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022B1 -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022B1
KR102085022B1 KR1020190084435A KR20190084435A KR102085022B1 KR 102085022 B1 KR102085022 B1 KR 102085022B1 KR 1020190084435 A KR1020190084435 A KR 1020190084435A KR 20190084435 A KR20190084435 A KR 20190084435A KR 102085022 B1 KR102085022 B1 KR 10208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urved
molding
mol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철
안유진
Original Assignee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애드파인테크놀러지
Priority to PCT/KR2019/00927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8562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5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 C03B23/035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 C03B23/0357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using a gas cushion or by changing gas pressure, e.g. by applying vacuum or blowing for supporting the glass while bending by suction or blowing out for providing the deformation force to bend the glass sheet by suction without blowing, e.g. with vacuum or by venturi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cover glass) 제조 시에 RVCP 공법(Reheat Vacuum and Cold mold Pressing system)과 도장 공법(spray printing system)을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3D S-curved and twisted cover glass)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기본체가 구동 제어에 따라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며; 냉각장치가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 또는 공기를 상기 성형기본체에 공급하여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시켜 주며; 제어장치가 성형기본체와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3D curved glas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cover glass) 제조 시에 RVCP 공법(Reheat Vacuum and Cold mold Pressing system)과 도장 공법(spray printing system)을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3D S-curved and twisted cover glass)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 제품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유리 유닛(glass window)은, 평판 유리를 자른 후 기기에 조립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고 그립감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LCD, AMOLED 등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장착되는 면은 평면이고 반대 면은 평면이 아닌 형상(즉, 2.5D)이나, 양면 모두 평면이 아닌 형상(즉, 3D)을 가진 유리 유닛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율 자동차의 개발 운행에 따른 운전자의 정보 및 엔터테인먼트, 게임 등을 대형 디스플레이로 즐기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서, 차량 계기판, 내비게이션, CID 등과 대시보드(Dash Board)를 일체화한 대형-곡면 기판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 유닛을 가공하는 방법으로는, 양면 모두 평면인 원단 유리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유리를 CNC 머신에 고정시킨 후, 장비에 장착된 숫돌이 지정된 경로를 이동하면서 원하는 곡면 등의 형상을 만든 후, 숫돌이 지나간 면을 연마(polishing)하여 경면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그라인딩(grinding)에 의해 유리에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기 때문에 가공 시간이 오래 걸리고 대량 생산이 어려우며, 그라인딩에 의해 형성된 곡면의 조도가 나쁘기 때문에 연마 공정이 필요하며, 연마 공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마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2314호(2016.07.19 등록)는 유리 제조 방법 및 유리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평판 유리가 로딩되고, 평판 유리를 가압하는 상부가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 금형; 하부 금형의 상부에 위치되어 하부 금형과 함께 평판 유리를 가압하고, 평판 유리를 가압하는 하부가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 금형을 포함하고, 평판 유리의 형상 변화에 따른 성형 전후의 치수 변화량과, 하부 금형 및 평판 유리의 열팽창에 의한 상온과 성형 온도에서의 치수 변화량이 반영되도록 하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로딩된 평판 유리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평판 유리를 금형에 삽입하여 평판 유리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고, 평판 유리의 한쪽 면을 평면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으며, 또한 평판 유리가 곡면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데 있어서 성형되는 평판 유리의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금형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1128호(2017.11.29 공개)는 단일 몰드에 올려지는 평판 유리소재를 인덱스 회전방식으로 공정별로 회전 순환시키면서 성형 가공함으로써, 성형부의 구조가 단순하고, 전체적인 설비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턴테이블 인덱스 방식으로 공정 전환이 신속하며, 공정별로 온도 및 압력 관리를 엄격하게 수행할 수 있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성형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몰드가 안착되는 몰드배치부를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하는 회전테이블; 회전테이블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분할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재를 갖추어 몰드배치부에 진공압을 전달하여 유리판이 올려지는 몰드에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및 진공부; 몰드에 올려져 흡착된 유리판을 가열하여 예열하는 예열부;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판을 연화온도까지 가열하도록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관을 갖추어 연화온도까지 가열된 유리판이 올려진 몰드에 인가되는 진공흡입력에 의해서 유리판을 몰드의 곡면부에 밀착시켜 유리판을 곡면 가공하는 성형부; 및 몰드에서 곡면 가공된 유리판을 냉각하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성형 시에, 터널식의 가열과 산화가 쉬운 금형으로 인해서, 유리 표면에 오염이 생겨서 표면 연마가 필수이고, 금형의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대형 곡 유리의 두께가 2(mm) 이하로 박판인 관계로 굴곡하기 힘들고, 특히 고온 성형 시에 복원 및 뒤틀림의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231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3112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이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cover glass) 제조 시에 RVCP 공법(Reheat Vacuum and Cold mold Pressing system)과 도장 공법(spray printing system)을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3D S-curved and twisted cover glass)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구동 제어에 따라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기 