는, 제1-1 접촉면(118a)과 제2-1 접촉면(128a) 사이의 이격거리와 제1-2 접촉면(118b)과 제2-2 접촉면(128b) 사이의 이격 거리는 동일하다.
도 8을 도 3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여,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100)의 상태를 전방에서 바라보면, 삽입된 분필(1)의 직경에 대응되게 제1 바디부(P12)의 측부(S12)의 접촉면(118)과 제2 바디부(P22)의 측부(S22)의 접촉면(128)이 W1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분필은 제1 외측 홀딩바(112)와 제2 외측 홀딩바(122)에 의해 유지되며, 제1 돌출부(116) 및 제2 돌출부(126)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 홀딩바들(112, 122)를 지나도록 자른 단면과 내측 홀딩바들(1121, 1221)을 지나도록 다른 단면을 함께 나타내어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삽입되는 분필(1)은 어느 구간에서나 단면의 직경이 동일한 길쭉한 원기둥 형상이므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홀딩바들(112, 122) 부분에서는 삽입된 분필(1)이 외측 홀딩바들(112, 122)의 원호 형상(113, 123)에 접촉하게 되고, 반면에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홀딩바들(1121, 1221) 부분에서는 삽입된 분필이 내측 홀딩바들(1121, 1221)의 원호 형상(1131, 1231)에는 접촉하지 않고, 돌기들에 의해서만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분필 미삽입시에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의 접촉면들은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였으므로,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20) 간의 간격은, (a)에서와 같이 외측 홀딩바(112, 122) 부분의 단면에서의 간격(w1)과 (b)에서와 같이 내측 홀딩바(1121, 1221) 부분의 단면에서의 간격(w2)은 동일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내측 홀딩바들(1121, 1221)의 경우, 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는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에 홀딩해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이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직경의 크기가 다른 분필이 삽입된 경우의 클립형 분필 홀더의 상태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는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분필이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분필의 직경이 R1이고, (b)는 R1보다는 크고 R3보다는 작은 R2 직경을 갖는 분필이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c)는 가장 큰 직경인 R3를 직경으로 하는 분필이 클립형 분필 홀더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외측 홀딩바들과 내측 홀딩바들 각각에서 원호 형상은 별도로 표현되지 않았다.
분필의 미삽입 상태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홀딩바(1121, 1122, 1123)의 원호 형상(1131, 1132, 1133)과 제2 내측 홀딩바(1221, 1222, 1223)의 원호 형상(1231, 1232, 1233) 사이의 간격이, 제1 외측 홀딩바(112)의 원호 형상(113)과 제2 외측 홀딩바(122)의 원호 형상(123)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분필의 미삽입 상태에서, 제1 내측 홀딩바들(1121, 1122, 1123)의 원호 형상(1131, 1132, 1133; 도 3 참조)과 제2 내측 홀딩바들(1221, 1222, 1123)의 원호 형상(1231, 1232, 1233)의 원호 형상(1231, 1232, 1233; 도 3 참조) 들 간의 간격도 동일하지 않고, 제1-1 내측 홀딩바(1121)의 원호 형상(1131)과 제2-1 내측 홀딩바(1221)의 원호 형상(1231) 사이의 간격보다 제1-2 내측 홀딩바(1122)의 원호 형상(1132)와 제2-2 내측 홀딩바(1222)의 원호 형상(1232) 사이의 간격이 더 넓으며, 제1-2 내측 홀딩바(1122)의 원호 형상(1132)과 제2-2 내측 홀딩바(1222)의 원호 형상(1232) 사이의 간격보다 제1-3 내측 홀딩바(1123)의 원호 형상(1133)와 제2-3 내측 홀딩바(1223)의 원호 형상(1233) 사이의 간격이 더 넓다.
직경 R1인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a)), 제1 외측 홀딩바(112)의 원호 형상(113)과 제2 외측 홀딩바(122)의 원호 형상(123)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으므로, 이들 원호 형상들(113) 중 적어도 일부에 분필이 닿게 된다. 물론 이 때 제1 돌기들(116; 도 3) 및 제2 돌기들(126; 도 5)에 의해서도 분필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제1 내측 홀딩바들(1121, 1122, 1123)의 원호 형상(1131, 1132, 1133) 및 제2 내측 홀딩바들(1221, 1222, 1223)의 원호 형상(1231, 1232, 1233)에는 분필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직경이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R1을 갖는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테일부들(P13, P23; 도 2 및 도 4 참조)의 측부(S12, S22; 도 3 및 도 5 참조)사이의 각도는 θ1이며,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에 비해 큰 각도를 이룬다.
한편,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보다는 크고 R3보다는 작은 직경인 R2 직경을 갖는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 외측 홀딩부(112)의 원호 형상(113)과 제2 외측 홀딩부(122)의 원호 형상(123)에 분필이 접촉함과 동시에, 제1-1 내측 홀딩부(1121)의 원호 형상(1131)과 제2-1 내측 홀딩부(1221)의 원호 형상(1231)의 적어도 일부에 분필이 접촉된다. 물론 이 때 제1 돌기들(116; 도 3) 및 제2 돌기들(126; 도 5)에 의해서도 분필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제1 내측 홀딩바들(1122, 1123)의 원호 형상(1132, 1133) 및 나머지 제2 내측 홀딩바들(1222, 1223)의 원호 형상(1232, 1233)에는 분필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직경이 R2인 분필이 삽입된 상태에서, 테일부들(P13, P23; 도 2 및 도 4 참조)의 측부(S12, S22; 도 3 및 도 5 참조)사이의 각도는 θ2이며, 이는 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는 분필(R3 직경을 갖는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의 각도(θ3)에 비해 더 큰 각도를 이루며, 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을 갖는 분필(R1 직경을 갖는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의 각도(θ1)에 비해 더 작은 각도를 이룬다.
마지막으로, 가장 큰 직경 R3을 갖는 분필이 삽입된 경우, 외측 홀딩바들(112, 122)의 원호 형상(113, 123)과 내측 홀딩바들(1121, 1122, 1123, 1221, 1222, 1223)의 원호 형상(1131, 1132, 1133, 1231, 1232)이 모두 분필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분필 홀더(100)에서 바디부들(P12, P22)이 이루는 형상의 단면은 전체 구간에서 대체로 동일하게 일자형으로 된다. 또한, 이 경우, 테일부들(P13, P23; 도 2 및 도 4 참조)의 측부(S12, S22; 도 3 및 도 5 참조)사이의 각도는 θ3이며, 직경이 작은 분필들이 삽입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각도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립형 분필 홀더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그 범위가 정해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클립형 분필 홀더
110 : 제1 파트
120 : 제2 파트
130 : 탄성부재