위한 성형기본체;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 또는 공기를 상기 성형기본체에 공급하여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시켜 주기 위한 냉각장치; 및 상기 성형기본체와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RVCP를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원단 유리를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로 성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근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한 개의 금형으로 기 설정 시간 이내에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스텐, 세라믹, 알루미늄 중의 하나로 만들어진 금형을 사용하여 상부 압착하여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출력(열원용량)이 2.5(Kw) 33본으로 총 82.5(Kw)이고 코일의 온도가 2000~2200도인 근적외선 히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스텐 재질의 가열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냉각 시에,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한 수냉식 또는 공기에 의한 공냉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상부에 형성시켜 복사열을 반사시켜 주기 위한 금속판과; 천정 부분에 형성시켜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열배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금형과 원단 유리를 진공흡인 흡착시켜 주기 위한 진공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 도달 압력을 1.3(KPa)으로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성형몰드에 냉각수 또는 공기 공급 및 진공흡인 흡착 기능을 적용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기 설정된 시간 내로 푸시 바의 위치 정렬로 원단 유리를 투입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몰드 내부에 순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원단 유리를 로딩해 주기 위한 로딩부; 기 설정된 온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로딩부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주기 위한 예열부;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기 위한 성형부; 및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성형부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해 주기 위한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예열부와의 온도 차이가 40도 이상이 나지 않도록 조절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원단 유리를 로딩하기 전에, 원단 유리의 파손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로딩부는, 원단 유리를 로딩하여 상기 예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열부는, 예열챔버 내 분위기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로딩부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열챔버는, 근적외선 히터를 400도까지 상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예열부는, 상온에서 400도까지 상승시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로딩부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성형챔버 내 대기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켜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의 곡 성형 부분에 집중적이고 국소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챔버는, 근적외선 히터를 900도까지 상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 중에서 다른 곡 성형 부분보다 곡률이 큰 곡 성형 부분에 대응하는 열선의 간격을 다른 곡 성형 부분에 대응하는 열선 간격보다 좁게 또는 넓게 형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곡률이 큰 곡 성형 부분을 집중적이고 국소적으로 가열하여 곡률이 큰 곡 성형 부분도 다른 곡 성형 부분과 동일한 시간 내에 곡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기 설정된 온도로 상승시켜 자중 낙하와 진공 흡인으로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를 성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성형몰드를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여서 자중 낙하에 의해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의 국소 가열 부위가 성형몰드에 안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제어장치에서 성형몰드가 가열 레시피 설정에 따라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방식으로의 제어에 따라 성형몰드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성형몰드를 진공흡인 흡착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250~400도의 예열온도에서 유리 종류에 따른 연화점 부근의 온도인 700~900도까지 상승시키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공 흡인과 동시에 3축 세라믹 롤 프레스 또는 스텐(SUS) 바에 산화물(예를 들어, 세라믹)을 코팅한 롤 프레스(내지, 누름 지그)로 가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공 흡인 및 상하 몰드 유압착 상태에서 성형을 유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3D 형상의 커브드 유리를 배출하여 1매의 3D 형상의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하는 총 소요 시간이 5분 이내(바람직하게는, 최적 범위로 2~3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서냉 언로딩으로 기 설정된 온도에서 상온까지로 냉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금형과 유리를 진공 흡인한 상태로 가열챔버에서 꺼내어 서서히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필요시에 기 설정된 공급 속도로 칠러를 금형과 상부 근적외선 히터의 발열 부분에 순환시켜 냉각 속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몰드와 상부 근적외선 히터에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부는, 공정 내 옵션으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성형부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서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장치는, 실외기를 구비하여 3D 곡면 커브드 유리 냉각 시에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은, 상기 냉각장치와 연결된 실외기를 별도로 설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장치는, 50(L/분)의 공급 속도로 40도까지 냉각시켜 주는 칠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공압 실린더를 제어하여 상하 스트로크를 기 설정된 거리만큼 조절하여 가열챔버를 업다운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MCU를 구비하여 Arduino 컨트롤 및 각종 릴레이 제어를 수행하며, 예열 1포인트와 성형 2포인트로 온도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가열설정화면을 구비하여, 근적외선 히터 설정을 출력시키고, 시간을 개별적으로 설정하고, 존별 온도와 온도 조절에 관계된 근적외선 히터의 파워(Kw)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서냉공정도화면을 구비하여 서냉공정에 대한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하기 전의 평면 유리에 도장을 해 주기 위한 도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장장치는, 표면 오염 또는 표면 손상을 막기 위한 보호막을 뿌리거나, 근적외선 히터의 복사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흑색 잉크를 뿌리는 코팅을 수행해 주기 위한 스프레이 코팅 장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은, 3축 접합 장비를 구비하여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의 전면에 기능성 필름을 접합시켜 주기 위한 필름작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제어장치가 성형기본체와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성형기본체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에 따라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는 단계; 및 상기 냉각장치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 또는 공기를 상기 성형기본체에 공급하여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자동차 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cover glass) 제조 시에 RVCP 공법(Reheat Vacuum and Cold mold Pressing system)과 도장 공법(spray printing system)을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3D S-curved and twisted cover glass)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 개의 금형으로 유리 표면에 오염이 발생되지 않아 표면 연마를 할 필요가 없고 반영구적인 금형 수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열 기능과 연화점까지 온도를 차별적이고 국부적으로 기 설정 시간(예로, 60초) 이내로 급상승하며, 진공 흡인 방식 또는 상하 금형으로 압착하고 서냉하도록 함으로써, 대형 곡 유리가 박판인 경우에도 굴곡하기 쉬우며, 고온 성형 시에도 복원 및 뒤틀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성형기본체에 사용하는 금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성형기본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로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예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있는 성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있는 냉각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성형기본체에 사용하는 금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성형기본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있는 로딩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있는 예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있는 성형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3에 있는 냉각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성형기본체(110), 냉각장치(120), 제어장치(130)를 포함한다.
성형기본체(110)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RVCP 공법을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원단 유리를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근적외선 히터 방식 등의 특수 열원을 사용하여 상온 대기 중에서 한 개의 금형으로 기 설정 시간(예를 들어, 2분) 이내에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여기서, 근적외선 히터의 경우에, 그 배치는 균일하도록 형성해 주며, 성형 모양에 따라 히터의 배치로 가열온도를 차이가 나게 하지 않고 구역을 나눠서 히터에 가하는 전압(Power)을 제어장치(130)에서 다르게 조절해 주며, 유리형상에 따라서 유리와 히터 사이의 간격도 조절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성형 온도는 700~900도로 조절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콜드 몰드(cold mold) 방식의 금형을 1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1개의 금형을 사용하여 예열-성형-서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르게는, 성형기본체(110)는, 3개로 분할하되 경계면의 단차가 없이 한 개처럼 가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성형기본체(110)는, 금형에 있는 이물이나 흠집이 성형된 면에 전사(傳寫)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 유리에서 이물이 허용되거나 외곽부 BM인쇄에 의해 보이지 않는 부분에만 금형이 닿게 하고 내부는 비우는 형상의 금형으로 가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차량 내 디스플레이가 곡면 및 대형화(예를 들어, 30인치 이상)되고 급격한 곡률부가 있는 경우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 재질(예를 들어, 스텐(SUS), 세라믹(CERAMIC), 알루미늄(AL) 등 중의 하나)로 만들어진 금형(예를 들어, 34인치용 금형)을 사용하여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원단 유리를 30인치대의 크기(예를 들어, 700mm ~ 950mm)의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할 시에, 가열 사양으로, 출력(열원용량)이 2.5(Kw) 33본으로 총 82.5(Kw)이고 코일의 온도가 약 2000~2200도인 근적외선 히터 방식을 사용하며, 스텐(SUS304) 등과 같은 재질에 산화물(예를 들어, 세라믹 등)을 코팅한 금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서는 스텐은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인식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코팅으로 3만회 이상 반영구적으로 금형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냉각 시에,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한 수냉식 또는 공기에 의한 공냉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에 금속판을 형성시켜 복사열을 반사시켜 줄 수 있으며, 천정 부분에 열배기구를 형성시켜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진공펌프를 구비하여 금형과 원단 유리를 진공흡인 흡착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 680(mmHg) 2대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진공 도달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값(예를 들어, 1.3(KPa)(abs))으로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성형몰드와 상부 근적외선 히터에 냉각수 또는 공기 공급 및 성형몰드에 진공흡인 흡착 기능을 적용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예를 들어, 스텐, 세라믹, 알루미늄 등 중의 하나로 만들어진 성형몰드 내부와 상부 근적외선 히터에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순환 냉각수 또는 공기를 보내줌으로써,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할 수 있으며, 유리 표면이 산화되지 않아 가공 곡면의 연마가 필요하지 않도록 해 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성형기본체(110)는,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몰드 내부와 상부 근적외선 히터에 공급 순환시켜 줌으로써, 성형몰드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해 줄 수 있으며, 가열이 중단되는 연화점(예로, 700~900도)에서 서냉점, 전이점(예로, 550도) 이하로 가면서, 최종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온도까지 서냉(徐冷; annealing)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유리는 종류별로 연화점이 다르므로, 성형온도점(즉 연화점)의 범위를 700~90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열 온도는 250~400도가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내로 푸시 바(push bar)의 위치 정렬로 원단 유리를 위치 정렬하여 투입받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출력의 20(%)로 보온해 줄 수 있으며, 가열은 30초, 20초, 5초의 3단계로 총 55초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서냉은 15초, 70초의 2단계로 총 85초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진공은 가열 개시 45초부터 10초, 110초(서냉 개시 55초) 이후 30초의 2단계로 총 40초 수행한 후에, 유리를 배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기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부(111), 예열부(또는, 예열/성형부)(112), 성형부(또는, 성형/예열부)(113), 냉각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딩 -> 예열 -> 성형 -> 언로딩의 순서 경우에 한 방향으로의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방식이며, 로딩/언로딩 <-> 예열/성형, 성형/예열 <-> 로딩/언로딩의 경우에는 양방향으로의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방식으로 둘 다 가능함을 잘 이해해야 한다.