Claims (5)

  1. 제1 헤드부와, 제1 바디부와, 제1 테일부와 - 상기 제1 헤드부, 상기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테일부는, 각각의 중앙부와 측부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됨 -, 상기 제1 헤드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제1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외측 홀딩바와, 상기 제1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1 내측 홀딩바와, 상기 제1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분포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돌기들과,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테일부 사이에 위치한 제1 회전축부와, 상기 제1 테일부의 중앙부의 내면에서 연장된 제1 탄성부재 수용부를 갖는, 제1 파트(110);
    상기 제1 헤드부와 마주하는 제2 헤드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마주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제1 테일부와 마주하는 제2 테일부와 - 상기 제2 헤드부, 상기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테일부는, 각각의 중앙부와 측부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됨 - ,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헤드부의 외측 단부에서 상기 제2 헤드부와 일체로 형성된 제2 외측 홀딩바와, 상기 제1 내측 홀딩바와 마주하게 상기 제2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형성된 제2 내측 홀딩바와, 상기 제2 바디부의 중앙부의 내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분포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돌기들과, 상기 제2 바디부와 상기 제2 테일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회전축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부와,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제2 테일부의 중앙부의 내면에서 연장된 제2 탄성부재 수용부를 갖는, 제2 파트(120); 및
    상기 제1 탄성부재 수용부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수용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테일부와 상기 제2 테일부의 눌림 상태에서 압축되고, 상기 제1 테일부와 상기 제2 테일부의 비눌림 상태에서 복원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 홀딩바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1 내측 홀딩바 및 제1-2 내측 홀딩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 홀딩바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2-1 내측 홀딩바 및 제2-2 내측 홀딩바 -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는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는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와 마주하도록 배치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 상기 제2 외측 홀딩바,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 및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 각각은 일부 구간에 형성된 원호 형상을 포함하고,
    분필을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이격되고,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이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과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제1 분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제2 분필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제3 분필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 외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고 상기 제1-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1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 및 상기 제2-2 내측 홀딩바의 원호 형상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1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들 중 하나 이상의 제2 돌기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형 분필 홀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46981A 2018-11-26 2018-11-26 클립형 분필 홀더 KR10208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81A KR102085460B1 (ko) 2018-11-26 2018-11-26 클립형 분필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981A KR102085460B1 (ko) 2018-11-26 2018-11-26 클립형 분필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460B1 true KR102085460B1 (ko) 2020-03-05

Family

ID=6980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981A KR102085460B1 (ko) 2018-11-26 2018-11-26 클립형 분필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4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342Y2 (ja) * 1992-08-27 1998-07-23 ぺんてる株式会社 棒状物ホルダ−
KR200356730Y1 (ko) * 2004-04-24 2004-07-19 이세룡 분필홀더
KR20140120553A (ko) 2013-04-03 2014-10-14 디앤이주식회사 클립형 분필 홀더
CN104786697A (zh) * 2015-04-27 2015-07-2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粉笔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342Y2 (ja) * 1992-08-27 1998-07-23 ぺんてる株式会社 棒状物ホルダ−
KR200356730Y1 (ko) * 2004-04-24 2004-07-19 이세룡 분필홀더
KR20140120553A (ko) 2013-04-03 2014-10-14 디앤이주식회사 클립형 분필 홀더
CN104786697A (zh) * 2015-04-27 2015-07-2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粉笔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2698B2 (ja) 棒状体ホルダー
JP5112558B2 (ja) 外科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及び外科クリップカートリッジ内で使用するためのハウジング部材
US5938028A (en) Tool holder for hexagonal wrenches
CN101977528A (zh) 带扣
JP4974531B2 (ja) 線条体の保持具
US6698642B2 (en) Wire retainer casing
KR102085460B1 (ko) 클립형 분필 홀더
JP4168088B2 (ja) クリップ
JP2016207572A (ja) ダストキャップ
KR20110118732A (ko) 탐폰 어플리케이터 조립체
JP5006110B2 (ja) 筆記具の軸構造
WO2016080287A1 (ja) 多芯筆記具
EP2193929A1 (en) Clip for writing instrument
US20100175229A1 (en) Elastic clip
JPH0997644A (ja) コネクタ用端子
JP3384187B2 (ja) 多芯筆記具
JP4922909B2 (ja) 筆記具のクリップ取付構造
JP2007287611A (ja) コネクタ
JPH10217673A (ja) 筆記具のグリップ
JP2012025077A (ja) 筆記具のクリップ構造
JP5216475B2 (ja) 多芯筆記具
JPH09240189A (ja) ボールペン
JP6593837B2 (ja) 光コネクタ用後付タブ
JP5960074B2 (ja) 長尺体保持構造、及び長尺体保持具
CN217317778U (zh) 套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