로딩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0도)까지 상승시켜 원단 유리를 로딩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딩부(111)는, 예열부(112)와의 온도 차이가 40도 이상이 나지 않도록 조절해 줄 수 있다. 이때, 열 충격으로 인한 파손의 경우에 유리가공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의 칩이 원인이므로, 원단 유리를 로딩하기 전에, 카메라나 작업자의 육안으로 원단 유리의 파손 여부를 검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딩부(111)는, 원단 유리를 로딩하여 예열부(112)로 전달만 해 줄 수 있다.
예열부(1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0도)에서 로딩부(111)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예열부(112)는, 가열챔버(즉, 예열챔버) 내 분위기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0도)로 유지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분 정도) 동안 로딩부(111)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예열챔버는, 근적외선(NIR) 히터(예를 들어, 헤라우스 램프 등)를 약 62KW로 250~400도까지 상승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예열부(112)는, 상온에서 250~400도까지 상승시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로딩부(111)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줄 수도 있다.
성형부(1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700~900도)에서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가열챔버(즉, 성형챔버) 내 대기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0~800도)로 상승시켜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의 곡 성형 부분에 집중적이고 국소적으로 가열해 줄 수 있다. 여기서, 성형챔버는, 근적외선(NIR) 히터(예를 들어, 헤라우스 램프 등)를 약 128KW로 700~900도까지 상승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 중에서 다른 곡 성형 부분보다 곡률이 큰 곡 성형 부분에 대응하는 열선(즉, 코일)의 간격을 다른 곡 성형 부분에 대응하는 열선 간격보다 좁게(또는, 넓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곡률이 큰 곡 성형 부분을 집중적이고 국소적으로 가열해 줄 수 있으며, 이에 곡률이 큰 곡 성형 부분도 다른 곡 성형 부분과 동일한 시간 내에 곡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자중 낙하와 진공 흡인으로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700~900도)로 상승시켜 자중 낙하와 진공 흡인으로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를 성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성형몰드를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여서 자중 낙하에 의해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의 국소 가열 부위가 성형몰드에 안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즉, 성형몰드가 가열 레시피 설정에 따라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방식으로의 제어)에 따라 성형몰드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성형몰드에 진공흡인 흡착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250~400도의 예열온도에서 유리 종류에 따른 연화점 부근의 온도인 700~900도까지 상승시키면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동안 진공 흡인과 동시에 3축 세라믹 롤 프레스(ceramic roll press) 또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에 산화물을 코팅한 롤 플레스(예를 들어, 스텐(SUS) 바에 산화물(예를 들어, 세라믹)을 코팅한 롤 프레스(내지, 누름 지그))로 가압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진공 흡인 및 상하 몰드 유압착 상태에서(또는, 누름 바(내지, 롤 프레스)의 누름에 의해서) 성형을 유지시켜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내에 3D 형상의 커브드 유리를 배출하여 1매의 3D 형상의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하는 총 소요 시간(즉, 순수 성형 시간)이 5분 이내(바람직하게는, 최적 범위로 2~3분) 정도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5~10존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가열해 줄 수 있으며, 이때 곡면의 어려운 형상(즉, 다른 곡 성형 부분보다 곡률이 큰 곡 성형 부분)의 가공을 위해, 우선가열순위를 두고 가열한 후에, 연화점에서 자중 낙하하면 순서에 따라 에어로 흡인하여 형상을 고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 공정에서 곡률이 큰 곳으로 LCD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는 부분(즉, R2000mm인 부분)은 왜곡되면 안 되는 중요한 부분이며, 중간 연결 부분(즉, R50/R50mm)은 곡률이 작지만 디자인적으로 중요한 연결 부분인데, 이때 성형부(113)는, 중간 연결 부분의 성형이 어려워서, 가열 시에 가장 먼저 성형점(softening point)에 도달시키고, 흡인, 가압(롤 지그)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성형부(113)는, 근적외선 히터를 복수 개의 존으로 구분하여 국부적으로 가열 조건을 다르게 해서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에 대해서 커브드 형상의 곡 성형을 수행함으로써,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냉각부(11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전달받아 성형부(113)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부(114)는, 서냉 언로딩으로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800도)에서 상온까지로 냉각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 금형과 유리를 진공 흡인한 상태로 가열챔버에서 꺼내어 서서히 냉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부(114)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필요시에 기 설정된 공급 속도(예를 들어, 40(L/분))로 칠러를 금형과 상부 근적외선 히터의 발열 부분에 순환시켜 냉각 속도를 높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부(114)는,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몰드와 상부 근적외선 히터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부(114)는, 공정 내 옵션으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60~85초) 동안 성형부(113)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서냉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성형기본체(110)는, 예열부(112)(즉, 예열챔버)가 없어도 성형이 가능하지만, 생산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고 열 충격으로 파손이 적도록 하기 위해서 예열부(112)를 가동시켜 줄 수 있다.
냉각장치(120)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기본체(110)에 공급하여 성형기본체(110)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장치(120)는, 실외기(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3D 곡면 커브드 유리 냉각 시에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해 줄 수 있다. 다르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냉각장치(120)와 연결된 실외기를 별도로 설치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냉각장치(120)는, 50(L/분)의 공급 속도로 40도까지 냉각시켜 주는 칠러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장치(130)는, 성형기본체(110)와 냉각장치(120)의 구동을 제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130)는, 공압 실린더를 구비하며, 공압 실린더를 제어하여 상하 스트로크를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0~200(mm))만큼 조절하여 가열챔버와 금형을 업다운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130)는, MCU를 구비하여 Arduino 컨트롤 및 각종 릴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온도 제어로 예열 1포인트와 성형 2포인트를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장치(130)는, 가열설정화면을 구비하여, 근적외선 히터의 출력(Power, Kw)치를 조절할 수 있고, 시간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존(zone)별 온도와 온도 조절에 관계된 근적외선 히터의 파워(Kw)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한 서냉공정도화면을 구비하여 서냉공정에 대한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도장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장장치(140)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성형기본체(110)에서 성형하기 전의 평면 유리에 도장을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도장장치(140)는, 스프레이 코팅 장비를 구비하여, 표면 오염 또는 표면 손상을 막기 위한 보호막(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TiO2) 등)을 뿌리거나, 근적외선 히터의 복사열 효율을 높이기(즉, 복사열을 더 많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흑색 잉크를 뿌리는 등의 코팅을 수행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장장치(140)는, 3축 도장(곡면 도장)으로 빛샘차폐용 BM,블랙 잉크의도장 장치로서, 전면의 빛 반사(AR; Anti-Reflection) 기능과, 지문오염방지(AFP; Anti Finger Printing) 및 지문과 오염 제거(EC; Easy Cleaning)를 용이하게 하는 물질을 3D 곡면 커브드 유리의 표면에 입힐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후공정으로, 세정, 외형 검사, 화학 강화, 배면 인쇄 등을 수행한 후에, 성형기본체(110)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의 전면을 기능성 필름을 접합시켜 주며, 그런 다음에 오토 클레이브(auto clave; 탈포), 전면 웨트(wet) AR, 가경화, 웨트 AF, 본경화, 검사, 포장 및 출하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3축 접합 장비를 구비하여 성형기본체(110)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의 전면에 기능성 필름(예로, AR, AF 등의 필름)을 접합시켜 주기 위한 필름작업장치(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자동차 대형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 제조 시에 RVCP 공법과 도장 공법을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한 개의 금형으로 유리 표면에 오염이 발생되지 않아 표면 연마를 할 필요가 없고 반영구적인 금형 수명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성형기본체(110)에서의 예열 기능과 연화점까지 온도를 차별적이고 국부적으로 기 설정 시간(예로, 60초) 이내로 급상승하며, 진공 흡인 방식 또는 상부 금형(또는, 누름 바)으로 압착하고 서냉하도록 함으로써, 대형 곡 유리가 박판인 경우에도 굴곡하기 쉬우며, 고온 성형 시에도 복원 및 뒤틀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3D 곡면의 성형과 성형 전 예열에 사용하는 열원으로써 근적외선 히터를 사용하며, 근적외선 히터의 복사열을 최대화하기 위해 히터의 배면에 순금 도금을 한 복사판을사용하며, 근적외선 히터에 수냉과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냉각부(114))를 달아서 석영으로 제작한 히터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복사열 가열 근적외선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제어장치(130)에 의해서, 곡률이 큰 곳의 성형을 동일 시간 내 완성하기 위해서, 국부적인 가열을 구분하여 전압을 조절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곡률이 큰 곳(예를 들어, R50mm 또는 트위스트 형상)의 누름 형상을 금형과 일치시키기 위한 누름장치와, 금속 재질의 파이프에 특수한 물질로 코팅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100)은, 성형 시 발생하는 표면 오염과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과 근적외선 열원의 흡수를 증가시켜 성형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흑색 잉크 및 용액을 도장하는 도장장치(140)를 예열부(112) 이전에 설치해 줄 수 있다.
삭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30)에서는, 성형기본체(110)와 냉각장치(120)의 구동을 제어해 주게 된다(S801).
상술한 단계 S801에서 구동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어장치(130)에서는, 공압 실린더를 제어하여 상하 스트로크를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00~200(mm))만큼 조절하여 가열챔버를 업다운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1에서 구동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어장치(130)에서는, MCU에 의해서 Arduino 컨트롤 및 각종 릴레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예열 1포인트와 성형 2포인트로 온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1에서 구동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제어장치(130)에서는, 가열설정화면을 이용하여 근적외선 히터 설정을 출력시켜 줄 수 있고, 시간 등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존(zone)별 온도와 온도 조절에 관계된 근적외선 히터의 파워(Kw)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장치(130)에서는, 서냉공정도화면을 사용하여 서냉공정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1에서 구동 제어를 수행하게 되면, 성형기본체(110)에서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게 된다(S802).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서는, RVCP 공법을 사용하여 3D 곡 가공으로 원단 유리를 3D S-커브드/트위스티드 커버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서는, 근적외선 히터 방식 등의 특수 열원을 사용하여 상온 대기 중에서 한 개의 금형으로 기 설정 시간(예를 들어, 순수 성형 시간 2분) 이내에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차량 내 디스플레이가 곡면 및 대형화(예를 들어, 30인치 이상)되고 급격한 곡률부가 있는 경우에, 성형기본체(1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수 재질(예를 들어, 스텐(SUS), 세라믹(CERAMIC), 알루미늄(AL) 등 중의 하나)로 만들어진 금형(예를 들어, 34인치용 금형)을 사용하여 상부 압착하여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서는, 출력(열원용량)이 2.5(Kw) 33본으로 총 82.5(Kw)이고 코일의 온도가 약 2000~2200도인 근적외선 히터 방식을 사용하고, 특수 재질의 가열로(예를 들어, 스텐(SUS304) 등과 같은 재질에 산화물(예를 들어, 세라믹 등)을 코팅한 금형)를 사용하여,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서는,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금형과 원단 유리를 진공흡인 흡착시켜 줄 수 있는데, 이때 680(mmHg) 2대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진공 도달 압력을 기 설정된 압력 값(예를 들어, 1.3(KPa))으로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내로 푸시 바의 위치 정렬(align)로 원단 유리를 위치 정렬하여 투입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 구비된 로딩부(111)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0도)까지 상승시켜 원단 유리를 로딩해 줄 수 있으며, 그런 다음에 성형기본체(110)에 구비된 예열부(112)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400도)에서 로딩부(111)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줄 수 있다. 그런 후에, 성형기본체(110)에 구비된 성형부(1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700~900도)에서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예열부(112)에서는, 가열챔버(즉, 예열챔버) 내 분위기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250~400도)로 유지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분 정도) 동안 로딩부(111)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줄 수 있으며, 이때 예열챔버는 근적외선(NIR) 히터를 약 62KW로 400도까지 상승시켜 줄 수 있다. 이에, 성형부(113)에서는, 가열챔버(즉, 성형챔버) 내 대기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700~900도)로 상승시켜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의 곡 성형 부분에 집중적이고 국소적으로 가열해 줄 수 있으며, 이때 성형챔버는 근적외선(NIR) 히터를 약 128KW로 최대 900도까지 상승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부(113)에서는, 자중 낙하와 진공 흡인으로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700~900도)로 상승시켜 자중 낙하와 진공 흡인으로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를 성형해 줄 수 있다. 이때, 성형부(113)는 성형몰드를 기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여서 자중 낙하에 의해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의 국소 가열 부위가 성형몰드에 안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130)의 제어(즉, 성형몰드가 가열 레시피 설정에 따라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방식으로의 제어)에 따라 성형몰드를 레일을 따라 이동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성형몰드에 진공흡인 흡착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부(113)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동안 진공 흡인과 동시에 3축 세라믹 롤 프레스 또는 스텐(SUS) 바에 산화물(예를 들어, 세라믹)을 코팅한 롤 프레스(내지, 누름 지그)로 가압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부(113)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진공 흡인 및 상하 몰드 유압착 상태에서 성형을 유지시켜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형부(113)에서는,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0초) 내에 3D 형상의 커브드 유리를 배출하여 1매의 3D 형상의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하는 총 소요 시간이 5분 이내(바람직하게는, 순수 성형 작업 시간의 최적 범위로 2~3분) 정도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함에 있어서, 로딩부(111)에서는, 원단 유리를 로딩하여 예열부(112)로 전달만 해 줄 수 있으며, 이에 예열부(112)에서는, 상온에서 450도까지 상승시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로딩부(111)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줄 수 있다. 그런 후에, 성형부(113)에서는, 250~400도의 예열온도에서 유리 종류에 따른 연화점 부근의 온도인 700~900도까지 상승시키면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30초) 동안 예열부(112)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2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의 성형을 수행한 후에, 냉각장치(120)에서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기본체(110)에 공급하여 성형기본체(110)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시켜 주게 된다(S803).
상술한 단계 S803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서는,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한 수냉식 또는 공기에 의한 공냉식으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할 수 있으며, 상부에 형성시킨 금속판에 의해서 복사열을 반사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천정 부분에 형성시킨 열배기구에 의해서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함에 있어서, 성형기본체(110)에 구비된 냉각부(114)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전달받아 성형부(113)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함에 있어서, 냉각부(114)에서는, 서냉 언로딩으로 기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800도)에서 상온까지로 냉각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 금형과 유리를 진공 흡인한 상태(또는, 진공흡인을 해제한 상태)로 가열챔버에서 꺼내어 서서히 냉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함에 있어서, 냉각부(114)에서는, 제어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필요시에 기 설정된 공급 속도(예를 들어, 40(L/분))로 칠러를 금형과 상부 근적외선 히터의 발열 부분에 순환시켜 냉각 속도를 높일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함에 있어서, 냉각부(114)에서는, 냉각장치(120)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몰드와 상부 근적외선 히터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803에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함에 있어서, 냉각부(114)에서는, 공정 내 옵션으로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60~85초) 동안 성형부(113)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서냉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110: 성형기본체
111: 로딩부
112: 예열부
113: 성형부
114: 냉각부
120: 냉각장치
130: 제어장치
140: 도장장치

Claims (6)

  1. 구동 제어에 따라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기 위한 성형기본체;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 또는 공기를 상기 성형기본체에 공급하여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시켜 주기 위한 냉각장치; 및 상기 성형기본체와 상기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기본체는, 원단 유리에서 이물이 허용되는 부분에만 금형이 닿게 하는 형상으로 가공된 금형을 1개로 포함하며; 상부에 형성시켜 복사열을 반사시켜 주기 위한 금속판과; 천정 부분에 형성시켜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열배기구와; 금형과 원단 유리를 진공흡인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흡착시켜 주기 위한 진공펌프를 구비하며;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원단 유리를 로딩해 주기 위한 로딩부; 기 설정된 온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로딩부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주기 위한 예열부;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기 위한 성형부; 및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성형부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해 주기 위한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는, LCD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는 부분이나 중간 연결 부분의 경우에, 성형점에 도달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공 흡인과 동시에 누름 지그로 가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하기 전의 평면 유리에, 근적외선 히터의 복사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흑색 잉크를 도장해 주기 위한 도장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성형몰드와 상부 근적외선 히터에 순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본체는,
    근적외선 히터를 복수 개의 존으로 구분하여 국부적으로 가열 조건을 다르게 해서 커브드 형상의 곡 성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6. 제어장치가 성형기본체와 냉각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성형기본체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에 따라 원단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는 단계; 및 상기 냉각장치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에 따라 냉각수 또는 공기를 상기 성형기본체에 공급하여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기본체는, 원단 유리에서 이물이 허용되는 부분에만 금형이 닿게 하는 형상으로 가공된 금형을 1개로 포함하며; 상부에 형성시켜 복사열을 반사시켜 주기 위한 금속판과; 천정 부분에 형성시켜 열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열배기구와; 금형과 원단 유리를 진공흡인하여 형상을 유지하도록 흡착시켜 주기 위한 진공펌프를 구비하며;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원단 유리를 로딩해 주기 위한 로딩부; 기 설정된 온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로딩부에서 로딩된 유리를 예열해 주기 위한 예열부;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켜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유리를 3D 곡면 커브드 유리로 성형해 주기 위한 성형부; 및 상기 냉각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 또는 공기를 전달받아 상기 성형부에서 성형된 3D 곡면 커브드 유리를 냉각해 주기 위한 냉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부는, LCD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는 부분이나 중간 연결 부분의 경우에, 성형점에 도달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진공 흡인과 동시에 누름 지그로 가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장장치가 상기 성형기본체에서 성형하기 전의 평면 유리에, 근적외선 히터의 복사열 효율을 높이기 위한 흑색 잉크를 도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방법.
KR1020190084435A 2018-10-24 2019-07-12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8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9274 WO2020085622A1 (ko) 2018-10-24 2019-07-25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243 2018-10-24
KR20180127243 2018-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022B1 true KR102085022B1 (ko) 2020-03-05

Family

ID=6980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435A KR102085022B1 (ko) 2018-10-24 2019-07-12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5022B1 (ko)
WO (1) WO20200856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4739A (zh) * 2020-11-04 2021-02-19 安徽锐利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曲面玻璃切割机
KR102452895B1 (ko) * 2022-02-16 2022-10-12 주식회사 지웰코퍼레이션 유리 가열 성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59236B (zh) * 2021-01-05 2023-03-24 四川虹科创新科技有限公司 不等厚曲面玻璃及其成型方法和应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141B1 (ko) * 2004-06-16 2006-10-3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프레스 성형 장치
KR20140134124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판 성형장치 및 유리판 성형방법
KR20150088471A (ko) * 2014-01-24 2015-08-03 박근노 박형 유리기판 성형장치
KR101642314B1 (ko) 2011-06-24 201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 제조 방법 및 유리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
KR20170129819A (ko) * 2015-03-24 2017-11-27 록툴 유리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170131128A (ko) 2016-05-20 2017-11-29 임홍주 3d 유리 성형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561B1 (ko) * 1998-10-30 2001-06-01 배강호 곡면 유리 제품의 제조장치
US10526232B2 (en) * 2013-05-30 2020-01-07 Ppg Industries Ohio, Inc. Microwave heating glass bending proces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141B1 (ko) * 2004-06-16 2006-10-30 도시바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프레스 성형 장치
KR101642314B1 (ko) 2011-06-24 2016-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 제조 방법 및 유리 제조에 사용되는 금형
KR20140134124A (ko) * 2013-05-13 2014-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리판 성형장치 및 유리판 성형방법
KR20150088471A (ko) * 2014-01-24 2015-08-03 박근노 박형 유리기판 성형장치
KR20170129819A (ko) * 2015-03-24 2017-11-27 록툴 유리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170131128A (ko) 2016-05-20 2017-11-29 임홍주 3d 유리 성형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4739A (zh) * 2020-11-04 2021-02-19 安徽锐利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曲面玻璃切割机
KR102452895B1 (ko) * 2022-02-16 2022-10-12 주식회사 지웰코퍼레이션 유리 가열 성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622A1 (ko)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022B1 (ko) 3d 곡면 커브드 유리 가공 시스템 및 방법
US5858047A (en) Method and apparatus of bending glass sheets
KR100694358B1 (ko) 가요성 바이어싱 표면 몰드, 시트 성형 장치 및 시트 성형방법
US3778244A (en) Bending of flat glass on a mold with vacuum
TWI543945B (zh) 從二維玻璃片形成三維玻璃製品的方法
JP5714719B2 (ja) 窓板を曲げ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70006900A (ko)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Z59395A3 (en) Method of convex bending of flat glass article, the use of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KR20150047066A (ko) 유리 성형물 성형장치
EP0398759A2 (en) Method of heating glass sheet for laminated glass
WO2017078934A1 (en) Lift device for a glass processing system
US20020020192A1 (en) Method for making a curved glass-ceramic panel by bending a green glass panel to be ceramicize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id method
TW202039379A (zh) 玻璃板之成形裝置
KR101597530B1 (ko) 곡면 글라스 성형기
KR20150046841A (ko) 곡면부를 갖는 글라스 성형기의 금형 이송장치
KR10227053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및 강화유리 밴딩 방법
WO2017018240A1 (ja) パウダースラッシュ成形機及びパウダースラッシュ成形法
JP2006521273A (ja) ガラス板を屈曲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2101472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sheets
KR10200236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유리 및 강화유리 밴딩 방법
EP0363097B1 (en) Method of shaping sheet glass
JP7168561B2 (ja) ガラスシートを成形する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されるガラス成形ライン
KR102452895B1 (ko) 유리 가열 성형 장치 및 방법
CN112351960A (zh) 通过激光器辅助的玻璃弯曲装置和方法
TW202039380A (zh) 玻璃板之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